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694B1 -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694B1
KR101037694B1 KR1020080061942A KR20080061942A KR101037694B1 KR 101037694 B1 KR101037694 B1 KR 101037694B1 KR 1020080061942 A KR1020080061942 A KR 1020080061942A KR 20080061942 A KR20080061942 A KR 20080061942A KR 101037694 B1 KR101037694 B1 KR 101037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s
oxide
forming
semiconductor substrat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864A (ko
Inventor
윤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6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6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1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 H01L29/66621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using etching to form a recess at the gate 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H01L29/1037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and non-planar chan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지정된 깊이로 형성된 리세스부와, 리세스부에 의하여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내측면 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증착물들을 산화시켜 형성된 산화 증착물들을 식각하여 각 산화 증착물들과 대응하는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내측면을 산화시켜 형성된 산화막을 식각하여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채널 길이 조절부와, 리세스부 내에 배치되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구조물의 채널 길이를 증가시켜 리프레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of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가 감소하게 되면서 문턱 전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이른바 단 채널 효과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유효 채널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리세스 채널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구현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70nm급 이하 소자의 제조시 유효 채널 길이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리세스 게이트 형성 영역에 벌브 타입(Bulb type)의 홈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의 디자인 룰이 감소함에 따라 소망하는 게이트의 채널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리세스 게이트용 홈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이와 다르게, 상기 홈을 두 번의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홈의 직경이 게이트들 사이의 간격보다 커지게 되거나, 상기 홈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홈들이 서로 오버랩(Overlap)될 가능성이 증가하여 공정 마 진이 감소되고, 상기 식각 공정에서 소자분리막의 손실되어 보이드(Void)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자분리막의 손실하게 되면, 상기 게이트들 사이의 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문턱 전압이 감소하게 되며, 상기 게이트의 전계(Electric field) 증가에 따른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 증가 현상으로 인해 리프레쉬 특성이 열화하게 된다.
그 결과, 반도체 소자의 불량이 야기되어 반도체 소자의 특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리세스 게이트의 채널 길이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지정된 깊이로 형성된 리세스부와, 상기 리세스부에 의하여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내측면 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증착물들을 산화시켜 형성된 산화 증착물들을 식각하여 상기 각 산화 증착물들과 대응하는 상기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내측면을 산화시켜 형성된 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채널 길이 조절부와, 상기 리세스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철부의 면적은 상기 제2 요철부의 면적보다 작다.
상기 증착물들은 불규칙적으로 증착된다.
상기 증착물들은 비정질 실리콘이다.
상기 산화막은 실리콘 산화(SiO2)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반도체 기판의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증착물들 및 상기 각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내측면을 산화시켜 산화 증착물 및 산화막들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산화 증착물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산화막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갖는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착물들은 비정질 실리콘이다.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착물들은 불규칙적으로 증착된다.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착물들은 섬(Island)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리세스부의 개구를 일부 노출하는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캡핑막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부 내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캡핑막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핑막은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에서 함께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은 습식 산화된다.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은 습식 식각 공정 및 건식 식각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리세스부 내에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에 리세스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에 의하여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내측면 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증착물들을 산화시켜 형성된 산화 증착물들을 식각하여 상기 각 산화 증착물들과 대응하는 상기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내측면을 산화시켜 형성된 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의 채널 길이를 증가시켜 리프레쉬 특성 및 드 레인 유발 장벽 저하 (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DIBL)를 개선할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소자의 특성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액티브(A)가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상기 액티브(A)를 절연하는 소자분리막(102)이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막(102)은, 예를 들어, SOD(Spin-On Dielectric)막 및 HPD(High Density Plasma)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막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액티브(A)에는 표면으로부터 지정된 깊이를 갖는 리세스부(R)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R)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내측면 상에는 제1 요철부(H1) 및 제2 요철부(H2)를 포함하는 채널 길이 조절부(H)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요철부(H1)의 면적은 상기 제2 요철부(H2)의 면적보다 작다.
상기 채널 길이 조절부(H)를 포함하는 상기 리세스부(R) 내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돌출될 게이트 구조물(G)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G)은, 예를 들어, 절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막(108), 도전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막(110) 및 절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하드마스크막(1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채널 길이 조절부(H)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구조물(G)의 채널 길이를 증가시켜 리프레쉬 특성 및 드레인 유발 장벽 저하 (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DIBL)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반도체 기판에 액티브를 절연하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액티브(A)가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상기 액티브(A)를 절연하는 소자분리막(102)이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막(105)은, 예를 들어, 스핀 온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절연막(Spin-On Dielectric)을 포함하는 SOD막 및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asma)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절연막을 포함하는 HDP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막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액티브에 리세스를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액티브(A)를 절연하는 소자분리막(102)이 형성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액티브(A)에는 표면으로부터 지정된 깊이를 갖는 리세스부(R)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반도체 기판 상에 리세스부의 개구를 일부 노출하는 캡핑막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상기 리세스부(R)의 개구를 일부 노출하는 캡핑막(10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캡핑막(104)을 상기 리세스부(R)의 개구 부분이 막히지 않도록 형성해준다.
상기 캡핑막(104)은, 예를 들어, 스텝 커버리지가 좋지 않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 절연막일 수 있으며, 상기 캡핑막(104)은, 예를 들어, 산화막 또는 질화막일 수 있다.
상기 캡핑막(104)은, 예를 들어, 약 10Å∼약 200Å의 두께를 갖는다.
도 5는 도 4의 캡핑막을 이용하여 리세스부 내에 증착물들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캡핑막(104)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부(R)에 대응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내측면 상에는 증착물(106)들이 형성된다. 상기 증착물(106)들은 상기 캡핑막(104) 상에도 형성된다.
상기 증착물(106)들은,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이이며, 상기 증착물(106)들은 막질이 일정하게 자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아주 얇은 두께로, 예를 들어, 불규칙적으로 증착된다.
상기 증착물(106)들은, 예를 들어, 약 10Å∼약 100Å의 두께를 갖는다.
한편, 상기 증착물(106)들을, 예를 들어, 약 10Å∼약 100Å의 두께로 형성할 경우, 상기 증착물(106)들은, 예를 들어, 섬(Island)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증착물(106)들은 일정하게 증착되지 않고 듬성듬성 증착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증착물들 및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내측면을 산화시켜 산화 증착물 및 산화막들을 각각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증착물(106)들 및 상기 증착물(106)들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내측면은 산화되어, 상기 증착물(106) 및 상기 내측면은 산화 증착물(106a) 및 산화막(107)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산화 증착물(106a) 및 상기 산화막(107)들은, 예를 들어, 습식 어닐링 공정에 의하여 산화되어 형성되며, 상기 습식 어닐링 공정은, 예를 들어, 약 700℃∼약 1,000℃의 온도 및 약 5%∼약 90%의 습식 분위기에서 수행된다.
도 7은 도 6의 산화 증착물 및 산화막들을 제거하여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캡핑막(104)과 상기 산화 증착물(106) 및 상기 산화막(107)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캡핑막(104), 상기 산화 증착물(106) 및 상기 산화막(107)들은, 예를 들어, 습식 식각 공정 및 건식 식각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산화 증착물(106)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요철부(H1)가 형성되며, 상기 산화막(107)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2 요철부(H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요철부(H1)의 면적은 상기 제2 요철부(H2)의 면적보다 작다.
이로써, 상기 리세스부(R) 내에는 상기 제1 요철부(H1) 및 제2 요철부(H2)를 갖는 채널 길이 조절부(H)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채널 길이 조절부(H)를 형성함으로써, 후속 게이트 구조물(G)의 채널 길이를 증가시켜 리프레쉬 특성 및 드레인 유발 장벽 저하 (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DIBL)를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리세스부 내에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채널 길이 조절부(H)를 포함하는 상기 리세스부(R) 내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돌출될 게이트 구조물(G)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G)은, 예를 들어, 절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막(108), 도전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막(110) 및 절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 하드마스크막(112)을 포함한다.
이후, 일련의 후속 공정들을 차례로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완성한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반도체 기판에 액티브를 절연하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티브에 리세스를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반도체 기판 상에 리세스부의 개구를 일부 노출하는 캡핑막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캡핑막을 이용하여 리세스부 내에 증착물들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증착물들 및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내측면을 산화시켜 산화 증착물 및 산화막들을 각각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산화 증착물 및 산화막들을 제거하여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리세스부 내에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반도체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반도체 기판의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물들 및 상기 각 증착물들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내측면을 산화시켜 산화 증착물 및 산화막들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산화 증착물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산화막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갖는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착물들은 비정질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착물들은 불규칙적으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착물들은 섬(Island)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상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리세스부의 개구를 일부 노출하는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핑막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부 내에 증착물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캡핑막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은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에서 함께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은 습식 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을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화 증착물 및 상기 산화막들은 습식 식각 공정 및 건식 식각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리세스부 내에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80061942A 2008-06-27 2008-06-27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7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42A KR101037694B1 (ko) 2008-06-27 2008-06-27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42A KR101037694B1 (ko) 2008-06-27 2008-06-27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64A KR20100001864A (ko) 2010-01-06
KR101037694B1 true KR101037694B1 (ko) 2011-05-30

Family

ID=4181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942A KR101037694B1 (ko) 2008-06-27 2008-06-27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26B1 (ko) 2015-02-23 2016-10-05 이아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KR20180093737A (ko) 2017-02-14 2018-08-22 이아류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CN111370475A (zh) * 2018-12-25 2020-07-03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沟槽栅igbt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242A (ko) * 2005-08-1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 채널 어레이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 방법
KR20070077393A (ko) * 2006-01-23 2007-07-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70077385A (ko) * 2006-01-23 2007-07-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61408B1 (ko) * 2006-09-29 2007-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구형 리세스게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242A (ko) * 2005-08-1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 채널 어레이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 방법
KR20070077393A (ko) * 2006-01-23 2007-07-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70077385A (ko) * 2006-01-23 2007-07-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61408B1 (ko) * 2006-09-29 2007-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구형 리세스게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64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43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72109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703027B1 (ko)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555573B1 (ko) Seg막에 의해 확장된 접합영역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그의 제조방법
KR10092004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7694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023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13397A (ko)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10078061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060697B1 (ko) 채널 폭이 증가된 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81550A (ko) 모스펫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8500B1 (ko) 유효 채널 길이가 증대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6726B1 (ko)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방법
US885301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channels
KR100955677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960926B1 (ko) 모스펫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7683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0784082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6006744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005775A (ko) 반도체 장치의 매립 게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02596A (ko) 반도체 소자의 워드 라인 스페이서 형성 방법
KR20070002882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3247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13726A (ko) 리세스 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08009783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