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495B1 -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495B1
KR101041495B1 KR1020090054809A KR20090054809A KR101041495B1 KR 101041495 B1 KR101041495 B1 KR 101041495B1 KR 1020090054809 A KR1020090054809 A KR 1020090054809A KR 20090054809 A KR20090054809 A KR 20090054809A KR 101041495 B1 KR101041495 B1 KR 10104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preventing
crohn
ulcerative col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636A (ko
Inventor
박영준
박병철
김선여
김정애
Original Assignee
삼일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일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495B1/ko
Priority to PCT/KR2010/003150 priority patent/WO2010147309A2/ko
Publication of KR2010013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곽향(Pogostemon Cabli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특히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MPO(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춤으로써, 염증성 장질환으로 통칭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소장 및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손상된 위점막에 대한 보호활성(cytoprotective activity)을 가짐으로써 위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
광곽향,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 위염

Description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gastrointestinal disease Pogostemon cablin extract}
본 발명은 광곽향(Pogostemon cabli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및 크론병(Crohn's disease)은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은 장질환(bowel disease)이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에 진무름(미란)이나 궤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질환으로, 혈변, 점혈변, 설사, 복통이 일어나고, 중증인 경우에는 발열, 체중감소, 빈혈 등의 전신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관의 임의의 부위에 궤양 등의 병변이 비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복통, 설사, 혈변과 더불어, 중증의 경우에는 발열, 하혈, 체중감소, 전신권태감,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모두 일시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다가, 재발이 반복하는 만성 난치성 질환으로, 통칭하여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으로 칭해지기도 한다. 이들 질환의 병인으로서는 유전적 요인이나 면역 이상, 식사 등의 환경인자가 관여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
종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발생율은 서양인에게 높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등 동양에서도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원인이 불분명한 이유도 있어 근본적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완전한 치료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을 완해시키고, 이러한 상태를 가능한 한 장기간 유지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증요법을 위한 약제로서, 주로 아미노살리실산제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살리실산제제로서 자주 사용되는 살라조설파피리딘은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발진, 두통, 간장해, 백혈구 감소, 이상 적혈구, 단백뇨, 설사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는 일반적으로는 프레드니솔론의 경구투여, 관장, 좌약, 정맥 주사 등으로 사용되지만, 위궤양이나 장기사용에 의한 대퇴골두 괴사 등 부작용이 강하다. 그러나 투약의 중단은 증상을 재발시키기 때문에, 이들 약제는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안전하고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장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도 마찬가지로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만성 복부 질환이다. 현재, IBS의 근본적인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각 타입의 증상 경감을 목적으로 한 대증요법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리형 IBS에 대해서는 평활근의 수축을 억제하는 진경작용을 갖는 항콜린제가 사용되며, 변비형 IBS에는 염류 하제, 대체형 IBS에는 약제로 조절하기 곤란하고, 기본적으로 소화관 운동기능 개선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위궤양은 위장관을 헐게 만드는 인자인 위산 및 펩신(pepsin) 등의 공격인자이 기능과 이들로부터 위벽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인 점막 보호 기능 간에 평형이 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메티딘, 라니티딘 등의 H2-수용체 길항제; 및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등의 프로톤 펌프 저해제는 상기 공격인자를 억제하는 약물로 분류되며, 레바미피드 등의 점막보호제(cytoprotective agent)는 방어인자를 증강시키는 약물로 분류된다. 통상 위궤양의 전단계로 알려져 있는 위염(gastritis)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on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등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염증이 수반되는 질환으로서, 이미 발생한 위벽 세포 손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레바미피드 등의 점막보호제가 사용되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H2-수용체 길항제 또는 프로톤 펌프 저해제 등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자들은 합성 화학물질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을 대상으로 염증성 위장관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Pogostemon cablin)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가짐으로써,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광곽향 추출물이 소장 및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염 증후군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 장관이 손상된 모델에서도 위점막 보호 효과(cytoprotective effect)를 나타냄으로써, 위염의 예방 및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곽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위염(gastritis) 등의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광곽향(Pogostemon Cabli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광곽향을 물, C1∼C4 의 알코올, 및 C1∼C4 의 알코올 수용액, 클로로포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20 ∼ 95 중량%의 메탄올 수용액, 또는 20 ∼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과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광곽향 추출물과 과루인 추출물의 비율은 건조 중량비로 2:8 내지 8: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위장관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또는 위염(gastritis)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광곽향 추출물이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MPO(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춤으로써, 염증성 장질환으로 통칭되는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또는 크론병(Crohn's disease)에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놀랍게도, 광곽향 추출물이 소장 및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손상된 위점막에 대한 보호활성(cytoprotective activity)을 가짐으로써 위염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염증성 장질환(구 체적으로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또는 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성 위장관 질환(inflammatory gastrointestinal disease)"이라 함은 위, 소장, 대장 등의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 염증 질환을 말하며, 예를 들어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구체적으로는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염증성 위장관 질환"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특히, 하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또는 위염(gastriti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광곽향(Pogostemon Cabli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특히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꿀풀과에 속하는 광곽향은 Pogostemon cablin이라는 학명으로 필리핀, 인도, 중극 남부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광곽향은 다년생 초목인 Pogostemon cablin Bentham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서, 파코울리 알코올(pachouli alcohol), 유제놀(eugenol), 신나믹 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파고스톨(pagostol), 파코울리 피리딘(pachouli pyridine) 등의 정유를 약 1.5% 정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광곽향과 유사한 학명을 갖는 곽향(Agastache rugosa; 배초향)은 그 기 원종 속과 종이 전혀 다른 것으로서, 배초향(곽향)은 일년생 초목인 배초향의 전초를 건조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광곽향 추출물이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MPO(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춤으로써, 염증성 장질환으로 통칭되는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또는 크론병(Crohn's disease)에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놀랍게도, 광곽향 추출물이 소장 및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한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손상된 위점막에 대한 보호활성(cytoprotective activity)을 가짐으로써 위염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염증성 장질환(구체적으로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또는 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곽향 추출물은 광곽향을 물, C1∼C4 의 알코올, 및 C1∼C4 의 알코올 수용액, 클로로포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20 ∼ 95 중량%의 메탄올 수용액, 또는 20 ∼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광곽향에 대하여 약 1 배 내지 약 20배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 으나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광곽향 1kg에 대하여 약 10L ∼ 20 L, 더욱 바람직하게는 1kg에 대하여 약 15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공정은 통상의 추출방법, 예를 들어 냉침(cold extraction), 온침(hot extraction), 열수 추출, 초임계 추출(superfluid extraction), 원심 추출(centrifugal extraction),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열수 추출을 수행하는 경우, 80∼100 ℃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10시간 동안 환류시킴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냉침 추출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실온(약 25 ℃)에서 4∼24 시간씩 단회 또는 복수회(바람직하게는 2∼4회)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 공정 수행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광곽향 추출물을 얻거나, 통상의 농축 방법, 예를 들어 감암 농축 등에 의한 농축 공정 및/또는 통상의 건조 방법, 예를 들어 감압 건조,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등 의한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얻어지는 추출물의 수율은 약 1 내지 2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치료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는(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15368호, 2009년 2월 24일 출원, 미공개) 과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과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광곽향 추출물과 과루인 추출물의 비율은 건조 중량비 로 2:8 내지 8: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과루인 추출물은 상기 광곽향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 즉, 상기에서 언급한 추출용매 및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광곽향 추출물과 과루인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별도의 추출공정에 의해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 및 과루인 추출물을 혼합하여 함유할 수 있고, 또한 광곽향과 과루인 혼합하고 이를 상기에서 언급한 추출용매 및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즉, 혼합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한 광곽향 추출물(또는 광곽향 추출물 및 과루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광곽향 추출물(또는 광곽향 추출물 및 과루인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곽향 추출물(또는 광곽향 추출물 및 과루인 추출물)은 1일 0.01 내지 5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곽향 추출물(또는 광곽향 추출물 및 과루인 추출물)을 0.00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수추출
세절한 광곽향 1kg에 물 15L를 가한 후 약 10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생약 추출기(합동정밀 모델명: HD2-A170)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체(망목: 149 ㎛)로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건조하여 추출물 약 85g을 얻었다.
실시예 2
세절한 광곽향 1kg을 퍼콜레이터에 넣고 30% 에탄올 약 13L를 가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체(망목: 149 ㎛)로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건조하여 추출물 약 84 g을 얻었다.
실시예 3. 냉침
(1) 물을 사용한 냉침
세절한 광곽향 1kg을 물 15L에 가하고, 실온(약 25 ℃)에서 24시간씩 2회 냉침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 건조하여 추출물 25 g을 수득하였다.
(2)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한 냉침
물 대신 20% 에탄올, 50% 에탄올, 및 60% 에탄올을 각각 15L씩 사용하여, 실온(약 25 ℃)에서 14시간씩 2회 냉침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 건조하여 추출물 32.5 g, 55.1 g, 및 75.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온침
세절한 광곽향 1kg을 물 15L에 가하고, 약 40 ℃의 온도에서 12시간씩 2회 온침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 건조하여 추출물 4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세절한 광곽향 1kg을 95% 에탄올 15L에 넣고, 실온에서 20시간 냉침하고, 여과하여 여액-A를 얻었다. 잔류물에 다시 동량의 95% 에탄올을 넣어 4시간 냉침하고 여과하여 여액-B를 얻었다. 한다. 여액-A 및 여액-B를 합하여, 약 78℃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 69.25 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장상피세포 (Human Colonic Epithelial cell, HT-29 )를 96 웰 플레이트에 2 x 104 cells/cm2 의 농도로 접종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없이 1% PS (Penicillin, Streptomycin)을 함유한 배지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각각 0, 10, 100, 500, 1000 μg/ml의 농도로 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MTT 시약(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을 가하여 4시간 반응시킨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DMSO를 첨가하여 남아있는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모두 용 해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곽향 추출물은 1000 ug/ml의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거의 없음을 나타낸다.
시험예 2.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에 대한 활성평가
(1) 동물모델 설정 및 약물 투여
7-8주령 된 Sprague Dawley (SD) 랫트를 Samtaco bio Korea로부터 구입하여 4일간 일반 고형사료로 안정화시킨 후, 염증성 장질환 약효 시험에 이용하였다. 실험 기간 중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였고, 사육실의 온도는 25±1 ℃, 상대습도는 50±10%로 유지시켰다. 점등관리는 자동조명조절기에 의해 12시간 명암주기(light-dark cycle)로 조절하였다. 실험군은 각 군당 6마리로 하여 평균체중이 180±10 g이 되도록 난괴법 (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하여 5군으로 나누었다.
24시간 절식한 SD 랫트를 디에틸 에테르로 마취한 후, 폴리에틸렌 카테터를 연결한 1ml 시린지를 이용하여, 결장(colon)의 강(lumen)에 50% (v/v) 에탄올로 희석한 5%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 0.8 ml을 천천히 주입한 후, 항문으로 5% TNBS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랫트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60초 동안 정치시켰다. 대조군은 비히클[50% (v/v) 에탄올]만을 다른 그룹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주입하였다. TNBS 투여 후 5일 동안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각각 10 mg/kg, 50 mg/kg으로 복강주사하였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 알려진 설파살라진(sulfasalazine)의 활성 대사체인 5-ASA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역시 복강 주사하였다.
(2) 체중변화 측정
디지털 체중계(Digital mass meter)를 이용하여, 절식단계부터 TNBS 투여 및 추출물 투여과정 동안 1일 ~ 6일 사이에 체중을 관찰하였다. 대조군, 5% TNBS 처리군, 양성대조군, 및 TNBS와 광곽향 추출물을 처리한 군 사이에서의 몸무게를 비교한 결과, 5% TNBS를 처리한 군에서는 실험이 종료되었을 때의 체중이 실험전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광곽향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TNBS에 의한 체중 감소를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도 2 참조).
(3) 장 길이 및 무게 측정
TNBS 투여 7일 후에 해부하여 항문에서 맹장까지 절개하여 사진 촬영을 한 결과는 도 3a와 같고, 항문에서부터 맹장(cecum) 까지의 장 길이(colon length)를 측정한 결과는 도 3b와 같으며, 항문에서 5-6cm 위치의 1cm를 절개하여 장 습윤 무게(colon wet weight)를 측정한 결과는 도 3c와 같다. 5% TNBS로 대장염을 유발시킨 랫트의 대장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짧아지고 충혈도 관찰되었으나, 광곽향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TNBS에 의한 대장의 손상을 정상군과 비슷하게 개선시킴을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3c 참조).
(4) MPO(Myeloperoxidase) 활성 측정
TNBS 투여 7일 후에 해부하여 얻어진 1 cm 크기의 장 조직(colon tissue)을 차가운 인산완충생릭식염수로 세척 후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고, 50 mg당 용혈 완충액(lysis buffer) 1 ml를 첨가한 후 tissue homogenizer (Bio homogenizer M133, BIOSPEC PRODUCTS Inc. USA)를 이용하여 30초간 균질화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1500 xg, 15분으로 2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상등액을 MPO ELISA kit (HK210, Hycult Biotechnology, Netherlands)를 이용하여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MPO 활성도는 25 ℃에서 1분 동안 물에서 과산화수소 1uM이 환원되는 수치를 의미하여 이것을 장 조직 균질액 1ml에 포함된 MPO 양으로 계산하였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NBS 투여군의 장 점막의 MPO 활성은 약 260 ng/ml로 정상대조군 약 125 ng/ml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광곽향 추출물(50 mg/kg)을 처리한 군에서는 거의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치로 회복되었다.
시험예 3. 소화기 평활근 수축 시험
SD 랫트에 50 mg/kg의 펜토바비탈 소듐(pentobarbital sodium)을 복강주사하여 마취하였다. 복강을 절개하여 점막층이 제거된 소장 및 대장 환상근을 적출하여 생리용 용액의 수조에 현수하였다. 상기 생리용 용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NaCl 118 mM, KCl 4.8 mM, CaCl2 2.5 mM, MgSO4 1.2 mM, NaHCO3 24 mM, KH2PO4 1.2 mM, 글루코오즈 11 mM(pH7.4). 수조의 온도는 37℃로 유지하였으며 혼합공기가 제공되었 다. 안정화 시간이 지난 후 1mM 카바콜(carbachol) 또는 73 mM KCl을 처리하여 환상근의 수축을 유도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을 전처리 또는 후처리하여 환상근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적출한 대장 환상근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의 전처리가 72 mM KCl로 유도한 대장 환상근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을 전처리 한 후에 72 mM KCl로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유도하여 그 이완 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광곽향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대장 환상근의 수축을 억제하였다.
도 6은 1 mM 카바콜을 이용하여 소장 환상근의 수축을 유도한 후, 30분 후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을 처리하여 소장 환상근의 수축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카바콜로 소장 환상근의 수축을 유도한 상태에서 광곽향 추출물을 후 처리할 경우, 카바콜로 유도된 소장 환상근의 수축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시험예 4. 나프록센 소듐(Naproxen sodium)으로 유발한 위 손상모델 랫트에서의 위점막보호효과(cytoprotective effect) 평가
7-8주령 된 Sprague Dawley (SD) 랫트를 구입하여 7일간 일반 고형사료로 안정화시켰다. 실험 기간 중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였고, 사육실의 온도는 23±3 ℃, 상대습도는 55±15%로 유지시켰다. 점등관리는 자동조명조절기에 의해 12시간 명암주기(light-dark cycle)로 조절하였다. 24시간 절식한 SD 랫트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 100 mg/kg을 먼저 경구투여하였으며, 1시간 후에 나프록센 소듐 100 mg/kg을 경구투여하였다. 유발물질의 투여 후 4시간이 지난 뒤에 부검을 실시하여 위를 적출하고, 위점막 출혈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일반증상 관찰 결과,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전신적인 일반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점막 손상부위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나프록센 소듐 100 mg/kg 경구투여로 위손상이 유발되었으며, 시험군 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곽향 추출물 100 mg/kg을 1시간 전처리 투여 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손상길이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도 1은 광곽향 추출물의 장상피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시험 결과이다.
도 2는 광곽향 추출물이 TNBS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 동물에서의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a 내지 3c는 각각 TNBS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 동물에 광곽향 추출물을 처리한 후 얻어진, 장 적출 사진(도 3a), 장 길이 측정 결과(도 3b), 및 장 무게 (도 3c)이다.
도 4는 광곽향 추출물이 TNBS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에서의 MPO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KCl (72 Mm)로 유도된 대장 환상근 수축에 대한, 광곽향 추출물의 이완 활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카바콜로 유도된 소장 환상근의 수축에 대한, 광곽향 추출물의 이완 활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나프록센 소듐으로 유발한 위 손상모델 랫트에서의 위점막 보호효과(cytoprotective effect)를 측정한 결과이다.

Claims (6)

  1. 광곽향(Pogostemon Cabli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곽향 추출물이 광곽향을 물, C1∼C4 의 알코올, 및 C1∼C4 의 알코올 수용액, 클로로포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가 물, 20 ∼ 95 중량%의 메탄올 수용액, 또는 20 ∼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과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곽향 추출물과 과루인 추출물의 비율이 건조 중량비로 2:8 내지 8:2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위장관 질환이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위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54809A 2009-06-19 2009-06-19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4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809A KR101041495B1 (ko) 2009-06-19 2009-06-19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0/003150 WO2010147309A2 (ko) 2009-06-19 2010-05-19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809A KR101041495B1 (ko) 2009-06-19 2009-06-19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636A KR20100136636A (ko) 2010-12-29
KR101041495B1 true KR101041495B1 (ko) 2011-06-16

Family

ID=4335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809A KR101041495B1 (ko) 2009-06-19 2009-06-19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1495B1 (ko)
WO (1) WO20101473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46A1 (ko) * 2015-05-22 2016-12-01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511323B (zh) * 2016-12-30 2019-03-05 广州中医药大学 广藿香醇在制备防治溃疡性结肠炎的药物中的应用
CN110151739A (zh) * 2017-06-16 2019-08-23 广州中医药大学 β-广藿香烯的应用及包括β-广藿香烯的药物组合物的应用
CN108379365B (zh) * 2018-05-07 2020-12-08 广东省中医院(广州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广州中医药大学第二临床医学院、广东省中医药科学院) 一种防治腹泻型肠易激综合征的药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703B1 (ko) 2002-04-12 2005-11-30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생약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07645B1 (ko) 2006-10-17 2008-02-28 주식회사 유니젠 위장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24B1 (ko) * 2003-04-16 2011-04-0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703B1 (ko) 2002-04-12 2005-11-30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생약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07645B1 (ko) 2006-10-17 2008-02-28 주식회사 유니젠 위장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본초학회지 J. of Herbology Vol.11, No1(1996) (신민교 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09A3 (ko) 2011-04-21
WO2010147309A2 (ko) 2010-12-23
KR20100136636A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mamaheswari et al. Antiulcer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Jasminum grandiflorum L.
KR101099004B1 (ko)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41495B1 (ko)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Bhoumik et al. Evaluation of gastric anti-ulcer potency of ethanolic extract of Sesbania grandiflora Linn leaves in experimental animals
WO2012091440A2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Boye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 and safety assessment of Zanthoxylum Zanthoxyloides (Lam) Waterm root bark extract
KR100927101B1 (ko) 산겨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살리드로사이드를포함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81751B1 (ko)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Hussaini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s of Dicranopteris linearis leaf extract against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Baggio et al. In vivo/in vitro studies of the effects of the type II arabinogalactan isolated from Maytenus ilicifolia Mart. ex Reissek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rats
KR10087843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060002639A (ko) 혈액응고 억제성분이 제거된 애엽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327282B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JP6980791B2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130130580A (ko) 혼합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6473A (ko) 과루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7223971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産生促進剤
Chandra et al. Comparative study of mineralo-herbal drugs (Kamadugha and Sutshekhar Rasa Sada) on gastric ulcer in experimental rats
KR20130094487A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14073855A1 (ko)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096270B (zh) 一种治疗糖尿病肾病的药物组合物
Kumar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Michelia champaca Linn. Flower and leaves for anti-ulcer activity
CN108057102B (zh) 预防或治疗痛风性关节炎的药物组合物、制备方法和用途
WO2008048044A1 (en) Extract of agastache rugosa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Peter et al. Evaluation of the Antiulcer Activity of Methanol/Methylene Chloride Leaf Extract of Chromolaena odorata (L.)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