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579B1 -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 Google Patents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579B1
KR101038579B1 KR1020100051373A KR20100051373A KR101038579B1 KR 101038579 B1 KR101038579 B1 KR 101038579B1 KR 1020100051373 A KR1020100051373 A KR 1020100051373A KR 20100051373 A KR20100051373 A KR 20100051373A KR 101038579 B1 KR101038579 B1 KR 10103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upport rod
chair
shock absorber
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석
박원석
Original Assignee
박원석
주식회사 파인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석, 주식회사 파인엠 filed Critical 박원석
Priority to KR102010005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579B1/ko
Priority to PCT/KR2011/003978 priority patent/WO2011152648A2/ko
Priority to US13/701,459 priority patent/US20130069407A1/en
Priority to JP2013513107A priority patent/JP2013527002A/ja
Priority to CN2011800270950A priority patent/CN10298497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07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기 좌판(2)의 하방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의자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3);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신축지지유닛(600);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로드(12);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되고, 상기 신축지지유닛(600)과 제2지지로드(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0)과 상기 제2지지로드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체중이 좌판에 실리면 상기 좌판에 연결된 쇼크 업소버가 그 충격을 흡수하여 좌판이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각도가 변화되며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아랫방향으로 내려감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고, 반대로 의자에서 일어설 경우에는 쇼크 업소버에 함께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이 각도가 변화되며 위쪽 방향으로 밀려져 올라옴으로써 사람이 쉽고 안전하게 의자에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Chair that is easy to sit on and stand up from}
본 발명은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람의 체중이 좌판에 실리면 상기 좌판에 연결된 쇼크 업소버가 그 충격을 흡수하여 좌판이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각도가 변환되며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아랫방향으로 내려감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반대로 의자에 앉은 사람이 일어나고자 할 때에는 앉은 상태에서 약간만 체중을 앞쪽으로 옮기거나 혹은 일어나려는 동작을 취하면 쇼크 업소버에 함께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이 각도 변화와 함께 위쪽 방향으로 밀려져 올라옴으로써 사람이 쉽고 안전하게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선진 각국은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노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서, 그에 따라 노인들의 질병 치료와 예방을 위한 의료 환경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노인들이 일상생활 중에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적절한 설비와 생활용품들의 개발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허리와 고관절, 무릎 등의 관절 부분이 안 좋은 노인들의 경우에는 방바닥에 앉았다 일어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의자를 자주 이용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의자를 이용할 경우에는 의자에 앉을 때 관절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해 털퍼덕하게 앉게 되므로 신체의 여러 관절에 무리가 가고, 또한 의자에서 일어날 때에도 힘이 달려 무언가를 잡지 않으면 자력으로 일어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등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현대 사회는 각종 산업재해 또는 교통재해 등으로 말미암아 척추, 허리 혹은 다리 관절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처럼 허리 혹은 다리 관절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의 경우에는 갑작스럽게 의자에 몸을 던지듯이 앉거나 혹은 일어날 때 무리한 힘을 쓰게 되면 신체에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허리 혹은 다리 관절 등에 이상이 있는 노약자들이나 환자들을 위하여 이들이 힘들이지 않고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기능성 의자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의 엉덩이가 닿는 좌판이 각도가 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고, 특히 사람의 체중이 좌판에 실리면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쇼크 업소버가 그 충격을 흡수하여 좌판이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각도가 변하며 아랫방향으로 내려감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반대로 일어나고자 할 때에는 약간만 체중을 앞쪽으로 옮기면 쇼크 업소버에 함께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이 위쪽 방향으로 각도가 바뀌며 밀려져 올라오므로 사람이 쉽고 안전하게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기 좌판(2)의 하방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의자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3);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신축지지유닛(600);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로드(12);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되고, 상기 신축지지유닛(600)과 제2지지로드(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0)과 상기 제2지지로드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주 좌판(2a); 상기 주 좌판(2a)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주 좌판(2a)과는 연결부재(2c)에 의해 연결된 보조좌판(2b); 상기 주 좌판(2a)과 보조 좌판(2b)의 하방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의자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3); 상단부가 상기 주 좌판(2a)의 밑면에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된 신축지지유닛(601); 및 일단이 상기 보조좌판(2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지지유닛(6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보조좌판 지지연결봉(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또 다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신축지지유닛(602); 및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로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2)은, 하단부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로드(11), 및 하단부가 상기 제1지지로드(11)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연결된 쇼크 업소버(1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로드(11)와 상기 제2지지로드(12)는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된 상태에서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 좌판이 각도가 변하며 아래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된 몇 가지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인 형태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설명된 것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도면 및 그에 관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의자의 좌판의 하강/상승 동작을 담당하는 쇼크 업소버 및/또는 스프링은 별도의 외부 동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전동 실린더, 유압 실린더 또는 가스압 실린더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람의 체중을 얹거나 제거함에 의해서 좌판이 각도가 변화하면서 하강/상승 동작이 수동 방식으로 진행되는 의자뿐만 아니라, 전동 실린더와 같이 외부 동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기구장치에 의해 강제적으로 좌판의 각도가 변화하면서 하강/상승 동작이 이루어지는 의자도 그 권리범위 안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나기 쉬운 의자는, 허리, 다리 관절 등이 불편한 노약자나 환자들이 이용하면 힘들이지 않고 쉽고 안전하게 앉거나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을 보다 안락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나기 쉬운 의자는 단순한 의자 형태로서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좌변기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다방면으로 응용이 가능하므로, 앞으로 노약자, 환자 및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복지향상을 실현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의 측면 개략도로서, 의자(1)의 좌판(2)이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 개략도로서, 사람(P)이 의자(1)의 자판(2)에 완전히 앉아 좌판(2)이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도3의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사람(P)이 의자(1)에서 일어나려고 하여 몸무게를 약간 앞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일어나려는 약간의 동작을 취한 경우에, 쇼크 업소버(15)안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쇼크 업소버(15)가 신장됨으로써 좌판(2)이 약간 위쪽으로 밀려 올라온 상태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에 적용된 쇼크 업소버(15)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5에 있어서 쇼크 업소버(15)가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7은 도5 및 도6의 쇼크 업소버(15)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1)에 사용되는 쇼크 업소버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예(15a)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부 하우징(155) 밖의 피스톤 로드(16)상에 외부 스프링(158a)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1)에 사용되는 쇼크 업소버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예(15b)를 도시한 것으로서, 쇼크 업소버(15b)의 작동정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조절노브(17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11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쇼크 업소버(15b)가 장착된 의자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a)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13 내지 도15는 도12의 의자(1a)의 측면 개략도들로서, 도13은 아직 사람이 의자에 완전히 앉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14는 사람이 의자에 완전히 앉아서 의자의 좌판들(2a,2b)이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도시하며, 도15는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나려는 태세를 보일 때에 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해 쇼크 업소버(310)가 신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b)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1b)를 X자 형태로 지지하는 제1지지로드(11)와 제2지지로드(12)가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제1지지로드(11)의 하단부가 바퀴(31a)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c)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1c)를 X자 형태로 지지하는 제1지지로드(11)와 제2지지로드(12)가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제2지지로드(12)의 하단부가 바퀴(32b)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20 및 도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d)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22 및 도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e)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24 및 도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f)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의 구조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자(1)는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이 그 하부에서 X자 형태로 교차된 구조로 결합된 신축지지유닛(600)과 제2지지로드(12)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0)은 제1지지 로드(11)와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15)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 로드(11)와 상기 제2지지 로드(12)는 좌판(2) 아래에서 지면과 접하고 있는 베이스(base, 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지지 로드(11)는 그 상단부가 쇼크 업소버(15)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베이스(3)의 앞쪽 부분에 있는 제1하부 연결 힌지(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지지 로드(12)는 그 상단부가 좌판(2)의 앞쪽 밑면에 설치된 제1상부 연결 힌지(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뒤쪽 부분에 있는 제2하부 연결 힌지(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쇼크 업소버(15)의 신축가능한 피스톤 로드(16)는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설치된 제2상부 연결 힌지(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1)는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제1지지 로드(11), 쇼크 업소버(15), 제2지지 로드(12) 및 가이드 로드(13)가 설치되어 의자(1)의 양쪽을 각각 지지하므로, 이하에서는 한쪽만을 대상으로 구성과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는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된 형태로 설치되며, 그 전체 길이 중의 일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긴 홈들(11a, 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의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로드(guide rod, 13) 역시 그 전체 길이 중의 일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긴 홈의 형태로 가이드 장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 및 가이드 로드(13)는 그 자체에 형성된 긴 홈들, 즉 제1이동홈(11a), 제2이동홈(12a) 및 가이드 장홈(13a)을 통해서 지지로드 연결핀(17)이 채워짐으로써 서로 결합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다음의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13)에 마련된 가이드 장홈(13a)을 따라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의 결합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됨으로써, 본 발명의 의자(1)는 좌판(2)이 최대로 위로 올라가 경사진 상태(도1 및 도2)로부터 좌판(2)이 최대로 아래로 내려가 편평한 위치로 놓인 상태(도3)까지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로드(13)는 그 하단부가 베이스(3)에 고정되며, 고정부(33)가 가이드 로드(13)의 위치를 잡아주므로, 가이드 로드(13)는 제1지지 로드(11)(즉, 신축지지유닛(600)) 및 제2지지 로드(12)의 결합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의 측면 개략도로서, 의자(1)의 좌판(2)이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2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1)는 사람이 앉지 않은 상태에서는 좌판(2)이 앞쪽을 향하여 20~45°정도 기울어져 있으며,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 및 가이드 로드(13)를 서로 체결시킨 지지로드 연결핀(17)은 상기 가이드 장홈(13a)의 가장 위쪽 위치로 올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처럼 좌판(2)에 무게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지지 로드(11)의 제1연결홈(11a)과 제2지지 로드(12)의 제2연결홈(12a)의 입장에서도 가장 위쪽의 위치에서 지지로드 연결핀(17)이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P)이 엉덩이를 좌판(2)에 대고 앉으려고 하면, 사람의 체중이 좌판(2)에 실리기 시작하면서, 상기 신축 지지 유닛(600)의 쇼크 업소버(15)가 천천히 수축되기 시작한다. 즉, 피스톤 로드(16)가 쇼크 업소버(15)안으로 들어가면서 신축 지지 유닛(15)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동시에, 도2의 그림 상태를 기준으로, 제1지지 로드(11)가 제1하부 연결 힌지(31)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1지지 로드(11)와 엇갈려 배치된 제2지지 로드(12)는, 도2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2하부 연결 힌지(32)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로드 연결핀(17)의 위치는 가이드 로드(13)의 가이드 장홈(13a)의 아래쪽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제1지지 로드(11)의 제1이동홈(11a) 및 제2지지 로드(12)의 제2이동홈(12a)에 대해서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람이 몸을 던지듯이 의자에 앉더라도 좌판(2)을 지지하는 쇼크 업소버(15)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서서히 수축함으로써, 좌판(2)의 각도가 기울어졌던 것이 서서히 수평으로 되어 가면서 천천히 그리고 안전하게 좌판(2)이 내려간다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의자(1)는 좌판의 각도가 서서히 변화하면서 아래로 약간 내려가 앉기에 편한 자세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허리, 다리 관절이 안 좋은 사람이나 노약자, 장애인들이라도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를 사용하면, 다른 사람의 부축을 받거나 혹은 의자를 손으로 짚을 필요가 전혀 없이, 마치 몸을 던지듯이 의자에 몸무게를 실음으로써 안전하게 의자에 앉는 것이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 개략도로서, 사람(P)이 의자(1)의 자판(2)에 완전히 앉아 좌판(2)이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을 참고하면, 좌판(2)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제1지지 로드(11), 제2지지 로드(12) 및 가이드 로드(13)는 각각의 홈들(11a, 12a, 13a)의 제일 아래쪽에 지지로드 연결핀(17)이 위치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지지 로드(11), 제2지지 로드(12) 및 가이드 로드(13)에 형성된 장홈들(11a, 12a, 13a)은 각 로드(11, 12, 13) 상호간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고, 좌판(2)의 상방 최대 이동위치(도2)와 하방 최대 이동위치(도3)를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의자(1)의 좌판(2)이 상방으로 최대 올라간 상태(도2)는 상기 장홈들(11a, 12a, 13a)의 상단부에서 지지로드 연결핀(17)이 막혀 더 이상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확보되며, 의자(1)의 좌판(2)이 하방으로 최대로 내려간 상태(도3)는 상기 장홈들(11a, 12a, 13a)의 하단부에서 지지로드 연결핀(17)이 막혀 더 이상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확보된다.
도4는 도3의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사람(P)이 의자(1)에서 일어나려고 하여 몸무게를 약간 앞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일어나려는 약간의 동작을 취한 경우에, 쇼크 업소버(15)안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쇼크 업소버(15)가 신장됨으로써 좌판(2)이 약간 위쪽으로 밀려 올라온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는 허리나 다리 관절이 불편한 사람들이 쉽게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일어서려고 할 때에도, 체중을 의자의 앞쪽으로 약간 옮기거나 혹은 엉덩이를 살짝 들어 올리는 식으로 일어나려고 하는 태세를 보이기만 하면, 쇼크 업소버(15) 안에 내장된 스프링(도5의 도면부호 158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서 쇼크 업소버(15)가 신장되고 그 결과 좌판(2)의 각도가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 힘에 의해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은 사람(P)이 일어나려고 의도하면서 체중을 앞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엉덩이를 살짝 들어 올리면, 좌판(2)의 뒤쪽 부분에 결합된 쇼크 업소버(15)가 신장되며, 그 결과 좌판(2)이 위쪽으로 약간 상승하면서 각도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사람이 쉽게 일어설 수 있게끔 한다.
허리나 다리 관절이 불편한 사람들이 의자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 의자의 좌판(2)이 약간만 엉덩이를 받쳐서 위로 들어 올려주는 힘을 발휘하면, 훨씬 쉽게 일어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의자(1)는 이러한 필요성을 파악하여, 쇼크 업소버와 스프링의 결합 구조에 의해 좌판(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체중의 일부가 제거된 경우 곧바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쇼크 업소버(15)가 좌판(2)을 위쪽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설계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설 때에도 기존의 일반 의자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이 있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에 적용된 쇼크 업소버(15)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에 있어서 제1지지 로드(11)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쇼크 업소버(15)의 구조와 사양은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쇼크 업소버(속칭 '쇼바'라고 부름)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들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쇼크 업소버(15)의 구조는,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쇼크 업소버들 중의 하나에 관한 예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의 쇼크 업소버의 구조에 관한 설명 및 도면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둔다.
도5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에 적용되는 쇼크 업소버(15)는, 원통형의 외부 하우징(155) 안에 내부 실린더(160)가 설치되고, 그 내부 실린더(160)의 내부 공간(161, 162)안에 피스톤 로드(16)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하단부(즉, 제1지지로드(11)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하부 커버(155a)가 결합되며, 그 반대편의 상단부(즉, 피스톤 로드(16)가 통과하는 부분)에는 상부 커버(155b)가 결합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안쪽 공간에는 전부 작동유체, 즉 오일(oil, 157)이 채워진다. 쇼크 업소버의 경우 가스(질소가스 등)를 채운 제품들도 있으나, 일단 본 발명에서는 오일을 작동유체로 채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하단부 쪽에는 제1오리피스(orifice, 151)라고 하는 복수 개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 실린더(160) 안팎의 작동유체(오일, 157)가 서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상단부 쪽에는 제3오리피스(153)이라고 하는 또 다른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오리피스(153)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실린더(160)와 외부 하우징(155)의 사이에는 제2오리피스(1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제2오리피스(152)와 제3오리피스(153)를 통해서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안쪽에 들어가 있는 피스톤 로드(16)의 헤드(16a)는 스프링(158)에 의해서 항시 쇼크 업소버(15)의 바깥쪽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쇼크 업소버(15)가 수축되기 위해서는, 내부 실린더(160)의 제1내부공간(161) 안에 있는 오일(157)이 제1오리피스(151)를 통해 외부 공간(163)으로 빠져나오는 한편 외부공간(163)의 오일이 제2오리피스(152) 및 제3오리피스(153)를 통해서 내부 실린더(160)의 제2내부공간(162) 안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제1 내지 제3오리피스(151,152,153)는 적절하게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피스톤 로드(16)의 이동에 의해 오일(157)이 압력을 받더라도 그 오일이 오리피스들(151, 152, 153)을 통해서 한 번에 이동할 수가 없으므로, 오일의 이동속도에 맞춰 쇼크 업소버(15)의 수축동작은 서서히 일어나게 된다(도6 참조).
반대로, 쇼크 업소버(15)에 가해졌던 외부 하중이 제거되어 스프링(158)의 탄성력에 의해 쇼크 업소버(15)가 신장될 경우에는, 내부 실린더(160)의 제2내부공간(162) 안에 있던 오일(157)이 제3오리피스(153) 및 제2오리피스(152)를 지나 외부공간(163)으로 이동하고, 외부공간(163)의 오일이 제1오리피스(151)를 지난 내부 실린더(160)의 제1내부공간(161)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에도 오일이 비좁은 오리피스들(151,152,153)을 통과하는 속도에 맞춰 피스톤 로드(16)가 바깥쪽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쇼크 업소버(15)의 신장 동작도 역시 서서히 진행되게 된다(도7 참조)
이와 같이 쇼크 업소버(15)가 힘을 받는 방향으로 천천히 작동함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의자의 좌판(2)이 서서히 아래로 내려오고 또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쇼크 업소버(15)의 하부 커버(155a)는 용접 기타의 방법으로 상기 제1지지 로드(11)에 결합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10에서 도면부호 11b는 제1지지 로드(11)와 하부 커버(155a)의 용접 부위를 가리킨다.
도6은 도5에 있어서 쇼크 업소버(15)가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좌판(2)에서 가한 하중(사람의 체중)에 의해 피스톤 로드(16)은 내부 실린더(160)의 안쪽으로 가장 깊숙이 들어가 있으며, 스프링(158)은 피스톤 헤드(16a)에 의해서 최대로 압축되어 있다.
도7은 도5 및 도6의 쇼크 업소버(15)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과 같이, 사람의 체중이 좌판(2)에서 완전히 제거되어 스프링(158)의 탄성력만이 피스톤 헤드(16a)에 작용할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16)가 내부 실린더(160)로부터 최대로 빠져나가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1)에 사용되는 쇼크 업소버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예(15a)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외부 하우징(155) 밖의 피스톤 로드(16)상에 외부 스프링(158a)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5 내지 도7의 단면도들은 쇼크 업소버(15)의 내부에 스프링(158)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스프링은 반드시 쇼크 업소버(15)의 내부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쇼크 업소버(15)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8이 바로 그런 예로서, 내부 실린더(160)의 안쪽 공간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았고, 대신 상부 커버(155b)와 인접한 위치에 외부 스프링(158a)이 피스톤 로드(16)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소정 위치에 스프링 고정턱(158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스프링(158a)의 탄성력을 피스톤 로드(16)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1)에 사용되는 쇼크 업소버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예(15b)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쇼크 업소버(15b)의 작동정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조절노브(170)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좌판(2)이 위 아래로 이동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좌판(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킴), 혹은 쇼크 업소버(15)의 반응속도에 관한 강약 정도를 조절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9 및 도10에서는 쇼크 업소버(15)에 오일(157)이 통과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그 경로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블록(171)을 설치하고, 그 조절블록(171)의 위치를 외부에서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노브(adjustment knob, 170)를 함께 설치하였다.
도9에서는 조절블록(171)이 제2오리피스(170)를 차단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5 내지 도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일(157)이 정상적으로 쇼크 업소버(15) 안에서 유동하게 된다. 그러나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블록(171)이 제2오리피스(152)[혹은 제3오리피스(153)도 함께]를 차단하게 되면, 오일(157)이 내부 실린더(160)의 안팎으로 이동할 수가 없게 되므로, 결국 쇼크 업소버(15)에 록(lock)이 걸린 상태(즉, 록아웃(lock out))가 된다.
도11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쇼크 업소버(15b)가 장착된 의자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쇼크 업소버(15)에 설치된 조절노브(170)를 손으로 조작함에 의해서 의자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아예 쇼크 업소버(15)를 잠가버릴 수가 있게 된다.
전술한 도10 및 도11에서는 쇼크 업소버(15)의 제2오리피스(152) 및 제3오리피스(153)의 위치에서 조절블록(171)이 설치된 것으로 예로 들어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제1오리피스(151)의 위치에 조절블록(171)과 조절노브(170)을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록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노브(170) 등의 설치 위치는 전체 오리피스들(151, 152, 153) 중의 어디라도 가능하며, 그 설치위치에 관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a)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a)는 주 좌판(2a)과 보조좌판(2b)이 앞뒤로 연결되고, 주 좌판(2a)은 그 아래의 신축 지지 유닛(601)에 의해서 베이스(3)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주 좌판(2a)과 보조 좌판(2b)은 연결부재(2c)에 의해서 서로 약간의 위 및 거리의 변동이 가능하게끔 연결되며, 신축 지지 유닛(601)의 상단부는 상기 주 좌판(2a)의 밑면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보조 좌판(2b)은 타단이 상기 신축 지지 유닛(6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보조좌판 지지 연결봉(303)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 연결부(30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도13 내지 도15는 도12의 의자(1a)의 측면 개략도들로서, 도13은 아직 사람이 의자에 완전히 앉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14는 사람이 의자에 완전히 앉아서 의자의 좌판들(2a,2b)이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도시하며, 도15는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나려는 태세를 보일 때에 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해 쇼크 업소버(310)가 신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12 및 도13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3)상에 기립된 상태로 설치된 신축 지지 유닛(601)은 외통(320)과, 그 외통(320)안에 설치된 쇼크 업소버(310), 및 상기 쇼크 업소버(310)의 상방에 연결된 스핀들(spindle, 200)로 구성된다. 상기 스핀들(200)의 둘레에는 스프링(203)이 감겨 있고, 스핀들(200)상의 소정 위치에는 상부 스프링 고정턱(201)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스핀들(200)은 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한편, 상기 외통(320)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하부 스프링 고정턱(202)이 설치되어 있다.
사람(P)이 상기 주 좌판(2a) 및 보조좌판(2b)에 앉으려고 하면서 좌판들(2a, 2b)에 체중을 실으면, 상기 스핀들(200)은 스프링(203)의 탄성력을 이기고 외통(320)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쇼크 업소버(310)가 충격량을 흡수하여 서서히 수축하므로, 스핀들(200)은 서서히 외통(3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간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a)가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때 스프링(203)은 상부 스프링 고정턱(201)과 하부 스프링 고정턱(202)의 사이에서 최대로 압축되어 있고, 쇼크 업소버(310) 역시 최소 길이 상태로 수축되어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좌판(2a)이 하강하기 이전에는 보조 좌판(2b)이 약 30~60°의 각도로 앞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지만, 도14처럼 주 좌판(2a)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 좌판(2b)이 주 좌판(2a)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서 편평한 위치로 놓여 있게 된다.
또한,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좌판(2b)을 지지하는 보조좌판 연결지지봉(303)은 그 하단부가 외통(32)의 힌지 연결부(321)에 고정됨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기 보조좌판(2b)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a)에 앉은 사람(P)이 일어서기 위해 체중을 약간 앞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엉덩이를 살짝 드는 동작을 취하면, 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핀들(200)이 외통(320)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주 좌판(2a)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의자는, 이러한 작용 메커니즘에 의해서 의자에 앉을 때에는 마치 체중을 던지듯이 앉더라도 서서히 그리고 안전하게 의자에 앉을 수가 있으며, 반대로 의자에서 일어나고자 할 때에는 약간만 엉덩이를 들거나 체중을 앞쪽으로 움직이면 주 좌판(2a)이 위로 밀고 올라오는 힘을 느끼게 되므로, 사람(P)은 힘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일어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3 및 도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자(1a)는 앉고 일어나는 동작이 보다 자연스럽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신축 지지 유닛(601)이 베이스(3)에 세워져 설치되는 각도, 즉 외통(320)이 베이스(3)에 세워져 설치되는 각도(α)를 직각(90°) 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상기 외통(320)이 보조좌판(2a)을 향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약 80~89°정도의 각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4~87°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12 내지 도15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301은 상기 외통(320)을 베이스(3)상에 고정시키는 지지플랜지를 가리킨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b)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1b)를 X자 형태로 지지하는 제1지지로드(11)와 제2지지로드(12)가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제1지지로드(11)의 하단부가 바퀴(31a)에 의해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의자(1b)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가이드 로드(13)가 없고,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에도 이동홈들(11a,11b, 도1 내지 도4 참조)이 없으며,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오직 하나의 위치에서만 서로 체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도16 및 도17)는 의자(1b)의 좌판(2)의 앞쪽 부분을 지지하는 부재[즉, 제2지지 로드(12)]가 지면에 닿는 부분은 위치가 고정되고, 대신 의자의 좌판(2)의 뒤쪽 부분을 지지하는 부재[즉, 제1지지 로드(11)]가 지면에 닿는 부분은 바퀴(31a)가 달려서 앞뒤로 이동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가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된 상태에서, 제1실시예(12a, 13b, 도1 내지 도4 참조)처럼 각 로드들(11,12)의 체결 위치가 이동되지 않으면서도 좌판(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려면,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의 하단부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밖에는 없다. 즉, 좌판(2)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1지지 로드(1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바퀴(31a)가 제2지지 로드(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베이스(3)와 가깝게 되고(도16 참조), 좌판(2)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1지지 로드(1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바퀴(31a)와 제2지지 로드(12)의 하단부의 베이스(3)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도16 및 도17에서 미설명 부호 32a는 제2지지 로드(12)를 베이스(3)에 연결하는 하부 연결 힌지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도16 및 도17)에서 제1지지 로드(11)와 제2지지 로드(12)간의 체결위치가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한 곳으로 고정된 것 외에는, 기타의 구성들은 상술한 제1실시예(도1 내지 도4)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bc)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1c)를 X자 형태로 지지하는 제1지지로드(11)와 제2지지로드(12)가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제2지지로드(12)의 하단부가 바퀴(32b)에 의해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도18 및 도19)는 상술한 제3실시예(도16 및 도17)의 반대의 경우를 설명한 것으로서, 쇼크 업소버(15)가 설치된 제1지지 로드(11)의 하단부는 베이스(3)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제2지지 로드(12)의 하단부는 바퀴(32b)에 의해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도18 및 도19에서 미설명 부호 31b는 제1지지 로드(11)를 베이스(3)에 연결하는 하부 연결 힌지를 가리킨다.
도20 및 도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d)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20 및 도21을 참고하면, 의자(1d)의 좌판(2)의 하방에 제1지지로드(401)와 제2지지로드(402)가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되는데, 전술한 실시예들(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과 달리,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가 의자의 좌판(2)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대신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에는 또 다른 연결로드(650)의 한쪽 단부가 체결핀(651)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650)의 다른 쪽 단부는 의자 좌판(2)에 형성된 제3상부 연결 힌지(2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로드(401)와 제2지지로드(402)의 서로 교차하는 부분은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상부 연결 힌지(23)와 상기 로드 체결핀(400)의 사이에는 쇼크 업소버(450)가 설치된다. 상기 쇼크 업소버(450)는 사람이 의자(1d)에 앉을 때에는 그 충격을 흡수하여 서서히 수축함으로써 좌판(2)의 각도가 변화하면서(기울어졌던 것이 수평으로 되어 감) 내려가도록 하며, 반대로 사람이 의자(1d)에서 일어날 때에는 쇼크 업소버(450)안에 내장된 스프링(혹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쇼크 업소버(450)의 피스톤 로드(451) 주위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발휘되어 서서히 신장함으로써 좌판(2)의 각도를 서서 히 변화시켜 가면서(수평으로 되어 있던 것이 앞쪽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됨)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상부 연결힌지(23)는 쇼크 업소버(450)에 힘을 가하고 또한 쇼크 업소버(450)로부터 힘을 받는 역할을 하므로, 의자의 하강 및 상승 동작에 필요한 힘의 작용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상부 연결 힌지(23)는 좌판(2)의 뒤쪽 단부가 아닌 전단(前端)과 후단(後端)의 사이에 있는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제3상부 연결 힌지(23)의 위치는 좌판(2)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에 있는 지점이면 어디든 괜찮으나, 의자(1d)의 원활한 상승 및 하강 동작을 고려하고 또한 좌판(2)의 상하 이동거리 및 X자형의 지지로드들(401, 402)이 움직이는 거리를 비교적 작게 유지하기 위해서, 좌판(2)의 전단 또는 후단 쪽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것이 유리하다. 즉, 도20을 기준으로 할 때, 제1상부 연결 힌지(21)와 제3상부 연결 힌지(23)의 거리(S1)는 연결로드의 길이(S2)보다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40~60%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20 및 도21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로드(401)의 하단부는 하부 연결 힌지(31b)에 의해서 베이스(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지면에 대해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 상기 제2지지로드(402)의 하단부는 바퀴(32b)가 달려서 의자의 좌판(2)이 하강할 때에는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21 참조). 즉, 의자의 좌판(2)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2지지로드(402)의 바퀴(32b)가 X1의 위치에 있게 되지만(도20 참조), 좌판(2)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2지지로드(402)의 바퀴(32b)가 X2의 위치로 a1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도21 참조).
한편, 상기 좌판(2)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1상부 연결 힌지(21)는 의자 좌판(2)의 최대 상승시에는 Y1의 위치에 있다가(도20 참조), 좌판(2)이 최대로 하강한 때에는 Y2의 위치로 되어 전체적으로 b2의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도21 참조).
도22 및 도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e)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22 및 도23에 도시된 제6실시예는 전술한 제5실시예(도20 및 도21)와 비교하여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와 제2지지로드(402)의 사이에 추가적인 제2쇼크 업소버(460)가 더 설치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쇼크 업소버(460)는 제3상부 연결 힌지(23)와 로드 체결핀(400)의 사이에 설치된 기본적인 제1쇼크 업소버(450a)의 작동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쇼크업소버들(450a, 460)을 설치하면 의자의 하강 및 상승 동작이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22 및 도23에서 도면부호 451a는 제1쇼크 업소버(450a)의 피스톤 로드를 가리킨다.
도24 및 도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1f)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24 및 도25를 참고하면, 기본 지지로드(500)의 상단부가 의자의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기본 지지로드(500)의 하단부는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베이스(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에는 제1쇼크 업소버(510)와 제2쇼크 업소버(520)가 각각 결합된다. 제1쇼크 업소버(510)는 베이스(3)와 기본 지지로드(500)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제1쇼크 업소버(510)의 상단부는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상의 제1체결점(531a)에서 제1로드 체결핀(5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베이스(3)에 설치된 제1하부 연결 힌지(3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쇼크 업소버(520)는 의자의 좌판(2)과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제2쇼크 업소버(520)의 상단부는 의자 좌판(2)의 뒤쪽에 설치된 제2상부 연결 힌지(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상의 제2체결점(532a)에서 제2로드 체결핀(5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의자의 좌판(2)이 상승 및 하강하는 동작 중에도 좌판(2)의 하방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들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으며 베이스(3)에 의해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다만 의자의 좌판의 위치만이 약간 앞쪽으로 내려왔다가 올라가는 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의자(1f)의 좌판(2)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의자의 좌판(2)의 제1상부 연결 힌지(21)의 위치가 Y3의 높이에 있으나(도24 참조), 의자(1f)의 좌판(2)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서는 좌판(2)의 제1상부 연결 힌지(21)의 위치가 Y4의 위치로 이동하여 전체적으로 b2 만큼의 이동 폭을 갖게 된다(도25 참조).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도면들(도24 및 도25)에서는 기본 지지로드(500)상에 2개의 쇼크 업소버들(510, 520)이 결합되는 위치들, 즉 제1체결점(531a)과 제2체결점(532a)의 위치가 서로 따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체결점들(531a, 532a)의 위치를 한 군데로 합쳐도 무방하다. 즉, 기본 지지로드(500) 상의 한 지점에서 제1쇼크 업소버(510)의 상단부와 제2쇼크 업소버(520)의 하단부를 한꺼번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24 및 도25에는 기본 지지로드(500)상의 제1쇼크 업소버(510)의 고정 위치(즉 제1체결점(531a))를 제2쇼크 업소버(520)의 고정 위치(즉 제2체결점(532a))보다 아래쪽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하여, 제1쇼크 업소버(510)를 기본 지지로드(500)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점(531a)의 위치를 제2쇼크 업소버(510)를 기본 지지로드(500)에 결합시키는 제2체결점(532a)의 위치보다 위쪽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적용된 쇼크 업소버들(15, 450, 451a, 460, 510, 520)은 전술한 도5 내지 도10에 도시된 쇼크 업소버들과 같은 것일 수도 있고, 혹은 그 밖의 다른 구조와 작동방식을 가진 쇼크 업소버들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함께 설명된 쇼크 업소버의 구조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타입의 쇼크 업소버들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도16~도25)에서는 쇼크 업소버의 외부에 스프링을 장착한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쇼크 업소버의 외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주위에 별도의 스프링을 장착한 구조로 된 쇼크 업소버도 본 발명의 의자의 작동을 위한 쇼크 업소버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도1~도25)에서는 쇼크 업소버를 채용하여, 별도의 외부 동력(전기력, 유압 혹은 가스압)없이도, 사람이 의자에 앉으려고 하면서 좌판에 체중을 싣거나 혹은 의자로부터 일어서려고 하면서 좌판에서 체중을 약간 덜어내는 동작을 취함에 의해 자연스럽게 좌판의 각도가 변화하면서 좌판의 하강 및 상승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위 각 실시예들에 포함된 쇼크 업소버 자리에 전동실린더(유압 실린더 또는 가스압 실린더도 가능)를 적용함으로써 외부 동력에 의해 좌판의 하강 및 상승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실시예들에 제시된 쇼크 업소버 뿐만 아니라 전동 실린더에 의한 의자의 하강/상승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발명의 보호범위로써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에 대해서 그 구성과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앉고 일어나기 쉬운 의자는, 허리나 엉덩이 및 무릎의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하게 앉고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므로, 관절이 불편한 노약자들과 장애인 및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보다 편하게 영위하는데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일반적인 개념의 의자 이외에도 화장실의 좌변기에 그 원리를 적용하면 환자들과 노인들 그리고 장애인들이 화장실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신체장애나 각종 질환으로 몸이 불편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혼자서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고 일어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특히 화장실을 이용한다는 특성상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기에도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에 따른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의 구조를 화장실 좌변기에 적용한다면, 앉을 때에도 마치 몸을 던지듯이 앉아도 되므로 관절의 부담 없이 편하고 안전하게 좌변기 위에 앉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또한 일어날 때에도 기존의 좌변기의 경우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충분히 일어설 수 있게 되므로, 장애인들, 노인들 혹은 환자들이 가장 필요한 일상사를 타인의 도움 없이도 혼자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는,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보다 안락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향후 노약자, 환자 및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복지향상을 실현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1a, 1b, 1c, 1d, 1e, 1f: 의자 2: 좌판
2a: 주좌판 2b: 보조좌판
2c: 좌판 연결부재 3: 베이스
11: 제1지지로드 11a: 제1이동홈
11b: 용접부위 12: 제2지지로드
12a: 제2이동홈 13: 가이드 로드(guide rod)
13a: 가이드 장홈 15: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16: 피스톤 로드(piston rod) 16a: 피스톤 헤드
17: 지지로드 연결핀 21: 제1상부연결 힌지
22: 제2상부연결 힌지 23: 제3상부연결 힌지
31: 제1하부연결 힌지 31a: 바퀴
31b: 하부 연결힌지 32: 제2하부연결 힌지
32a: 하부 연결힌지 32b: 바퀴
33: 고정부 151: 제1오리피스(orifice)
152: 제2오리피스(orifice) 153: 제3오리피스(orifice)
155: 외부 하우징 155a: 하부 커버
155b: 상부 커버 157: 오일(oil)
158: 스프링 158a: 외부 스프링
158b: 스프링 고정턱 160: 내부 실린더
161: 제1내부공간 162: 제2내부공간
163: 외부공간 170: 조절노브(adjusting knob)
171: 조절블록 200: 스핀들(spindle)
201: 상부 스프링 고정턱 202: 하부 스프링 고정턱
203: 스프링 300: 외통
301: 지지 플랜지 302: 힌지 연결부
303: 보조좌판 지지연결봉 310: 쇼크 업소버
311: 피스톤 로드 400: 로드 체결핀
401: 제1지지로드 402: 제2지지로드
450: 쇼크 업소버 451: 피스톤 로드
460: 제2쇼크 업소버 461: 피스톤 로드
500: 기본 지지로드 510: 제1쇼크 업소버
520: 제2쇼크 업소버 511, 521: 피스톤 로드
531: 제1로드 체결핀 532: 제2로드 체결핀
531a, 532a: 체결점 600, 601: 신축지지유닛
650: 연결로드 651: 연결로드 체결핀

Claims (23)

  1. 삭제
  2.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기 좌판(2)의 하방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의자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3);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신축지지유닛(600);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로드(12);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되고, 상기 신축지지유닛(600)과 제2지지로드(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0)과 상기 제2지지로드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유닛(600)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지지로드(11), 및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상단부에 일단이 결합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15)를 포함하며;
    상기 쇼크 업소버(15)의 타단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유닛(600)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지지로드(11), 및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상단부에 일단이 결합된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전체 길이 중의 일부분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이동홈(11a)이 긴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로드(12)의 전체 길이 중의 일부분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2이동홈(12a)이 긴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13)의 전체 길이 중의 일부분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장홈(13a)이 형성되고,
    지지로드 연결핀(17)이 상기 제1이동홈(11a), 제2이동홈(12a) 및 가이드 장홈(13a)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로드(11), 제2지지로드(12) 및 가이드 로드(13)가 서로 위치변경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15)는,
    제1지지로드(11)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하우징(155);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 실린더(160);
    헤드(16a)가 상기 내부 실린더(160)안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헤드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 단부가 상기 좌판(2)과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16);
    상기 내부 실린더(160)안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헤드(16a)를 밀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58);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오리피스(151);
    상기 외부 하우징(155)과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사이에 형성된 제2오리피스(152);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3오리피스(153); 및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내부의 공간을 채운 작동유체(157);를 포함하며,
    사람이 상기 좌판(2)에 앉을 때는 상기 쇼크 업소버(15)가 천천히 수축되고, 사람이 상기 좌판(2)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는 상기 스프링(158)의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기 쇼크 업소버(15)가 천천히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15)는,
    제1지지로드(11)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하우징(155);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 실린더(160);
    헤드(16a)가 상기 내부 실린더(160)안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헤드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 단부가 상기 좌판(2)과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16);
    상기 피스톤 로드(16)상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턱(158b);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상부커버(155b)와 상기 스프링 고정턱(158b)의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16)를 감싸며 설치된 외부 스프링(158a);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오리피스(151);
    상기 외부 하우징(155)과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사이에 형성된 제2오리피스(152);
    상기 내부 실린더(1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3오리피스(153); 및
    상기 외부 하우징(155)의 내부의 공간을 채운 작동유체(157);를 포함하며,
    사람이 상기 좌판(2)에 앉을 때는 상기 쇼크 업소버(15)가 천천히 수축되고, 사람이 상기 좌판(2)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는 상기 외부 스프링(158a)의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기 쇼크 업소버(15)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15)의 제1 내지 제3오리피스들(151,152,15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조절블록(171)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블록(171)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노브(170)가 상기 외부 하우징(155)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절노브(170)를 조작하면 상기 조절블록(171)이 상기 제1 내지 제3오리피스들(151,152,15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적의 일부 혹은 전체를 개폐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신축지지유닛(600)의 작동속도를 조절하거나 현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9.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주 좌판(2a);
    상기 주 좌판(2a)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주 좌판(2a)과는 연결부재(2c)에 의해 연결된 보조좌판(2b);
    상기 주 좌판(2a)과 보조 좌판(2b)의 하방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의자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3);
    상단부가 상기 주 좌판(2a)의 밑면에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3)에 고정된 신축지지유닛(601); 및
    일단이 상기 보조좌판(2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지지유닛(6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보조좌판 지지연결봉(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유닛(601)은,
    상기 베이스(3)에 세워져 고정된 외통(320),
    상기 외통(320) 안에 설치된 쇼크 업소버(310),
    하단부가 상기 외통(320)안의 쇼크 업소버(310)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주 좌판(2a)의 밑면에 고정된 스핀들(200), 및
    상기 스핀들(200)의 주위를 감싸며 설치된 스프링(203);을 포함하며,
    상기 주좌판(2a)과 상기 보조좌판(2b)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사람이 상기 주 좌판(2a) 및 보조좌판(2b)에 앉을 때는 상기 쇼크 업소버(310)가 천천히 수축되고, 사람이 상기 좌판들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는 상기 스프링(203)의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기 쇼크 업소버(310)가 천천히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유닛(601)은,
    상기 베이스(3)에 세워져 고정된 외통(320),
    상기 외통(320) 안에 설치된 쇼크 업소버(310),
    하단부가 상기 외통(320)안의 쇼크 업소버(310)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주 좌판(2a)의 밑면에 고정된 스핀들(200), 및
    상기 쇼크 업소버(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쇼크 업소버가 신장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주좌판(2a)과 상기 보조좌판(2b)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사람이 상기 주 좌판(2a) 및 보조좌판(2b)에 앉을 때는 상기 쇼크 업소버(310)가 천천히 수축되고, 사람이 상기 좌판들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기 쇼크 업소버(15)가 천천히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유닛(601)은,
    상기 베이스(3)에 세워져 고정된 외통(320),
    상기 외통(320) 안에 설치된 전동 실린더, 및
    하단부가 상기 외통(320)안의 전동 실린더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주 좌판(2a)의 밑면에 고정된 스핀들(200)을 포함하며;
    상기 주 좌판(2a)과 상기 보조좌판(2b)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전동 실린더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상기 주 좌판(2a)이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3.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20)은 상기 베이스(3)에 대한 수직(垂直) 방향으로부터 상기 보조 좌판(2b) 쪽을 향하여 1~10°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3)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4.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신축지지유닛(602); 및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로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2)은, 하단부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로드(11), 및 하단부가 상기 제1지지로드(11)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연결된 쇼크 업소버(1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로드(11)와 상기 제2지지로드(12)는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된 상태에서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로드(12)의 하단부는 베이스(3)와의 결합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하단부는 바퀴(31a)가 설치되어, 사람이 의자에 앉으면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하단부가 의자의 앞쪽 방향을 향해 이동하였다가,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서면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하단부가 의자의 뒤쪽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로드(11)의 하단부는 베이스(3)와의 결합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2지지로드(12)의 하단부는 바퀴(32b)가 설치되어, 사람이 의자에 앉으면 상기 제2지지로드(12)의 하단부가 의자의 앞쪽 방향을 향해 이동하였다가,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서면 상기 제2지지로드(12)의 하단부가 의자의 뒤쪽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7.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을 향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로드(401);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로드(402);
    하단(下端)이 상기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와 체결핀(651)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상기 좌판(2)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위치한 힘 작용지점(23)에 그 상단(上端)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좌판(2)과 상기 제2지지로드(402)를 연결하는 연결로드(650);
    상기 제1지지로드(401)와 상기 제2지지로드(402)의 교차지점을 핀 결합하는 로드 체결핀(400); 및
    상기 힘 작용지점(23)과 상기 로드 체결핀(400)의 사이에 설치된 쇼크 업소버(4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와 상기 제2지지로드(402)의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된 제2쇼크 업소버(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19.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본 지지로드(500);
    상단부가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의 길이 중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쇼크 업소버(510); 및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의 길이 중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쇼크 업소버(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20.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신축지지유닛(602); 및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로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지지유닛(602)은, 하단부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로드(11), 및 하단부가 상기 제1지지로드(11)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연결된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로드(11)와 상기 제2지지로드(12)는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된 상태에서 로드 체결핀(40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21.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을 향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로드(401);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로드(402);
    하단(下端)이 상기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와 체결핀(651)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상기 좌판(2)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위치한 힘 작용지점(23)에 그 상단(上端)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좌판(2)과 상기 제2지지로드(402)를 연결하는 연결로드(650);
    상기 제1지지로드(401)와 상기 제2지지로드(402)의 교차지점을 핀 결합하는 로드 체결핀(400); 및
    상기 힘 작용지점(23)과 상기 로드 체결핀(400)의 사이에 설치된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로드(401)의 상단부와 상기 제2지지로드(402)의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된 제2전동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23. 사람의 둔부가 닿아 앉을 수 있는 좌판(2);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본 지지로드(500);
    상단부가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의 길이 중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좌판(2)의 앞쪽 위치의 하방에서 지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 실린더; 및
    상단부가 상기 좌판(2)의 뒤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기본 지지로드(500)의 길이 중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KR1020100051373A 2010-05-31 2010-05-31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KR10103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73A KR101038579B1 (ko) 2010-05-31 2010-05-31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PCT/KR2011/003978 WO2011152648A2 (ko) 2010-05-31 2011-05-31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US13/701,459 US20130069407A1 (en) 2010-05-31 2011-05-31 Chair for easy-sitting and easy-rising motions
JP2013513107A JP2013527002A (ja) 2010-05-31 2011-05-31 立ち座り便利な椅子
CN2011800270950A CN102984970A (zh) 2010-05-31 2011-05-31 用于易坐和易起动作的椅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73A KR101038579B1 (ko) 2010-05-31 2010-05-31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579B1 true KR101038579B1 (ko) 2011-06-03

Family

ID=4440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73A KR101038579B1 (ko) 2010-05-31 2010-05-31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69407A1 (ko)
JP (1) JP2013527002A (ko)
KR (1) KR101038579B1 (ko)
CN (1) CN102984970A (ko)
WO (1) WO2011152648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00B1 (ko) * 2013-07-09 2015-03-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보조의자
CN105962670A (zh) * 2016-07-29 2016-09-28 陈烁 老年人助起身座具
KR101931327B1 (ko) * 2017-07-21 2018-12-20 주식회사 네오탑 변기 보조 장치
WO2019132108A1 (ko) *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102401283B1 (ko) * 2020-12-24 2022-05-23 도경환 자동 높이 조절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07236A (en) * 2010-07-21 2015-08-31 Moran Nadav Chair helps
SE536696C2 (sv) * 2012-10-10 2014-06-03 Support Design Ab Stol med lut-och låsbar sittdyna
CN103230173A (zh) * 2013-04-19 2013-08-07 李玉生 一种直腿式折叠椅
CN107205593B (zh) * 2014-09-08 2018-11-06 斯普莱恩设计协会股份有限公司 座椅辅助装置
JP5898794B1 (ja) * 2014-09-29 2016-04-06 株式会社フュージョンテク 立ち座り補助器具及び椅子
US10045896B2 (en) * 2014-12-04 2018-08-14 Tsushima Ironworks Co., Ltd. Standing-up assist tool and walking support device
KR102515990B1 (ko) * 2016-04-18 2023-03-30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리프팅 장치
US10292502B2 (en) * 2016-08-31 2019-05-21 Omar Emad Hamid Foldable chair
CN107320261B (zh) * 2017-06-28 2022-11-25 宁波工程学院 一种具有提升装置的辅助起身床
CN107411399B (zh) * 2017-07-18 2023-10-27 中山乐宜嘉家居设备有限公司 一种辅助椅子
CN208941401U (zh) * 2017-07-26 2019-06-07 龚志雄 起坐辅助位置
CN108143148B (zh) * 2017-12-25 2020-06-09 河北帅康座椅有限公司 一种具有儿童限位保护结构的可翻转影院座椅
CN108577291B (zh) * 2018-04-25 2019-12-24 林植梅 一种便于肌肉无力的人起身的凳子
CN109157036A (zh) * 2018-09-25 2019-01-08 徐岩军 一种便于运输的可调节塑料座椅
US10932967B2 (en) * 2018-09-28 2021-03-02 William F. Haskett Personal assistive lift device and related methods
GB2591807B (en) * 2020-02-07 2023-03-29 Eevolv Ltd A furniture platform lifting mechanism
US11419463B2 (en) 2020-04-03 2022-08-23 Kohler Co. Toilet seat lift assembly
CN111658379B (zh) * 2020-05-12 2021-05-11 武汉理工大学 一种助老站立组件及可折叠家用助老站立装置
CN113306662B (zh) * 2021-06-25 2022-06-03 浙江普瑞圣工贸有限公司 坐式平衡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07B1 (ko) * 2007-04-05 2008-12-10 김명희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9152U (ko) * 1981-04-21 1982-10-25
JP2606353Y2 (ja) * 1993-10-07 2000-10-23 パシフィックサプライ株式会社 リフトアップチェア
ATE179321T1 (de) * 1995-12-18 1999-05-15 Le Couviour Sa Sitzmöbel, insbesondere behindertenstuhl
JPH10179644A (ja) * 1996-12-27 1998-07-07 Uchida Yoko Co Ltd 起立補助椅子
DE10007103B4 (de) * 2000-02-16 2004-01-29 Wolfgang Deisig Verstellbarer Arbeits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US6154896A (en) * 2000-03-31 2000-12-05 Houston; John Heavy duty power-assisted toilet seat lift assembly
US6385797B1 (en) * 2001-06-15 2002-05-14 Barry S. Phillips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a seat
US6811220B2 (en) * 2001-10-02 2004-11-02 North American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a seat
KR200272206Y1 (ko) * 2002-02-01 2002-04-17 이병선 의자의 틸팅구조
JP2004024826A (ja) * 2002-05-10 2004-01-29 Takeda Giken:Kk 作業補助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2005040346A (ja) * 2003-07-22 2005-02-17 Koichi Inoue 高さ可動椅子
NL1024413C2 (nl) * 2003-09-30 2005-03-31 Paul Arthur Engels In hoogte verstelbare werkstoel.
JP2005118143A (ja) * 2003-10-14 2005-05-12 Itoki Crebio Corp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US7547067B2 (en) * 2004-12-01 2009-06-16 Keilhauer (Partnership) Tilt and swivel chair and mechanism therefor
KR20060081305A (ko) * 2005-01-08 2006-07-12 주식회사 삼홍사 가스 실린더 및 가스 실린더의 충격 완화 구조
JP2006271804A (ja) * 2005-03-30 2006-10-12 Amami:Kk 起立補助椅子
US7540565B2 (en) * 2005-09-09 2009-06-02 Lipford William D Lift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07B1 (ko) * 2007-04-05 2008-12-10 김명희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00B1 (ko) * 2013-07-09 2015-03-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보조의자
CN105962670A (zh) * 2016-07-29 2016-09-28 陈烁 老年人助起身座具
KR101931327B1 (ko) * 2017-07-21 2018-12-20 주식회사 네오탑 변기 보조 장치
WO2019132108A1 (ko) *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102401283B1 (ko) * 2020-12-24 2022-05-23 도경환 자동 높이 조절 베개
WO2022139040A1 (ko) * 2020-12-24 2022-06-30 도경환 자동 높이 조절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2648A2 (ko) 2011-12-08
CN102984970A (zh) 2013-03-20
JP2013527002A (ja) 2013-06-27
US20130069407A1 (en) 2013-03-21
WO2011152648A3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579B1 (ko)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ES2394199T3 (es) Cama, en particular cama para enfermos o cuidados
US9089194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s
KR20200138824A (ko) 다기능 휠체어
KR101429950B1 (ko)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KR100599467B1 (ko)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
WO2019111514A1 (ja) 介助装置
KR20160046676A (ko)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기립 보조 휠체어 로봇
CN106214365A (zh) 一种伸缩座椅机构及设有该座椅机构的生活自理车
KR101522929B1 (ko)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JP2023032917A (ja) 自重利用型立ち上がり補助具
KR101046877B1 (ko) 좌립을 조력하는 휠체어용 좌석의 높이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795057B1 (ja) 運動補助具機能を備えた椅子
JP2005319248A5 (ko)
KR101316246B1 (ko) 스포츠 휠체어용 발판 각도 조절장치
TWM572716U (zh) Standing aid
CN206198175U (zh) 一种新型站立轮椅车
ES2361577T3 (es) Cama médica con traslación lateral.
CN209392271U (zh) 一种多功能轮椅
JP2017086725A (ja) 座面位置調整機構を備えた椅子
TWI528932B (zh) 自助式如廁輔助裝置
KR20120003933U (ko) 재활용 의자
JP3171636U (ja) ステップ式定距離移動歩行補助器
JP6950949B2 (ja) 移動補助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