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654B1 -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654B1
KR101043654B1 KR1020080088868A KR20080088868A KR101043654B1 KR 101043654 B1 KR101043654 B1 KR 101043654B1 KR 1020080088868 A KR1020080088868 A KR 1020080088868A KR 20080088868 A KR20080088868 A KR 20080088868A KR 101043654 B1 KR101043654 B1 KR 10104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cutter
yarn
detec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087A (ko
Inventor
정원기
곽태식
Original Assignee
젯트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젯트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654B1/ko
Priority to CN200910170054A priority patent/CN101671911A/zh
Priority to JP2009201419A priority patent/JP2010065369A/ja
Publication of KR2010003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03D51/08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stopping at definite point in weaving cycle, or moving to such point after stopping
    • D03D51/085Extraction of defectiv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젯트직기의 우측변사부에 설치되는 위사절단기와 위사감지기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동일선상에 나란히 위치되게 하므로서, 바디공간을 단일화함과 동시에 폭을 최소화하고, 또한 우측변사부에서 위사를 견인하는 분사수의 분산을 줄여 위사 선단부에서 발생하는 흔들림현상을 줄이는 수단과, 바디가 도착된 위사를 이끌고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디공간에 의한 위사 처짐현상을 최소화하여 변사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위사의 측장길이를 짧게 설정하여도 위사의 선단부에 긴장력이 유지되는 수단을 동시에 만족케 하여, 안정적인 위사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과 위사의 로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DISPOSAL DEVICE OF WEFT YARN END BEARING FOR WATER JET LOOM}
본 발명은 워터젯트직기의 우측변사부 일측에 설치하여 위사의 도착유무를 감지하는 위사감지기와, 도착한 위사를 캣치코드사로 파지한 다음 절단하는 위사절단기의 설치위치를 일체형 혹은 동일선상에 설치토록 하여 하나의 바디공간을 공용으로 사용토록 하되, 위사감지기의 설치위치를 위사절단기쪽으로 이동하여 우측변사부와의 간격을 더욱 가깝게 근접시킴으로써, 위사선단부의 흔들림과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위사의 도착유무를 감지케 함과 동시에,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위사의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워터젯트직기의 우측 변사부에 설치된 위사절단기와 위사감지기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우측변사부(1)와 근접된 위치에 위사절단기(2)가 설치되고, 상기 위사절단기(2)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사감지기(3)가 설치되고, 그 측부에 다시 캣치코드사(4)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사절단기(2)와 위사감지기(3) 전방에는 위입된 위사(5)를 직전 (직물이 시작되는 지점)(6)까지 이동시키는 바디(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디(7)에는 위사절단기(2)와 위사감지기(3)과 통과할 수 있는 위사절단기용 바디공간(2A)과 위사감지기용 바디공간(3A), 즉 두개의 바디공간(2A)(3A)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바디에 두개의 공간이 설치됨에 따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즉 위사(5)가 분사수에 의해 개구된 경사(8) 사이를 통하여 바디(7) 전방으로 도착되고, 도착된 위사(5)가 바디(7)의 전진에 의해 위사감지기(3)쪽으로 이동할때 위사선단부(5')의 위치가 캣치코드사(4)보다 우측으로 어느정도(통상 4~5cm 이상) 여유있게 공급되게 하여야만 위사선단부(5')가 캣치코드사(4)에 안정되게 파지되어 직기의 안정된 연속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위사선단부(5')를 캣치코드사(4)보다 우측으로 어느정도 여유있게 공급되게 하는 이유는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분사수가 위사(5)를 견인하여 경사(8)의 우측변사부(1)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분사수 자체가 분사초기와는 달리 물방울 형태로 퍼지면서 우측변사부(1) 부근에 도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위사절단기용 바디공간(2A)과 위사감지기용 바디공간(3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두개의 바디공간(2A)(3A) 측면과 충돌하면서 물방울의 일부가 분산되어 분사수의 진행에 방해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위사(5)의 선단부(5')에는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바디(7) 전면과의 접촉상태를 불안정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위사선단부(5')의 흔들림은 위사(5)의 장력을 저하시키게 되고, 장력이 떨어진 위사(5)는 위사감지기(3)의 감지부를 통과할때 안정된 통과가 어렵 게 되므로 결국 직기의 가동이 정지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 이외에도 분사수에 의해 도착된 위사(5)가 위사절단기(2)와 위사감지기(3)가 통과하는 두개의 바디공간(2A)(3A) 전면에 접촉된 한 상태에서 바디(7)가 전진이동할때에 위사(5)는 도 7에서와 같이 점선의 상태로 굴곡되는 처짐현상이 발생하면서 장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위사감지기(3)의 통과가 불안정하게 되므로 직기의 안정된 가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위사절단기용 바디공간(2A)과 위사감지기용 바디공간(3A)을 하나의 바디공간으로 하여 바디공간의 갯수를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바디공간이 지나치게 넓어지게 되어 위사(5)의 처짐현상이 가중되므로 바디공간(2A)(3A) 사이에는 반드시 별도의 보조바디(7')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문제와 위사의 불안정한 감지는 바디공간(2A)(3A)이 넓고 많을수록 위사의 장력저하로 인한 흔들림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위사감지기의 통과가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으나 현재까지는 관용적으로 위사의 위입길이를 여유있게(길게) 하여 안정적인 위사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위사의 로스(도착된 위사의 선단부가 절단되어 버려지는 폐사)가 많게 되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워터젯트직기의 우측변사부에 설치되는 위사절단기와 위사감지기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동일선상에 나란히 위치되게 하므로서, 바디공간을 단일화함과 동시에 폭을 최소화하고, 또한 우측변사부에서 위사를 견인하는 분사수의 분산현상을 줄여 위사 선단부에서 발생하는 흔들림현상을 줄이는 수단과, 바디가 도착된 위사를 이끌고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디공간에 의한 위사 처짐현상을 최소화하여 변사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위사의 측장길이를 짧게 설정하여도 위사의 선단부에 긴장력이 유지하는 수단을 동시에 만족케 하여, 안정적인 위사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과 위사의 로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워터젯트직기의 우측변사부에 설치하여 도착된 위사를 절단하는 위사절단기에 위사감지기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동일선상에 나란히 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캣치코드사의 위치 역시 위사절단기쪽으로 이동설치되게 하며, 전방에 위치하는 바디에는 대체로 폭이 좁은 하나의 바디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바디공간에 위사절단기와 위사감지기가 통과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워터젯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제직시 우측변사부에 설치하여 위사의 도착유무를 감지하는 위사감지기와 위사의 선단부를 파지하는 캣치코드사의 위치를 위사절단기쪽, 즉 우측변사부쪽으로 근접이동설치하되, 상기 위사감지기를 위사절단기의 위치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게 하여 대체로 폭이 좁게 구성된 하나의 바디공간에 동시에 통과되게 하므로서, 분사수의 분산을 감소시켜 위사선단부의 흔들림과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위사의 도착유무를 감지케 함과 동시에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위사의 로스를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직물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의 기술요지는 위사선단부의 흔들림과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위사의 도착유무감지와 직물제직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위사의 로스를 최소로 줄여 경제적인 직물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워터젯트직기의 우측변사부에 설치된 위사감지기와 캣치코드사를 우측변사부쪽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근접설치하되, 위사감지기를 이미 설치되어 있는 위사절단기와 일체형 혹은 일직선 상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전방에 위치한 바디의 바디공간을 단일화함과 동시에 폭을 대체로 좁게 구성하더라도 단일의 바디공간을 통하여 이들이 공동으로 통과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을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워터젯트직기용 위사선단부 처리장치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장치된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의 사시도 및 측면구성도로서 위사절단기(10)의 본체(15)의 고정면(16)을 이용하여 위사감지기(20)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위사감지기(20)를 구성하는 본체(21) 선단부에는 안내부(22)가 형성된 감지부(23)가 구성되게 하였다.
상기 위사감지기(20)의 본체(21) 측부에는 고정날(1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날(11) 측부에는 가동날(12)이 위치되게 하되, 상기 가동날(12)은 가동날판(13)에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하고, 상기 가동날판(13)은 절단기 본체(15)에 정역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작동축(14)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고정날(11)로부터 가동날(12)이 승강되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사감지기(20)가 경사(W)의 우측변사부(W-1)쪽, 즉 위사절단기쪽으로 위치가 이동되게 하여 변사부(W-1)와 위사감지기(2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였으며, 상기 위사감지기(20) 외측부에는 캣치코드사(C-1)를 근접이동설치하여 스핀들(35)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위사절단기(10)에 의해 절단된 위사(W-2)의 절단사가 처리되게 하였다.
위사감지기(20) 전방에는 바디(30)를 설치하되, 상기 바디(30)에는 캣치코드사(C-1)와 변사부(W-1) 사이에 하나의 바디공간(31)을 구성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된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가 통과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위입된 위사(W-2)를 직전(직물(C)이 시작되는 지점)(C')까지 전진이동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장치된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의 사시도 및 측면구성도로서, 본 실 시예에서도 도 1 내지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위사감지기(20)의 설치위치는 변사부(W-1)쪽, 즉 위사절단기(10)쪽으로 위치가 이동되게 하여 변사부(W-1)와 위사감지기(2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별도로 설치하되, 일체형으로 설치한 것과 같이 나란한 동일선 상에 위치되게 한 것이다.
즉 통상의 위사절단기와 같이, 절단기 본체(15) 상에 고정날(1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날(11) 측부에는 가동날(12)이 위치되게 하되, 상기 가동날(12)은 가동날판(13)에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하고, 상기 가동날판(13)은 절단기 본체(15)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작동축(14)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고정날(11)로부터 가동날(12)이 승강되게 하는 위사절단기(10)를 구성하고, 상기 위사절단기(10)와 나란한 선상으로 위사감지기(20)가 위치되게 한다.
상기 위사감지기(20)의 설치위치로서는 절단기 본체(15)나 템플바(36)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템플바(36)에 고정설치한 구성을 설명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템플바(36) 상에 브라켓(37)을 체결고정하고, 상기 브라켓(37) 상에 위사감지기(20)의 본체(21)를 위치시킨 다음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하고, 상기 본체(21)의 선단부는 위사절단기(10)쪽으로 위사절단기(10)의 두께만큼 절곡구성되게 한 다음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 안내판(21')이 위사절단기(10) 전방에 구성되게 하고, 상기 안내판(21')에는 안내부(22)가 형성된 안내공(22')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부(22)의 내측에 감지부(23)를 형성하였다.
이때 위사(W-2)를 견인하는 분사수는 안내공(2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위사감지기(20) 외측부에는 캣치코드사(C-1)를 설치하여 스핀들(35)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위사절단기(10)에 의해 절단된 위사(W-2)의 절단사가 처리되게 하였다.
위사감지기(20) 전방에는 바디(30)를 설치하되, 상기 바디(30)에는 캣치코드사(C-1)와 변사부(W-1) 사이에 하나의 바디공간(31)을 구성하여 일직선 상으로 위치한 위사감지기(20)와 위사절단기(10)가 통과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위입된 위사(W-2)를 직전(C')까지 전진이동시키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사감지기는 다양한 방식의 모든 위사감지기에 적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8)은 캣치코드사 가이드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워터젯트직기를 이용한 직물제직시 분사노즐(도시안됨)로부터 분사된 분사수에 의해 위사(W-2)가 도착되어 바디(30) 전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바디(30)가 전진하여 위사(W-2)를 직전(C')까지 전진이동시키면서 위사감지기에서 위사의 도착유무가 감지되고, 도착된 위사의 선단부는 캣치코드사에 의해 파지된 다음 위사절단기(10)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의 반복으로 제직이 진행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위사감지기(20)의 위치가 위사절단기(10)쪽으로 이동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거나, 나란한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하여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 사이의 간격을 없게 하므로서 하나의 바 디공간(31)을 통하여 이들이 함께 통과할 수 있게 하여 종래 사용되던 위사감지기의 바디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캣치코드사(C-1)의 위치도 위사감지기(20)가 변사부(W-1)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위사(W-2)의 위입길이를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30)에 구성되는 바디공간을 하나의 바디공간(31)으로 충족하게 되므로 위사(W-2)를 견인하는 분사수의 물방울이 바디공간에 부딪혀 분산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바디(30)가 도착된 위사를 이끌고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뒷쪽으로 처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위사(W-2) 선단부의 공급길이를 짧게 설정하여도 위사(W-2) 선단부의 흔들림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위사도착유무를 안정적으로 감지케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지며, 또한 위사의 로스를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직물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
도 3 : 도 2의 측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장치 타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요부사시도
도 6 : 도 5의 측면구성도
도 7 : 종래 장치의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캣치코드사 (W)--경사
(W-1)--변사부 (W-2)--위사
(10)--위사절단기 (11)--고정날
(12)--가동날 (13)--가동날판
(14)--작동축 (15)--절단기 본체
(16)--고정면 (20)--위사감지기
(21)--본체 (21')--안내판
(22)--안내부 (22')--안내공
(23)--감지부 (30)--바디
(31)--바디공간

Claims (4)

  1. 워터젯트직기의 우측변사부(W-1)에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 및 캣치코드사(C-1)를 설치한 다음 위입된 위사(W-2)를 바디(30)의 전진운동에 의해 직전(C')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위사감지기(20)를 통하여 위사(W-2)의 도착유무를 감지케 한 다음 캣치코드사(C-1)로 파지되게 하고, 캣치코드사(C-1)에 파지된 위사(W-2)를 위사절단기(10)로 절단되게 하는 통상의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위사감지기(20)의 설치위치를 위사절단기(10)쪽으로 이동설치하고, 상기 위사감지기(20)의 본체(21) 일측에 고정날(1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날(11) 측부에 가동날(12)이 승강작동케 하되, 상기 가동날(12)은 가동날판(13)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가동날판(13)은 절단기 본체(15)에 끼워진 작동축(14)에 체결고정되게 하므로서 위사감지기(20)와 우측 변사부(W-1)의 거리를 줄여 위사(W-2)의 로스를 줄일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위사절단기(10) 측부에 위사감지기(20)를 설치하되, 위사감지기(20)의 본체(21) 선단부에 안내판(21')이 형성되게 하되, 안내판(21')이 위사절단기(10) 전면에 일직선상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안내판(21')에 안내부(22)가 형성된 안내공(22')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부(22)는 감지부(23)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위사감지기(20) 전면에 바디(30)를 설치하되, 상기 바디(30)에 끼워진 경사(W)의 변사부(W-1)와 캣치코드사(C-1) 사이에 하나의 바디공간(31)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바디공간(31)에 위사절단기(10)와 위사감지기(20)가 동시에 통과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KR1020080088868A 2008-09-09 2008-09-09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KR10104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68A KR101043654B1 (ko) 2008-09-09 2008-09-09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CN200910170054A CN101671911A (zh) 2008-09-09 2009-09-01 喷水织机的纬线前端处理设备
JP2009201419A JP2010065369A (ja) 2008-09-09 2009-09-01 ウォータージェット織機の緯糸先端部の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68A KR101043654B1 (ko) 2008-09-09 2008-09-09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87A KR20100030087A (ko) 2010-03-18
KR101043654B1 true KR101043654B1 (ko) 2011-06-22

Family

ID=4201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68A KR101043654B1 (ko) 2008-09-09 2008-09-09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065369A (ko)
KR (1) KR101043654B1 (ko)
CN (1) CN1016719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6950B2 (ja) * 2009-08-25 2013-12-0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エア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把持装置
CN104711751B (zh) * 2015-04-07 2016-09-14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纬纱预定位结构
BE1024755B1 (nl) * 2016-11-29 2018-06-27 Picanol Nv Afvaleinde-strek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773Y1 (ko) * 1992-11-24 1994-10-24 정원기 워터제트직기의 위사탐지장치
KR19980056267U (ko) * 1997-01-08 1998-10-15 정원기 워터 젯트직기용 우측 위사 절단기
KR200247788Y1 (ko) 2001-06-14 2001-10-18 김진곤 워터제트직기의 공급위사 파지장치
KR20020047788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자동차 엔진후드의 다단계 개방구조
KR20030082707A (ko) * 2002-04-18 2003-10-23 주식회사 세화기계 벨트컨베이어용 풀리의 표면 경화 방법
KR200382707Y1 (ko) 2005-01-29 2005-04-22 김영수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홀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49Y1 (ko) * 1994-04-28 1996-04-13 구연영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JP2002266203A (ja) * 2001-03-13 2002-09-18 Tsudakoma Corp 無杼織機の緯糸端規制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773Y1 (ko) * 1992-11-24 1994-10-24 정원기 워터제트직기의 위사탐지장치
KR19980056267U (ko) * 1997-01-08 1998-10-15 정원기 워터 젯트직기용 우측 위사 절단기
KR20020047788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자동차 엔진후드의 다단계 개방구조
KR200247788Y1 (ko) 2001-06-14 2001-10-18 김진곤 워터제트직기의 공급위사 파지장치
KR20030082707A (ko) * 2002-04-18 2003-10-23 주식회사 세화기계 벨트컨베이어용 풀리의 표면 경화 방법
KR200382707Y1 (ko) 2005-01-29 2005-04-22 김영수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홀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65369A (ja) 2010-03-25
CN101671911A (zh) 2010-03-17
KR20100030087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654B1 (ko)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EP2495360B1 (en) Weft tensioner of jet loom
JP3276652B2 (ja) 織機におけるよこ糸の引張り装置
KR900008684B1 (ko) 공기압축식 바디통과장치
JP6119715B2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緯糸張力付与装置
EP2904136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weft thread
EP3548656B1 (en) Waste end stretch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CN108505199B (zh) 喷气式纱线排出装置
KR20060128632A (ko) 물분사식 직기의 물제거장치와 그것에 이용되는 시트
JP2010094272A (ja) サージングミシン
KR101057802B1 (ko) 제트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JP7077968B2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処理装置
KR101017111B1 (ko) 워터젯트직기의 무개구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JP3241212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用光電式フィーラーヘッド
KR200167382Y1 (ko) 과도금 방지장치
JPH0310747B2 (ko)
KR930005111B1 (ko) 셔틀레스직기의 위사선단 검출장치
JP2858096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織機の横糸感知装置
JPH0323660B2 (ko)
JPH0474461B2 (ko)
JPH08113852A (ja) 織機の房耳規制装置
JP2004107819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飛走制御装置
KR101534201B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텐션 감소 장치
JPH09192935A (ja) 浸漬形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装置
JPH0790755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