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49Y1 -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 Google Patents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49Y1
KR960003049Y1 KR2019940009715U KR19940009715U KR960003049Y1 KR 960003049 Y1 KR960003049 Y1 KR 960003049Y1 KR 2019940009715 U KR2019940009715 U KR 2019940009715U KR 19940009715 U KR19940009715 U KR 19940009715U KR 960003049 Y1 KR960003049 Y1 KR 960003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water
electric
incision
water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419U (ko
Inventor
구연영
Original Assignee
구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영 filed Critical 구연영
Priority to KR2019940009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049Y1/ko
Priority to JP7102791A priority patent/JP2858096B2/ja
Publication of KR950030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제1도는 워터젯트 직기의 상반부의 개략(槪略)을 표시하는 전체 개략도.
제2도는 위사가 워터젯트에 의해 송출(送出)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바디, 위사, 감지구 간의 관련 설명도.
제3도는 위사가 위사 감지구 안으로 삽입(揷入)되어 위사가 검출된 상태의 바디, 위사, 위사 감지구 간의 관련 설명도.
제4도는 위사가 직단면(織段面)에 접할때, 바디가 최전진위치(最前進位置)에왔을 때의 상태의 바디, 위사, 위사 감지구 간의 관련 설명도.
제5도는 위사 감지구의 정면도.
제6도는 위사 감지구의 좌측면도.
제7도는 위사 감지구의 우측면도.
제8도는 제7도에 근사(近似)한 상태를 표시하는 위사 감지구의 사시도(斜視圖).
제9도는 비산수(飛散水), 다시 말해서 워터젯트의 분사수 또는 물방울이 외부(外部)로부터 비래(飛來)할 때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사(緯絲) 감지구(感知具) 2 : 개구(開口) 안내부(案內部)
3 : 절개부(切開部) 4 : 절개구(切開溝)
5 : 홈 6 : 구멍
7 : 수광기
8 : 비산수(飛散水) 완충용(緩衝用) 공간(空間)
9 : 비산수 경사(傾斜) 유도면(誘導面) 10 : 투광기
11 : 나사 구멍 12 : 덮개
22 : 워터젯트 노즐 23 : 위사
25 : 경사 측면(傾斜側面)
[0001]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워터젯트 직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구에 관한 것입니다.
[0002]
오늘날 워터젯트 직기 보급으로 막대한 양의 천이 제직(製織)되고 있으나 직기의 위사가 정상으로 진행되어 왔는지 여부를 판단해 비정상 일때는 직기를 정지(停止)시켜 사후 처리를 해서 정상으로 가동시키고 있으며, 종래의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구는 위사 정형용(整形用)의 바디 끝 부분에 배치된 고압의 직류전압을 인가(印加)한 고압 극과 검출 극으로 구성된 감지구가 사용되어 왔었다. 이 고압 극과 검출 극에 접촉 할 수 있도록 위사를 송출(送出)하면 물에 젖은 위사가 고압극과 검출극 간에 전류를 흘려보낸다. 이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위사의 유무(有無)를 검출 할 수가 있다. 근년에 와서는 광(光) 감지기(感知器)의 사용이 널리 보급되었다. 투광기와 수광기를 직선상에 배치하고 이 투수광기 사이를 위사가 통과 하면 광선(Beam)이 순간적으로 차단(遮斷) 되어 수광기에서 수광 세력(勢力)의 변화가 수신되므로 수광기의 부하저항(負荷抵抗)에서 전류의 변환(變換) 신호를 얻어서 위사의 유무를 검출한다.
[0003]
이 광 감지구에 의한 위사 검출법은,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93-5429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으며 안내구(2)와 절개구(4)가 형성된 투수광 방법에 의한 워터젯트의 위사 감지구 (가)에 있어, 상부 본체(1)와 하부 본체(1') 사이에 절개부(3)를 비교적 좁게 형성하고 절개구(3) 상하 부의 관통공(6)(9)에 절개부(3)에 노출되지 않도록 투수광전구(7)(10)을 끼우고 투수광 전구(7)(10)단부에 광케이블(8)(11)을 끼워 광케이블(8)(11)의 선단부가 개구부(3)에 노출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서 된 직기의 위사탐지용 감지구가 공지 되었다(한국 실용신안 공고제93-5429호 제1도 내지 제3도 참고)
[0004]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
워터젯트 노즐에서 분사되는 젯트(Jet) 분사수와 바디(13)가 후방(後)에서 전방(前方)으로 전진(前進)하는 운동에 의해 경사(經絲)에서 비산(散)하는 물방울등(等)이 절개부(3)에 직접 충돌 하지않도록 비산수 충돌측의 측면에 절곡한 철편덮개(12)의 취부(取付)가 제3도에 공고 되어 있으나 최근 워터젯트 직기 폭(幅)이 광폭화(廣幅化)되고 직기의 운전 속도가 고속화(高速化)됨으로서 워터젯트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수의 수압(水壓)과 수량(水量)이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따라서,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93-5429호에 게재된 평면(平面)형 하부 본체(下部本體)(1')의 구조(構造)로서는 비산수에 의해서 절개부(3) 내부의 물의 동요(動搖)에 의해 위사 검출 신호가 오작동 한다. 또한 위사가 불규칙하면 위사가 절곡한 물 덮개의 절곡부에 걸려 오작동을 해서 공정지(空停止)하게 된다. 실 예로서 1000rpm으로 운전하는 직기는 24시간동안, 1,440,000번(番)의 위사를 송출한다. 따라서 100%의 가동률(稼動率)을 보장(保障)하려면 단1회의 공정지도 해서는 안된다. 이는 고도(高度)의 정확성(正確性)과 신뢰성(信賴性)이 요구된다.
[0005]
이같은 불합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비산수(飛散水)가 절개부에 직접 돌입(突入)하여 위사 검출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하고 또한 위사가 불규칙해도 덮개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0006]
이런 목적으로 덮개로부터 아래(下)쪽 면(面)에서 비산하는 비산수가 광선(Beam)의 통과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提供)하는데 있다.
[0007]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위사 감지구는 분사구가 충돌하는 쪽의 감지구 측면에 비산수를 외부 아래쪽으로 유도(誘導)하는 돌출부(突出部)를 구성한 구조의 경사 유도면(傾斜誘導面)을 만들고, 원호형(圓弧形) 안내부를 포함한 위사 통과로(通過路)인 절개부를 덮는 덮개를 분사수가 충돌하는 측면의 감지구의 외부에 취부(取付)하여 이 안쪽에 비산수 완충(緩衝) 공간(空間)을 형성하고, 또 분사수 충돌면 쪽 평면 덮개의 아래쪽 위치(位置)의 감지구 측면에 충돌비산수를 아래쪽으로 비산시키는 경사를 갖는 경사측면을 만든다. 그리고 또 원호형 안내부 끝 부분을 둥글게 다듬어서 비산수를 외부로 유도 비산시킨다. 또 위사가 통과하는 절개부 공간 틈에 배치하는 투수광기를 원호형 개구 안내부에서 멀리떨어진 위치에 선정한다.
[0008]
[작용]
직기에서 위사가 예정대로 송출 배송(配送)되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직기의 비디가 위사를 이송(移送)시키는 도중 위사감지를 위해 위사가 투수광기 사이로 통과하도록 한다. 투수광기를 갖춘 위사감지구는 위사가 이동하는 높이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고 위사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알맞는 높이로 위사를 안내하는 개구 안내부와 위사를 통과시키는 절개부의 공간 틈으로 구성되고, 위사가 직단에 도착하여 모이는 공간 절개구를 만든다. 투수광기는 위사 통과로인 절개부 공간 틈에 직각으로 배치되지만 분사수 및 비산수가 절개부에 돌입해도 되도록 그 영향으로 광선(Beam)이 차단되어 오동작 하지 않도록 비산수가 침입하는 개구안내부에서 멀리 떨어진 절개부 안쪽에 위치를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9]
분사수는 위사감지구의 설치 장소에서 경사 폭 만큼 멀리떨어진 반대측에 설치된 워터젯트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감지구의 위치는 위사가 경사 개구를 통과해서 건너오는 통로보다 직단쪽으로 치우쳐 있으나 고압대수량(高壓大水量)의 워터젯트의 분사수는 직접적으로 감지구에 도착한다. 또한 경사에 부착한 물은 바디 운동에 의해서 2차적으로 비산수를 위사 감지구에 향해서 비산 시키고 있다. 즉 위사 감지구의 앞쪽이 경사 쪽으로 향하고 있어 비산수 충돌을 많이 받는다.
[0010]
비산수는 대부분 분사수가 충돌하는 측면에 설치된 덮개에 의해 개구 안내부로부터 절개부 그리고 절개구에 달하는 전장(全長)을 대부분 덮고있는 평면 덮개의 외부로 반사되지만 덮개 아래쪽에는 비산 하는 비산수는 덮개 내부로 비산하는 것도 있다. 혹은 개구 안내부측으로부터 위사와 함께, 또는 다른 형태로 절개부에 침입하는 물도 있다. 이런 물을 빨리 배출하기 위해서는 덮개와 위사감지구 사이에 공간이 요구된다. 이 공간이 비산수 완충 공간으로 이용된다. 비산수가 비산수 완충 공간의 상면(上面)에 충돌하면 외부로 물방울이 흐를 수 있도록 이 상면을 외부로 향해서 아래로 기우러지는 경사면을 만든다. 이것이 돌출부 갖는 경사 유도면이다. 또 하나의 돌출부 구성의 경사 유도면은 절개부 아래쪽(덮개 下部) 위사 감지구의 측면부에 설치 되어있다. 이 측면에 비산수가 충돌해서 위로 비산하는 비산수에 대해서는 절개부 아래쪽에 돌기 모양의 돌출부를 설치해서 이 돌출부의 안쪽에 외부를 향해서 아래로 기우러지는 경사면을 만든다. 그리고 돌출부의 아래쪽 감지구 측면부에 충돌하는 비산수는 되도록 빨리 아래로 흐르도록 하부(下部)가 급한 경사면을 갖는 경사 측면을 만든다. 또, 원호형 안내부 끝을 둥굴게 다듬어 경사에서 비산하는 비산수를 밖으로 유도 비산시키도록 한다.
[0011]
[실시예]
제1도는 워터젯트 직기의 상반부의 개략을 표시하며, (1)이 본 고안의 대상인 위사 감지구이다. (13)이 위사 정형용의 바디, (15)가 경사, (16)이 켓지코드(Catch co)의 역할을 하는 켓지코드사(絲), (17)이 켓지코드에 사용되는 보조 바디(18)이 켓지코드용 스핀들, (19)가 워터젯트 직기의 전방 후레무의 템플 바, (20)이 얀가이드 푸래이트, (21)이 가위, (22)가 분사수를 분사하는 워터젯트 노즐, (23)이 위(24)가 제직된 천이고, 바디(13)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전동기에 V벨트로 연결된 구랑크축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스톤 운동에 의해서 이동된다. 위사(23)은 워터젯트 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분사수에 의해 송출되어 경사 개구 사이를 주행한다. 위사감지장치(1)은 바디(13)에 의해서 앞쪽으로 즉 제직천(24)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사의 유무를 검사하며 제직 되는 직후 위사(23)은 제직천의(24)에서 가위로 잘려서 정형된다.
[0012]
제2도 내지 제4도는 바디(13) 및 보조바디(17)이 위사를 앞으로 이동시키는 모양을 표시한 것이다. 전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크랑크 각도 260°의 상태도가 제2도이고, 315°의 상태가 제3도이고, 360°즉 0°의 상태가 제4도이고 제2도는 위사(23)의 송출 완료상태도이고, 제3도는 위사(23)이 위사 감지구(1)의 안에 삽입되어 위사(23)의 유무가 감지된 상태도이다. 제4도는 위사가 (23)이 제직 천의 직단에 도착한 상태도, 즉 바디(13)이 최전방부에 도달된 상태도이다. 그리고 크랑크 각도 180°때에 바디(13)은 최후방에 도달한다.
[0013]
제5도는 위사감지구(1)의 정면도, 제6도는 좌측면도, 제7도는 우측면도, 제8도는 사시도를 표시한다. 바디 및 보조 바디에 의해서 밀려 들어오는 위사는 정면도, 제5도의 앞쪽에서 개구안내부(2)의 구성부분인 원호형(圓弧形)을 스쳐서 위사 통로인 절개부(3)의 공간을 거쳐서 절개구(4)까지 들어와서 가위에 의해 잘려 빠져나간다. 절개부(3)의 상하 간격은 약 1㎜정도로 한다. 개구 안내부 2에서 멀리 떨어지고 절개구(4)에 가까운 곳에 상하로 구멍을 뚫고 이구멍 안에 수광기(7)과 투광기(10)을 절개부(3)을 거쳐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투광기(10)과 수광기(7) 전선은 코드선과 접속해서 흠(5)에 배치하고, 코드선은 전선 인출구멍(6)으로 끌어내고 합성수지로 몰딩을 한다.
[0014]
위사 감지구의 상부 본체의 우측면부에는, 우측이 외부를 향해서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를 갖는 상면 즉 비산수 경사 유도면을 갖는 분사수의 비산 완충용 공간(8)을 설치하고 또 절개부(3)의 아래 부분의 우단부(右端部)에 돌출 모양의 돌출부가 부착된 비산수 경사 유도면(9)를 설치해 분사수의 비산수가 절개부(3)에 침투 되지않고 빨리 밑으로 흘러 내리도록 대책을 했다. 그리고 나사로 나사 구멍(11)에 평면형의 덮개(12)를 위사감지구 상부 본체의 우측면부에 고정시켜 분산수 또는 비산수가 절개부(3)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 비산수 완충용 공간(8)에 의한 완충공간을 두어 배수(排水)가 잘 되도록했다. 특히 경사 유도면이 우측 방향으로 향해서 우측이 처지는 경사형태는 중요한 요점(要點)이다.
[0015]
비산수 완충용 공간(8)은 9㎜폭의 평면 소재(素材)를 제7도에 표시한 A점에서 B점까지 직선으로 깊이 2㎜로 연삭(硏削)을 해서 이루어지는데 연삭 칼(바이트)의 끝을 각(角)을 갖도록 해서 공간(8)의 상면(上面)이 정면도에서 오른쪽이 외부로 향해서 처지는 경사 상태가 되도록 가공을 한다. 그래서 평면 덮개(12)를 고정나사 구멍(11)에 고정시켜 비산수 완충 공간을 형성한다.
[0016]
절개부(3)의 아래쪽에 제7도에 표시한 D점의 부근에서 원호형(圓弧形)을 그리도록 하고 C점에서부터 D까지의 직곡선부(直曲線部)을 1㎜ 깊이로 연삭을 한다. 이것도 역시 연삭 칼끝이 각을 가지고 있어 정면도에서 오른쪽 외부가 처지는 경사를 갖는 돌출 모양의 경사 유도면(9)가 형성된다. 그리고 정면도에 표시된 경사측면(25)가 형성되도록 수직면에서 좌측으로 아래로 갈수록 깊은 경사가 되도록 깊이 연삭을 한다.
[0017]
제9도는 비산수 즉 분사수 또는 물방울이 비래(飛來)했을 때의 모양이다. 비산수가 위사감지구의 외부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비래한다면 평면 덮개(12)의 표면에서는 도시한바와 같이 상하 양방향으로 비산한다.
[0018]
절개부(3)의 아래쪽 돌출 모양의 돌출의 수직면에 비산하는 비산수는 그 면적이 극히 좁아서 극소량이지만 이것도 비산 방향은 덮개(12)의 방향과 같은 모양이고, 상 방향의 성분의 비산수는 비산수 완충 공간으로 침입을 하지만 덮개(12)의 안쪽을 타고 흘러내려 절개부(3)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돌출 모양 돌출부 아래로 비산하는 비산수는 충돌면이 수직이 아니고 좌측 아래쪽으로 기우러진 경사측면을 따라 대부분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절개부(3)에는 영향이 없다.
[0019]
이 결과 위사감지구 성능이 향상되어 오동작이 감소된 수명이 반영구적인 광 센서를 이용하게 되므로서 보수작업의 감소로 인한 보수부품대 및 인건비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워트젯트 직기의 가동률이 향상되어 생산량이 증대되고, 위사 쌍올(두올)발생이 감소되고 해서 제직천의 불량률이 낮아지고, 또 보수비용의 절감을 동반(同伴)해서 대폭의 생산비 절감이 달성된다.
[0020]
[고안의 효과]
워터젯트 직기의 노즐의 분사수 또는 경사 위사 및 제직 천을 포함 주위로부터의 물방울이 절개부에 침투하는 것을 비산수 경사 유도면과 경사측면 그리고 비산수 완충 공간에 의해서 방지하고, 개구안내부로부터 멀고 절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절개부를 통해서 투수광하는 투수광기를 배치해서 절개부에 침입하는 물방울의 영향을 되도록 피할수 있게 해서, 진짜(眞) 위사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어 위사 쌍올(두올)발생, 그리고 직기 공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위사가 통과하는 좁은 공간(空間)틈에 직각으로 배치한 투 수광기를 갖는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감지용 감지구에 있어 분사수가 충돌하는 측의 장치면에 비산수를 외부 아래방향으로 유도하는 돌출 구성(構成)의 경사유 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2. 원호형 안내부를 포함한 전기(前記) 위사통과 공간 틈을 덮는 평면 덮개를 전기(前記) 분사수가 충돌하는 측(側) 장치면의 외부에 취부해서 이 덮개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산수 완충 공간을 갖는 청구범위 1항에 기재된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3. 전기(前記) 평면 덮개 아래에 위치하는 전기(前記) 분사구가 충돌하는 측의 장치측면이 충돌비산수를 아래방향으로 비산시키는 경사측면(傾斜側面)을 갖는 청구범위 2항에 기재된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4. 전기(前記) 투수광기의 전기(前記) 공간(空間) 틈 내의 배치 위치가 전기(記) 원호 안내부에서 멀고 전기 공간 틈을 갖는 전기 원호(圓弧) 안내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절개구(切開溝)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청구범위 1항 내지 3항의 어느항에 기재된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KR2019940009715U 1994-04-28 1994-04-28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KR960003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715U KR960003049Y1 (ko) 1994-04-28 1994-04-28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JP7102791A JP2858096B2 (ja) 1994-04-28 1995-04-26 ウォータジェット織機の横糸感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715U KR960003049Y1 (ko) 1994-04-28 1994-04-28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19U KR950030419U (ko) 1995-11-20
KR960003049Y1 true KR960003049Y1 (ko) 1996-04-13

Family

ID=1938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715U KR960003049Y1 (ko) 1994-04-28 1994-04-28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58096B2 (ko)
KR (1) KR9600030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54B1 (ko) * 2008-09-09 2011-06-22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젯트직기의 위사선단부 처리장치
JP5530686B2 (ja) * 2009-09-16 2014-06-2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用の緯糸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676B2 (ja) * 1992-12-18 2001-03-07 北菱電興株式会社 ウオータージェット織機用緯糸検知フィー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19U (ko) 1995-11-20
JPH0841758A (ja) 1996-02-13
JP2858096B2 (ja) 199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1801A (en) Pneumatic cleaning apparatus for looms
KR960003049Y1 (ko) 워터젯트 직기의 위사 감지용 감지구
WO2005080651A1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張力付与装置
KR900008684B1 (ko) 공기압축식 바디통과장치
CN104822869B (zh) 用于监控纬纱的装置和方法
JP3933706B2 (ja) 杼口と緯止め装置の中に緯糸を挿入する際の光学式監視のための方法
KR890000565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US6499512B2 (en) Drop pin for stop motion
EP0255182A2 (en) System of detection of shed closed to shuttle passage in multished looms
CN219772523U (zh) 一种喷水织机的断经视觉检布装置
KR100341465B1 (ko) 물분사식직기의위사검지장치
KR19980077621A (ko) 공기분사직기의 위사탐지장치
CN219079767U (zh) 一种高速无梭织带机
KR200177977Y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감지용 감지구
SU15201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многозевной ткацкой машине
KR100242925B1 (ko) 물분사식 직기용의 위사검지기
KR100509383B1 (ko) 액체 작용장치의 이상검출장치
KR950006370Y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감지장치
CN1323203C (zh) 纬线触件及纬线探测方法
KR890000386Y1 (ko) 워터제트(Water Jet)직기의 위사탐지장치
KR810000142B1 (ko) 유체분사식 직기의 풍면 제거장치
JPS59199843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KR960007863A (ko) 분사수 직기용 광전식 위사 감지기 헤드
KR890000564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JPH042845A (ja) たて糸修復用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20323

Effective date: 200604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60605

Effective date: 2006120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61228

Effective date: 200703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