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191B1 -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191B1
KR101042191B1 KR1020090075843A KR20090075843A KR101042191B1 KR 101042191 B1 KR101042191 B1 KR 101042191B1 KR 1020090075843 A KR1020090075843 A KR 1020090075843A KR 20090075843 A KR20090075843 A KR 20090075843A KR 101042191 B1 KR101042191 B1 KR 10104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ied
vehicle electrical
supplied again
per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180A (ko
Inventor
유장호
유병섭
최현정
백흥재
Original Assignee
백경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경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다가 다시 공급받는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재부팅이 없어 시스템 안정화에 도움을 주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 수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시점의 지연도 발생하지 않는다.
차량, 전기전자제품, 전원 제어, 보조 전원

Description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Power in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다가 다시 공급받는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은 내비게이션, GPS, 하이패스, TV, 영상 블랙박스 등과 같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은 대부분 차량의 시가잭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키를 꽂은 후에 아래에 설명한 2단계 위치로 돌렸을 경우에,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은 차량 배터리로부터 시가잭을 통해 기본적인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키를 꽂는 위치는 보통 4 가지의 단계(즉, LOCK, ACC(Accessory), ON, START)로 이루어져 있는데, 1단계(즉, LOCK)는 차량의 시동키를 최초 꽂는 위치로 핸들을 고정시키고 전원을 오프시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을 공급받지 못하는 위치이며, 2단계(즉, ACC)는 방향지시등, 라이트, 카 오디오 등의 소용량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기본적인 전원을 공급받는 위치이며, 3단계(즉, ON)는 전원을 완전 개방하여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차량의 모든 전장품에 공급하는 위치이며, 4단계(즉, START)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스타터(즉, 시동을 거는 모터)에 공급하여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켜 줄 때만 돌리는 위치로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매우 많이 소비되는 위치이다. 특히, 차량의 시동키를 3단계에서 4단계로 돌릴 경우에, 차량 엔진을 안정적으로 구동시켜 주기 위해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모든 전장품으로 공급하던 전원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단지 스타터로만 공급하여 차량 엔진을 구동시킨 후에,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다시 차량의 모든 전장품으로 공급하고, 이때 차량의 시동키는 다시 3단계로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시가잭에 꽂혀 시가잭을 통해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차량의 시동키가 꽂혀 있는 위치가 2단계 또는 3단계에 있어야만 차량 배터리로부터 시가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은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즉 차량의 시동키를 2단계에서 1단계로 돌리는 경우나 차량 엔진의 정지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키를 3단계에서 4단계로 돌리는 순간에,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은 대부분 시스템의 안정적인 종료를 위해서 내부에 구비되어 있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보조 전원(예를 들어, 충전 배터리, 슈퍼갭(Super Capacity), 축전기(Condenser) 등)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안전하게 마무리한 후에 종료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을 잠깐 동안(예를 들어, 수 초 이내) 공급받지 못한 후에 다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키를 2단계에서 1단계로 돌렸다가 다시 2단계로 돌리는 경우, 차량 엔진의 정지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키를 3단계에서 4단계로 돌린 후에 3단계로 되돌아가는 경우 등),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동작을 수행하다가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잠깐 동안 공급받지 못할 때에는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안전하게 마무리한 후에 종료하게 되며, 다시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을 새로이 부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을 잠깐 동안 공급받지 못한 후에 다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 내 또는 별도로 보조 전원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동작을 종료하였다가 다시 처음부터 부팅해야 하며, 이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이지만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 수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프로그램 부팅 도중에 전원을 잠깐 동안 공급받지 못한 후에 다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프로그램 부팅을 종료하였다가 다시 처음부터 부팅해야 하며, 이로 인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시점도 그 만큼 늦어지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다가 다시 공급받는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부팅 등)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다가 다시 공급받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기전자제품 내 또는 별도로 구비된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재부팅 없이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을 경우에 보조 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그 설정된 시간 동안에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며, 이때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그 설정된 시간 내에 공급되는 경우에 프로그램 재부팅 없이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그 설정된 시간 내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그 동작을 안전하게 마무리한 후에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고 상기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전원 이 다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확인된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 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소정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확인된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 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고 상기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다가 다시 공급받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기전자제품 내 또는 별도로 구비된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재부팅 없이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재부팅이 없어 시스템 안정화에 도움을 주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 수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시점의 지연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10), 전원 감지부(120), 스위치부(130), 메모리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10)는 카메라,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오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해 준다.
전원 감지부(120)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즉, 주 전원 또는 제1전원)이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50)에 통보한다.
스위치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 또는 차단하거나, 내부 또는 별도로 구비된 보조 전원(또는, 제2전원)을 스위칭 또는 차단해 준다.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즉,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수행하는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부(140)는 실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환경 내에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수행 중인 동작을 계속 수행할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예를 들어,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10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10초 동안 더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8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5초 동안 더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30% 미만인 경우에 그 동작을 더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등과 같이,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 별 동작 수행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다르게는, 메모리부(140)는 실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환경 내에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대기 상태(Stand-by State)를 유지시켜 주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데, 여기서 대기 상태란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수행 중인 동작을 모두 마무리한 후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100%인 경우에 10초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80%인 경우에 5초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30% 미만인 경우에 대기 상태를 두지 않도록 하는 등과 같이,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 별 대기 상태 유지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메모리부(140)는 실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환경 내에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수행 중인 동작을 잠시 정지(즉, 일시 정지)시켜 두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 다. 예를 들어,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100%인 경우에 10초 동안 수행 중인 동작을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80%인 경우에 5초 동안 수행 중인 동작을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30% 미만인 경우에 일시 정지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등과 같이,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 별 일지 정지 수행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차량 배터리의 전원(즉, 제1전원)을 공급받아, 데이터 처리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거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TV, 내비게이션 등)로 출력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보조 전원(즉,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제2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즉,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제2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즉, 메모리부(140)에 미리 설정해 둔 시간)만큼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며, 제2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제2전원의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며, 해당 제2전원을 이용하여 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해당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며, 제2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제2전원의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제2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며, 제2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제2전원의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제2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 지 않은 경우에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소정의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며, 이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소정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며, 해당 제2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제2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며, 이에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제2전원의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며, 해당 제2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만큼 그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며, 소정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소정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1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함과 동시에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며, 제2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며, 이에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제2전원의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 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은 경우에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 2 내지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스위치부(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은 또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보조 전원(예를 들어, 충전 배터리, 슈퍼 커패시터, 축전기 등)이 완충 상태가 될 때까지 해당 보조 전원에 충전되어진다.
여기서, 동작이라 함은,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10)가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부(150)가 해당 데이터를 가공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등과 같은 과정을 말하거나, 최초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150)가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부팅하는 등과 같은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 요인(예를 들어, 차량 충돌 등)또는 내부 요인(예를 들어, 전원 라인의 단락 등)에 의하여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면, 전원 감지부(120)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50)에 통보하게 한다. 또한, 잠시 후에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다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전원 감지부(120)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50)에 통보하게 된다.
첫 번째 예를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50)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도중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201).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 동시에,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며(S202), 해당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다(S203).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측의 인터페이스를 차단하고, 데이터 처리부(110)에서 처리되어 임시 메모리(즉, 임시 버퍼(예를 들어, RAM, SDRAM 등))에 저장된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공한 후에,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시켜 메모리부(140)에 저장한 후에 파일 닫기를 수행하거나,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한 후에 차량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TV, 내비게이션 등)로 출력한 후에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를 차단하는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 측 및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 차단은 제 어부(150)에서 소프트웨어적(예를 들어, 전원 오프에 의한 인터페이스의 구동 자체를 차단함)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예를 들어, 스위치 오프에 의한 라인 자체를 단락시킴)으로 수행 가능함을 잘 이해해야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최초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150)가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부팅하는 동작을 수행 중인 경우, 현재 수행 중인 동작(즉, 부팅 프로그램 수행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준다. 즉, 현재까지 수행했던 부팅 프로그램을 임시 메모리에 저장해 주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204).
이때,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다면,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다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203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205).
여기서, 상술한 단계 S205에서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차단했던 입력 측 및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를 다시 개방하고, 데이터 처리부(110)에서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며, 해당 데이터를 가공하여 파일로 생성시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거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 메모리에 저장해 둔 부팅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해당 부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연속적으로 부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4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다면,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더 이상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 경우, 제어부(150)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203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S206),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상술한 단계 S203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S207).
두 번째 예를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50)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301).
그리고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동시에(S302), 해당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을 확인한다(S303).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며(S304), 이와 동시에 해당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305).
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10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10초 동안 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8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5초 동안 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다르게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예를 들어, 30%)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즉, 상술한 단계 S304)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고 상술한 단계 S305의 동작(즉, 소정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또는 하기할 단계 S307의 동작을 바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으면(즉, 설정된 시간 내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다시 공급받은 경우), 제어부(150)는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306).
반면에,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거나(즉, 설정된 시간 내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더 이상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 경우이거나),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150)는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다(S307).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308).
이때, 상술한 단계 S308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다면(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다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307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309).
반면에 , 상술한 단계 S308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다면,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더 이상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307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S310).
세 번째 예를 도 4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50)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며(S401), 이와 동시에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며(S402), 또한 해당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다(S403).
이때, 제어부(150)는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404).
만약에, 상술한 단계 S404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다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403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405).
반면에 , 상술한 단계 S404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다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403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마무리 작업 시에 이용했던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을 확인한다(S406).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402인 보조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해당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을 확인할 수도 있고, 또한 상술한 단계 S403인 마무리 작업을 수행한 후에 바로 해당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을 확인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406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Stand-by State)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며(S407), 이와 동시에 해당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408).
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406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10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10초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8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5초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다르게는, 상술한 단계 S406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예를 들어, 30%)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즉, 상술한 단계 S407)을 더 수행하지 않도록 하고 상술한 단계 S408의 동작(즉, 소정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또는 하 기할 단계 S409의 동작을 바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단계 S408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거나, 상술한 단계 S406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S409).
반면에 , 상술한 단계 S408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다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405로 복귀하여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네 번째 예를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50)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501).
그리고 상술한 단계 S501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통보받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치부(130)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동시에(S502), 해당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을 확인한다(S503).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5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며(S504), 이와 동시에 해당 설정된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505).
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5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10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그 동작을 일시 정지한 채 10초 동안 유지시켜 주도록 하며,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80%인 경우에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그 동작을 일시 정지한 채 5초 동안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다르게는, 상술한 단계 S5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예를 들어, 30%)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즉, 상술한 단계 S504)을 더 수행하지 않도록 하고 상술한 단계 S505의 동작(즉, 소정 시간 동안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또는 하기할 단계 S507의 동작을 바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상술한 단계 S505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다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504에서 수행한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506).
반면에, 상술한 단계 S505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거나, 상술한 단계 S503에서 확인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150)는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504에서 일시 정지했던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다(S507).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는지를 확인한다(S508).
이때, 상술한 단계 S508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았다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507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509).
반면에 , 상술한 단계 S508에서 전원 감지부(120)로부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다시 공급됨을 통보받지 않았다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507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S509).
한편, 상술한 예들은 각기 수행할 수도 있고, 또한 상술한 예들 중 2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조합 내지 병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순서도에서 단계 S203인 마무리 작업을 수행한 다음에, 도 3의 순서도에서 단계 S304인 확인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의 순서도의 단계 S307, 또는 도 4의 순서도의 단계 S408, 또는 도 5의 순서도의 단계 S507에서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도 2의 순서도에서 단계 S206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프로그램 종료 및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술한 두 번째의 예에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과 상관없이 소정의 시간만큼 동작을 연속으로 수행한 후에 바로 그 동작의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세 번째의 예에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과 상관없이 소정의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킨 후에 바로 프로그램 종료 및 보조 전 원 차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네 번째의 예에서 보조 전원의 충전 용량과 상관없이 소정의 시간만큼 동작을 일시 정지시켰다가 바로 그 동작의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부팅 등)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잠시 끊겼다가 다시 공급받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기전자제품 내 또는 별도로 구비된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재부팅 없이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서, 그리고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전원이 끊기는 경우에 보조 전원의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그 설정된 시간 동안에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며, 이때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그 설정된 시간 내에 공급되는 경우에 프로그램 재부팅 없이 연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그 설정된 시간 내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그 동작을 안전하게 마무리한 후에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 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데이터 처리부
120: 전원 감지부
130: 스위치부
140: 메모리부
150: 제어부

Claims (14)

  1.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고 상기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3.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5.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7.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고 해당 확 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더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8.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 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9.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소정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10.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 행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11.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13.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제1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의 용량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용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상기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상기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미만인 경우나,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전원이 다시 공급되지 않고 상기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제2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090075843A 2009-08-17 2009-08-17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042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43A KR101042191B1 (ko) 2009-08-17 2009-08-17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43A KR101042191B1 (ko) 2009-08-17 2009-08-17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80A KR20110018180A (ko) 2011-02-23
KR101042191B1 true KR101042191B1 (ko) 2011-06-20

Family

ID=4377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43A KR101042191B1 (ko) 2009-08-17 2009-08-17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2440B2 (en) 2012-07-23 2015-07-14 Seagate Technology Llc Using first and second resistive sensor bias levels to detect head-to-disk contact and/or clearance
KR101492159B1 (ko) * 2014-03-19 2015-02-12 주식회사 티노스 Avn 시스템 전원 차단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737A (ko) * 2000-09-13 2003-05-16 쉬플리 캄파니, 엘.엘.씨. 전자 디바이스 제조
KR200338737Y1 (ko) 2003-08-12 2004-01-24 노창균 차량용컴퓨터 전원제어장치
KR20070089413A (ko)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부팅 및 전원 관리 장치와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737A (ko) * 2000-09-13 2003-05-16 쉬플리 캄파니, 엘.엘.씨. 전자 디바이스 제조
KR200338737Y1 (ko) 2003-08-12 2004-01-24 노창균 차량용컴퓨터 전원제어장치
KR20070089413A (ko)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부팅 및 전원 관리 장치와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80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4223A1 (en) Automatic on/off switch for vehicle power outlets
JP2015038639A (ja) 電源制御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リセット制御方法
JP2009255742A (ja) 電池状態判定装置
JP6319113B2 (ja) 電力制御装置
KR101042191B1 (ko)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JP2006205795A (ja) 電源制御装置
CN108540664B (zh) 一种开机方法及电子设备
JP6430896B2 (ja) 電子機器のスタンバイ処理制御装置およびスタンバイ処理制御方法
JP2008290513A (ja) 電力制御装置及び車載電子機器システム
CN113189907A (zh) 一种车载系统恢复方法和装置
CN104375920A (zh) 启动时具有错误检测功能的多媒体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241361B (zh) 一种车辆电源控制方法、控制器及车辆
KR101076395B1 (ko)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JP2019215628A (ja) 車載装置、車載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WO2016013155A1 (ja) 車両用装置及び状態遷移プログラム製品
JP6231752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およびデバイス制御方法
KR101492159B1 (ko) Avn 시스템 전원 차단 제어장치
JP2017013695A (ja) 車載装置
KR0170747B1 (ko) 전원 온/오프 변환 방지 방법
JP3775001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58222B2 (ja) 車載用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2013177822A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US10086717B1 (en) Electric power system for transportation
JP7261080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TWI639289B (zh) Power system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