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564B1 -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64B1
KR890000564B1 KR1019860002427A KR860002427A KR890000564B1 KR 890000564 B1 KR890000564 B1 KR 890000564B1 KR 1019860002427 A KR1019860002427 A KR 1019860002427A KR 860002427 A KR860002427 A KR 860002427A KR 890000564 B1 KR890000564 B1 KR 89000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light
guide passage
detection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314A (ko
Inventor
마모루 아시까와
유기히로 쓰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제1-3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요부 사시도.
제2도는 위입 방향에서 본 종 단면도.
제3도는 요부평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위사검출기의 설치방식을 표시하는 약시평면도.
제5도는 종래의 위사검출기를 표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바디 21a : 수광부로서의 수광소자
18 : 위사검출기 S : 위사안내통로
20,21 : 지지편 T : 경사
20a : 투광부로서의 투광소자 Y : 위사
본 발명은 바디의 정면에 형성된 위사안내통로 내를 분사유체에 의하여 비주(飛走)하는 위사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사유체에 의하여 경사개구내에 위사를 위입하는 젯트직기에 있어서는 위사의 위입상태가 직물품질에 크나큰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위입용 메인노즐(1)로부터 사출된 위사(Y)의 선단이 소정영역까지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이(捨耳)W1의 외측 혹은 사이(捨耳)W1과 직포 W와의 사이에 위사검출기(2)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장치가 예컨데 일본 특개소 57-574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장치에서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선단부에서 위사안내통로 S방향으로 투광소자(3) 및 수광소자(4)를 병렬로 장착함과 동시에 양소자(3)(4)의 앞에 봉상렌즈(5)를 배치한 위사검출기(2)가 슬레이(6)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어 투광소자(3)으로부터 투사된 빛이 봉상렌즈(5)에 의하여 집광된후 위사 Y에 맞고 반사하며, 이 반사광이 봉상렌즈(5)에 의하여 집광된후에 수광소자(4)에 의하여 수광됨으로서 위사 Y의 검출이 진행되도록 되었다. 즉 이 종래 장치는 위사검출 정도를 높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사검출정도의 향상을 도모한 위사검출기(2)를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직포 W혹은 사이(捨耳)W1외측에다 착설할 경우 확실한 위사검출을 시행하기 위하여 위사를 여분으로 위입하지 않으면 안되어 위사의 낭비가 있다. 이러한 위사의 낭비는 못쓰게 되는 위사를 될수 있는한 없앨려는 현상에 적합하지 못하는 것이다.
더우기 위사 Y의 선단이 이 위사검출기(2)의 설치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서도 정상적 직포형성이 진행된다는 이상현상으로 포촉할 필요가 없는 소위 엔드미스의 경우에도 위입미스 발생으로 잡히어 직기의 운전이 정지되고 만다. 이와같은 불필요한 운전정지는 직기의 가동 효율 저하를 가져옴과 동시에 직기의 정지 및 기동시에 있어서 직포의 직단 발생비율을 높이고 직물품질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위사검출기(2)를 직포 W의 외측에 착설한 경우도 조기에 위사검출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위입마스의 검출타이밍은 위사선단부의 도달타이밍에 맞추어야하는 바, 예컨데 위사의 선단이 직포의 반밖에만 도달하지 않았을때에도 그 위입리미스검출은 위사선단의 위사검출기의 설치위치에 도달한다고 예상되는 시기에 시행해야하며 위입미스검출이 늦어지고 그후의 기대제어에 대응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위입미스의 조기검출을 하기 위하여서는 위사검출기를 직포의 직폭영역내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나, 전기한 종래장치에서는 경사를 가려서 경사 개구내에로의 진입이 안되므로 이러한 대응은 불가능하다. 일본 특공소 54-24501호 공보에는 경사의 상방영역에서 바디의 상부에 투광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경사의 하방영역에 수광부를 설치하고, 투광이 경사의 하방영역의 수광소자에 수광되도록한 위사 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어 이 종래장치는 직포의 직폭내에서의 위사검출을 가능토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밀접하게 배열된 경사군을 통과하는 투광을 사용하여 한가닥의 위사를 검출하는 방식은 검출정도에 신뢰성이 없고 확실한 위사검출을 기대할수 없다는 결함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위사안내통로 방향으로 경사를 가려서 경사 개구내에로 진입할수 있는 일대의 지지편을 간격을 두어 병설하고, 한쪽의 지지편의 선단부에 투광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지지편의 선단부에 수광부를 설치하여 이들 투수광부의 광축을 전기 위사 안내통로내에 지향시키고 전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된 빛을 위사에 맞게하여 반사시켜 이 반사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함으로서 위사 안내통로내의 위사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즉 바디가 바디치기후에 후퇴시 전기투수광부를 비치한 일대의 지지편이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경사군을 가려서 동개구내에 진입하게 되고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위사안내통로를 비주안내되어온 위사의 선단이 양 지지편의 설치위치에 도달하면 위사가 검출되고 위사선단이 양지지편의 설치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위입미스가 발생하였다는 경우에는 투수광부로부터의 위입미스 검출신호에 따라 직기의 운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대제어는 위입미스의 조기검출에 의하여 용이하게 대처할수가 있다. 이때 양지지편에 의하여 가려진 경사의 일부는 양지지편의 사이에 진입하게되어 직포의 경사 방향의 힘줄(筋)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위사를 경사개구 내에서 검출할수가 있음으로 경사외에서 위사를 검출한다는 종래의 검출방식에서 문제가 되어왔던 위사의 낭비가 해소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한가지 실시예를 제1도-3도에 따라 설명한다. 슬레이(11)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위입용 메인노즐로부터 사출된 위사 Y를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 바디(12)가 입설되어 있다. 즉 바디(12)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디살(13)전면에 요입상 안내공(13a)가 형성되어 있고, 동공(13a)의 열에 의하여 위사 Y의 안내통로 S가 형성되어 있다. 슬레이(11)의 전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장착홈(11a)가 형성되어 있어 바디(12)와 대응해서 복수의 지지부럭(14)(도면에서는 하나만 표시함)가 장착홈(11a)내에 감입된 볼트(15) 및 넛트(16)에 의하여 장착홈(11a)에 따라서 슬라이드 위치조정 가능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블럭(14)에는 보조노즐(17)이 상하방향으로 삽통고정되어 있어 동노즐(17)선단의 분사공(17a)가 위사안내통로 S의 근방에 배치되고, 동분사공(17a)로부터의 보조분사 유체가 위사안내통로 S내로 위입된 위사 Y의 비주(飛走)를 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직포 W를 형성하는 경사 T군의 내측(본 실시예에서는 직포 W의 반위입측의 포지의 단부 부근)과 대응하는 위치에 슬레이(11)의 전면에는 위사검출기(18)이 볼트(24) 및 넛트(25)에 의하여 장착홈(11a)에 따라서 슬라이드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위사검출기(18)은 지지판(19)와 동지지판(19)의 한쪽에 돌설된 장착부(19a)에다 위사안내통로 S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로 장착고정된 일대의 지지편(20)(21)과 한쪽의 지지편(20)의 선단부에 매설된 투광소자(20a)와 다른쪽의 지지편(21)의 선단부에 매설된 수광소자(21)과 동 수광소자(21a)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회로를 가진 기판(22)로 구성되어 있고, 기판(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터미날부(22a)에는 도시하지 않은 발광출력회로 및 제어회로에 접속된 리이드선(2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하여 양지지편(20)(21)의 선단은 위사안내통로 S의 하부근방에 배치되어 있어 제3도에 화살표로 표시하도록 투광소자(20a) 및 수광소자(21a)의 광축이 위사안내통로 S내를 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위입시기는 제1, 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지지편(20)(21)의 선단부가 경사를 가려서 경사개구 내에로 진입하게하며, 투광소자(20a)로부터는 빛이 상시투사되게 되어있다. 위사 Y의 선단이 사이(捨耳)W1의 외단위치에 도달한다는 정상적 위입이 될경우에 전기투광이 동위사 Y에 의하여 반사됨과 동시에 이 반사광이 수광소자(21a)에 의하여 수광되고, 변환신호가 전기 제어회로측에 보내진다.
따라서, 위입이 정상이라고 판단되고 직성동작이 속행된다. 어떠한 이유에 의하여서든 위사 Y의 선단이 위사검출기(18)의 설치위치까지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위사 Y에 의한 투사광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수광소자(21a)로부터는 변환신호가 전기제어 회로쪽에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입미스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어 직기의 운전이 정지된다. 통상 젯트직기와 같은 고속직기에서는 각부의 파손방지를 고려하여 어느정도 기대를 타성회전한 후에 기대를 정지하도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개대의 타성회전중에 위입미스된 실뿐만 아니라 동 미스된 실에 연속하는 위사까지도 직포에 직조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다. 직포에 직조되어 들어간 미스된 실을 제거 하는데는 동 미스된 실이 계속하여 직조되어 들어가버린 위사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러한 제거작업은 대단히 번잡하고 직기의 가동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실시예와 같이 직포의 직폭영역 내에서 위입미스를 조기에 검출하면 그만큼 빨리 기대를 정지시킬수가 있어 정지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위사검출이 직포의 직폭영역 내에서 시행되기 때문에 여분위사를 위입함이 없이 위사검출을 할수가 있어서 위사의 낭비를 회피할수가 있다. 또한 위사 Y의 선단이 직포 W의 사이(捨耳)W1위치에 도달하지는 않으면서 정상적 직포형성이 진행한다는 이상상태로서 잡을 필요가 없는 소위 엔드미스가 발생한 경우나 직물단부에 정상조직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품질적으로 특히 문제시하지 않는 직물의 엔드미스등에도 동위사 Y는 직포 W를 형성하는 경사 T군의 내측에 배설된 위사 검출기(18)에 의하여 검출되고 직기의 운전이 속행된다. 따라서 가동효율 저하를 회피할수 있는 동시에 직기의 정지 및 기동시에서의 직포의 직단발생비율을 억제하며 직물품질의 저하를 방지할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사안내통로 S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일대의 지지편(20)(21)의 선단부에 투수광부를 분리하여 착설한 것에 의하여 위사 Y를 비주(飛走) 안내하는 위사 안내통로 S에 대하여 투광부(20a) 및 수광부(21a)의 어느것이든 같은 정도로 가급적 근접시킬수 있게되어 위사검출 정도가 향상한다.
그리고 일대의 지지편(20)(21)에 의하여 가려지는 경사 T의 일부는 양지지편(20)(21)간의 간극에 진입하고 경사 T의 가려지는 정도가 균일화 된다. 따라서 직포 W에는 경사방향으로 힘줄(筋)이 발생하는 일이없고 직포 W의 품질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위사검출기(18)을 슬레이(11)의 장착홈(11a)에 따라서 장착위치를 조정할수 있기 때문에 직폭변경에 따라 위사검출기(18)을 적의 위치에다 용이하게 변경할수가 있다.
본 발명은 물론 전기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직폭영역내에 전기와같은 위사검출기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서 한개의 위사검출기의 위사검출미스를 다른 위사검출기에 의하여 정정한다고 하는 위사검출기간의 위입미스검출 시스템화가 가능하게 되며, 또는 이들 복수의 위사검출기로부터 위사검출 신호를 예컨데 오시로스코오프에 현상시켜서 위사의 속도를 계측한다든가 위사선단의 소정위치에로의 도달타이밍을 알수 있게되고 직폭변경 실종류 혹은 실번수등에 따라 보조노즐(17)의 분사타이밍을 적정하게 설정할수가 있다.
더욱이 위사검출기의 설치위치를 위입용 메인노즐측에 근점시킴으로서 위입미스를 한층더 조기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기실시예와 같이 투광부 및 수광부를 각각 다른 지지편에다 설치하는 구성에만 한하지 않고, 경사를 가려서 진입할 수 있는 지지편이라면 단일체인 지지편의 선단부에 투광부 및 수광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위사검출기는 종래와 같이 직폭영역외에도 사용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위사검출 장치에서는 그 투광부를 직폭영역 내에서 경사 개구 내에로 진입가능토록 하였으므로 위입미스를 조기에 검출하여 그뒤의 기대제어를 용이하게 시행할수가 있고 직포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않는 위입미스(엔드미스) 발생기에 기대를 정지시키는 일없이 직성동작을 속행하여 가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대정지에 동반하여 일어나기 쉬운 직단의 발생비율을 억제하여 직포의 품질을 향상시킬수가 있으며, 더욱이 위사의 낭비를 회피할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위사안내 통로내를 분사유체에 의하여 비주(飛走)되는 위사를 검출하기 위하여 반사식 투수광장치를 설비한 젯트직기의 위사검출장치에 있어서 경사를 가려서 경사개구내에 진입할 수 있는 지지편을 전기안내통로의 직전측에 배설하고, 전기지지편의 선단부에 투광부 및 수광부를 설치하여 이들 투광부의 광축을 전기위사 안내통로 내에로 지향시킨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KR1019860002427A 1985-04-05 1986-03-31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KR890000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73005A JPS61231247A (ja) 1985-04-05 1985-04-05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JP60-73005 1985-04-05
JP73005 1985-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14A KR860008314A (ko) 1986-11-14
KR890000564B1 true KR890000564B1 (ko) 1989-03-21

Family

ID=1350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427A KR890000564B1 (ko) 1985-04-05 1986-03-31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31247A (ko)
KR (1) KR8900005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1289B2 (ja) * 1979-01-19 1983-07-05 鳥居化成有限会社 螺旋波付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装置
JPS55146484U (ko) * 1979-04-03 1980-10-21
JPS55142750A (en) * 1979-04-19 1980-11-07 Nissan Motor Weft yarn detecting apparatus of loom
JPS5831289U (ja) * 1981-08-24 1983-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用案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62620B2 (ko) 1990-12-26
JPS61231247A (ja) 1986-10-15
KR860008314A (ko) 198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284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weft yarn in a jet loom
KR930012223B1 (ko) 직기의 위사 검지 장치
KR850001118B1 (ko) 직기의 위사검지장치
US49848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monitoring a knitted article
US4188981A (en) Weft yarn sensor
JPH07117927A (ja) 糸切れ検出方法とその装置
KR890000564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KR890000565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검출장치
US61705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monitoring filing yarns
JP3094457B2 (ja) 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H0262622B2 (ko)
US3590882A (en) Optical weft stop motion for a weaving machine
JPS6119842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装置
KR20010030560A (ko) 하네쓰요소들의 아이렛들을 정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262621B2 (ko)
KR19980077621A (ko) 공기분사직기의 위사탐지장치
JP3545651B2 (ja) 吹き切れ検知フィーラの吹き切れ検知用閾値の設定方法
JPS61252343A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検出方法
JP3817914B2 (ja) 織機における織布検反装置
JPS628541B2 (ko)
JPH0317942B2 (ko)
JPH0643116A (ja) 検反装置
DD249158A3 (de)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zur erkennung von schussfadenbruechen an wellenfachwebmaschinen
JPH03260145A (ja) 織布の検反装置
JPH0382853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