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961B1 -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961B1
KR101044961B1 KR1020080100609A KR20080100609A KR101044961B1 KR 101044961 B1 KR101044961 B1 KR 101044961B1 KR 1020080100609 A KR1020080100609 A KR 1020080100609A KR 20080100609 A KR20080100609 A KR 20080100609A KR 101044961 B1 KR101044961 B1 KR 10104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ide effects
anticancer
astragal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431A (ko
Inventor
손창규
조종관
신장우
한승현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9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제의 항암효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부작용의 억제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조혈독성에 있어서 조성물의 농도에 따라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interleukin-3(IL-3) 유전자 발현의 증가 로 골수조혈간세포의 증식 및 항암효능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 처리시에 암세포 전이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이 조성물은 5-플루오로우라실의 항암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혈계의 부작용을 선별적으로 억제하는데 유용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편리하게 섭취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 개선 및 만성피로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
황기, 당삼, 5-플루오로우라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골수조혈간세포

Description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Composition consisted of Astragalus membranaceus and Salvia miltiorrhiza for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 anti-metastasis and anti-fatigue}
본 발명은 항암제의 항암효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부작용의 억제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암이란 주로 통제되지 않는 세포의 증식에서 시작되어 주위의 정상조직 또는 기관으로 침윤하여 파괴시키고 새로운 성장장소를 만들 수 있어 개체의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환 군을 총칭한다.
지난 10년 동안 암을 정복하기 위해 세포주기나 세포사멸의 조절과 발암유전자나 암 억제 유전자들을 포함한 새로운 표적을 모색함에 있어서 눈에 띄는 발전을 거듭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암의 발생률은 문명이 발달됨에 따라 증가되고 있다.
암 치료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수술,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및 유전자치료법 등이 포함되며, 이중 항암화학요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암제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까지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므 로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구체적으로 소화기 장애, 골수조혈장애 등이 수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화학요법제 5-플루오로우라실(FU)은 1957년 최로로 합성되었으며 아직까지도 임상에서 널리 쓰고 있다(Duschinsky 등, 1957). 암세포 내에서 활성 뉴클레오티드로 전환되어 티미딜래이트 합성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는 항암제인 5-플루오로우라실(FU)은 유방암, 대장암, 직장암, 위암, 췌장암, 식도암, 간암, 두경부암, 방광암에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이며 피부암에도 국소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조혈독성이 용량제한적(dose-limiting)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밖의 부작용으로는 심각한 위염, 식도염, 직장염, 설사 등의 소화기계 부작용이 강하며 또한 피부의 색소과다증도 종종 보고되고 있다(Skeel, 199b). 또한 실험동물을 이용한 기초연구를 통하여 5-플루오로우라실(FU)은 마우스에서 백혈구 수치의 감소 등의 조혈독성과 소장점막 슈크라제 활성 감소, 설사유발 등의 소화기 독성, 비장중량감소, 임파구감소 등의 면역독성을 유발함이 보고되었다(Kumura 와 Okuda, 1999). 이러한 부작용들은 화학용법제들이 암세포와 활발하게 자라는 정상세포(골수조혈세포 및 점막, 피부, 모근의 상피세포)에 구별됨이 없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화학요법제의 부작용은 암환자의 일상생활의 활력 저하와 치료비용이 막대하게 지출되어 삶의 질 저하를 야기시킨다.
상기와 같이 심각한 화학요법 부작용을 동약의학으로 경감하려는 시도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한방제제와 화학요법을 병행으로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에 대해 연구하던 중, 5-플루오로우라실(FU) 투여한 흰쥐에 황기와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한 후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interleukin-3(IL-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암제의 항암효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부작용의 억제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임상적으로 활용도가 가장 높은 화학요법제 5-플루오로우라실(FU)의 부작용에 대한 억제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암제의 항암효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부작용의 억제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임상적으로 활용도가 가장 높은 화학요법제 5-플루오로우라실(FU)의 부작용에 대한 억제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완화용 한약재 조성물로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및 단삼(Salvia miltiorrhiza)은 황기 : 단삼을 1:9 내지 9:1의 비율로 혼합하며 바람직하게는 1 : 1의 혼합비율일 때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혼합물은 90℃ 내지 96℃의 온도로 추출하는 열수추출하여 동결건조한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5-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부작용인 말초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의 수가 항암제에 의해 급속히 감소하는 회복 효과가 관찰되며, 이러한 혈구세포 감소는 황기추출물과 단삼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투여했을 때는 회복효과가 미미한 반면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효과가 좋았으며, 발병조성물의 투여에 의해서 경감되었으며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해 급속히 회복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단삼이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로 인한 부작용 증상에 대하여 일정한 회복효과가 관찰되며 발명조성물 투여는 백혈구계열(CFU-GM)과 적혈구계열(BFU-E)의 전구세포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며 이는 발명조성물이 항암제에 의해 파괴된 골수에서 혈구세포의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IL-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다. 혈액생성과정에는 다양한 조혈성장인자가 관여하는데 특히 IL-3은 조혈줄기세포뿐 아니라 다양한 조혈 세포계의 분화와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발명 조성물은 골수세포의 분화와 관련이 있는 IL-3 유전자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발명조성물이 IL-3의 발현을 증가시켜 조혈작용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에서 항암제 독성에 의한 사망률의 감소하였으며, 생존율이 각각 70% 내지 80%로 증가하였다. 이는 발명조성물이 항암제에 의한 독성의 완화효과를 나타내며, 강제 수영시험에서도 상기 항암제를 투여한 마우스는 정상군에 비해 생존시간이 짧았으나 발병조성물 병용투여 마우스는 항암제 투여마우스보다 생존시간의 연장 및 정상군과 비슷한 생존시간으로 개선되었으며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과 같은 부작용 치료를 위한 조혈 촉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황기 및 단삼의 함량은 전체 항암보조제 조성물 중 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항암완화용 한약재 조성물로 황기 및 단삼이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5 내지 30㎎/㎏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키메린을 유효성분으로 전체 건강식품 조성물에 중 0.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으로 식품 제형으로는 포도당, 구연산, 액상 올리고당, 옥수수 시럽(corn syrup), 대두 레시틴, 버터, 식물성 경화류, 탈지우유, 설탕, 마가린, 식염, 전분, 밀가루, 물엿, 맥아당, 중조 및 당 에스테르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드링크제, 캬라멜, 쵸콜릿, 다이어트바 제형 또는 과자류인 건강식품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담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조혈독성에 있어서 조성물의 농도에 따라 혈소판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적혈구 백혈구 수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복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실시간 유전자 증폭(Realtime PCR)을 통해 알아본 비장에서 IL-3의 mRNA 발현량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병용 처리시 발현향이 현격한 상승을 보았으며, 항암제에 대한 독성에 있어서도 5-FU 단독 처리시와 비교하여 독성의 완화뿐만 아니라 면역증강 효과는 거의 정상치만큼 회복하였으며, 항암효능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처리시에 암세포 전이 억제능의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볼 때, 본 발명이 조성물은 5-FU의 항암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혈계의 부작용을 선별적으로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기 및 담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편리하게 섭취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 개선 및 만성피로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예 1]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의 제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와 단삼(Salvia miltiorrhiza) 동량(1:1) 혼합물을 90℃ 내지 96℃의 온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품질관리를 위해서 표준물질인 황기성분인 포모노네틴(formononetin)과 단삼성분인 로즈마리산(rosmarinic acid)을 이용하여 HPTLC로 지문제작(Fingerprint)를 제작하였다. 상기 발명조성물의 지문제작을 위해 황기 및 단삼 물추출물과 그 지표성분인 포모노네틴과 로즈마리산을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자동 점적기를 이용하여 HPTLC 플레이트 실리카 겔(plate silica gel) 60 F254(Merck, Darmstadt, Germany)에 점적한 후, 각기 다른 전개용매로 60mm 전개시켜 발색 전 후 UV 366에서 관찰하였다. 단삼의 전개용매는 클로로프롬/에틸렌 아세테이트/벤젠/포름산/메탄올(chloroform/ethyl acetate/benzene/formic acid/methanol, 15:10:10:10:1) 시스템 (CAMAG, Muttenz, Switzerland)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의(A)는 로즈마리산(RMA, 2uL of 1mg/㎖), 단삼물추출물(SRE, 1uL of 200 mg/㎖)와 발명조성물(MP, 1uL of 200mg/㎖)을 전개용매[chloroform/ethyl acetate/benzene/formic acid/methanol(15:10:10:10:1)]로 전개한 다음 파라아니스알데히드 황산(p-anisaldehyde sulfuric acid)로 발색 후 백광에서 사진을 찍은 것이며 (B)는 포모노네틴(FMN, 2uL of 1mg/㎖), 황기물추출물(ARE, 4uL of 200mg/㎖)와 발명조성물(MP, 1uL of 200mg/㎖)을 점적하여 전개용매[chloromethane/methanol/water (45:10:1)]로 전개한 후 자외선 366nm 파장에서 사진을 찍어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전혈구 검사
(1) 황기, 당귀 및 혼합추출물에 따른 백혈구에 미치는 효과
항암제인 5-FU 주사제(300mg/kg)를 7주령 수컷 ICR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하고 2일 후부터 황기추출물, 단삼추출물, 혼합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0.1g/kg과 대조군에는 동량의 증류수를 1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0, 4, 7, 10. 13일째 마우스를 희생시켜 복대 정맥에서 1㎖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한 다음 EDTA 시약병에 넣어 교반하여 혈액응고를 예방하였으며 이를 자동혈액분석기(HEMAVET; CDC Technologies, CT, USA)로 백혈구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봐와 같이, 말초 백혈구수가 항암제에 의해 급속히 감소하여 7일째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백혈구감소는 황기추출물과 단삼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투여했을 때는 회복효과가 미미한 반면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때 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말초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의 수 변화
항암제인 5-FU 주사제(300mg/kg)를 7주령 수컷 ICR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하고 2일 후부터 발명조성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0.05g/kg 또는 0.1g/kg과 대조군에는 동량의 증류수를 1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0, 4, 7, 10. 13일째 마우스를 희생시켜 복대 정맥에서 1ml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한 다음 EDTA 시약병에 넣어 교반하여 혈액응고를 예방하였으며 이를 자동혈액분석기(HEMAVET; CDC Technologies, CT, USA)로 전혈구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 희생된 마우스의 대퇴골을 분리하여 조직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보는 봐와 같이, 말초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의 수가 항암제에 의해 급속히 감소하여 7일째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혈구세포 감소는 발병조성물의 투여에 의해서 경감되었으며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해 급속히 회복되었다. 또 7일째 대퇴골을 분리하여 조직검사결과 5-FU 투여에 의해 골수 내 세포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커다란 공포가 많이 보였으며 이 또한 발명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개선되었다.
Figure 112008071440750-pat00001
실험성적은 평균치 ±표준오차(Mean±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발명조성물50, 발명조성물100)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student'st-test로 검정하여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3] 골수조혈간세포의 증식
(1) 골수조혈간세포의 증식
C57BL/ 마우스에 항암제인 5-FU(200mg/kg)을 복강내투여하고 2일 후부터 5일간 발명조성물(0.05g/kg or 0.1g/kg)과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에테르 마취하에서 희생시킨 후 대퇴골을 분리하였다. 대퇴골을 양끝을 절단한 후 식염 포스페이트 버퍼(phospate buffered saline) 1㎖로 두 번 통과시켜 골수세포를 회수하였으며 세포현탁액 내 유핵세포를 혈액분석기(HEMAVET; CDC Technologies, CT, USA)로 계수하였다. 세포 현탁액 내 유핵세포의 농도(2x105 cells/400uL)를 조절하고 이 현탁액(100uL)을 4㎖의 MethoCult 메틸셀룰로오스-베이스 메디아(methylcellulose-based medium)에 잘 섞어서 35mm 디쉬에 1ml 분주하여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현미경으로 군락의 특징에 따라 colony-forming unit granulocyte-macrophage(CFU-GM) 또는 colony-forming unit-erythroid(CFU-E)을 구분하여 계수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 발명조성물 투여는 백혈구계열(CFU-GM)과 적혈구계열(BFU-E)의 전구세포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는 발명조성물이 항암제에 의해 파괴된 골수에서 혈구세포의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IL-3의 mRNA 발현정도 측정
BALB/c 마우스로부터 무균적으로 비장을 분리한 다음 주사기 plunge를 이용하여 메쉬에 갈아 세포현탁액을 만든 다음 15㎖ 코니칼 튜브(conical tube)에 넣어 원심분리 후, 플레이트에 3㎖의 RBC 용해 버퍼(lysis buffer)를 넣어 적혈구를 3분간 용혈시킨다. 여기에 PBS를 첨가하여 15㎖로 만든 다음 다시 5분간 방치한다. 상기 용혈된 적혈구 찌꺼기는 바닥에 가라앉으므로 상층액을 회수하여 다시 원심분리한다. 얻어진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헤모사이터미터(hemocytometer)로 세포의 농도를 측정한다. 비장세포(2.8 × 107 cells/2mL)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2㎖씩 분주하고 발명조성물을 농도별(0, 0.001g/L, 0.01g/L, 0.1g/L) 로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트리졸(Trireagent)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 다. Promega사의 역전사 효고(Reverse transcriptase)와 올리고디티(oligodt)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SYBR 그린 슈퍼믹스 리전트(green supermix reagent, Bio-Rad,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IL-3 유전자의 발현양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primer)는 각각 다음과 같다. 베타-액틴(β-actin) 정방향 프라이머: (5‘-GTGGGGCGCCCCAGGCACCA-3’)와 베타-액틴(β-actin) 역방향 프라이머(5‘-CTCCTTAATGTCACGCACGATTTC-3’) IL-3 정방향 프라이머(5‘-TACATCTGCGAATGACTCTGC-3’)와 IL-3 역방향 프라이머 (5‘-GGCTGAGGTGGTCTAGAGGTT-3’)를 이용하였다. PCR의 조건은 95°C 에서 10 분 처리후 ; 40 회 동안 95°C에서 1분, 58°C에서 40초, 72°C 에서 40 초로 기기를 운영하고 반응이 끝나면 용융곡선을 구해 단일 밴드가 생성됐음을 확인하였다. 이때반응에서 형광의 증가곡선을 분석하여 CT값을 구해서베타-액틴(β-actin)대비 IL-3의 상대적 발현양을 구하였다.
혈액생성과정에는 다양한 조혈성장인자가 관여하는데 특히 상기 IL-3 유전자는 조혈줄기세포뿐 아니라 다양한 조혈 세포계의 분화와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결과는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명 조성물은 골수세포의 분화와 관련이 있는 IL-3 유전자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100ug/ml일 때 유전자발현은 4배 증가하였다. 이는 발명조성물이 IL-3의 발현을 증가시켜 조혈작용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마우스에 대한 복강투여 급성 독성실험
(1) 항암제에 의한 독성을 완화실험
심각한 골수분전을 일으키며 70% 사망을 일으키는 500mg/kg의 5-FU(항암제)를 ICR 마우스의(몇 주령의 마우스를 사용하셨는지 기재 부탁드립니다.) 복강에 투여한 후 2일 후부터 발병조성물(0.05 or 0.1g/kg) 또는 증류수(유발군)를 10일간 투여하였다. 발명조성물이 항암제의 독성에 의한 마우스의 사망을 억제하는지 관찰하였다. 항암제 투여 48시간 후부터 항암제 투여 10일째 까지 발명 조성물을 매일 오전 10시에 1회씩 투여하였으며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6시에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5-FU를 500mg/kg를 투여하였을 때 생존율은 30%였으나 발명조성물 투여군은 생존율이 각각 70%와 80%로 증가하였다. 이는 발명조성물이 항암제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2) 체력향상 효과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군의 마우스에 골수부전을 일으키는 농도인 300mg/kg의 5-FU 를 복강 내 투였으며 2일 후부터 5일간 발병조성물(0.05 or 0.1g/kg) 을 5일간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물을 대신 투여하였다. 마지막 날 모든 마우스는 22℃의 물이 담긴 수조에 넣어 강제로 수영을 시켰으며 생존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는 발병조성물이 항암제 독성에 의한 몸 전체의 컨디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상기 항암제를 투여한 마우스는 정상군에 비해 생존시간이 짧았으며 발병조성물 투여 마우스는 항암제 투여마우스보다 생존시간을 연장하였고 특히 고농도 투여군의 생존시간은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로 개선되었다.
[실시예 5] 암 전이에 미치는 영향
발명조성물의 암 전이억제 효과를 알아보기위해 C57BL/c 마우스의 꼬리 정맥에 배양한 B16F10(흑색종)세포 5 × 105개를 투여하고 대조군은 증류수를, 실험군은 발명조성물을 각각 0.05, 0.1, 0.2g/kg를 10일간 투여하고 암세포접종 14일 후에 경추탈골로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폐를 분리하여 암세포의 전이군집을 계수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명조성물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였으며 0.2 g/kg의 농도에서 45%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6] 피로도 개선정도 측정
만성피로 중후군을 갖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위약(소화제)은 13명, 발명조성물 3g/day은 13명 및 6g/day은 11명에게 각각 1달간 투여하였으며 이때 시작 전 약물투여 2주 후 그리고 4주후 하기 증상개선 평가표를 작성하게 하여 피로도 개선정도를 측정하였다. 개인별 증상개선 평가표의 11개의 항목에 대해서 점수 합을 구해서 실험군의 평균을 구하고 실험 시작 전과 2주 및 4주후의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여고 (NRS) 변화의 기울기의 변화를 통계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 측정표의 마지막 부분의 피로도에 대한 스케일 표시에서 거리를 측정하여 cm로 나타내어 실험 전과 2주 및 4주후의 값과 비교하여 피로도의 개선정도를 측정하였다(VAS).이 때도 변화의 기울기의 변화를 통계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발명조성물을 4주간 투여하였을 때 피로도가 2주부터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를 보였다.
Figure 112008071440750-pat00002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된 5㎖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드링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단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포도당 10㎎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 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게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 내지 5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발명 조성물과 지표물질을 이용한 약물지문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명 조성물 및 개별 추출물의 항암제에 의한 백혈구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명 조성물의 항암제에 의한 골수부전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발명 조성물에 대한 혈액전구세포의 증식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발명 조성물에 대한 IL-3의 발현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발명 조성물의 항암제 독성에 의한 사망률 감소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발명 조성물의 항암제 투여 마우스의 생존시간 연장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발명 조성물의 암세포 폐전이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발명 조성물의 만성피로증후군 환자에 피로도 개선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90 내지 96℃의 온도에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및 단삼(Salvia miltiorrhiza) 혼합물을 열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수추출된 혼합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전이억제 또는 만성피로 예방 및 개선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흑색종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및 단삼 혼합물은 전체 조성물 중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및 단삼은 혼합비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100609A 2008-10-14 2008-10-14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KR10104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09A KR101044961B1 (ko) 2008-10-14 2008-10-14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09A KR101044961B1 (ko) 2008-10-14 2008-10-14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31A KR20100041431A (ko) 2010-04-22
KR101044961B1 true KR101044961B1 (ko) 2011-06-29

Family

ID=4221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609A KR101044961B1 (ko) 2008-10-14 2008-10-14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5690A (zh) * 2014-01-22 2014-04-23 李晓斌 一种治疗胃溃疡的中药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2774B (zh) * 2012-05-17 2013-10-09 山东省中医药研究院 一种治疗放化疗引起的白细胞减少症、免疫功能低下药物组合物、制备方法与质量检测方法
CN103766881A (zh) * 2012-10-26 2014-05-07 苏州市洋海电子有限公司 一种中药保健食品
CN103223013A (zh) * 2013-04-08 2013-07-31 张宗升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11397B1 (ko) * 2014-11-18 2017-03-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735294B1 (ko) 2015-12-18 2017-05-1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적 뇌손상 및 뇌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World J Gastroente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5690A (zh) * 2014-01-22 2014-04-23 李晓斌 一种治疗胃溃疡的中药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31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4935B1 (en) A composition containing non-psychotropic cannabinoi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KR101044961B1 (ko) 황기 및 단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 완화용, 항전이 및 항피로 조성물
KR101806474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01786A (ko) Fam19a5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KR20170066666A (ko) 점막염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6115A (ko) 아리피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93099B2 (ja) ジンセノサイドf2の肝疾患予防又は治療用途
KR102166949B1 (ko)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9637B1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901602B2 (en) Ejaculum of animals as medicinal material and uses thereof in medicaments for treatment of diseases such as tumors, depression, etc
JP6157928B2 (ja) 肝臓への脂肪蓄積抑制剤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KR102449530B1 (ko)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US20210205398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phragmitis rhizom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a disorder caused by side effect of anticancer agent
KR101552282B1 (ko)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29279B1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9234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US2016027908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r proliferation of erythrocytic cells, containing monoacetyl 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JP2016079163A (ja) 腫瘍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55519B1 (ko) 삼릉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113003A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959735B1 (ko) 잇꽃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에 대한 시스플라틴의 항암활성 증진용 조성물
KR102106400B1 (ko) 지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70101489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3281A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