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629B1 -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629B1
KR101041629B1 KR1020090124232A KR20090124232A KR101041629B1 KR 101041629 B1 KR101041629 B1 KR 101041629B1 KR 1020090124232 A KR1020090124232 A KR 1020090124232A KR 20090124232 A KR20090124232 A KR 20090124232A KR 101041629 B1 KR101041629 B1 KR 10104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opper
mounting bracket
rubber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명
류경민
이병화
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to KR102009012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16Resilient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pports relative to the motor o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입력방향으로 서로에 소정 거리를 구고 배치된 제1 및 제2 부착금구(12, 14)가,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무 탄성체(16)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있는 오리피스 통로(18)를 통해서 서로 연통하게 할 수 있는 수압실(20)과 평형실(22)을 갖추고 있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고무 탄성체, 부착금구, 오리피스 통로, 완충고무, 스톱퍼

Description

엔진마운트{engin moun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토퍼 기구와 장착용의 브래킷을 갖춘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진동 전달계를 구성하는 부재 간에 개재되는 방진연결체 내지는 방진지지체의 일종으로서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서 배치된 제1 부착금구와 제2 부착금구를, 이들 사이에 개재된 본체 고무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한 구조의 마운트 장치가 알려져 있고,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등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운트 장치에 대해서는, 과대한 하중 입력시에 있어서의 본체 고무 탄성체의 변형량을 제한하거나 피연결체의 상대적 변위량을 제한하거나 하기 위해서, 하중 입력 방향으로 제1 부착금구와 제2 부착금구의 상대적 변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구들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마운트 장치에 대해서는, 그 조립 작업성이나 다른 차종에의 적용성 등을 고려해, 제2 부착금구에 대해서 브래킷을 장착하고, 제2 부착금구를 브래킷을 개입시켜 차체에 달고, 제1의 부착금구에 제1스톱퍼를 형성시켜 엔진 유니트에 달고, 제1의 부착금구의 상단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토퍼에 대하 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마주하는 맞닿음부가 형성된 제2스톱퍼를 상기 브래킷에 달고, 상기 제2스톱퍼의 맞닿음부의 내면과 외면에 완충 고무층을 장착시켜, 상기 제2스톱퍼가 제1 부착금구를 에워싸다는 구조가, 매우 적합하게 채용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외주면 상에 부착 다리부 등이 설치된 원통 형상 내지는 유저 원통 형상의 브래킷을, 제2 부착금구 측으로부터 외부 삽입해서 상기 제2 부착금구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코킹 고정 함과 동시에, 브래킷과는 별도의 부재로 된 스토퍼 금구를, 제1 부착금구 측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제2 부착금구에 대한 브래킷의 코킹 부위에 코킹 고정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상기 제2스톱퍼의 맞닿음부의 내면과 외면에만 완충 고무층을 가류공정에 의해 장착시켜, 브래킷의 상단이 제2스토퍼의 하단에 외접되는 코킹 방식에 의한 결합시, 금속 재질인 관계로 방청재로 코팅된 브래킷과 제2스토퍼의 방청층이 벗겨져 브래킷과 제2스토퍼가 부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그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제2스톱퍼의 맞닿음부의 내면과 외면에 후육부인 완충 고무층과 그리고 제2스토퍼의 나머지 분운의 내면과 외면에 박막부인 완충 고무층을 가류공정에 의해 장착시키고, 아울러, 브래킷의 상단을 제2스토퍼의 하단에 내접켜서 코킹 방식에 의한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브래킷과 제2스토퍼 간의 코킹 방식에 의한 결합시, 제2스토퍼의 외면 전체가 박막인 완충 고무층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제2스톱퍼에 대한 방청처리를 배제시켜, 엔진 마운트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 마운트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엔진 마운트가 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엔진 마운트(10)는 진동입력방향으로 서로에 소정 거리를 구고 배치된 제1 및 제2 부착금구(12, 14)가,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무 탄성체(16)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있는 오리피스 통로(18)를 통해서 서로 연통 하게 할 수 있는 수압실(20)과 평형실(22)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엔진 마운트(10)는, 제1의 부착금구(12)가 엔진 유니트 측에, 제2의 부착금구(14)가 차체 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에 의해, 엔진 유니트와 차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되고, 또한, 그러한 장착 상태하에서, 제1의 부착금구(12)와 제2의 부착금구(14)와의 대향 방향(도 1에서, 상하 방향)으로 입력되는 진동에 대해서, 오리피스 통로(18)내를 유동할 수 있는 유체에 의한 방진효과가 발휘 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무 탄성체(16)은, 전체적으로 원추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대경측 단부에서 개구하는 오목부(2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 탄성체(16)에는, 그 소경측 단부에 대해서, 제1의 부착금구(12)가 가류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한편, 그 대경측 단부 외주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되 중간에 방사상 안쪽으로 축경된 단차부(14a)를 갖는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상단 내주면이 가류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부착금구(12)는, 전체적으로 중실의 로드 형상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축방향 중앙부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형상의 제1스토퍼(30)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의 부착금구(12)의 축방향 내단 측은,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32)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부(32)는, 고무 탄성체(16)의 소경측 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입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무 탄성체(16)에 대해서 가류접착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부착금구(12)의 축방향 외단 측에는, 나사가공부가 노출된 상태 에서 볼트(34)가 심어져 있어서, 이 볼트(34)에 의해, 엔진 유니트 측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저벽부에는, 관통공(46)이 형성되고 있음과 동시에, 그 관통공(46)을 복개하도록, 일부가 박막으로 되어 전체적으로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48)이 가류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을 갖는 칸막이 부재(52)가 수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둘레 가장자리부분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뻗어 있는 오리피스 통로(18)가 형성되고 있는 한편,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중앙 부분에는, 고무막 등으로 이루어진 가요성막(60)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칸막이 부재(52)는, 제2의 부착금구(14)가 고무 탄성체(16)와 가류 접착되기 전에,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배열설치에 의해, 상기 칸막이 부재(52)에 대해서 제1의 부착금구(12)가 위치하는 측에는, 벽부의 일부가 고무 탄성체(16)에서 구성되어, 진동 입력시에, 상기 고무 탄성체(16)의 변형에 근거해 내압 변동이 야기되는 수압실(20)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압실(20)과 반대 측에는, 벽부의 일부가 상기 다이어프램(48)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어프램(48)의 변형에 근거해 용적 변화가 허용되는 평형실(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압실(20) 및 평형실(22)의 내부에는, 각각, 물이나 알킬렌 글리콜, 폴리 알킬렌 글리콜, 실리콘유 등의 소정의 비압축성 유체가 봉입되고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상기 오리피스 통로(18)의 양단부가, 상기 수압실(20)과 상기 평형실(22)와에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 통로(18)를 통해서, 이들 수압실(20)과 평형실(22)와의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허용되게 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중앙 부분에 배열 설치된 가요성막(60)의 양면에 대해서 상기 수압실(20 )및 상기 평형실(22) 내의 액압이 각각 미쳐져 상기 가요성막(60)의 변형에 근거해, 상기 수압실(20)과 상기 평형실(22)와의 사이에서의 실질적인 유체의 유동이 허용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 통로(18)내를 유동하게 할 수 있는 유체의 유동 작용에 근거해, 저주파수역의 입력 진동에 대한 고감쇠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요성막(60)의 변형에 수반한 유체의 유동 작용에 근거해, 고주파수역의 입력 진동에 대한 감쇠 효과가 발휘 될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브래킷(70)이 제2의 부착금구(14)의 외측에 외부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70)은 제2의 부착금구(14)보다 후육으로 되어 큰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70)은 제2의 부착금구(14) 및 상기 제1스토퍼(30)를 가릴 수 있도록 외부에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외부에서 삽입된 후 하단 개구의 둘레가장자리가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코킹(caulking)되는 것으로,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에 대해서 코킹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70)에는, 복수개의 다리부(71) 및 가로 분기부(72)가 바 깥쪽으로 향해 퍼지는 상태에서, 용접 등에서 고정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다리부(71) 및 가로 분기부(72)에는, 볼트 삽입관통공(7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각 볼트 삽입관통공(73)에 대해서, 너트(74)가 용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볼트에 의해, 상기 브래킷(70)이 차체 측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70)의 상단에는,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은 플랜지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70)의 상단 개구 외측에는 토큰 형상의 제2스토퍼(84)가 덮혀지게 된다.
상기 제2스토퍼(84)는 둘레가장자리에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코킹(caulking)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70)에 대해서, 즉 상기 브래킷(70)의 플랜지부(75)에 대해서 코킹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84)에는 제1의 부착금구(12) 측으로 내밀어진 플랜지형상의 맞닿음부(88)가, 상기 제1스토퍼(30)에 대해서, 축방향 바깥쪽에 위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스토퍼(84)에는 내면과 외면 전체에 결쳐 고무층(85)이 가류 접착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88) 부근의 내면과 외면에는 상기 고무층(85)과 일체로 된 후육부인 완충고무(8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고무(86)는 상기 제1스토퍼(30)에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도시되지 않은 엔진 유니트와도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상기 제2스토퍼(84)의 맞닿음부(88)는, 마운트 장착 상태하에서, 제1스토퍼(3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멀리해 대향 위치되어, 상기 완충고 무(86)를 통하여 제1스토퍼(30)와 접촉하여, 제1의 부착금구(12)와 제2의 부착금구(14)와의, 이격방향으로의 상대적 변위량 , 나아가서는 고무 탄성체(16)의 신장 변형량이 규제 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엔진 유니트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멀리해 대향 위치되어, 상기 완충고무(86)를 통하여 상기 엔진유니트와 접촉하여, 제1의 부착금구(12)와 제2의 부착금구(14)와의, 접근방향으로의 상대적 변위량, 나아가서는 고무 탄성체(16)의 압축 변형량이 규제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엔진 마운트는 브래킷과 제2스토퍼 간의 코킹 방식에 의한 결합시, 제2스토퍼의 외면 전체가 박막인 완충 고무층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제2스톱퍼에 대한 방청처리를 배제시켜, 엔진 마운트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단면도.

Claims (4)

  1. 진동입력방향으로 서로에 소정 거리를 구고 배치된 제1 및 제2 부착금구(12, 14)가,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무 탄성체(16)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있는 오리피스 통로(18)를 통해서 서로 연통하게 할 수 있는 수압실(20)과 평형실(22)을 갖추고 있는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16)는, 원추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그 소경측 단부에 대해서, 제1의 부착금구(12)가 가류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한편, 그 대경측 단부 외주면에 대해서,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상단 내주면이 가류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부착금구(12)는, 축방향 중앙부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형상의 제1스토퍼(30)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하단의 관통공(46)을 복개하도록, 일부가 박막으로 되어 전체적으로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48)이 가류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외측에는 원통형 형상의 브래킷(70)이 외부에서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되, 상기 브래킷(70)은 제2의 부착금구(14) 및 상기 제1스토퍼(30)를 가릴 수 있도록 외부에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외부에서 삽입된 후 하단 개구의 둘레가장자리가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코킹되는 것으로,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에 대해서 코킹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70)의 상단에는,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은 플랜지부(75)가 형 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70)의 상단 개구 외측에는 토큰 형상의 제2스토퍼(84)가 덮혀지게 되며,
    상기 제2스토퍼(84)는 둘레가장자리에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코킹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70)에 대해서 코킹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스토퍼(84)에는 제1의 부착금구(12) 측으로 내밀어진 플랜지형상의 맞닿음부(88)가, 상기 제1스토퍼(30)에 대해서, 축방향 바깥쪽에 위치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스토퍼(84)에는 내면과 외면 전체에 결쳐 고무층(85)이 가류 접착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88) 부근의 내면과 외면에는 상기 고무층(85)과 일체로 된 후육부인 완충고무(8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고무(86)는 상기 제1스토퍼(30)에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엔진 유니트와도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부착금구(14)의 내부에는, 원반 형상을 갖는 칸막이 부재(52)가 수용 배치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둘레 가장자리부분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뻗어 있는 오리피스 통로(18)가 형성되고 있는 한편, 상기 칸막이 부재(52)의 중앙 부분에는, 가요성막(60)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착금구(12)의 축방향 내단 측은,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32)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부(32)는, 고무 탄성체(16)의 소경측 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입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무 탄성체(16)에 대해서 가류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부착금구(12)의 축방향 외단 측에는, 나사가공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볼트(34)가 심어져 있어서, 이 볼트(34)에 의해, 엔진 유니트 측에 장착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70)은 제2의 부착금구(14)보다 후육으로 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70)에는, 복수개의 다리부(71) 또는 가로 분기부(72)가 바깥쪽으로 향해 퍼지는 상태에서, 고정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다리부(71) 또는 가로 분기부(72)에는, 볼트 삽입관통공(7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각 볼트 삽입관통공(73)에 대해서, 너트(74)와 볼트에 의해, 상기 브래킷(70)이 차체 측에 장착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KR1020090124232A 2009-12-14 2009-12-14 엔진마운트 KR10104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32A KR101041629B1 (ko) 2009-12-14 2009-12-14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32A KR101041629B1 (ko) 2009-12-14 2009-12-14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629B1 true KR101041629B1 (ko) 2011-06-16

Family

ID=4440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32A KR101041629B1 (ko) 2009-12-14 2009-12-14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2B1 (ko) * 2021-07-15 2021-12-20 평화산업주식회사 공정단순화 및 경량화 구현을 위한 엔진마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745A (ja) 2006-07-21 2008-02-07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装置
JP2009002478A (ja) 2007-06-25 2009-01-08 Kurashiki Kako Co Ltd 液体封入式防振支持装置
JP2009019709A (ja) 2007-07-12 2009-01-29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9236226A (ja) 2008-03-27 2009-10-15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745A (ja) 2006-07-21 2008-02-07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装置
JP2009002478A (ja) 2007-06-25 2009-01-08 Kurashiki Kako Co Ltd 液体封入式防振支持装置
JP2009019709A (ja) 2007-07-12 2009-01-29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9236226A (ja) 2008-03-27 2009-10-15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2B1 (ko) * 2021-07-15 2021-12-20 평화산업주식회사 공정단순화 및 경량화 구현을 위한 엔진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8928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4842086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9365101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08249063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及び該流体封入式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2008002618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041630B1 (ko) 엔진마운트
US20130161883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5119018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041629B1 (ko) 엔진마운트
JP4340911B2 (ja) 防振装置
JP4959390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8185152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とそれを用いたエンジンマウント
JPH0546451B2 (ko)
JP4630216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7205437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5106150A (ja) 防振マウント組立体
JP2007032745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4792414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027093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167290B1 (ko) 엔진마운트
JP2010032023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108704B2 (ja) 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6814615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6183680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2014211183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