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331B1 -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331B1
KR101041331B1 KR1020090009365A KR20090009365A KR101041331B1 KR 101041331 B1 KR101041331 B1 KR 101041331B1 KR 1020090009365 A KR1020090009365 A KR 1020090009365A KR 20090009365 A KR20090009365 A KR 20090009365A KR 101041331 B1 KR101041331 B1 KR 10104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data
mounting apparatus
integrat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81A (ko
Inventor
김용주
변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09000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3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변장치 또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표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에 탑재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에 있어서, 노변장치로부터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수신부; 정보표출 단말기로부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 및 제 1 송수신부 및 제 2 송수신부와 연결되어 제 1 송수신부 및 제 2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각각의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구현하였다.
Figure R1020090009365
OBU, OBE, RSE, 내비게이션, 단거리 전용통신, DSRC, 교통정보, 차량탑재장치

Description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he Hybrid OBU, Traffic Information Collecting and Servicing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Therewith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변장치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 정보표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부 및 제 1 송수신부 및 제 2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제 1 송수신부 및 제 2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각각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가 제공되고 수집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유럽, 일본의 경우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통행요금 자동징수) 기반의 교통정보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기 개발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차량탑재장치를 통한 ETC와 BIS(Bus Information System: 버스정보시스템)만이 응용서비스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체적 인 요구에 의해 경찰청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교통정보 제공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단거리 전용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화가 미적용된 사업이기 때문에 향후 표준화 시 각 기관별 호환성이 문제된다. 또한, OBU나 내비게이션 업체에서 개별적으로 개발비를 투입하여 차량탑재장치를 출시하더라도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화 부재로 호환성 및 응용서비스 제공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종래의 ETC 시스템의 단거리 전용통신 계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노변장치와 차량탑재장치의 단거리 전용통신 시스템은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및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LLC, MAC)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계층의 개념이 없어지고 하나의 SAP(Service Access Point)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서로 다른 회사에서 개발한 시스템간의 연계 상의 문제, 즉 호환성이 문제된다. 또한, 향후 응용프로그램이 추가되거나 다른 확장성을 가지게 될 때마다 응용계층, 데이터링크계층이 새롭게 시스템에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내부에 과부하가 걸려 운영 측면에서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차량탑재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LCD는 단순한 정보만 제한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실정이며, 소형의 흑백 LCD로는 다양한 정보의 표출이 불가능하다. 시판중인 기존의 차량탑재장치 중에는 음성지원과 GPS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제품이 있는데 이 역시 정보 표출을 위한 부분은 예전과 같으며, LCD의 크기를 확장하여 제작하는 것은 OBU 크기의 대형화를 뜻한다. 이것은 현재의 OBU 소형화 추세 및 확대된 응용서비스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반하므로 다양한 정보 표출을 위한 별도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노변장치와 차량탑재장치 간의 단거리 전용통신을 위한 소정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규정하고, 단거리 전용통신 시스템의 각 계층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계층으로 분리하여 향후 응용프로그램의 추가나 서비스추가 시 용이한 확장성을 확보하며, 정보표출 단말기와 소정의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통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노변장치(200) 또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에 탑재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있어서, 노변장치(200)로부터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및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교통정 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부(110)는 UCOS II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ARM 기반의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송수신부(120)는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과 연결되고, 외부에서 수신된 전파의 주파수 또는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에서 송신되는 전파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RF 모듈(122); 및 RF 모듈(122)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RF 모듈(122)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송수신부(130)는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일측에는 소정의 외부장치(150)와 유선으로 연결가능하도록 USB 포트(1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장치(150)는 GPS장치, 컴퓨터, PDA 및 핸드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정보 데이터는 정보표출 단말기(2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성이 인정되는 독립항으로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와 대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일정한 통신영역을 갖는 단거리 전용통신용 안테나(210); 안테나(210)와 연결되고 데이터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이 탑재된 노변 기지국(220); 및 노변 기지국(220)과 연결되고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서버(230);를 포함하는 노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성이 인정되는 독립항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일정한 통신영역을 갖는 단거리 전용통신용 안테나(210), 안테나(210)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데이터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이 탑재된 노변 기지국(220), 노변 기지국(220)과 연결되고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서버(230)를 포함하는 노변장치(200); 및 노변장치(200)의 안테나(21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 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성이 인정되는 독립항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 1 송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어 노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표시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하는 정보표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성이 인정되는 독립항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일정한 통신영역을 갖는 단거리 전용통신 안테나(210), 안테나(210)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데이터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이 탑재된 노변 기지국(220), 노변 기지국(220)과 연결되고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서버(230)를 포함하는 노변장치(200); 노변장치(200)의 안테나(21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 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제 1 송수신부(120) 및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어 노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표시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하는 정보표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정보 데이터는 정보표출 단말기(2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또는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결과화면과 함께 알람음을 표출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계는 제 13 항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에 있어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노변장치(20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초기화 단계(S10);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20);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30); 및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에 송수신한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정보 데이터는 정보표출 단말기(2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또는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 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능은 컴퓨터에서 판독되어 실행가능하고,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노변장치(20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기능;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 및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에 송수신한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미 구현되어 있는 ETC시스템 및 노변장치를 통하여 통행요금 자동징수뿐만 아니라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또는 돌발상황 정보와 같은 확장된 응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차량탑재장치의 효용성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합형 차량탑재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교통정보가 수집되어 ITS(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발전에 기 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을 위해 노변장치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간에 정보메시지 형식을 규정하여 제시함으로써 경찰청과 지방자치단체 등의 타기관과 상호 호환가능성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차량탑재장치 및 정보표출단말기 개발업체의 개발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사용자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와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 정보표출 단말기가 소정의 정보메시지 형식의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됨으로써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또는 돌발상황 정보와 같은 확장된 응용서비스를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합형 차량탑재장치는 USB 포트를 구비하여 GPS장치, 컴퓨터, PDA 또는 핸드폰과 같은 외부장치와의 호환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의 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및 노변장치의 구성 >
(통합형 차량탑재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변장치의 구성 및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확장된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적용된 차량탑재장치로서, 새로운 응용서비스 ID(AID: Application Entity ID) 및 교통정보 데이터 속성(Attributes, EIDs)이 추가되어 노변장치(200)와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코어부(110), 제 1 송수신부(120), 제 2 송수신부(130) 및 USB 포트(140)로 구성된다.
코어부(110)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111), 저장장치 역할을 하는 플래시 메모리(112) 및 메모리 역할을 하는 SDRAM(113)을 시스템 버스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코어부(110)는 시스템 버스에 의해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 제 2 송수신부(130) 및 USB 포트(140)와 연결되어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세서(111)로 ARM사의 CPU를 이용하고 그 운영체제는 UCOS II Real-Time을 사용한다. 여기에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커널(Kernel) 및 응용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112)는 16 Megabit으로 CMOS 3.0볼트에서 작동하는 부트섹터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SDRAM(113)은 4M x 16bit x 4 Banks로 구성된 동기화식 DRAM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코어부(110)는 사용환경 및 사용목적에 따라 프로세서(111), 플래시 메모리(112) 및 SDRAM(113)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송수신부(120)는 노변장치(20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 및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단거리 전용통 신 모뎀(121), RF 모듈(122) 및 제 1 송수신부 안테나(123)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의 일측은 시스템 버스로 코어부(11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RF 모듈(122)과 연결되어 안테나(123)로 이어진다. 또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교통정보 데이터는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위도/경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시간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본 발명에서는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으로 FPGA Xilinx XC 3S400이 사용되고 이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MAC계층을 FPGA 로직으로 구현한 것이다. 또한,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에는 RF 모듈(122)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과 연결된 RF 모듈(122)은 5.8GHz의 공중파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 제 1 송수신부 안테나(123)에서 수신된 전파를 RF 모듈(122)에서 변환하거나 또는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에 보내진 전파를 RF 모듈(122)에서 변환한다. RF 모듈(122)과 연결된 안테나(123)는 5.8GHz의 공중파를 송수신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제 1 송수신부(120)는 사용환경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 RF 모듈(122) 및 제 1 송수신부 안테나(123)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응용시스템의 단거리 전용통신 계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성은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 용계층, 데이터링크계층의 LLC계층과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Primitive)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ETC 시스템의 단거리 전용통신 계층구성과의 차이점으로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시 각 계층에서의 역할이 분담되어 향후 응용프로그램이 추가될 경우, 독립적인 서비스가 제공가능하다.
제 2 송수신부(130)의 일측은 시스템 버스에 의해 코어부(110)의 프로세서(111)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정보표출 단말기(300) 및 디버그 콘솔(160)과 연결된다.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제 2 송수신부(130)는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신하기 위해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된다. 하지만, 직렬 유선 포트는 RS 232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으며, 무선 포트는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Wifi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통해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부에 구비된 GPS에서 수집된 교통정보 데이터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노변장치(200)와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전송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정보표출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버그 콘솔(160)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를 감시하고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된다.
USB 포트(14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그 일측은 시스템 버스에 의해 코어부(110)의 프로세서(111)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외부장치(150)와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장치(150)는 GPS장치, 컴퓨터, PDA 및 핸드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일측에는 ETC 시스템 하에서 카드 삽입 및 제거, 과금 또는 오류 표출 등의 간단한 정보를 간략히 표출할 수 있는 LCD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운영체제에 의한 단거리 전용통신의 태스크(Task)구성은 다음과 같다. 메인 태스크는 각종 주변장치들과 변수들의 초기화를 행하고, 이 후에 각 태스크를 등록하고 활성화한다. 데이터링크계층 태스크는 단거리 전용통신 로직과 규정된 방식(Using Memory R/W and Interrupt Interface)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응용계층 태스크와는 시스템 메시지를 이용하여 프리미티브를 주고받는다. 응용계층의 I-KE 태스크는 접속에 관련한 프리미티브들의 처리하며, 응용 계층으로부터의 Registration과 Deregistration 프리미티브를 통하여 전달받은 서비스를 등록 또는 해제한다. 응용계층의 T-KE 태스크는 프리미티브들의 송수신을 관리하며, 데이터링크계층 태스크로부터 수신된 프리미티브들은 T-KE에서 디코딩 및 분류된 후 응용프로그램, I-KE, 또는 B-KE로 전송된다. 반대로 응용프로그램, I-KE 또는 B-KE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위해 받은 프리미티브들은 T-KE를 통하여 데이터링크계층으로 전달되어 송신된다. 응용계층의 B-KE 태스크는 T-KE로부터 전달받은 Broadcast 형식의 프리미티브들을 처리한다. APP 태스크는 응용계층의 역할을 하는 태스크로서, 서비스의 등록 및 관리, APDU 데이터 처리 및 절차 처리 등이 이 태스크에서 행한다. Shell 태스크는 개발자가 시험 중인 프로그램의 동작을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전 프로그램 영역에 걸쳐 환경변수를 수정 또는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거리 전용통신과 관련한 정보 통신 단체 표준(TTAS.KO-06.0025) 및 국제 표준 규격인 ISO14906(Application interface definition for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을 준수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구현된다.
(노변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변장치의 구성 및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용 안테나(210), 노변 기지국(220) 및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서버(230)로 이루어진다. 노변 기지국(220)은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 중 데이터링크계층(LLC계층, MAC계층) 및 응용계층으로 구현된 임배디드 시스템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ETC 시스템의 단거리 전용통신 계층구성과 달리 응용프로그램이 분리되어 있다.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성을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데이터링크계층의 LLC계층과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시 각 계층에서의 역할이 분담되어 향후 응용프로그램이 추가될 경우, 독립적인 서비스가 제공가능하다.
단거리 전용통신용 안테나(210)는 5.8GHz의 공중파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노변 기지국(220)과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RS 422 방식의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다. 하지만, 단거리 전용통신용 안테나(210)와 노변 기지국(220)과의 연결방식은 확장된 응용서비스의 형태, 사용환경 및 사용목적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서버(23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함께 확장된 응용 서비스가 적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에 확장된 응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버(230)는 차량에 관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수행 절차를 주도하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노변 기지국(220)과 서버(230)와의 통신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에 의해 이루어지며 데이터 형식은 Header Data 뒤에 ASN. 1형의 응용프로그램 및 응용계층의 프리미티브가 뒤따라가는 형식으로 구현된다.
<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및 노변장치의 통신방법)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에 사용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노변장치(200)는 전술한 장치의 구성에서 설명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노변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노변장치(200)는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제공을 위해 기본적으로 <표 1>에 나타난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통신을 한다. <표 1>은 단거리 전용통신에 사용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여기서 단편정보는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패킷 또는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X 3에서부터 차례로 증가시켜 번호를 부여한다. EID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 방법(수단)에 대한 ID를 나타내는 것으로 "0" 이외의 값을 할당하여 사용한다(통상적으로 EID=0 은 시스템으로 예약). EID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내에서 세션이 설정되었을 때 고유번호를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자체적으로 부여하며, 계약관련사항은 컨텍스트 마크 정보를 활용한다. 이와 관련된 세부내용은 ISO 14906을 참조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변장치,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및 정보표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이때,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노변장치(200)에 제공해야 할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노변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BST=INITIALIZATION.Request)의 프로파일 형식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탑재된 것과 호환할 수 있는 것인 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호환이 가능할 경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전송된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BST)를 형식에 맞추어 디코드화 한다. BST를 디코딩한 후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이 정보 중 AID(응용 서비스 ID) 및 EID(요소 ID)를 통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탑재된 서비스 및 속성(Attributes)의 지원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서비스의 지원 여부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I-KE(Initialization Kernel Element)에 등록되어 있는 파라미터로 판단 가능하다. 또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I-KE는 BST에서 요구된 서비스 중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된 차량 서비스 정보(VST=INITIALIZATION.Respond)를 노변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BST의 정보를 Notification 프리미티브를 통하여 각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응용프로그램은 이를 참조하여 서비스가 일치할 경우 LID(링크 ID)를 이용한 SAP가 제공된다. 노변장치(2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VST를 수신하게 되면 초기화는 완료된다. 여기서 VST는 노변장치(200)의 데이터 핸들링을 위한 초기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교통정보 데이터는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위도/경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시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노변장치(2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에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데이터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메시지 형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2> 및 <표 3>에 따른 단거리 전용통신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통하여 노변장치(2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에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표 2>는 INITIALIZATION.Request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BST로 사용되는 프리미티브이다. 그리고 INITIALIZATION.Request는 노변장치(2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요구와 지시를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값은 향후 확장성을 대비한 관리번호의 개념으로 장비에 따라 다르게 부여된다. 일례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ETC장비를 기본장비라 할 때, 이 장비의 프로파일 값은 “0”이 된다. 그리고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Probe 정보 수집 장비의 프로파일 값은 “1”로 한다. 향후 성능이나 특성이 개선된 장비가 출시되었을 때 프로파일 값은 순차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개선된 장비는 기본장비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세부내용은 ISO 15628 및 KS 6915 참조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2
<표 3>은 INITIALIZATION.Respond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INITIALIZATION.Respond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응답과 확인을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AID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ID로 교통정보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는 AID "2"번이고 기존의 ETC 서비스는 "1"번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세부내용은 ISO 15628을 참조한다. 또한,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컨텍스트 마크는 같은 EID를 이용하더라도 계약상대가 다를 경우에 각각에 대한 정보형태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세부내용은 ISO 14906, ISO 15628을 참조한다. 현재는 한국도로공사의 하이패스 플러스카드만이 계약 상대이기 때문에 계약처리의 단순화를 위하여 “0”값으로 처리 후 애플리케이션 파라미터를 추가한다. 이와 같은 단거리 전용통신의 정보메시지 형식에 따라 노변장치(20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BST(=INITIALIZATION.Request)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인 VST(=INITIALIZATION.Respond)를 조사함으로써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초기화 단계(S10)가 완료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3
다음으로,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표 5> 내지 <표 11>에 따른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20).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노변장치(2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의 초기화 단계(S10) 이후 GET, SET 및 EVENT-REPORT 서비스의 순서로 진행된다.
GET 서비스는 교통정보 수집과 관련한 속성을 검색하는데 이용되는 프리미티브로서 노변장치(200)가 이러한 서비스를 호출하게 된다. 또한, GET 서비스는 확인 모드에서만 서비스 요청이 가능하며, 이러한 요청에 대하여 서비스 응답이 존재한다. 이러한 GET 서비스를 통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내부에 저장된 속성 ID와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위도/경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시간 등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검색하여 노변장치(200)에 전송한다. 노변장치(200)에 의한 교통정보 수집을 위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저장된 교통정보 데이터는 속성 ID #1 ~ #16까지 규정되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속성 ID #1은 ETC 카드정보로서 발급기관 ID, 카드번호 보안 알고리즘 ID, 카드정산센터 ID, 카드 서비스 ID, 만기일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2는 최근 카드 거래정보로 날짜, 시간, 운영기관, 영업소번호, 차선유형, 차로번호, 근무번호, 처리번호, 원 요금, 징수금액, 차종, 차량번호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3은 ETC 카드 소지자 정보로서 소지자 지불 정보, 카드번호, 차량번호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4는 차량탑재장치의 기본정보로서 차량탑재장치의 제조번호, 차량탑재장치의 발행번호, 차종, 차량번호, 차량탑재장치의 종류, 발행일자, 만기일자, 차량탑재장치의 서명 값, 차량탑재장치의 F/W 정보, RFU(향후 확장을 위해 여유로 확보한 예비데이터)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5는 최근 차량탑재장치 거래정보로서 날짜, 시간, 운영기관, 영업소번호, 차선유형, 차로번호, 근무번호, 처리번호, 원 요금, 징수금액, 차종, 차량번호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6은 차량탑재장치 추가정보로서 근무상태, 요금구분, 차량탑재 상태코드, 카드 상태코드, RFU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7은 거래종료 정보 1로서 카드 거래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시간 정보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8은 거래종료 정보 2로서 최근카드 거래정보를 기록할 경우 안전한 거래를 위하여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서명 값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9는 거래내역 정보로서 최종거래 날짜, 최종거래 시간, 최종거래 운영기관, 최종거래 영업소번호, 최종거래 차로번호, 최종거래 근무번호, 최종거래 처리번호, 차종, 현 거래 날짜, 현 거래 시간, 현 거래 운영기관, 현 거래 영업소 번호, 현 거래 차로번호, 현 거래 근무번호, 현 거래 처리번호, 징수 전 잔액, 징수 금액, 차량탑재장치 발행번호, 최종거래 차량탑재장치 상태코드, 최종거래 카드 상태코드, 현 거래 차량탑재장치 상태코드, 현 거래 카드 상태코드, RFU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11은 카드관련 상세정보로서 카드 식별자, 알고리즘 ID, 키버전, 카드거래 일련번호, 난수, 카드 발행자 ID, 카드 ID, 잔액, 카드 정산센터 ID, 서명 값 S1, 서명 값 S2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12는 차량탑재장치 ID정보로서 차량탑재장치 제조번호, 차량탑재장치 발행번호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13은 거래 상세정보로서 현재 거래상태정보, 차량탑재장치 상태정보, 카드 상태정보, 난수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14는 차량탑재장치 구성정보로서 차량탑재장치 상태정보 유무, 차량탑재장치 종류, 제조사 ID, 차량탑재장치 상태정보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 ID #16은 경로정보로서 최근 카드거래날짜, 최근 카드거래시간, 최근 거래 노변장치(200)의 ID에 대한 속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속성 ID #1 ~ #14까지의 정보 및 속성 ID #16의 정보는 기존의 ETCS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속성 ID #15는 프로브 정보로서 최근 거래날짜, 최근 거래 시간, 차량의 위도, 차량의 경도에 대한 속성뿐만 아니라 <표 4>에서와 같은 프로브 정보 데이터에 대한 속성이 추가된다. 이때, 차량의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속성은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되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저장된 속성이다. 이러한 속성 ID를 GET 서비스를 통해 요청함으로써, 노변장치(20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다양한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4
<표 5>는 GET.Request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노변장치(2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요구와 지시를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노변장치(20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저장된 속성 ID #1 내지 #1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요청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5
<표 6>는 GET.Respond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GET.Respond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응답과 확인을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노변장치(200)가 요청한 교통정보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통해 노변장치(200)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6
SET 서비스는 노변장치(200)에 의해 처리된 속성 ID 또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저장시키기 위한 프리미티브로서 노변장치(200)가 이 서비스를 호출하게 된다. 이로 인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노변장치(200)로부터 처리된 속성 ID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SET 서비스는 확인/비확인 모드 둘 다 서비스 요청이 가능하며, 확인 모드에서는 요청에 대한 서비스 응답이 존재한다.
또한, 브로드케스트와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는 비확인 모드에서 서비스 요청이 이루어진다. <표 7>은 SET.Request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노변장치(2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요구와 지시를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속성 ID가 수정되거나 교통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7
<표 8>은 SET.Respond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SET.Respond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응답과 확인을 함께 포함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8
EVENT-REPORT 서비스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일반적인 메시지를 교환하거나 특별 이벤트를 던지는 프리미티브로서 노변장치(200)가 이 서비스를 호출하게 된다. 이로 인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통신 종료에 대한 정보를 노변장치(200)로부터 요청받게 되고 동시에 서비스 처리결과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노변장치(200)로부터 제공받는다. EVENT-REPORT 서비스는 확인/비확인 모드 둘 다 서비스 요청이 가능하며, 확인 모드에서는 요청에 대한 확장된 응용서비스 응답이 존재한다.
<표 9>는 EVENT-REPORT.Request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노변장치(2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요구와 지시를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파라미터의 개수, 타입, 길이 및 내용에 따라 확장된 응용서비스가 다양하게 제공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09
<표 10>은 EVENT-REPORT.Respond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로서, EVENT-REPORT.Respond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단거리 전용통신 응용계층에서 행해지며, 프리미티브의 응답과 확인을 함께 포함한다. 이때, 노변장치(200)는 EVENT-REPORT-RELEASE를 송신하여 해당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의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0
<표 11>은 GET, SET 및 EVENT-REPORT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Respond에 할당된 리턴값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노변장치(200)에 속성 ID 및 교통정보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노변장치(200)가 요구하는 명령을 처리하는 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에 대한 상태를 알려준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1
전술한 단거리 전용통신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통하여 노변장치(2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 및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이용하여 <표 12> 내지 <표 31>에 따른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0).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연결은 RS 232 직렬 유선 포트 방식이 좋다. 이때,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마스터로서 통신주체가 되어 슬레이브인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Poll - Response의 순환구조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일정한 주기로 순차적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상태를 관리하며 정보메시지 전송 시에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통신한다.
<표 12>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 간에 정의되는 기본적인 정보메시지 형식이다. 여기서 STX는 통신개시용 문자를 나타내는 것이고, SIZE는 전송 패킷의 전체 데이터 수(STX ~ LRC)로 다양한 길이의 Byte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SIZE는 데이터 버퍼를 고려하여 1회 최대전송 Byte를 2048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LRC는 전송 패킷에 대한 LRC Check Code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2
<표 13>은 <표 12>의 CONTROL 영역에 대한 패킷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CONTROL 영역은 정보메시지 전송시 패킷의 종류와 Sequence 번호를 지정한다. FIR은 전송데이터의 처음 패킷임을 나타내는 비트로, 1은 처음 패킷정보이고, 0은 정상상태를 나타낸다. FIN은 전송데이터의 마지막 패킷임을 나타내는 비트로, 1은 마지막 패킷정보이고, 0은 정상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통신이 단일패킷인 경우 FIN, FIR은 모두 1로 설정된다. 통신이 다중 패킷인 경우 한 패킷 당 최대 512 바이트로 제한하며 처음 패킷은 Sequence 번호 0으로 시작한다. 이 경우 FIN, FIR은 전송되는 패킷에 따라서 설정된다. C/R은 명령(Command) 또는 응답(Response)을 구분하여 통신상의 Poll 과 Response를 규정하는 비트로, 통합형 차량탑재기(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 간의 통신 흐름을 규정한다. 여기서 1은 통합형 차량탑재단말기의 명령을 나타내고, 0은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응답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3
<표 14>는 <표 12>의 STATUS 영역과 관련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정보표출 단말기(300)로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의 패킷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DSRC는 단거리 전용통신이 가능한 영역의 상태를 표시하는 비트로 1은 통신 이상 지역, 0은 통신 정상 지역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4
<표 15>는 <표 12>의 STATUS 영역과 관련하여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명령에 응답하는 경우의 패킷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PFR은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재시작 플래그로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재기동시 설정되는 비트이다. 여기서 1은 재기동 상태, 0은 정상상태를 나타내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PFR-Reset 명령을 수신한 후 Power Restart Bit를 Clear한다. Navi는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화면모드가 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비트로, 1은 표출 가능 상태, 0은 표출 불가 상태를 나타낸다. GPS는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의 GPS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비트로 1은 GPS 수신이상, 0은 GPS 수신 정상을 나타낸다. 위치정보는 GPS 수신정보에 따른 차량 위치정보의 생성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로 1은 위치정보 이상, 0은 위치정보 정상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5
<표 16>은 <표 12>의 CODE 영역의 운영 OPCODE에 대한 패킷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 간에 정의되는 정보메시지 형식에 대한 BYTE ORDERING은 연속되는 정보(2 바이트 이상으로 표현되는 정보)의 경우 빅인디안 방식으로 규정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6
<표 17>은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의 운영 OPCODE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네트워크상에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마스터의 역할을 수행하며 장치별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슬레이브의 역할을 수행하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지정된 운영정보를 처리하고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현재 상태정보를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한다.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의 통신주기는 기본적으로 10초 이하 단위로 수행하여 온라인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의 통신을 실시간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이벤트 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17>에 정의된 OPCODE의 내용은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7
STATUS DUMP(0x00)는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운영명령으로 1 ~ 10초 단위의 주기로 실행된다. <표 18>은 장치별 상태정보와 관련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8
<표 19>는 장치별 상태정보와 관련하여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명령에 응답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여기서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위도/경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시간을 실시간으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한다.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 전송된 전술한 교통정보 데이터는 단거리 전용통신을 통해 노변장치(200)로 다시 전송되어 교통정보가 수집된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19
PFR RESET(0x10)은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의 Power Restart Bit를 Clear하는데 사용되는 운영명령이다. <표 20>은 Power Restart Bit를 Clear하는 것과 관련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이로 인해,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통신을 위한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0
<표 21>은 Power Restart Bit를 Clear하는 것과 관련하여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명령에 응답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1
ETC 과금정보(0x2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에서 수행된 ETC 과금결과를 표출하기 위한 운영명령이다. <표 22>는 ETC 과금정보와 관련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2
<표 23>은 ETC 과금정보와 관련하여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명령에 응답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3
<표 24>는 ETC 과금정보와 관련하여 <표 21>의 이벤트 타입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4
날씨 및 소통정보(0x24)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노변장치(200)로 부터 수신한 날씨정보와 구간소통정보를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표출하기 위한 운영명령이다. <표 25>는 날씨 및 소통정보와 관련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5
<표 26>은 날씨 및 소통정보와 관련하여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명령에 응답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6
<표 27>은 날씨 및 소통정보와 관련하여 <표 24>의 날씨코드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7
<표 28>은 날씨 및 소통정보와 관련하여 <표 24>의 방향코드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8
<표 29>는 날씨 및 소통정보와 관련하여 <표 24>의 소통코드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29
단문 메세지(0x26)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노변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표출하기 위한 운영명령이다. <표 30>은 단문 메시지와 관련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정보표출 단말기(300)에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이때, 단문 메시지는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30
<표 31>은 단문 메시지와 관련하여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명령에 응답하는 경우의 정보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07249511-pat00031
전술한 프로토콜 정보메시지 형식을 통하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 및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운영체제에 의하여 처리한 후 화면에 표출한다(S40). 또한, 이 단계는 정보표출 단말기(3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위도/경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시간 등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한다(S40). 이로 인해,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전송한 확장된 응용서비스인 ETC 과금정보, 날씨 및 소통정보 또는 단문 메시지를 해당 정보에 대한 별도의 결과화면과 함께 알람음을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표출한다. 여기서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수신된 해당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결과화면과 함께 알람음을 유지한다. 이때,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5초, 10초, 15초 또는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ETC 과금정보에 대한 결과화면에는 이벤트 타입에 따라 해당 내용을 표출하게 되며, 수신된 영업소 코드에 따라 톨게이트 영업소의 영업소명을 표출한다.
<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구성 >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노변장치(200)는 전술한 장치의 구성에서 설명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노변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변장치의 구성 및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차량 외부에 노변장치(200)가 각각 구비되어 단거리 전용통신으로 연결됨으로써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형성된다.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노변장치(200)는 전술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의 초기화 단계(S10) 및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20)를 수행하여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 2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정보표출 단말기(3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각각 구비되어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됨으로써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형성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연결은 RS 232 직렬 유선 포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어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정보표출 단말기(300)의 구성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연결되는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포트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운영체제가 탑재된 프로세서 및 GPS를 구비하며 그 일측면에 지리 정보 등을 표출할 수 있는 LCD가 구비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전술한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30)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40)를 수행하여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한다.
(제 3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정보표출 단말기 (300),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차량 외부의 노변장치(200)가 각각 구비되어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때, 차량 내부의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차량 외부의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차량 내부에 정보표출 단말기(3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는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된다.
여기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노변장치(200)는 전술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의 초기화 단계(S10) 및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또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는 전술한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30)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40)를 수행하여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한다.
< 기록매체 >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컴퓨터상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서 판독되어,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기능, 노변장치(200) 및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 및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에 송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 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USB 메모리 또는 광데이터 장치 등을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ETC 시스템의 단거리 전용통신 계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변장치의 구성 및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차량탑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응용시스템의 단거리 전용통신 계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변장치,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및 정보표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합형 차량탑재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00 :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110 : 코어부
111 : 프로세서 112 : 플래시 메모리
113 : SDRAM 120 : 제 1 송수신부
121 :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 122 : RF 모듈
123 : 제 1 송수신부 안테나 130 : 제 2 송수신부
140 : USB 포트 150 : 외부장치
160 : 디버그 콘솔 200 : 노변장치
210 : 노변장치 안테나 220 : 노변 기지국
230 : 서버 300 : 정보표출 단말기

Claims (22)

  1. 노변장치(200) 또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에 탑재하되,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써,
    상기 노변장치(200)로부터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수신부(120);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및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110)는 UCOS II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ARM 기반의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부(120)는,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
    상기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과 연결되고, 외부에서 수신된 전파의 주파수 또는 상기 단거리 전용통신 모뎀(121)에서 송신되는 전파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RF 모듈(122); 및
    상기 RF 모듈(122)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RF 모듈(122)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수신부(130)는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의 일측에는 소정의 외부장치(150)와 유선으로 연결가능하도록 USB 포트(1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150)는 GPS장치, 컴퓨터, PDA 및 핸드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는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2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일정한 통신영역을 갖는 단거리 전용통신용 안테나(210), 상기 안테나(210)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데이터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이 탑재된 노변 기지국(220), 상기 노변 기지국(220)과 연결되고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서버(230)를 포함하는 노변장치(200); 및
    상기 노변장치(200)의 안테나(21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또는 상기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2.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 1 송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어 노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표시하고, 교통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하는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또는 상기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3. 교통정보 데이터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일정한 통신영역을 갖는 단거리 전용통신 안테나(210), 상기 안테나(210)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데이터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이 탑재된 노변 기지국(220), 상기 노변 기지국(220)과 연결되고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 서버(230)를 포함하는 노변장치(200);
    상기 노변장치(200)의 안테나(21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수신부(120), 정보표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130),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송수신부(120)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각의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코어부(110)를 포함하는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및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로 연결되어 상기 노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하는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또는 상기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는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2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6. 삭제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결과화면과 함께 알람음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18. 제 13 항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에 있어서,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노변장치(200)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데이터의 수집 및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초기화 단계(S10);
    상기 노변장치(200) 및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가 단거리 전용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제 1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20);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와 정보표출 단말기(300)가 직렬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 2 정보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30); 및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300)와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간에 송수신한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 및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형 차량탑재장치(100) 또는 상기 노변장치(200)는 단거리 전용통신의 계층구현을 위하여 OSI 7 계층을 바탕으로 응용프로그램, 응용계층, LLC계층, MAC계층 및 물리계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응용프로그램마다 SAP를 통한 프리미티브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응용서비스 데이터는 ETC 과금정보, 날씨정보, 도로 소통 정보, 주차정보, 여행자 정보 및 돌발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는 상기 정보표출 단말기(200) 내부에 구비된 GPS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 차량의 위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090009365A 2009-02-05 2009-02-05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65A KR101041331B1 (ko) 2009-02-05 2009-02-05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65A KR101041331B1 (ko) 2009-02-05 2009-02-05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81A KR20100090081A (ko) 2010-08-13
KR101041331B1 true KR101041331B1 (ko) 2011-06-14

Family

ID=4275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65A KR101041331B1 (ko) 2009-02-05 2009-02-05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33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726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오비고 템플릿 기반 ui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내장된 내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5160881A (zh) * 2015-09-25 2015-12-16 青岛海信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通监测系统及其方法
KR20160019257A (ko) 2014-08-11 2016-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정보 처리
KR20210010220A (ko) 2019-07-19 2021-01-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능형 교통 서버 및 그 통신 방법
KR20210011210A (ko) 2019-07-22 2021-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및 그 자원 할당 방법
KR20210014001A (ko) 2019-07-29 2021-0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10024931A (ko) 2019-08-26 2021-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및 그 신호 송신 방법
KR20210032792A (ko) 2019-09-17 2021-03-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210032791A (ko) 2019-09-17 2021-03-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210034955A (ko) 2019-09-23 2021-03-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04B1 (ko) * 2010-12-08 2017-02-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차량의 정보 전송 방법
KR101633063B1 (ko) * 2014-03-21 2016-06-2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Ethernet 기반의 차량용 네트워크의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86459B1 (ko) * 2015-09-24 2016-12-29 주식회사 아이칩스 통합형 근거리전용통신(dsrc) 차량탑재장치
CN106297291B (zh) * 2016-08-29 2020-06-26 苏州金螳螂怡和科技有限公司 城市快速路交通信息采集系统
KR102230021B1 (ko) * 2018-12-28 2021-03-19 한국도로공사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027A (ko) * 2005-01-14 2006-07-20 (주)하이게인안테나 능동형 단거리 전용 통신망용 다기능 통합 차량탑재단말기
JP2006202199A (ja) 2005-01-24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2006344062A (ja) 2005-06-09 2006-12-21 Sumitomo Electric Ind Ltd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路側装置
KR20080038721A (ko) * 2006-10-31 2008-05-07 한국전력공사 센싱과 usn기술을 적용한 지하 전력구 전력선 온도 및가스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027A (ko) * 2005-01-14 2006-07-20 (주)하이게인안테나 능동형 단거리 전용 통신망용 다기능 통합 차량탑재단말기
JP2006202199A (ja) 2005-01-24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2006344062A (ja) 2005-06-09 2006-12-21 Sumitomo Electric Ind Ltd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路側装置
KR20080038721A (ko) * 2006-10-31 2008-05-07 한국전력공사 센싱과 usn기술을 적용한 지하 전력구 전력선 온도 및가스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726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오비고 템플릿 기반 ui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내장된 내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02954B1 (ko) * 2014-03-31 2016-03-11 주식회사 오비고 템플릿 기반 ui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내장된 내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19257A (ko) 2014-08-11 2016-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정보 처리
CN105160881A (zh) * 2015-09-25 2015-12-16 青岛海信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通监测系统及其方法
KR20210010220A (ko) 2019-07-19 2021-01-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능형 교통 서버 및 그 통신 방법
KR20210011210A (ko) 2019-07-22 2021-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및 그 자원 할당 방법
KR20210014001A (ko) 2019-07-29 2021-0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10024931A (ko) 2019-08-26 2021-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및 그 신호 송신 방법
KR20210032792A (ko) 2019-09-17 2021-03-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210032791A (ko) 2019-09-17 2021-03-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210034955A (ko) 2019-09-23 2021-03-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81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331B1 (ko)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307349B (zh) 车与车之间的无线支付方法及系统、介质以及设备
CN201845431U (zh) 基于物联网的智能公交系统
CN113038418B (zh) 一种车路协同通信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140119251A1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CN110895888A (zh) 智能停车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8779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guidance service
CN101981606A (zh) 信息传输系统及车载器
CN110213727B (zh) 一种充电桩信息管理的方法以及相关装置
KR20110035643A (ko) Wave 기반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시스템
CN201210304Y (zh) 基于卫星道路收费系统的后台管理系统
US875083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0766427B1 (ko) 초소형 다기능 차량 탑재 단말기
CN215944448U (zh) 一种车载支架、车载终端及车辆
Manasseh et al. Middleware to enhance mobile communications for road safety and traffic mobility applications
CN201887799U (zh) 车载信息服务终端及其实时付费系统
CN202256682U (zh) 带rfid的卫星定位车载终端
KR100418199B1 (ko) 단거리 전용 고속 무선 통신 기반의 차량 탑재 장치
JP5050888B2 (ja) 路車間無線通信システム、路側装置、及び、車載装置
CN107784860A (zh) 一种智能停车位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CN203179102U (zh) 一种多义性路径识别系统
KR100868859B1 (ko) 멀티서비스형 지능형교통시스템 단말장치
CN112328870A (zh) 一种数据推送方法及其系统
JP2010066973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98354B (zh) 支持自动补圈存的车载终端、服务器、通信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