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395B1 -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395B1
KR101076395B1 KR1020090080350A KR20090080350A KR101076395B1 KR 101076395 B1 KR101076395 B1 KR 101076395B1 KR 1020090080350 A KR1020090080350 A KR 1020090080350A KR 20090080350 A KR20090080350 A KR 20090080350A KR 101076395 B1 KR101076395 B1 KR 10107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vehicle
capacity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867A (ko
Inventor
유장호
유병섭
최현정
백흥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라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라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라컴
Priority to KR102009008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3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한계치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한계치 이하인 경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 경우, 스위치 온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시켜 줌과 동시에,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의 주 전원과 보조 전원 간 스위칭 동작이 필요 없어, 이에 따른 스위칭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중요한 영상의 손실, 그리고 제품 수명 단축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영상기록, 전원 제어, 배터리

Description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Power in an Video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데, 이때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가 대부분 차량의 시가잭(또는,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키를 꽂아 ACC(Accessory) 단계로 돌리는 경우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차량의 시가잭을 통해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공급받는 전원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인 주 전원과,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에 구비되어 있는 슈퍼-갭(Super Capacitor) 등과 같은 축전지로부터 공급받는 보조 전원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 전원은,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가 차량 배터리로부터 주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갑자기 주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소정 시간 동안 더 수행하도록 하거나,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안전하게 마무리한 후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즉, 동작 제어 관련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종료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전원을 말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주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다가,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던 주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전원 공급라인이 바로 슈퍼-갭으로 스위칭되어 슈퍼-갭으로부터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안전하게 마무리한 후에 시스템을 종료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키를 꽂아 ACC 단계로 돌리면, 전원 공급라인이 차량 배터리 측으로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시가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되며, 이에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비디오 데이터로 임시 메모리(즉, 임시 버퍼(예를 들어, RAM, SDRAM 등))에 저장하였다가, 해당 비디오 데이터가 일정 용량까지 저장된 경우에 이를 판독하여 가공한 후에, 해당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시켜 메모리(즉, 영구저장 메모리(예를 들어, NAND, SD 카드 등))에 저장한 후에 파일 닫기를 수행하거나, 해당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해당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TV, 내비게이션 등)로 출력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 상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다가,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전원 공급라인을 슈퍼-갭 측으로 연결시켜, 슈퍼-갭으로부터 보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에 카메라 측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차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 차단 전까지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임시 메모리에 저장되어진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공한 후에, 해당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시켜 영구저장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파일 닫기를 수행하거나, 해당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한 후에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해당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한 후에 외부 기기 측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차단하는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며, 그런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 제어 관련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보조 전원을 차단시켜 준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의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 슈퍼-갭으로 스위칭 전환되어 슈퍼-갭으로부터 보조 전 원을 공급받아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슈퍼-갭으로의 스위칭 전환 시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예를 들어, 슈퍼-갭으로의 스위칭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슈퍼-갭 자체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슈퍼-갭의 충전 용량이 불충분한 경우, 슈퍼-갭이 불량인 경우 등등), 마무리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게 되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중요한 영상을 손실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의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면 슈퍼-갭으로부터 보조 전원을 공급받아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통해 더 이상 영상을 입력받지 못하게 되며, 이에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의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에 따라 슈퍼-갭과 같은 축전지로의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므로, 슈퍼-갭으로의 스위칭 전환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이에 따른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와 상관없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용의 자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전용으로 자체 배터리(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가능한 충전 배터리)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의 별도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으며, 이때 해당 배터리의 용량을 체크하며, 해당 체크된 배터리 용량에 따라 충전 및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와 상관없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슈퍼-갭과 같은 축전지로의 스위칭 시에 에러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중요한 영상이 손실될 염려가 없고 또한,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일도 없으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체 배터리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용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한계치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한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 경우, 스위치 온시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용 배터리에 충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없이 상기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용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고 기 설정된 한계치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고 기 설정된 한계치보다 큰 경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 온시켜 상기 전용 배터리가 만충될 때까지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전용 배터리가 만충되면, 스위치 오프시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 배터리가 만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계속 공급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계속 공급받고 있는 경우에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과 상기 전용 배터리 충전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다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이러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다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이러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고 기 설정된 한계치보다 크면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없는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다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의 주 전원과 보조 전원 간 스위칭 동작이 필요 없어, 이에 따른 스위칭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중요한 영상의 손실, 그리고 제품 수명 단축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또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여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를 위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10), 배터리부(120), 스위치부(130), 메모리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달해 준다.
배터리부(120)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동작(즉,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해 준다.
다르게는, 배터리부(120)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공급체(예를 들어, 태양열 축전지, 차량의 배터리, 별도의 축전지 등)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가능한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부(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에, 해당 충전된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해 준다.
또한 다르게는, 배터리부(120)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외부에 별도의 배터리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하며, 이때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해 주며, 태양열 축전지, 차량의 배터리, 별도의 축전지, 대용량 배터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위치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주거나 차단한다.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즉,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40)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가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동작에 대한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배터리부(120)를 충전해야 할 기준이 되는 용량(즉, 기준치)을 실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예를 들어,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30%인 경우를 기준치로 설정해 두며, 이에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30%인 경우에 전원이 스위치부(120)를 통해 배터리부(120)에 충전되도록 한다.
다르게는, 메모리부(140)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가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한 후에 동작 제어 관련 프로그램(즉,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안정적인 종료를 수행해야 할 한계가 되는 배터리부(120)의 용량(즉, 한계치)을 실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예를 들어, 배터리부(120) 의 충전 용량이 5%인 경우를 한계치로 설정해 두며, 이에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5%인 경우에 마무리 작업 및 프로그램 종료가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예를 들어, 대용량 배터리, 태양열 축전지, 차량의 배터리, 별도의 축전지 등)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가공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거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TV, 내비게이션 등)로 출력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최초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온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의 배터리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며, 해당 체크한 배터리 용량이 메모리부(140)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를 체크한 배터리 용량이 메모리부(140)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온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주도록 하며, 그런 후에 배터리부(120)가 만충(Full) 상태가 되면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오프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 부(150)는 배터리부(120)를 충전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통해 표시해 주거나 음성 출력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통해 출력해 준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배터리부(120)를 체크한 배터리 용량이 메모리부(140)에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배터리부(120)가 스위치부(130)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다시 공급받는지를 확인하여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온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그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배터리부(120)가 스위치부(130)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다시 공급받지 않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즉,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한계치에 도달해 동작을 종료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 주거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해 준다.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용량(예를 들어, 10%)에 미리 알려 주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 주거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 어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최초 전원이 외부 전원 공급체(예를 들어, 태양열 축전지, 차량의 배터리, 별도의 축전지 등)로부터 공급되면,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온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줌과 동시에, 배터리부(120)에 충전된 전원을 가지고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동작(즉,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해 주게 된다.
이에, 카메라부(1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부(110) 측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개방하고, 카메라부(110)에서 처리되어 전달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임시 메모리(즉, 임시 버퍼(예를 들어, RAM, SDRAM 등))에 저장하고, 임시 메모리의 용량만큼 비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었을 때에 해당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공한 후에,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시켜 메모리부(140)에 저장한 후에 파일 닫기를 수행하거나,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를 개방시켜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TV, 내비게이션 등)로 출력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르게는,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와 상관없이,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부(120), 예를 들어 대용 량 배터리, 태양열 축전지, 차량의 배터리, 별도의 축전지 등에서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해 주게 되며, 이에 카메라부(11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에 대하여 현재 남아 있는 배터리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도록 한다(S201).
그러면,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체크한 배터리 용량이 메모리부(140)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30%인 경우)보다 큰지를 확인한다(S202).
만약에, 상술한 단계 S202에서 확인한 배터리 용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S203), 다시 상술한 단계 S201로 복귀하여 배터리부(120)의 용량을 체크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2에서 확인한 배터리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체크한 배터리 용량이 메모리부(140)에 설정되어 있는 한계치(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5%인 경우)보다 큰지를 확인한다(S204).
이에, 상술한 단계 S204에서 확인한 배터리 용량이 기준치 이하이고 한계치보다는 큰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스위치부(130)를 통해 배터리부(120)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205).
이에 따라, 상술한 단계 S205에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온시켜 배터리부(120)가 만충 상태가 될 때까지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계속해서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주도록 한다(S206). 또한,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를 충전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 주거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그런 후에,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가 만충 상태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며(S207), 이때 해당 단계 S207에서 배터리부(120)가 만충 상태가 아니면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계속 공급받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208).
그러면, 상술한 단계 S208에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계속 공급받고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206으로 복귀하여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과 충전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술한 단계 S208에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시 상술한 단계 S201로 복귀하여 배터리부(120)의 용량을 체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207에서 배터리부(120)가 만충 상태가 되면,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오프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며(S209), 다시 상술한 단계 S201로 복귀하여 배터리 부(120)의 용량을 체크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5에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만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S210), 다시 상술한 단계 S201로 복귀하여 배터리부(120)의 용량을 체크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204에서 확인한 배터리 용량이 한계치 이하인 경우, 즉,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체크한 배터리 용량이 메모리부(140)에 설정되어 있는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150)는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한다(S211).
예를 들어, 카메라부(110) 측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차단하고, 카메라부(110)에서 처리되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공한 후에,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시켜 메모리부(140)에 저장한 후에 파일 닫기를 수행하거나,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한 후에 차량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해당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한 후에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를 차단하는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 측 및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 차단은 제어부(150)에서 소프트웨어적(예를 들어, 전원 오프에 의한 인터페이스의 구동 자체를 차단함)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예를 들어, 스위치 오프에 의한 라인 자체를 단락시킴)으로 수행 가능함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다시 공급받는지를 확인한다(S212).
이때, 상술한 단계 S212에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다시 공급받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스위칭 온시켜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부(120)에 충전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S213),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S214), 다시 상술한 단계 S201로 복귀하여 배터리부(120)의 용량을 체크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한 단계 S214에서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차단했던 입력 측 및 출력 측의 인터페이스를 다시 개방하고, 카메라부(110)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며,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가공하여 파일로 생성시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거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외부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12에서 스위치부(130)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체로부터 전원을 다시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211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S215),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상술한 단계 S211인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경우에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즉,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및 저장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도록 한다(S216).
이때,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한계치에 도달해 동작을 종료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 주거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20)의 충전 용량이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용량(예를 들어, 10%)에 미리 알려 주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 주거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의 별도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으며, 이때 해당 배터리의 용량을 체크하며, 해당 체크된 배터리 용량에 따라 충전 및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와 상관없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슈퍼-갭과 같은 축전지로의 스위칭 시에 에러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중요한 영상이 손실될 염려가 없고 또한,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일도 없으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체 배터리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 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카메라부
120: 배터리부
130: 스위치부
140: 메모리부
150: 제어부

Claims (6)

  1.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용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한계치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한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 경우, 스위치 온시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용 배터리에 충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마무리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다시 시작하여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없이 상기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2. 삭제
  3.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용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고 기 설정된 한계치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고 기 설정된 한계치보다 큰 경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 온시켜 상기 전용 배터리가 만충될 때까지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전용 배터리가 만충되면, 스위치 오프시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 배터리가 만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계속 공급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계속 공급받고 있는 경우에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과 상기 전용 배터리 충전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다시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다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고 기 설정된 한계치보다 크면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없는 경우, 상기 영상을 처리 및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다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090080350A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07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50A KR101076395B1 (ko)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50A KR101076395B1 (ko)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67A KR20110022867A (ko) 2011-03-08
KR101076395B1 true KR101076395B1 (ko) 2011-10-25

Family

ID=4393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350A KR101076395B1 (ko)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53B1 (ko) * 2013-04-29 2020-02-14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614013B1 (ko) * 2018-10-24 2023-12-14 한화비전 주식회사 비디오 리코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006B1 (ko) * 2004-10-29 2005-10-19 노하우뱅크(주) 차량의 녹화 영상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006B1 (ko) * 2004-10-29 2005-10-19 노하우뱅크(주) 차량의 녹화 영상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67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614B1 (ko) 절전모드가 아닌 동작상태저장과 전원차단으로 구현하는시스템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JP5581577B2 (ja) データ処理装置
CN108540664B (zh) 一种开机方法及电子设备
KR101076395B1 (ko)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JP2005327210A (ja) 電子装置
US20110089922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JP4135510B2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67255B (zh) 一种实现快速启动智能电视机的方法及系统
JPH11110308A (ja) 電源断時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式
JP2015170332A (ja) Nand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制御方法
KR101042191B1 (ko)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JP6231752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およびデバイス制御方法
JP2020196126A (ja) 電動作業機
WO2016013155A1 (ja) 車両用装置及び状態遷移プログラム製品
JP2001333545A (ja) 電源装置、電子機器及びその停止復旧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219693B2 (ja) バーコードハンディターミナル
KR0170747B1 (ko) 전원 온/오프 변환 방지 방법
JP2005339151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4233515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100577800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자동 백업 장치 및 방법
WO2013140570A1 (ja) 車載機器、データ保存方法及びデータ保存プログラム
JP2011076367A (ja) 制御装置、及び装置制御方法
US20190214942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KR101745111B1 (ko) 배터리의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03781A1 (ja) バ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車載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