KR101045317B1 -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17B1
KR101045317B1 KR1020110023998A KR20110023998A KR101045317B1 KR 101045317 B1 KR101045317 B1 KR 101045317B1 KR 1020110023998 A KR1020110023998 A KR 1020110023998A KR 20110023998 A KR20110023998 A KR 20110023998A KR 101045317 B1 KR101045317 B1 KR 10104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ggregate
molding
cu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국
Original Assignee
(주)삼오포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오포레스 filed Critical (주)삼오포레스
Priority to KR102011002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Porous Concrete Cobble, PCC) 제조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콘크리트가 지닌 가장 우수한 특성인 표면 및 공극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인 구형체 복수개를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외기에 대한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고, 내부에는 용적변화가 풍부한 자연환경에 가까운 연속공간을 형성하게 하며, 공극을 지니고 있어 투수성과 투기성이 우수하고 오수에 의해 오염된 하천의 수질 정화뿐만 아니라 식생으로 인한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쇄석 선별단계, 선별된 쇄석을 포함한 조성물질의 배합단계, 배합물 이송 및 호퍼 투입단계, 집합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 결합단계, 집합성형체를 성형하는 배합물 투입 및 성형틀 진동단계,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및 탈형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ROUS CONCRETE COBBL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Porous Concrete Cobble, PCC) 제조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콘크리트가 지닌 가장 우수한 특성인 표면 및 공극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반구(半球) 형상인 구형체 복수개를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외기에 대한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고, 내부에는 용적변화가 풍부한 자연환경에 가까운 연속공간을 형성하게 하며, 공극을 지니고 있어 투수성과 투기성이 우수하고 오수에 의해 오염된 하천의 수질 정화뿐만 아니라 식생으로 인한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 호안블록이란 호안이나 법면에 시공되어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블록의 사이에 다양한 식물과 수생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곳에 터잡아 생장할 수 있도록 삶의 터전을 넓혀 주어 각종 미생물과 식물에 의해 토양의 자정능력을 높여주기 위한 호안과 법면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호안블록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지면에 밀착시키면서 서로 연결하는 단순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한정된 용적 공간을 가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사각형 형태의 호안블록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10-8435호인 다공성블록 및 그 구축물이 제안되었으며, 파쇄한 쇄석과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구형상을 단위체로 하는 다공성의 옥석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2010. 6. 7.자로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3672호인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구형체 제조방법을 통해 다공성 구형체의 연결방법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다공성 구형체는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이를 통해 생산된 다공성 구형체는 설치 시공비용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을 단순화하여 기계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생산된 다공성 집합성형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제품의 운반비용과 설치하는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부한 기공으로 다공성의 공극을 형성시켜 투수성과 투기성이 우수함에 따라 오수로 인하여 오염된 하천의 수질정화 및 중금속 제거뿐만 아니라 식생으로 인한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을 가능케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극구조에 의한 필터기능과 내부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수질정화의 효과를 상승시키고, 다양한 식생물에 적합한 생물공간이 되며, 생태계와의 조화공생을 꾀하는 호안공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은 분쇄한 쇄석을 여과체에 통과시켜 소정의 크기로 선별하는 쇄석 선별단계; 상기 쇄석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쇄석을 물, 시멘트, 혼화제, 규사, 활성탄 및 제오라이트와 함께 각각 계량한 다음에 배합기에 공급하여 배합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단계를 통과한 배합물을 1차 호퍼에 투입한 다음에 1회 제조공정의 분량만큼 계량한 배합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성형틀이 장착된 2차 호퍼에 투입하는 배합물 이송 및 호퍼 투입단계; 함몰된 복수개의 반구 형상이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고 배열된 네 개의 반구 형상 사이마다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금형형틀에 집합성형체의 운반 및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올려놓은 다음에 상기 금형형틀의 상면에 박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는 외형틀을 결합시키고, 상기 금형형틀의 하부에서는 진동봉이 형성된 진동받침대를 상기 금형형틀의 관통공에 상기 진동봉이 삽입되도록 상승 결합시켜 금형형틀, 외형틀 및 진동받침대를 결합하는 성형틀 결합단계; 상기 2차 호퍼에 저장된 배합물을 상기 결합된 금형형틀과 외형틀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이 고르도록 수평작업을 한 다음에, 상기 외형틀의 상부에서 내형틀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내형틀의 스톱퍼가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압착하고 상기 진동받침대를 진동시켜 소정의 강도와 공극을 가진 복수개의 반구 형상인 구형체와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집합성형체를 성형하는 배합물 투입 및 성형틀 진동단계; 상기 내형틀과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진동받침대를 하강 분리시킨 다음에 상기 성형된 집합성형체를 양생하는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및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후, 상기 집합성형체로부터 금형형틀을 탈형하는 탈형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을 단순화하여 기계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생산된 다공성 집합성형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제품의 운반비용과 설치하는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부한 기공으로 다공성의 공극을 형성시켜 투수성과 투기성이 우수함에 따라 오수로 인하여 오염된 하천의 수질정화 및 중금속 제거뿐만 아니라 식생으로 인한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고, 공극구조에 의한 필터기능과 내부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수질정화의 효과를 상승시키고, 다양한 식생물에 적합한 생물공간이 되며, 생태계와의 조화공생을 꾀하는 호안공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어초로 이용할 경우에는 암초 부착생물, 암초성 생물 등이 부착하여 식물연쇄를 동반하는 등 어류자원이 확보되고, 어장의 확대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옹벽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배수성에 의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계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성형틀 결합단계에서 금형형틀, 외형틀 및 진동받침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통해 제조한 집합성형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통해 제조한 집합성형체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합성형체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합성형체의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선 A-A'에 따른 집합성형체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한 집합성형체를 연결하여 시공한 평면도.
도 11은 도 6의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합성형체를 연결하여 시공한 평면도.
본 발명인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은 분쇄한 쇄석을 여과체에 통과시켜 소정의 크기로 선별하는 쇄석 선별단계; 상기 쇄석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쇄석을 물, 시멘트, 혼화제, 규사, 활성탄 및 제오라이트와 함께 각각 계량한 다음에 배합기에 공급하여 배합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단계를 통과한 배합물을 1차 호퍼에 투입한 다음에 1회 제조공정의 분량만큼 계량한 배합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성형틀이 장착된 2차 호퍼에 투입하는 배합물 이송 및 호퍼 투입단계; 함몰된 복수개의 반구 형상이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고 배열된 네 개의 반구 형상 사이마다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금형형틀에 집합성형체의 운반 및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올려놓은 다음에 상기 금형형틀의 상면에 박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는 외형틀을 결합시키고, 상기 금형형틀의 하부에서는 진동봉이 형성된 진동받침대를 상기 금형형틀의 관통공에 상기 진동봉이 삽입되도록 상승 결합시켜 금형형틀, 외형틀 및 진동받침대를 결합하는 성형틀 결합단계; 상기 2차 호퍼에 저장된 배합물을 상기 결합된 금형형틀과 외형틀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이 고르도록 수평작업을 한 다음에, 상기 외형틀의 상부에서 내형틀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내형틀의 스톱퍼가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압착하고 상기 진동받침대를 진동시켜 소정의 강도와 공극을 가진 복수개의 반구 형상인 구형체와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집합성형체를 성형하는 배합물 투입 및 성형틀 진동단계; 상기 내형틀과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진동받침대를 하강 분리시킨 다음에 상기 성형된 집합성형체를 양생하는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및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후, 상기 집합성형체로부터 금형형틀을 탈형하는 탈형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쇄석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쇄석의 입도 크기는 13~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물은 선별된 쇄석 78~80 중량%, 시멘트 13~14 중량%, 규사 4~5 중량%, 물 2~3 중량%, 혼화제 0.4~0.5 중량%, 활성탄 0.005~0.01 중량% 및 제오라이트 0.0001~0.002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성형틀 결합단계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철근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에 연결된 네 개의 연결고리가 포함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연결몸체의 네 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과, 상기 연결몸체의 네 귀퉁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성형틀 결합단계에서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서 하강시켜 결합하는 것과, 상기 금형형틀의 하부에서 상승시켜 결합하는 것과,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된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에서 상기 성형된 집합성형체를 전기로에서 습식으로 건조 양생하는 것과 자연건조로 양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양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에서 상기 전기로의 승온속도는 20℃/h이고, 최고온도는 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일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종래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구형체는 각 구형체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 시공방법의 특성상 시공비용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구형체를 모아서 하나의 집합성형 단위체인 집합성형체(100)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집합성형체(10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반구 형상인 구형체(120)가 가로 및 세로로 서로 밀착하여 배열되고, 배열된 구형체(120)의 하부에 면접촉되어 상기 배열된 구형체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140)가 이루어지고, 몸체(140)의 측부는 배열된 구형체(120)의 외각선을 따라서 곡면으로 이루어지되 하측 방향으로 테이퍼되게 형성되며, 배열된 네 개의 구형체(120) 사이마다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는 각각의 관통공(142)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철근으로 형성되고 사각형 연결몸체(162)와 네 개의 연결고리(166)가 포함되게 구성된 연결부재(160)는 집합성형체(100)의 운반과 집합성형체(100)의 연결시 이용되는 것으로, 집합성형체(100)의 내부에는 구형체(120)와 몸체(140)의 중간 높이에 연결몸체(162)가 수평하게 삽입되고, 집합성형체(100)의 외측부에는 연결몸체(162)에 연결된 연결고리(16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인 집합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쇄석 선별단계(S1), 선별된 쇄석을 포함한 조성물질의 배합단계(S2), 배합물 이송 및 호퍼 투입단계(S3), 집합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 결합단계(S4), 집합성형체를 성형하는 배합물 투입(S5) 및 성형틀 진동단계(S6), 집합성형체 양생단계(S7) 및 탈형단계(S8)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계략도이다.
먼저 분쇄한 쇄석을 여과체에 통과시켜 소정의 크기로 쇄석을 선별한다.(S1)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골재는 보통의 콘크리트 작업에 사용되는 골재에 비해 다공성을 가진 구형체(120)가 포함된 집합성형체(100)로서 배합되는 골재 및 시멘트의 정량과, 조골재의 입도 및 입자 형태의 선별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여과체에 의해 선별되는 쇄석은 입도의 크기가 13~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쇄석을 시멘트, 규사, 물, 혼화제, 활성탄 및 제오라이트와 함께 각각 계량한 다음에 배합기(200)에 공급하여 배합한다.(S2)
배합물은 선별된 쇄석 78~80 중량%, 시멘트 13~14 중량%, 규사 4~5 중량%, 물 2~3 중량%, 혼화제 0.4~0.5 중량%, 활성탄 0.005~0.01 중량% 및 제오라이트 0.0001~0.002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탄은 냄새 제거 및 정화 기능의 효과가 있고, 상기 제오라이트는 납, 카드뮴, 아연 등의 중금속 제거, 악취 제거 및 냄새 제거의 효과가 있다.
상기 배합단계를 통과한 배합물을 1차 호퍼(300)에 투입한 다음에 1회의 제조공정으로 집합성형체(100) 한 개를 제조할 수 있는 분량만큼 계량한 배합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성형틀(500)이 장착된 2차 호퍼(400)에 투입한다.(S3)
이때 집합성형체(100)의 크기는 일실시예로서 가로 990㎜, 세로 990㎜, 높이 260㎜이고, 부피는 0.5~0.65 루베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성형틀(500)인 금형형틀(520), 외형틀(540), 진동받침대(560) 및 내형틀(580)과, 집합성형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60)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성형틀 결합단계에서는 금형형틀(520), 외형틀(540) 및 진동받침대(560)가 연결부재(160)와 함께 결합한다.
금형형틀(520)에는 집합성형체(100)의 구형체(120)가 성형되도록 반구 형상이 가로 및 세로로 서로 밀착하여 배열 형성되어 있고, 배열된 네 개의 반구 형상 사이마다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5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금형형틀(520) 위에는 집합성형체(100)의 운반 및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160)를 금형형틀(520)에 올려놓는다.
도 4에는 연결부재(160)의 연결고리(166)가 집합성형체(100)의 구형체(120)와 몸체(140)의 중간 높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도 7에는 연결부재(160)의 연결몸체(162)가 집합성형체(100) 내부에 삽입되어 적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내지 도 7에는 도 5의 연결부재(16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철근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제조된 집합성형체(100)를 운반하고, 시공시에는 서로 이웃한 집합성형체(100)와 연결샤클(700)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철근을 구부려서 사각형의 연결몸체(162)가 이루어지게 하고, 고리 모양의 연결고리(166)를 연결몸체(162)의 네 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다.
연결몸체(162)를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집합성형체(100)의 내부에 삽입하는 이유는 집합성형체(100)의 운반시 연결몸체(162)에 걸리는 집합성형체(100)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재(160)의 연결고리(166)는 다른 실시예로 연결몸체(162)의 네 귀퉁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60)의 연결몸체(162)에는 다른 실시예로 사각형의 연결몸체(162) 내측으로 연결몸체(162)의 두 변과 평행하게 가로지르도록 두 개 이상의 철근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재(164)를 형성시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금형형틀(520) 위에 연결부재(160)를 올려놓은 뒤에는 성형이 완료된 후 집합성형체(100)가 금형형틀(520)로부터 쉽게 탈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형형틀(520)의 상면에 자동분사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박리제를 도포한다.
상기 금형형틀(520)이 준비된 다음에 금형형틀(520)의 상부에는 외형틀(540)을 결합시키고, 금형형틀(520)의 하부에서는 진동봉(562)이 형성된 진동받침대(560)를 금형형틀의 관통공(522)에 진동봉(562)이 삽입되도록 상승시켜 금형형틀(520), 외형틀(540) 및 진동받침대(560)를 결합한다.(S4)
도 8 내지 도 9에는 집합성형체(100)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집합성형체(100) 몸체(140)의 측면은 하측 방향으로 테이퍼(taper)되게 형성된다. 시공하는 조건에 따라 집합성형체(100) 몸체(140)의 상부 면적에 비해 하부 면적을 좁게 제조하거나, 또는 상부 면적에 비해 하부 면적을 넓게 제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집합성형체(100) 몸체(140)의 상·하부 면적을 다르게 하여 제조할 때에는 각 형상에 맞도록 외형틀(540)을 금형형틀(520)의 상부에서 하강시켜 결합하거나, 하부에서 상승시켜 결합할 수 있고, 또한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된 외형틀(540)을 금형형틀(520)에 상부에서 서로 결합하여 금형형틀(520)과 외형틀(54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2차 호퍼(400)에 저장된 배합물을 결합된 금형형틀(520)과 외형틀(540)의 내부 공간에 투입한다.(S5)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긁는 도구 등을 이용하여 평탄하게 하는 수평작업을 한다.
수평 작업을 마친 다음 상기 배합물이 골고루 섞이면서 완성된 제품의 정해진 강도, 공극률 및 투수계수에 알맞도록 하기 위하여 내형틀(580)을 하강시키면서 내형틀의 스톱퍼(582)가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에 맞닿도록 압착하면서 진동받침대(560)를 진동시키고, 이에 따라 진동받침대(560)와 내형틀(580)이 진동된다.(S6) 진동하는 시간은 약 3~5초가 바람직하다.
내형틀의 스톱퍼(582)는 내형틀(580)의 하부면 네 군데 귀퉁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시켜, 내형틀(580)이 하강할 때 내형틀의 스톱퍼(582)가 배합물의 상면에 닿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상기 성형틀 진동단계를 마치면 복수개의 반구 형상인 구형체(120)와, 복수개의 관통공(142)이 형성된 몸체(140) 및 몸체(140) 내부에 삽입된 연결부재(160)로 이루어진 집합성형체(100)가 성형된다.
상기 진동단계 후에는 내형틀(580)과 외형틀(540)을 금형형틀(520)로부터 분리시키고, 진동받침대(560)를 하강시켜 분리한다.
금형형틀(520)에서 성형된 집합성형체(100)는 구형체(120)가 아래쪽으로 향해진 채로 성형이 되고, 집합성형체(100)의 제조가 끝난 뒤 집합성형체(100)를 운반하고 시공할 때에는 뒤집어서 구형체(120)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성형틀(500)의 결합방향과 위치를 변경하여 구형체(120)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성형하여 집합성형체(10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집합성형체(100)의 성형이 완료되면, 정해진 크기, 무게 등의 규격 등을 확인한 후 집합성형체(100)를 금형형틀(520)에 얹은 채로 함께 전기로(600)로 이송시켜 습식으로 건조 양생하거나, 자연건조 양생을 하며, 습식건조와 자연건조를 병행하여 양생할 수도 있다.(S7)
습식건조시에는 4시간 동안 건조하여 양생하고, 자연건조시에는 1일 동안 건조하여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식건조시 전기로(600)의 승온속도는 20℃/h이고, 최고온도는 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생이 끝나면 금형형틀(520)을 탈형하여 구형체를 가진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PCC)(1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S8)
도 10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한 집합성형체(100)를 연결하여 시공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연결부재(16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합성형체(100)를 연결하여 시공한 평면도이다.
집합성형체(100)는 연결부재(160)의 연결고리(166)에 연결샤클(70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연결부재(160)의 연결고리(166)에 호안의 법면과 바닥면에 매설한 앵커(800)를 걸어서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집합성형체(100)는 공극율 23% 이상, 압축강도 23㎫ 이상, 투수계수 1.5㎝ 이상의 품질 특징을 가지며, 또한 수질정화 기능으로 TOC 에 의한 제거율은 60∼70일 이후 약 60∼80% 정도이고, 인(T-P)에 대해서도 설치 시공 후 70일 이후에 약 70%의 제거율을 나타내고, 공극률의 영향도 거의 없으며, 모든 질소(T-N)의 제거에 대해서 제거율은 70% 사이로 변동되었다.
상기 공극률은 20% 이하보다는 20~30%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집합성형체(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제2중부고속도로에서 한국도로공사와 서울산업대가 당사의 기업부설연구소(중소기업청지원)와 공동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분석자료를 보면, 집합성형체(100)를 설치 시공한 후 1달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인데도 TSS(총 부유물질),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질소(TN), 인(T-P) 등이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평균제거효율이 57.3%이였고, 70일 이후에는 70% 이상 제거효율이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으며, 비점오염원 제거효율은 본 발명에 의한 집합성형체(100)를 설치한 구간 26m 이후에는 비점오염 중 중금속 오염물질인 Pb(납), Zn(아연), Cd(카드뮴)이 85.2%까지 제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집합성형체(100) 구형체(120)
몸체(140) 관통공(142)
연결부재(160) 연결몸체(162)
보강재(164) 연결고리(166)
배합기(200) 1차 호퍼(300)
2차 호퍼(400) 성형틀(500)
금형형틀(520) 관통공(522)
외형틀(540) 진동받침대(560)
진동봉(562) 내형틀(580)
스톱퍼(582) 전기로(600)
연결샤클(700) 앵커(800)

Claims (7)

  1. 분쇄한 쇄석을 여과체에 통과시켜 소정의 크기로 선별하는 쇄석 선별단계;
    상기 쇄석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쇄석을 물, 시멘트, 혼화제, 규사, 활성탄 및 제오라이트와 함께 각각 계량한 다음에 배합기에 공급하여 배합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단계를 통과한 배합물을 1차 호퍼에 투입한 다음에 1회 제조공정의 분량만큼 계량한 배합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성형틀이 장착된 2차 호퍼에 투입하는 배합물 이송 및 호퍼 투입단계;
    함몰된 복수개의 반구 형상이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고 배열된 네 개의 반구 형상 사이마다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금형형틀에 집합성형체의 운반 및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올려놓은 다음에 상기 금형형틀의 상면에 박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는 외형틀을 결합시키고, 상기 금형형틀의 하부에서는 진동봉이 형성된 진동받침대를 상기 금형형틀의 관통공에 상기 진동봉이 삽입되도록 상승 결합시켜 금형형틀, 외형틀 및 진동받침대를 결합하는 성형틀 결합단계;
    상기 2차 호퍼에 저장된 배합물을 상기 결합된 금형형틀과 외형틀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이 고르도록 수평작업을 한 다음에, 상기 외형틀의 상부에서 내형틀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내형틀의 스톱퍼가 투입된 배합물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압착하고 상기 진동받침대를 진동시켜 복수개의 반구 형상인 구형체와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집합성형체를 성형하는 배합물 투입 및 성형틀 진동단계;
    상기 내형틀과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진동받침대를 하강 분리시킨 다음에 상기 성형된 집합성형체를 양생하는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및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 후, 금형형틀을 탈형하는 탈형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쇄석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쇄석의 입도 크기는 13~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물은 선별된 쇄석 78~80 중량%, 시멘트 13~14 중량%, 규사 4~5 중량%, 물 2~3 중량%, 혼화제 0.4~0.5 중량%, 활성탄 0.005~0.01 중량% 및 제오라이트 0.0001~0.002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결합단계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철근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에 연결된 네 개의 연결고리가 포함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연결몸체의 네 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과, 상기 연결몸체의 네 귀퉁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결합단계에서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서 하강시켜 결합하는 것과, 상기 금형형틀의 하부에서 상승시켜 결합하는 것과,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된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의 상부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외형틀을 상기 금형형틀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에서 상기 성형된 집합성형체를 전기로에서 습식으로 건조 양생하는 것과 자연건조로 양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집합성형체 양생단계에서 상기 전기로의 승온속도는 20℃/h이고, 최고온도는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KR1020110023998A 2011-03-17 2011-03-17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KR10104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98A KR101045317B1 (ko) 2011-03-17 2011-03-17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98A KR101045317B1 (ko) 2011-03-17 2011-03-17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17B1 true KR101045317B1 (ko) 2011-06-29

Family

ID=4440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98A KR101045317B1 (ko) 2011-03-17 2011-03-17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150A (zh) * 2017-09-13 2018-01-19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出筋预制构件的成型方法
KR101842977B1 (ko) * 2016-03-16 2018-03-28 주식회사 포레스텍 집합성형체형 친환경 다공성 자갈 블럭 제조방법
KR101842980B1 (ko) * 2016-03-16 2018-03-28 주식회사 포레스텍 친환경 다공성 구형체 자갈 블럭 제조방법
CN108947384A (zh) * 2018-06-27 2018-12-07 湖北宇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11153649A (zh) * 2020-01-02 2020-05-15 安徽铭源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无机轻集料保温板的制备方法
CN114916481A (zh) * 2022-06-15 2022-08-19 广西陶一嘉坭兴陶有限公司 基于凸轮升降的牡蛎水泥串成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547A (ko) * 2002-01-28 2003-08-02 송기도 호안블록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21251B1 (ko) 2001-04-20 2005-10-20 (주)삼오엔케이 다공질 콘크리트 자갈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672B1 (ko) 2008-03-21 2010-06-15 (주)삼오포레스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구형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251B1 (ko) 2001-04-20 2005-10-20 (주)삼오엔케이 다공질 콘크리트 자갈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4547A (ko) * 2002-01-28 2003-08-02 송기도 호안블록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63672B1 (ko) 2008-03-21 2010-06-15 (주)삼오포레스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구형체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977B1 (ko) * 2016-03-16 2018-03-28 주식회사 포레스텍 집합성형체형 친환경 다공성 자갈 블럭 제조방법
KR101842980B1 (ko) * 2016-03-16 2018-03-28 주식회사 포레스텍 친환경 다공성 구형체 자갈 블럭 제조방법
CN107599150A (zh) * 2017-09-13 2018-01-19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出筋预制构件的成型方法
CN108947384A (zh) * 2018-06-27 2018-12-07 湖北宇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11153649A (zh) * 2020-01-02 2020-05-15 安徽铭源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无机轻集料保温板的制备方法
CN114916481A (zh) * 2022-06-15 2022-08-19 广西陶一嘉坭兴陶有限公司 基于凸轮升降的牡蛎水泥串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317B1 (ko)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제조방법
CN106242428A (zh) 一种污泥陶粒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1482617B1 (ko) 석재슬러지를 이용한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CN102079106A (zh) 钓鱼礁块的制造方法及其施工方法
JP5907246B2 (ja) 固化体の製造方法
KR101728718B1 (ko) 집합성형체형 친환경 다공성 자갈 블럭 시공방법
KR101842977B1 (ko) 집합성형체형 친환경 다공성 자갈 블럭 제조방법
KR100963672B1 (ko)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구형체 제조방법
KR101094863B1 (ko) 석탄회를 골재로 사용하는 고형물 제조방법
KR101033314B1 (ko) 투수성 보도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5318B1 (ko) 콘크리트 자갈의 다공성 집합성형체 시공방법
Ketebu et al. Comparative study on cementitious content of ground mollusc snail and clam shell and their mixture as an alternative to cement
JP4460652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838446B1 (ko) 구형(球形)셸 경량골재 및 그 제조방법
CN103894390B (zh) 一种水域污染底泥治理修复工艺
CN111056814A (zh) 一种透水砖及其制备方法
RU248129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бетона (варианты)
CN111662047A (zh) 具有过滤功能透水砖的制作工艺
KR20170107716A (ko) 친환경 다공성 구형체 자갈 블럭 제조방법
JP5143447B2 (ja) ライブロック用構造体及び多孔質セメント硬化体
JP4411159B2 (ja) 貝殻を利用した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成形体、護岸用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人工漁礁用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N111807775B (zh) 仿真铺装材料的制备方法
CN211616133U (zh) 一种再生混凝土原料配比设备
SU1609662A1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 бетонных 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JPH09119103A (ja) 透水性舗装平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圧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