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021B1 -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021B1
KR102230021B1 KR1020180172066A KR20180172066A KR102230021B1 KR 102230021 B1 KR102230021 B1 KR 102230021B1 KR 1020180172066 A KR1020180172066 A KR 1020180172066A KR 20180172066 A KR20180172066 A KR 20180172066A KR 102230021 B1 KR102230021 B1 KR 10223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path
dsrc
tol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988A (ko
Inventor
한동희
김수희
이영인
장현호
정수호
이숭봉
천승훈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큐빅웨어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큐빅웨어,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8017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roadside individual element

Abstract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DSRC 정보 획득부, TCS 정보 획득부,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 및 자료 변환부를 포함한다. DSRC 정보 획득부는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된 고속도로의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DSRC 정보를 획득하고, TCS 정보 획득부는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TCS 정보를 획득하고,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는 TCS정보로부터 판단된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차량의 TCS 경로로 설정하고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차량의 통행 경로를 차량의 DSRC 경로로 설정하며, 자료 변환부는 복수의 차량의 통행 경로의 자료를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응하여 변환한다.

Description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VEHICLE ROUTING DATA,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교통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하이패스를 장착한 차량의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10년간(2006~2015년) 도로의 총 연장은 증가추세(일부연도 제외)에 있으며, 해당기간동안 연평균 0.6% 증가하였고, 자동차 등록대수 역시 연평균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통행을 담당하는 고속도로의 경우 같은 기간 총연장은 연평균 3.4%의 증가로 도로 총 연장대비 증가율은 5배 이상 높으며, 총 주행거리도 연평균 4.4%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는 도로부문에서 중·장거리(지역 간) 통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공공기관들의 지방이전 등으로 직장과 거주지 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총 주행거리는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부문에의 역할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도로 차량의 통행행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교통운영 및 교통정책 의사결정 계획 및 수립 시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까지 고속도로 구간 차량통행패턴 분석은 차량검지기를 통해서 교통량, 속도, 점유율 차종 및 영상 등의 기본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지점/구간 검지체계를 주로 이용한다.
지점검지기 체계는 도로상의 한 지점(spot)의 교통류 특성을 검지하는 체계로, 설치지점의 지점속도(Spot speed), 교통량, 점유율을 검지하며, 구간 검지체계는 도로 구간의 통과시간 수집을 위한 검지기 체계로서 차량 번호인식장치나 위치파악기술과 파악된 위치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기술의 통합을 통해 구간의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체계는 특정 지점이나 구간에 대한 전수화된 교통자료를 수집하는 목적에서 큰 의의와 활용도를 갖고 있으나 공간자료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차량통행경로 분석은 집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거시적 측면의 분석이 대부분이였고, 개별차량 기반의 미시적 분석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KR 100979724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용량의 개별 차량의 통행경로 자료를 산출 및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고속도로 이용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DSRC 정보 획득부, TCS 정보 획득부,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 및 자료 변환부를 포함한다.
DSRC 정보 획득부는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된 고속도로의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DSRC 정보를 획득하고, TCS 정보 획득부는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TCS 정보를 획득하고,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는 TCS정보로부터 판단된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차량의 TCS 경로로 설정하고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차량의 통행 경로를 차량의 DSRC 경로로 설정하며, 자료 변환부는 복수의 차량의 통행 경로의 자료를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응하여 변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최근 일반화되는 차량 단말기(OBU; On Board Unit)를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차량의 통행행태 자료를 산출 및 분석하고, 산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고속도로 이용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근거리 경로는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 사이의 경로가 단일 경로이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경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경로에 대해서는 전수자료를 이용하여 정확한 통행량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TCS 경로상에 위치하는 도로 구간에서의 차량의 속도는 도로 구간에서 DSRC 정보로부터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톨게이트에서의 진입/진출 시간만이 존재하는 TCS 경로상의 노드에 대해서도 통과시각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TCS 정보로부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고, DSRC 정보로부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며, TCS 정보로부터 산출된 톨게이트에서의 DSRC 경로의 교통량을 DSRC 정보로부터 산출된 톨게이트에서의 DSRC 교통량으로 나눈 DSRC 경로 전수화 계수를 산출하는 전수화 계수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통행 경로 및 대응하는 전수화 계수를 이용하여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해 추정 교통량을 산출하는 교통량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샘플자료인 DSRC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교통량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통행 경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할하는 경로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별 차량의 일단위 통행 경로를 분할하여, 실제 교통량 분석에 필요한 교통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DSRC 정보를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노변 기지국 상태 정보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DSRC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하지 않았는지, 노변 기지국이 고장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통량 추정부는 인접한 두 개의 톨게이트 사이에서 DSRC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두 개의 톨게이트 진출입 교통량 비율을 이용하여 통행 경로에서의 진출입 톨게이트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절한 DSRC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도 톨게이트 진출입 교통량 비율을 이용하여 진출입 톨게이트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근 일반화되는 차량 단말기(OBU; On Board Unit)를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차량의 통행행태 자료를 산출 및 분석하고, 산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고속도로 이용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한 경로에 대해서는 전수자료를 이용하여 정확한 통행량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톨게이트에서의 진입/진출 시간만이 존재하는 TCS 경로상의 노드에 대해서도 통과시각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샘플자료인 DSRC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교통량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별 차량의 일단위 통행 경로를 분할하여, 실제 교통량 분석에 필요한 통행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DSRC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차량이 해당 구간을 통과하지 않았는지, 노변 기지국이 고장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절한 DSRC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도 톨게이트 진출입 교통량 비율을 이용하여 진출입 톨게이트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교통자료 추정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DSRC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의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교통량 전수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경로기반의 본선 교통량 전수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교통량 추정의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톨게이트 사이에 RSE가 없거나 작동되지 않아 발생하는 네트워크 자료 문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개별차량 통합경로 분할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다양한 통행경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교통자료 추정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은 DSRC 정보 획득부(110), TCS 정보 획득부(120),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130), 전수화 계수 산출부(140), 교통량 추정부(150), 경로 분할부(160), 노변 기지국 상태 정보 산출부(170), 및 자료 변환부(18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만으로 구현할 수도 있겠으나,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함께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DSRC 정보 획득부(110)는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된 고속도로의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DSRC 정보를 획득하고, TCS 정보 획득부(120)는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TCS 정보를 획득한다.
도 3은 DSRC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의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근거리 전용통신(DSRC)은 5.796~5.815GHz 주파수 대역과 10~150m의 통신영역을 가진 무선통신 방식으로 최대 1Mbps의 속도로 통신을 하는 방식이다. 차량용단말기(OBU: On Board Unit)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RSE: Road Side Equipment)을 통해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OBU ID를 수집하여 구간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DSRC를 이용한 교통정보수집기술은 센터시스템과 현장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현장시스템은 노변장치인 제어기와 안테나, 차량단말기로 구성된다. OBU를 탑재한 차량이 RSE가 설치된 구간을 통과할 때 OBU와 RSE 사이의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RSE ID, 통과시간, 차종 정보를 수집한다.
OBU ID는 RSE지점을 통과할 때 암호화된 새로운 ID 형태로 센터시스템에 저장이 되지만, 하루 동안 동일한 OBU를 장착한 차량은 동일한 ID로 인식되므로 경로자료 산정이 가능하다. 단, 영업소에 설치된 RSE와 본선구간에 설치된 RSE는 암호화 체계가 동일하지 않아 서로 매칭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급용 단말기는 본선구간에서 정보수집이 되지 않는 한계가 존재한다.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130)는 TCS정보로부터 판단된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차량의 TCS 경로로 설정하고,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차량의 통행 경로를 차량의 DSRC 경로로 설정한다.
TCS 단거리 경로의 TCS 정보는 전수자료(전수화계수=1)로서 자료의 정확도가 매우 높고 기종점 정보는 알 수 있지만, 어떠한 경로를 이용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이동경로 정보를 추정해야 한다. 이에 반해, DSRC 중장거리 경로에서의 DSRC 자료는 개별차량의 이동경로 파악이 가능하지만, 샘플자료로 전수화과정(전수화계수는 DSRC샘플수와 TG 교통량을 이용하여 산정)이 필수적이다.
근거리 경로는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 사이의 경로가 단일 경로이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경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CS 단거리 통행 산정기준은 ① 단일경로, ② 거리 60km 미만, ③ 휴게소 1개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TCS 경로상에 위치하는 도로 구간에서의 차량의 속도는 도로 구간에서 DSRC 정보로부터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TCS 자료는 TG에서의 진입/진출 시각만 존재하므로, 구간별 대표통행시간을 이용하여 각 노드의 통과시각을 추정하는 것이다.
전수화 계수 산출부(140)는 TCS 정보로부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고, DSRC 정보로부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며, TCS 정보로부터 산출된 톨게이트에서의 DSRC 경로의 교통량을 DSRC 정보로부터 산출된 톨게이트에서의 DSRC 교통량으로 나눈 DSRC 경로 전수화 계수를 산출한다.
TCS 단거리 통행은 모수의 값이므로 전수화 계수는 "1”을 적용하게 되며, DSRC 경로의 전수화계수는 영업소별 차종별로 DSRC경로 중 단거리 통행에 해당하는 경로를 제외한 값에 TCS 진입교통량 중 단거리 통행수를 제외한 값을 나누어 산정하는 것이다. 도 4는 교통량 전수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교통량 추정부(150)는 차량의 통행 경로 및 대응하는 전수화 계수를 이용하여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해 추정 교통량을 산출한다. 도 5는 경로기반의 본선 교통량 전수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통행경로자료(TCS(단거리경로)+DSRC(중장거리 경로))를 이용한 고속도로 본선구간, IC/JC 연결로 교통량 추정하는 것으로서, TCS 단거리 경로(전수화계수=1)와 전수화계수를 포함한 DSRC 중장거리 경로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전 구간(본선 및 연결로)에 대하여 차종별 시간대별 교통량을 추정하기 위해 Trip Emulation 방법을 적용한다, 이는 모든 경로자료를 검색하여 도로구간을 통행한 차량대수를 더해주는 방법이다. 도 6은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교통량 추정의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전수화계수를 갖고 있는 통행경로들은 해당링크의 시간대에 Loading되며, 전체 경로에 대한 Loading이 마무리되면, 본선 및 IC/JC 램프교통량이 산정될 수 있다. 차종에 대한 구분은 승용차는 1, 6종, 화물차는 2, 4, ,5종, 버스는 3종으로 집계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때, 교통량 추정부(170)는 인접한 두 개의 톨게이트 사이에서 DSRC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두 개의 톨게이트 진출입 교통량 비율을 이용하여 통행 경로에서의 진출입 톨게이트를 추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자료 문제로 인하여 진출입 톨게이트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 RSE 상태맵과 연계하여 동적으로 Toll Group을 생성한 후 통행경로의 진출입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RSE 위치와 통신오류로 인한 문제로 인하여 교통량 추정 시 오차발생 문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톨게이트 사이에 RSE가 없거나 작동되지 않아 발생하는 네트워크 자료 문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경로 분할부(160)는 차량의 통행 경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할한다. 개별차량의 통행경로자료를 이용하여 램프교통량 산정 및 통행경로 패턴 분석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행경로는 개별통행 단위로 분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개별차량 통합경로는 DSRC 원시자료를 분석하여 구축한 개별차량의 일단위 통행경로를 의미하며, 통합경로는 두 번 이상 고속도로 진출입을 한 경로를 모두 포함한다.
통합경로 자료는 JC링크 기반 분할, 방향성 기반 분할, 링크통행시간 기반 분할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개별차량 단일경로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도 9는 개별차량 통합경로 분할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다양한 통행경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노변 기지국 상태 정보 산출부(170)는 DSRC 정보를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노변에 설치된 RSE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RSE 상태맵을 구축할 수 있다. RSE가 정상작동되지 않을 경우 개별차량의 통행경로자료 생성 시 신뢰성 있는 자료구축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자료 변환부(180)는 복수의 차량의 통행 경로의 자료를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응하여 변환한다. TCS, DSRC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개별 차량별 이동경로자료를 이용하여 교통량 추정 및 다양한 통행패턴을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통행경로자료(TCS(단거리경로)+DSRC(중장거리 경로))와 네트워크 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구간별 통과교통량의 기종점 및 교통량 유입지점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도로구간을 이용하는 차량을 검색하고, 기종점 자료를 이용하여 OD Table 구축 및 차종정보를 이용하여 차종별 OD Table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행경로자료(TCS(단거리경로)+DSRC(중장거리 경로))와 네트워크자료를 이용하여 출발/도착지 간 통행경로(경로이용률 및 경로통행시간)를 분석할 수 있다.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출발지/도착지를 이용한 차량을 검색하고, 해당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동경로별로 교통량과 통행시간을 저장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하이패스를 장착한 차량의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이용자의 기종점을 알 수 있는 TCS자료(전수자료)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장착한 차량이 본선 RSE를 통과할 때 DSRC 무선통신을 통해 생성되는 통신 로그자료를 이용하여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통량, 속도 등)다양한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지점방식의 고정식 차량검지기기반 수집 교통데이터의 특성상 시공간 집계데이터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TCS, DSRC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 차량별로 경로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전국 고속도로 하이패스 차량경로 및 경로별 교통량, 속도 등을 추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경로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에 산정이 불가능하였던 IC/JC 연결로 교통량, 차종특성, 교통흐름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통행특성(경유 통행량, 경로이용률, 우회분석, 혼잡패턴 분석 등)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고속도로 경로형 교통자료 산출 및 분석을 통해 고속도로 교통운영 및 관리 효율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할 것이다.
100: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110: DSRC 정보 획득부
120: TCS 정보 획득부
130: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
140: 전수화 계수 산출부
150: 교통량 추정부
160: 경로 분할부
170: 노변 기지국 상태 정보 산출부
180: 자료 변환부

Claims (17)

  1.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된 고속도로의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DSRC 정보를 획득하는 DSRC 정보 획득부;
    상기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TCS 정보를 획득하는 TCS 정보 획득부;
    상기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상기 차량의 TCS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상기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상기 차량의 DSRC 경로로 설정하는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부; 및
    복수의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의 자료를 상기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응하여 변환하는 자료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경로는 상기 진입 톨게이트와 상기 진출 톨게이트 사이의 경로가 단일 경로이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TCS 경로상에 위치하는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는 상기 도로 구간에서 상기 DSRC 정보로부터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TCS 정보로부터 상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상기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고, 상기 DSRC 정보로부터 상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상기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며, 상기 TCS 정보로부터 산출된 톨게이트 교통량을 상기 DSRC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톨게이트 교통량으로 나눈 DSRC 경로 전수화 계수를 산출하는 전수화 계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 및 대응하는 상기 전수화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해 추정 교통량을 산출하는 교통량 추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할하는 경로 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변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노변 기지국 상태 정보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통량 추정부는 인접한 두 개의 톨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DSRC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톨게이트 진출입 교통량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통행 경로에서의 진출입 톨게이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9.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된 고속도로의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DSRC 정보를 획득하는 DSRC 정보 획득 단계;
    상기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정보인 TCS 정보를 획득하는 TCS 정보 획득 단계;
    상기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상기 차량의 TCS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TCS 정보로부터 판단된 상기 차량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연결하는 경로가 상기 근거리 경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를 상기 차량의 DSRC 경로로 설정하는 개별 차량 통행 경로 설정 단계; 및
    복수의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의 자료를 상기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응하여 변환하는 자료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경로는 상기 진입 톨게이트와 상기 진출 톨게이트 사이의 경로가 단일 경로이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TCS 경로상에 위치하는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는 상기 도로 구간에서 상기 DSRC 정보로부터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TCS 정보로부터 상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상기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고, 상기 DSRC 정보로부터 상기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상기 DSRC 경로의 교통량을 산출하며, 상기 TCS 정보로부터 산출된 톨게이트 교통량을 상기 DSRC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톨게이트 교통량으로 나눈 DSRC 경로 전수화 계수를 산출하는 전수화 계수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 및 대응하는 상기 전수화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고속도로의 구간에 대해 추정 교통량을 산출하는 교통량 추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행 경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할하는 경로 분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DSRC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변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노변 기지국 상태 정보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교통량 추정 단계는 인접한 두 개의 톨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DSRC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톨게이트 진출입 교통량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통행 경로에서의 진출입 톨게이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방법.
  17.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청구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1020180172066A 2018-12-28 2018-12-28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KR10223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66A KR102230021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66A KR102230021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88A KR20200081988A (ko) 2020-07-08
KR102230021B1 true KR102230021B1 (ko) 2021-03-19

Family

ID=7160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066A KR102230021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199A (ja) 2005-01-24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2010102717A (ja) 2009-11-13 2010-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路車間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24B1 (ko) 2008-05-29 2010-09-02 (주)제이티 복합검지체계를 가진 교통정보 예측 복합 검지기 및교통정보 예측 방법
KR101041331B1 (ko) * 2009-02-05 2011-06-14 한국도로공사 통합형 차량탑재장치,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199A (ja) 2005-01-24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2010102717A (ja) 2009-11-13 2010-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路車間通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동희외 1. 차량 경로자료를 활용한 교통분석체계 구축 방법론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2017. 10., pp.1485-1486.
한동희외 4. 차량의 통행경로 자료를 활용한 교통분석체계 구축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2017.12., pp. 21-7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88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6756B (zh) 基于obu的高速公路路网运行状态检测方法
CN111091720B (zh) 基于信令数据和浮动车数据的拥堵路段识别方法及装置
CN104778834B (zh) 一种基于车辆gps数据的城市道路交通拥堵判别方法
CN103730008A (zh) 基于公交gps和ic卡实时数据的公交拥挤度分析方法
CN104658252A (zh) 基于多源数据融合的高速公路交通运行状态的评估方法
CN103903433A (zh) 一种道路交通状态的实时动态判别方法及装置
CN105279572A (zh) 城市轨道交通客流密集度指数计算与发布系统
CN111724589A (zh) 一种基于多源数据的高速公路断面流量估计方法
CN111191816B (zh) 城市轨道交通乘客出行时间链辨识系统
CN106845768A (zh) 基于生存分析参数分布的公交车旅行时间模型构建方法
CN111768619A (zh) 一种基于卡口数据的快速路车辆od点确定方法
CN104700630A (zh) 一种高速公路车流量的监测方法及系统
CN109272168A (zh) 一种城市轨道交通客流变化趋势预测方法
CN107945517A (zh) 一种交通数据处理装置
KR101595417B1 (ko)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대중교통 통행분석 시스템 및 방법
Deng et al. Heterogenous trip distance-based route choice behavior analysis using real-world large-scale taxi trajectory data
Song et al.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evaluations utilizing seoul transportation card data
Wang et al. Freeway truck travel time prediction for freight planning using truck probe GPS data
KR102230021B1 (ko) 차량 통행 경로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CN103700264B (zh) 基于etc收费数据的高速公路路段行程速度计算方法
Tan et al. Joint estimation of multi-phase traffic demand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based on connected vehicle trajectories
Liu Bi-level optimization algorithm for dynamic reversible lane control based on short-term traffic flow prediction
CN102542617A (zh) 一种复杂路网的路径识别标识站设置方法
Oskarbski et al. Analysis of possibilities for the use of volume-delay functions in the planning module of the TRISTAR system
CN105303833A (zh) 基于微波车辆检测器的高架桥突发事件判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