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946B1 -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946B1
KR101043946B1 KR1020110022192A KR20110022192A KR101043946B1 KR 101043946 B1 KR101043946 B1 KR 101043946B1 KR 1020110022192 A KR1020110022192 A KR 1020110022192A KR 20110022192 A KR20110022192 A KR 20110022192A KR 101043946 B1 KR101043946 B1 KR 10104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sensor
fabric
light
t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텍
Priority to KR102011002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46B1/ko
Priority to CN201210043039.2A priority patent/CN10268048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Abstract

본 발명은 텐터기에 사용되는 텐터 필러(Tenter Feeler)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원단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와 콤비원단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로 구성하되, 10㎑ 전후의 적외선 빔으로 투/수광시킨 다음 대역필터로 필터링시켜 불요성 신호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일반원단과 콤비원단 뿐 아니라 전체 반사광량이나 부분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는 원단도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TENTER FEELER WITH ENHANCED OPTICAL SENSITIVITY AND ITS SENSING METHOD}
본 발명은 텐터기에 사용되는 텐터 필러(Tenter Feeler)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동중인 일반원단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와 콤비원단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로 구성하되, 10㎑ 전후의 적외선 빔으로 투/수광시킨 다음 필터링시켜 불요성 신호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일반원단과 콤비원단 뿐 아니라 전체 반사광량이나 부분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는 원단도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터기(Tenter Machine)는 원단(섬유원단)을 다림질, 나염, 실크스크린 등의 가공을 할 수 있도록 섬유원단의 폭을 가지런히 정열 및 고정시키는 건조기의 일종으로, 원단의 양측 변부(가장자리부)를 텐터 가이드의 핀(Pin, 또는 클립)으로 잡아 일정 폭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소정온도로 승온시켜 원단을 고정시켜주게 된다.
상기 텐터(Tenter) 가이드는 원단폭이 변화되면 이를 인식하여 핀도 그 변화에 따라 빠르게 움직여주어야 하며, 이와 같은 동작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원단의 변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텐터 가이드의 모터를 제어하는 텐터 필러가 사용되며, 상기 텐터 필러에 의해 텐터 가이드 모터의 정역회전과 회전속도 및 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핀닝(Pinning)을 달성하고 있다.
도 1, 도 2는 종래 텐터 필러를 도시한 것으로, 구동 전원(6)이 공급되는 적외선 투광소자(3)와, 적외선 수광소자(4)와, 증폭기(7)와, 제어기(8) 및 텐터 가이드를 동작시키는 모터(9)로 구성되며, 적외선 투광소자(3)를 통하여 투광된 적외선 빔(빛)이 원단 표면에 부딪친 다음 일부의 적외선 빔은 적외선 수광소자(4)로 입사되고 증폭기(7)에 의해 증폭된 다음 제어기(8)로 입력되어 기준신호와 비교되어 원단의 유.무가 판단되며, 원단 폭 조절장치가 동작하여 원단의 양측 폭이 가지런히 조정된다.
상기 종래 텐터 필러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소정주기(또는 소정 듀티비)의 펄스를 적외선 투광소자(3)로 인가시켜 간헐적인 발광이 달성되며, 원단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수광신호는 아주 미세하여 높은 증폭도를 가진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7)로 증폭하더라도 잡음까지 함께 증폭되어 S/N비가 나빠지고 오감지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텐터 필러는 세력이 큰 수광신호를 얻기 위하여 정격 전류 이상의 큰 전류를 적외선 투광소자(3)로 인가시켜 발광량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정격 이상으로 인가되는 큰 전류에 의해 적외선 투광소자(3)에 다량의 열이 발생하고 열스트레스 등에 의해 사용 수명이 크게 단축될 뿐 아니라 소비전력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격 전류보다 약 10배 크기의 큰 전류를 적외선 투광소자(3)로 인가하되 약 100㎳의 주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적외선 투광소자(3)의 수명단축을 꾀하면서 원단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거나 빛 흡수율이 높은 특수원단의 경우 여전히 오감지율이 높거나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도 3, 도 4과 같이 밀도가 높은 일반원단(2)과 밀도가 매우 낮은 망사원단(5a)이 교대로 직조된 콤비원단(5)의 경우 아예 감지가 불가능하여 도 6과 같이 일반원단(2) 부분에서는 핀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망사원단(5) 부분에서는 감지가 불가능하여 핀닝선(21)(22)이 망사원단(5a) 내부로 들어가고 나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모터(9)와 동력전달수단(기어 박스 등)이 쉽게 마모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이 되며, 다른 방편으로 텐터 필러 저부에 원단을 터치하는 기계적인 터치바를 설치하여 망사원단의 이동여부만 감지하고 있어서 여전히 오감지율과 제품 불량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광신호는 약 100㎳의 짧은 기간 동안 투광 및 반사되는 입사광을 투광시간 안에 증폭해서 분석해야 하는데, 적외선 투광소자의 투광량이 많다 하더라도 외부(턴테기 주변)로부터 유입되는 빛(형광등, 백열등 등)이 같이 수광되면서 미세한 수광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에서 외부 빛도 크게 증폭되어 오감지 및 오동작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그런 이유로 증폭기의 증폭도를 지나치게 높일 수 없어서 반사율이 떨어지는 원단은 감지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외선 수광소자(4)는 적외선을 수광하지만 다른 가시광선이나 심지어 자외선에도 반응을 하게 되므로 신호대 잡음비(S/N비)가 저하되어 감지 효율이 크게 떨어지며, 이들 불요성 광(光)을 차단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센싱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입사되는 가시광선이나 자외선 등을 제거시킬 목적으로 차단막을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자나 작업물이 텐터 필러 근처로 이동하거나 작업하는 경우에도 유동성 그림자나 반사광에 의해 간섭이나 영향을 받게되어 오감지 및 오동작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텐터기에서 이동중인 일반원단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와 콤비원단 또는 원단 밀도가 다른 부분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로 구성하여 콤비원단과 같이 밀도가 고르지 않은 원단도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0㎑ 전후의 펄스(고주파)로 적외선 투광소자를 발광시키고 수광신호는 대역필터를 이용하여 불요성 신호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외부광의 영향이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고, 콤비원단 뿐 아니라 전체 반사광량 또는 부분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는 일반원단이나 특수원단도 감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정확히 감지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텐터 필러는, 적외선 투/수광 소자로 구성되어 일반원단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 및 상기 제1 광센서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적외선 투/수광 소자로 구성되어 콤비원단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텐터 필러는, 10㎑ 전후의 고주파 전원 발진기와, 상기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되는 적외선 빔을 원단 표면으로 투광시키는 제1, 2 광센서의 투광소자와, 상기 원단 표면으로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수광하는 복수의 적외선 수광소자와, 상기 복수의 적외선 수광소자의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로 출력되는 신호 중의 불요성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대역필터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저잡음 고배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콘버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마이크로 제어 유닛)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CU는 설정부와 표시부로 구성하되, 설정부는, 자동/수동 스위치(A/M Switch)와, 좌/우 스위치(L/R Switch)와, 노말스위치(Normal SW)와, 콤비스위치(Combi Switch)와, 감도 조절용 업 스위치(UP Switch) 및 다운 스위치(DN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콤비램프(Combi Lamp)와, 노말램프(Normal Lamp)와, 레벨 인디게이터(Level Indicator)와, 모터의 역회전을 표시하는 역회전 램프(Left Lamp)와, 모터의 정회전을 표시하는 정회전 램프(Right Lam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텐터 필러의 감지 방법은,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의 투광소자가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와, 상기 원단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제1 광센서의 제1, 2, 3, 4, 5, 6 수광소자와 제2 광센서의 수광소자로 수광신호를 각각 수광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신호를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신호를 A/D콘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센서의 제1, 2, 3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를 합산하고 제1 광센서의 제3, 4, 5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를 합산하여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값에 따라 텐터 가이드 모터의 정/역회전과 정지 및 회전속도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광센서의 수광소자로부터 수광신호가 없으면 모터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된다.
본 발명은 일반원단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와 콤비원단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를 이용하여 일반원단과 콤비원단 뿐 아니라 전체 반사광량이나 부분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는 원단도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확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0㎑ 전후의 적외선 빔으로 투/수광시킨 다음 필터링시켜 불요성 신호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과 같은 외부빛에 영향을 받지 않아 오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외부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이즈(Noise)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S/N비가 크게 개선되어 증폭도를 높일 수 있으며, 원단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감도를 설정할 수 있어서 반사율이 아주 낮은 원단까지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흑색 또는 빛을 흡수하는 구조의 원단은 빛의 반사량이 낮아 원단검출이 어려워 종래 필러에는 기계적인 터치바를 이용하여 변부를 검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계적인 터치바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투광소자에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를 흘리고 핀닝위치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므로 부품의 수명이 길어지며 고장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의 핀닝(PINNING)작업이 균일하여 원단의 손실을 현저히 줄임으로서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파급효과가 클 뿐 아니라, 텐터기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섬유원단의 훼손 방지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최소화되고, 텐터기에 대한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텐터 필러에 적용되는 적외선 투/수광 소자의 동작 개념도.
도 2 : 종래 텐터 필러에 적용된 회로도.
도 3 : 종래 텐터 필러로 콤비원단을 검출하는 상태도.
도 4 : 일 예로 도시한 콤비원단의 평면도.
도 5 : 종래 텐터 필러를 이용하여 콤비원단을 텐터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6 : 본 발명 일 실시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 회로블럭도.
도 7 :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 회로블럭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의 외관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의 평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의 저면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일반원단 검출 상태 도면.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콤비원단 검출 상태 도면.
도 13 : 본 발명 텐터 필러로 콤비원단을 검출하는 상태의 저면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콤비원단을 감지하여 텐터 가이드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콤비원단 뿐 아니라 전체 반사광량 또는 부분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는 일반원단이나 특수원단도 감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25)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9는 그 평면도이며, 도 10은 그 저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과 같이 원단(2)의 양측 변부에 각각 설치되어 변부를 각각 감지하는 방법으로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콤비원단 검출용 광센서의 추가, 즉, 일반원단(2)의 변부를 검출하는 제1 광센서와, 상기 제1 광센서의 일직선상에 다소 이격하여 위치하는 콤비원단(5) 검출용 제2 광센서를 추가 설치하여 통합 제어되게 함으로써 콤비원단(5) 가공시의 문제점이 일소된다.
상기 콤비원단(5)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일반원단(2)과 망사원단(5a)이 교대로 연결되거나 제직된 원단을 뜻하며, 콤비원단(5)의 변부를 감지할 때 망사원단(5a) 구간에서는 투/수광 소자가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핀닝(Pinning)이 정위치에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따라서 모터는 정.역 회전을 계속 반복하게 되고 동력전달수단은 모터를 따라 계속 동작하게 되며, 핀닝위치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피닝선(21)을 따라 콤비원단(5)의 안과 밖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원단(2) 센싱용 제1 광센서(27)가 설치된 텐터 필러(25)의 일측에 콤비원단 검출용 제2 광센서(28)를 추가 설치하여 망사원단(5a)에서 콤비원단(5)이 검출되지 않을 시에는 원단추종신호를 차단시켜 모터(18)가 정지되게 함으로써 핀닝위치가 잘못되는 것을 막아 품질불량을 방지하게된다.
즉,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가 같이 동작하면 MCU(17)는 일반원단(2) 구간으로 판단하여 모터(18)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핀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제2 광센서(28)의 수광소자(40)로 수광신호가 입감되지 않으면 MCU(17)는 망사원단(5a) 구간으로 판단하여 모터(18) 제어신호(원단추종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므로 핀닝 오동작이 방지되고 콤비원단(5)의 가공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모터(18)가 계속적으로 정.역 회전을 반복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모터(18)와 동력전달수단인 기어박스(Geer Box)의 마모도가 현격히 줄어들어 전체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도 6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회로블럭도로, 10㎑ 전후의 고주파가 발생되는 발진부(12)와, 상기 고주파를 광변조시켜 제1, 2 광센서(27)(28)의 투광소자를 각각 발광시키는 변조기(13)와, 변조된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적외선 빔을 원단 표면으로 투광시키는 제1, 2 광센서(27)(28)의 투광소자로 송신부가 구성된다.
수신부는, 상기 원단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각각 수광하는 제1, 2 광센서(27)(28)의 수광소자와, 복수의 구성되는 제1 광센서(27)의 수광소자 및 제2 광센서(28)의 수광소자로 수광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9)와, 멀티플렉서(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에 포함된 불요성 신호와 노이즈를 제거하는 10㎑ 대역의 대역필터(14)와, 불요성 신호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저잡음 교배율로 증록하는 증폭기(15)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콘버터(16)와, 변환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텐터 가이드의 모터(18)를 정,역회전, 속도가변, 정지 등의 제어로 원단 핀닝을 제어하는 MCU(17)로 구성되며, 상기 투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적외선 LED이다. 또한 상기 수광소자는 적외선 포토 트랜지스터 일 수도 있다.
도 10과 같이 상기 제1 광센서(27)는 적외선 LED의 투광소자(29)(30)(31)(32)와 적외선 LED 또는 적외선 포토 트랜지스터의 수광소자(33)(34)(35)(36)(37)(38)로 구성되며, MCU(17)의 발진부(12)로부터 공급되는 10KHz 전후의 고주파 펄스로 투광소자(29)(30)(31)(32)가 발광 및 투광된다. 이 때 투광되는 적외선 광신호(적외선 빔)는 원단 표면에서 반사된 다음 일부는 수광소자(33)(34)(35)(36)(37)(38)로 입사되어 수광된다.
상기 제2 광센서(28)는 적외선 LED의 투광소자(39)와 적외선 LED 또는 적외선 포토 트랜지스터의 수광소자(40)로 구성되며, MCU(17)의 발진부(12)로부터 공급되는 10KHz 전후의 고주파 펄스로 투광소자(39)가 발광 및 투광된다. 이 때 투광되는 적외선 광신호(적외선 빔)는 원단 표면에서 반사된 다음 일부는 수광소자(40)로 입사되어 수광된다.
본 발명에서 적외선 수광소자(33)(34)(35)(36)(37)(38)는 적외선을 수광하지만 다른 가시광선이나 심지어 자외선에도 반응을 하므로 이들을 차단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입사되는 가시광선이나 자외선 등을 제거시킬 필요가 있다.
즉, 적외선 LED 또는 적외선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투광소자(33)(34)(35)(36)(37)(38)를 10㎑ 전후 주파수의 펄스로 온/오프(ON/OFF)시키고, 수광신호는 대역필터(14)를 이용하여 10㎑ 전후의 대역의 필요 신호만 얻은 다음 저잡음 고배율로 증폭시켜 필요한 세력의 신호를 얻게된다.
본 발명에서 투광소자(29)(30)(31)(32)(39)의 발광량 및/또는 증폭기(15)의 증폭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투광소자(29)(30)(31)(32)(39)에 흘리는 전류의 양과 펄스폭 두가지 모두를 변화시켜 발광량의 변화범위를 매우 크게하면 반사율이 아주 낮은 원단부터 반사율이 아주 큰 섬유원단까지를 모두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11, 도 12와 같이 제1 광센서(27)의 투광소자(29)(30)(31)(32)는 4개로 구성하고, 수광소자(33)(34)(35)(36)(37)(38)는 6개로 배열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6개의 수광소자(33)(34)(35)(36)(37)(38)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 일반원단(2)의 센싱유무에 따라 반사신호를 많이 받거나 적게 받게 되고, 6개의 수광신호는 멀티플렉서(19)로 입력되어 순차 출력되고, 대역필터(14)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증폭기(15)로 증폭되고, A/D콘버터(16)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 MCU(17)로 입력되어 비교 판단 및 처리된다.
본 발명 텐터 필러(25)는 원단을 마주보는 저면(25a) 일측에 일반원단(2)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27)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콤비원단(5)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28)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충분한 이격거리(L)가 유지된다.
상기 텐터 필러(25)의 상부면(또는 측면)에는 설정부(S)에 해당하는 복수의 스위치와, 표시부(D)에 해당하는 표시부재가 각각 설치되거나 위치한다.
상기 제1 광센서(27)는 복수의 투광소자(29)(30)(31)(32)와, 복수 쌍의 제1, 2, 3, 4, 5, 6 수광소자(33)(34)(35)(36)(37)(38)로 구성되며, 제2 광센서(28)는 한 쌍의 투광소자(39)와 수광소자(40)로 구성되며, 상기 투광소자(29)(30)(31)(32)(39)와 수광소자(33)(34)(35)(36)(37)(38)(39)는 적외선 LED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1 광센서(27)의 투광소자(29)(30)와 또 다른 투광소자(31)(3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더욱 많은 량의 적외선 빔이 얻어지며, 또한 일측 투광소자가 고장나더라도 타측 투광소자에 의해 계속적인 투광이 달성되어 정상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광센서(27)는 도 10, 도 11,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투광소자(29)(30)와 한 조로 구성되는 제1, 2, 3 수광소자(33)(34)(35), 및 우측 투광소자(31)(32)와 한 조로 구성되는 제4, 5, 6 수광소자(36)(37)(38)로 구성되며, 서로 간섭(광 간섭)하지 않도록 좌측 투광소자(29)(30) 및 제1, 2, 3 수광소자(33)(34)(35)와, 우측 투광소자(31)(32) 및 제4, 5, 6 수광소자(36)(37)(38)는 소정 거리로 이격 설치된다.
또한 제1, 2, 3, 4, 5, 6 수광소자(33)(34)(35)(36)(37)(38)는 원단의 변부에 일렬로 배열되는 구조이며, 본 발명에서는 제1, 2, 3 수광소자(33)(34)(35)로 입력되는 수광신호의 합과 제4, 5, 6 수광소자(36)(37)(38)로 입력되는 수광신호의 합을 비교하여 원단(2)의 치우침을 판단하게 된다.
즉, 도 11과 같이 텐터 기준이 되는 변부의 가상 중심선(0)을 기준으로 원단(2)이 B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단의 변부(가장자리) 또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2, 3 수광소자(33)(34)(35)로 입사되는 반사광량이 떨어지게 되므로 MCU(17)는 원단(2)이 B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8)를 역회전시켜 A방향으로 원단(2)을 이동시킴으로써 원단(2)이 조정되며, 제1, 2, 3 수광소자(33)(34)(35)로 입사되는 반사광량과 제4, 5, 6 수광소자(36)(37)(38)로 입사되는 반사광량이 일치하는 경우 원단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모터(18)를 정지시키게된다.
본 발명에서 텐터 필러(25)는 도 13과 같이 원단(2)의 양측 변부에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처럼(예컨대, B방향은 A방향) 원단의 양측 변부가 각각 제어되므로 일측방향으로 치우침없이 텐터 가공된다. 상기 도 13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저면에서 위로 쳐다 본 상태의 도면이다.
상기 투광소자(29)(30)(31)(32)(39)는 발진부(12)로부터 인가되는 10㎑ 전후의 펄스전원에 의해 펄스형 적외선 빔이 발광되어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고, 원단 표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 빔은 수광소자(33)(34)(35)(36)(37)(38)(40)로 각각 수광되어 신호 처리된다.
도 7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25)의 회로 구성도로, 메모리부(M)가 구비된 MCU(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7)의 입력부(I)에 각종 동작상태와 모드 등을 설정하고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게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설정부(S)가 접속되고, MCU(17)의 출력부(O)에 설정상태 동작 상태 등이 표시되고 레벨이 표시되는 인디게이트 등의 표시부(D)가 접속된다.
MCU(17)의 발진부(12)에는 일반원단(2)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27)의 적외선 투광소자(29)(30)(31)(32)와, 콤비원단(5)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28)의 적외선 투광소자(39)가 접속되며, 상기 발진부(12)는 10㎑ 전후의 펄스전원을 적외선 투광소자(29)(30)(31)(32)(40)로 각각 인가시켜 10㎑ 전후의 적외선 빔이 원단 표면으로 발광된다.
MCU(17)의 채널선택부(CC)에는 멀티플렉서(19)가 접속되며, 상기 멀티플렉서(19)로 입력되는 복수의 수광신호를 선택하는 채널선택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멀티플렉서(19)의 입력에는 제1 광센서(27)의 적외선 수광소자(33)(34)(35)(36)(37)(38)와 제2 광센서(28)의 적외선 수광소자(40)가 각각 접속된다.
상기 멀티플렉서(19)의 출력에는 적외선 수광소자로 수광된 적외선 신호 중 10㎑ 전후의 필요 신호만 취하는 대역필터(BPF)(14)가 접속되고, 상기 대역필터(14)의 출력에는 저잡음 고증폭도의 증폭기(15)가 접속되고, 상기 증폭기(15)의 출력은 MCU(17)의 A/D콘버터(16)에 접속되어 원단 감지신호가 MCU(17)로 입력되어 기준신호와 비교 판단 및 처리된다.
MCU(17)의 PWM 출력부(OP)에는 DC모터(DM)가 접속되고, MCU(17)의 디지털출력부(OD)에는 AC모터(AM)가 접속되며, 턴테 가이드의 사용환경에 따라 DC모터(DM) 또는 AC모터(AM)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AC모터(AM) 제어신호는 0 ~ 10VDC의 디지털 제어신호가 출력되며, AC모터(AM)의 회전속도신호와 정.역 신호, 그리고 정지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DC모터(DM) 제어신호는 -10VDC ~ +10VDC의 PWM 제어신호가 출력되며, -부호는 DC모터(DM)를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는 신호이고 +부호는 DC모터(DM)를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키는 신호이다.
상기 멀티플렉서(19)는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수광소자(40)로부터 얻어진 광신호를 대역필터(14)로 입력시키게 되며, 상기 대역필터(14)는 MCU(17)의 채널선택부(CC)로부터 받은 어드레스(Address)신호에 따라 제1 광센서(27)의 수광신호 6개와 제2 광센서(28)의 수광신호 1개가 순차적으로 대역필터(14)에 입력된다. 상기 대역필터(14)는 L/C 주파수 대역필터(BPF)일 수 있다.
상기 대역필터(14)는 멀티플렉서(19)로부터 입력되는 7개의 아날로그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로서 투광소자(29)(30)(31)(32)(39))에서 보내진 10㎑ 전후의 신호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광신호만 통과시키고 그 외의 잡음신호는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되며, 따라서 외부 빛의 영향을 받지 않음은 물론이고 신호감도를 높이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대역필터(14)로부터 출력되는 7개의 순차 신호(대역신호)는 미세한 신호이기 때문에 잡음특성이 우수한 저잡음 고배율 증폭기(15)를 이용하여 큰 증폭도로 증폭하여 MCU(17)가 인식할 수 있는 충분한 세력을 갖게 된다.
상기 증폭기(15)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MCU(17)의 A/D콘버터(16)로 입력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다음 기준신호와 비교되고 판단 및 처리된다.
상기 MCU(17)는 모든 입.출력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서 텐터 필러(25)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1, 2 광센서(27)(28)의 투광소자(29)(30)(31)(32)(39)를 구동하기 위한 약 10㎑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며, 수광신호의 채널선택신호를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9)의 순차 작동을 제어하고, 저잡음 고배율 증폭기(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A/D변환시켜 각각의 신호크기에 따라 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DC모터(DM) 제어신호와 AC모터(AM) 제어신호 및 원단위치 표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모터(18) 제어신호는 DC모터(DM) 제어신호와 AC모터(AM) 제어신호 2개가 항상 출력되며, 사용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터(18)의 종류에 따라 알맞는 출력에 연결시켜 사용하면 된다.
상기 설정부(S)는 자동/수동 스위치(A/M Switch)(46)와, 좌/우 스위치(L/R Switch)(47)와, 노말스위치(Normal SW)(51)와, 콤비스위치(Combi Switch)(50)와, 감도 조절용 업 스위치(UP Switch)(48) 및 다운 스위치(DN Switch)(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수동 스위치(46)는, 자동위치에서는 모터(18) 제어출력이 제1, 2광센서(27)(28)와 MCU(17)에 의해 제어되며, 수동 위치에서는 모터(18) 제어출력이 제1, 2 광센서(27)(28)와는 무관하며 좌우 스위치(47)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좌/우 스위치(47)는, 자동/수동 스위치(46)가 수동으로 선택된 경우에만 동작하며 좌/우 스위치(47)를 좌(L)에 놓으면 모터(18)를 역회전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우(L)에 놓으면 모터(18)를 정회전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노말스위치(51)는, 일반원단(2)이 들어올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 노말스위치(51)를 누르면 노말램프(57)가 점등되고 제2 광센서(28)가 동작하지 않으며 모터(18)는 어느 구간에서나 항상 동작하게 된다.
상기 콤비스위치(50)는, 콤비(Combi)원단(5)이 들어올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 콤비스위치(50)를 누르면 콤비램프(55)가 점등되고 콤비원단(5) 검출용 제2 광센서(28)가 동작하며, 모터(18)가 망사원단(5a) 구간에서는 움직이지 않도록 단속된다.
상기 업 스위치(48)는 제1, 2 광센서(27)(28)의 감도를 증가시키는 스위치로, 자동/수동 스위치(46)가 수동일 경우에만 작동하며 업 스위치(48)를 누르면 레벨 인디게이터(Level Indicator)(58)의 지시 레벨이 증가하면서 제1, 2 광센서(27)(28)의 감도가 증가한다.
상기 다운 스위치(49)는, 제1, 2 광센서(27)(28)의 감도를 감소시키는 스위치로서 자동/수동 스위치(46)가 수동일 경우에만 작동하며 다운스위치(49)를 누르면 레벨 인디게이터(Level Indicator)(58)의 지시 레벨이 감소하면서 제1, 2 광센서(27)(28)의 감도가 감소한다.
상기 표시부(D)는 콤비램프(Combi Lamp)(55)와, 노말램프(Normal Lamp)(57)와, 레벨 인디게이터(Level Indicator)(58)와, 모터(18)의 역회전을 표시하는 역회전 램프(Left Lamp)(54)와, 모터(18)의 정회전을 표시하는 정회전 램프(Right Lamp)(5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동/수동 스위치(46)의 일측에 위치하는 자동/수동 스위치 표시부(52)와, 좌/우 스위치(47)의 일측에 위치하는 좌/우 스위치 표시부(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콤비램프(55)는, 콤비(Combi)원단(5)이 들어올 때 콤비스위치(50)를 누르면 콤비램프(55)가 점등되면서 콤비원단 검출용 제2 광센서(28)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노말램프(57)는, 일반원단(2)이 들어올 때 노말스위치(51)를 누르면 노말램프(57)가 점등되고 콤비원단 검출용 제2 광센서(28)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레벨 인디게이터(58)는, 자동/수동 스위치(46)가 수동(Manual) 위치일 때는 업 스위치(48)와 다운 스위치(49)에 의한 감도 레벨(Level)이 표시된다.
상기 역회전 램프(54)는, 모터(18)가 반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여 텐터 가이드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점등되는 램프이다.
상기 정회전 램프(56)는, 모터(18)가 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여 텐터 가이드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점등되는 램프이다.
상기 텐터 필러(25)의 일측에는 입/출력 커넥터(44)와 텐터 필러(25)를 텐터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5)가 설치되고, 텐터 필러(25)의 양측면에는 프레임(41)이 핀(43)으로 축설치되며, 상기 프레임(41)의 중앙 하부에는 하향 돌출형 터치바(42)가 구성되어 원단이 절단되거나 제1, 2 광센서(27)(28)의 고장시에 텐터기를 강제로 정지시키거나 경보(Alarm)하게 된다.
본 발명은 USB 통신방식, RS232C나 RF무선통신방식,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의 감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의 투광소자가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와, 상기 원단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제1 광센서의 제1, 2, 3, 4, 5, 6 수광소자와 제2 광센서의 수광소자로 수광신호를 각각 수광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신호를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신호를 A/D콘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센서의 제1, 2, 3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를 합산하고 제1 광센서의 제3, 4, 5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를 합산하여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값에 따라 텐터 가이드 모터의 정/역회전과 정지 및 회전속도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광센서의 수광소자로부터 수광신호가 없으면 모터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된다.
도 14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텐터 필러의 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설정부(S)를 이용하여 MCU(17)의 설정을 초기화 및/또는 새로 설정하는 단계(S1 단계),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투광소자(29)(30)(31)(32)(39)가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S2 단계), 원단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수광소자(33)(34)(35)(36)(37)(38)(40)로 각각 수광하는 단계(S3 단계), 멀티플렉서(19)를 이용하여 상기 수광소자(33)(34)(35)(36)(37)(38)(40)의 수광채널을 선택하는 단계(S4 단계), A/D콘버터(16)를 이용하여 상기 수광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5 단계), 제1 광센서(27)의 제1, 2, 3 수광소자(33)(34)(35)의 수광신호를 합산하고 제1 광센서(27)의 제3, 4, 5 수광소자(36)(37)(38)의 수광신호를 합산하는 단계(S6 단계), 합산된 제1, 2, 3 수광소자(33)(34)(35)의 수광신호와 합산된 제3, 4, 5 수광소자(36)(37)(38)의 수광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7 단계), 비교된 값에 따라 모터(18)의 정/역회전 여부와 정지여부를 판단하고 원단의 종류를 표시부(D)로 표시하는 단계(S8 단계), 사용자에 의한 수동 모드와 제1, 2 광센서(27)(28)에 의한 자동모드를 자동/수동 모드선택 단계(S9 단계), 상기 자동/수동 모드선택 단계(S9 단계)에서 자동모드인 경우 콤비원단(5) 검출모드 인지 판단하는 단계(S10 단계), 콤비원단 검출모드 자동모드인 경우 콤비원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 단계), 콤비원단이 아니면 AC모터(AM) 및 DC모터(DM)를 정지시키는 단계(S16 단계), AC모터(AM) 및 DC모터(DM)를 정지시키는 단계(S16 단계)에서 제1, 2 광센서(27)(28)의 감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업/다운 스위치(48)(49)를 이용하여 감도 설정값을 입력하는 단계(S13 단계), 감도 설정값을 입력하는 단계(S13 단계)에서 감도 설정값이 입력되면 감도 설정값에 따른 투광소자 펄스폭을 조정하고 조정된 감도 세기를 레벨 인디게이터(58)로 표시하는 단계(S14 단계), 감도 설정값이 입력되지 아니하면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적외선 투광소자가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S2 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콤비원단(5)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 단계)에서 콤비원단(5)이 아니면 DC모터(DM)의 제어값을 연산하여 DC모터(DM) 제어신호(PWM)를 출력하는 단계(S11 단계) 및 AC모터(AM)의 제어값을 연산하여 AC모터(AM)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2 단계)로 되며, 상기 단계(S12 단계)에서 제1, 2 광센서(27)(28)의 감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업/다운 스위치(48)(49)를 이용하여 감도 설정값을 입력하는 단계(S13 단계), 감도 설정값을 입력하는 단계(S13 단계)에서 감도 설정값이 입력되면 감도 설정값에 따른 투광소자의 펄스폭을 조정하고 조정된 감도세기를 레벨 인디게이터(58)로 표시하는 단계(S14 단계)로 되고, 감도 조정이 완료되면 종료되거나 또는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적외선 투광소자가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S2 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자동/수동 선택모드 단계(S9 단계)에서 수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정/역스위치(47)를 이용하여 모터(18)의 정역신호를 입력하는 단계(S17 단계), 상기 단계에서 모터(18) 정역신호가 입력되지 아니하면 제1 광센서(27)와 제2 광센서(28)의 적외선 투광소자가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S2 단계)로 돌아가고 모터(18) 정역신호가 입력되지 아니하면 DC모터(DM)의 제어값을 제어하는 단계(S18 단계) 및 AC모터(AM)의 제어값을 제어하는 단계(S19 단계)로 된다.
본 발명은 제2 광센서(28)에 의해 콤비원단(5)의 센싱과 제어가 달성되므로 도 13과 같이 콤비원단(5)의 변부에 고른 핀닝선(20) 또는 핀닝위치가 유지되므로 텐터 가이드의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이 정상 동작하게 되므로 이들의 수명 단축이 방지되며, 원단의 텐터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10㎑ 전후의 적외선 투광과, 수광된 적외선 신호 중 10㎑ 대역의 신호만 취하여 제어에 사용하게 되므로 S/N비가 크게 향상되며, 감도를 적절히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서 콤비원단(5) 뿐 아니라 반사광량이 크게 떨어지거나 빛 흡수율이 높은 특수원단의 경우에도 정확히 감지하여 텐터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정격 전류를 이용하고 있어서 투광소자(29)(30)(31)(32)(39)의 수명단축이 방지되고, 소비전력 낭비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투광소자(29)(30)(31)(32)(39)는 발진부(12)에서 펄스변조 또는 PWM 변조에 의해 발생되는 약 10KHz 전후의 주파수로 광변조된 전원에 의해 연속적 및 지속적으로 발광하면서 적외선 빔이 출력되며, 발광된 10KHz 전후의 연속광은 원단 표면에 부딪쳐 반사된 다음 수광소자(3)(34)(35)(36)(37)(38)(40)로 수광되며, 수광된 신호중에 포함된 외부광이나 그림자 등에 의한 불필요한 신호와 노이즈 등은 10KHz의 대역필터(14)에 제거되므로 오동작이 방지되며, 수광신호의 증폭도와 감도를 조절함으로써 반사율이 다양한 원단과 같은 원단에서 반사율이 변화되는 원단도 확실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광신호 중 외부의 빛은 주파수(주파수 대역)가 다르기 때문에 대역필터(14)에서 필터링되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수광신호가 미세하더라도 저잡음 고배율 증폭기(15)의 증폭도만 키우면 충분한 세력의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투광소자(29)(30)(31)(32)(39)의 수명이 길어짐은 물론이고 광반사율이 아주 낮은 원단까지도 감지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형광등이나 백열등, 할로겐등과 같은 외란광에는 감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오동작이나 간섭이 방지되며, 아울러 이들 외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S/N비가 개선되어 증폭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기존방식에 비해 반사율이 아주 낮은 원단과 콤비원단까지도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게된다.
또한 원단의 거친정도나, 낮은 밀도, 흑색이나 흑색에 가까워 빛을 잘 흡수하는 경우에는 빛의 반사량이 낮아 원단 검출이 어려우며, 이런 원단 때문에 기존 텐터 필러에는 기계적인 터치바를 사용하여 변부를 검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치바가 불필요하며,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터치바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콤비원단(5)과 같이 반사광량이 많이 떨어지거나 반사광량이 거의 없는 경우 추가 구성되는 제2 광센서(28)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투광되는 적외선 광신호는 일반원단(2)에는 반사되어 수광소자(40)로 입사되고, 망사원단(5a)에서는 광반사가 없게 되거나 기준 이하로 떨어져 수광소자(40)로 입사되는 광신호가 없거나 기준이하로 입력되고 MCU(17)로 입력되는 광신호 또한 없으므로 MCU(17)는 일반원단(2)인지 망사원단(5a)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된다.
콤비원단 검출용 제2 광센서(28)의 투광량은 제1 광센서(27)와 연동으로 가변되며, 마찬가지로 투광소자(39)로 인가하는 전류의 양과 펄스폭 두가지 모두를 변화시켜 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증폭기(15)의 증폭도로 감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광센서(28)는 투광소자(39)와 수광소자(40) 각각 한 개씩 한 쌍으로 구성하였으나, 2개 이상 복수 쌍으로 구성하여 광량 증가와 감도 향상을 꾀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2)--일반원단 (5)--콤비원단
(5a)--망사원단 (12)--발진부
(10)(29)(30)(31)(32)(39)--투광소자 (13)--변조기
(11)(33)(34)(35)(36)(37)(38)(40)--수광소자
(14)--대역필터 (15)--증폭기
(16)--A/D콘버터 (17)--MCU
(18)--모터 (19)--멀티플렉서
(21)(22)--피닝선 (25)--텐터 필러
(25a)--텐터 필러의 저면부 (27)--제1 광센서
(28)--제2 광센서 (46)--자동/수동 스위치
(47)--좌/우 스위치 (48)--업 스위치
(49)--다운 스위치 (50)--콤비스위치
(51)--노말스위치 (52)--자동/수동 스위치 표시부
(53)--좌/우 스위치 표시부 (54)--역회전 램프
(55)--콤비램프 (56)--정회전 램프
(57)--노말램프 (58)--레벨 인디게이터
(A)(B)--방향 (AM)--AC모터
(CC)--채널선택부 (D)--표시부
(DM)--DC모터 (I)--입력부
(L)--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의 이격거리 (M)--메모리부
(0)--가상 중심선 (O)--출력부
(OD)--디지털출력부 (OP)--PWM 출력부
(S)--설정부

Claims (3)

  1. 적외선 투/수광 소자로 구성된 텐터 필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적외선 투/수광 소자로 구성되어 일반원단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 및
    상기 제1 광센서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적외선 투/수광 소자로 구성되어 콤비원단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
    를 포함하는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10㎑ 전후의 고주파 전원 발진기;
    상기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되는 적외선 빔을 원단 표면으로 투광시키는 제1, 2 광센서의 투광소자;
    상기 원단 표면으로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수광하는 복수의 적외선 수광소자;
    상기 복수의 적외선 수광소자의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 출력되는 신호 중의 불요성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필터;
    상기 대역필터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저잡음 고배율로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콘버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
    를 포함하는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3. 텐터 필러의 감지 방법에 있어서;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의 투광소자가 각각 발광하여 원단 표면으로 투광되는 단계;
    상기 원단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빔을 제1 광센서의 제1, 2, 3, 4, 5, 6 수광소자와 제2 광센서의 수광소자로 수광신호를 각각 수광하는 단계;
    상기 수광신호를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광신호를 A/D콘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광센서의 제1, 2, 3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를 합산하고 제1 광센서의 제3, 4, 5 수광소자의 수광신호를 합산하여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된 값에 따라 텐터 가이드 모터의 정/역회전과 정지 및 회전속도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광센서의 수광소자로부터 수광신호가 없으면 모터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의 감지 방법.
KR1020110022192A 2011-03-14 2011-03-14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KR10104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92A KR101043946B1 (ko) 2011-03-14 2011-03-14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CN201210043039.2A CN102680486B (zh) 2011-03-14 2012-02-22 一种灵敏度大幅提高的拉幅探测器及其探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92A KR101043946B1 (ko) 2011-03-14 2011-03-14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946B1 true KR101043946B1 (ko) 2011-06-24

Family

ID=4440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92A KR101043946B1 (ko) 2011-03-14 2011-03-14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3946B1 (ko)
CN (1) CN1026804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713B1 (ko) 2012-11-15 2013-05-09 김민호 원단의 라인검출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8598A (zh) * 2015-07-23 2015-11-25 绍兴文理学院 一种拉幅定型机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4723A (en) 1992-06-17 1995-06-13 Zellweger Luwa Ag Apparatus and methods for checking the presence of yarns on a textile machine
KR100284269B1 (ko) 1998-10-17 2001-03-02 정자영 텐터 가이더 제어장치
KR20020079673A (ko) * 2002-09-13 2002-10-19 강주석 광센서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필러 컨트롤러 및이것을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0002479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옥사이드에 선택비를 갖는 나이트라이드 화학적 기계적연마용 슬러리
KR200302479Y1 (ko) 2002-10-11 2003-01-30 강주석 원단의 변부위치 검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170A (en) * 1961-03-21 1963-07-10 Singer Cobble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tenters
US6771365B1 (en) * 1999-05-29 2004-08-03 Uster Technologies Ag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in a fibre assembly which is moved lengthwise
CN2596353Y (zh) * 2002-04-01 2003-12-31 江阴市华方新技术科研有限公司 断经红外光电传感器
CN1219204C (zh) * 2002-08-16 2005-09-14 苏州苏大维格数码光学有限公司 多波段红外上转换材料的检测方法及装置
CN201151847Y (zh) * 2008-01-16 2008-11-19 杭州嘉拓科技有限公司 一种纱线运动状态光电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4723A (en) 1992-06-17 1995-06-13 Zellweger Luwa Ag Apparatus and methods for checking the presence of yarns on a textile machine
KR100284269B1 (ko) 1998-10-17 2001-03-02 정자영 텐터 가이더 제어장치
KR20030002479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옥사이드에 선택비를 갖는 나이트라이드 화학적 기계적연마용 슬러리
KR20020079673A (ko) * 2002-09-13 2002-10-19 강주석 광센서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필러 컨트롤러 및이것을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02479Y1 (ko) 2002-10-11 2003-01-30 강주석 원단의 변부위치 검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713B1 (ko) 2012-11-15 2013-05-09 김민호 원단의 라인검출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0486A (zh) 2012-09-19
CN102680486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670B2 (ja) 煙検出器
EP2584703B1 (en) Photoelectric switch
KR101043946B1 (ko) 감도가 크게 향상된 텐터 필러 및 그 감지 방법
US7329858B2 (en) Optical encoder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same
JP4023621B2 (ja) 光電スイッチ
JP5507895B2 (ja) 透過型寸法測定装置
JP2008277163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4073918B2 (ja) 光電スイッチ
JP5271127B2 (ja) 光電センサおよび干渉低減方法
JP2004184193A (ja) 2入力光電センサ
JPH0345765A (ja) たて編機の糸切れ検出装置
JP2011208480A (ja) 自動ドア用物体検出装置
JP2005024314A (ja) 検出センサおよび基板検出装置
JP5021792B2 (ja) 光電スイッチ
JP3228987U (ja) グリッパストラップの摩耗を監視するための光学装置を備える織機
JP5390317B2 (ja) 光学式ガス検知器
KR200448762Y1 (ko) 자동포목교정기용 위사감지장치
JP4323360B2 (ja) 火災感知器の状態情報取得システム
KR100960354B1 (ko) 외란광 방지 빔 센서의 동작 방법
JP5254428B2 (ja) 光電スイッチ
JP5357516B2 (ja) 糸条の走行監視装置
JP2012114028A (ja) 照明装置
JP2005109704A (ja) 検出センサ
JPH06102198A (ja) 検反装置
JPH09230045A (ja) 移動体検知センサの自己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