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410B1 - 용접철망 - Google Patents

용접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410B1
KR101036410B1 KR1020110005458A KR20110005458A KR101036410B1 KR 101036410 B1 KR101036410 B1 KR 101036410B1 KR 1020110005458 A KR1020110005458 A KR 1020110005458A KR 20110005458 A KR20110005458 A KR 20110005458A KR 101036410 B1 KR101036410 B1 KR 10103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ending portion
curved
welded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선
Original Assignee
이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선 filed Critical 이인선
Priority to KR102011000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20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plaster-carrying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용접철망이 개시된다. 상기 용접철망은 제 1 및 제 2 벤딩부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공의 중심이 제 1 및 제 2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각각 위치된다. 그러면, 용접철망과 용접철망을 상호 연결하였을 때,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2 철선, 또는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이 콘크리트의 하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이로인해, 콘크리트에 의하여 제 1 철선과 제 2 철선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균일하므로, 제 1 및 제 2 벤딩부가 상대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벤딩부에 삽입된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 또는 제 2 철선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용접철망 {WELDED WIRE NETTING}
본 발명은 용접철망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농로(農路), 콘크리트 도로,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크랙이나 깨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내부에 강도 보강용 용접철망을 개재한다.
용접철망은 복수의 가로방향 철선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가로방향 철선과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복수의 세로방향 철선을 평행하게 배치한 후, 상기 가로방향 철선과 상기 세로방향 철선의 교차점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제작한다.
소정 크기로 제작된 용접철망은 농로, 도로 또는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사용된다.
한국등록특허 제865319호에 개시된 종래의 용접철망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용접철망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철선(1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1,13)를 형성하고, 절곡부(11,13)의 공간에 인접하는 용접철망의 세로철선(20)을 삽입하여, 용접철망과 용접철망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접철망은 절곡부(11,13)가 가로철선(10)의 단부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바로 절곡된다. 이로인해, 절곡부(11,13)에 세로철선(20)을 삽입하여 걸면, 가로철선(10)의 길이방향 중심선(O1-O1)과 세로철선(20)의 중심이 가상의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지 않고, 상하 수직으로 위치된다.
즉, 용접철망이 콘크리트 속에 묻혀 있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콘크리트의 하면을 기준으로 가로철선(10)과 세로철선(20)은 상이한 높이에 위치된다. 그러면, 콘크리트에 의하여 가로철선(10)에 작용하는 응력과 세로철선(20)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이하므로, 절곡부(11,13)에 여러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러면, 절곡부(11,13)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로인해, 절곡부(11,13)에 삽입된 세로철선(20)이 절곡부(11,13)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철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은,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면서 가로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 1 벤딩부가 형성된 제 1 철선,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철선과 교차하여 상기 제 1 철선에 결합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 2 벤딩부가 형성된 제 2 철선을 구비하는 용접철망에 있어서,
상기 제 1 벤딩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상기 제 1 철선 또는 상기 제 2 철선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공의 중심은 상기 제 1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벤딩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상기 제 1 철선 또는 상기 제 2 철선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 2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공의 중심은 상기 제 2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은 제 1 및 제 2 벤딩부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공의 중심이 제 1 및 제 2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 각각 위치된다. 그러면, 용접철망과 용접철망을 상호 연결하였을 때,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2 철선, 또는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이 콘크리트의 하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이로인해, 콘크리트에 의하여 제 1 철선과 제 2 철선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균일하므로, 제 1 및 제 2 벤딩부가 상대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벤딩부에 삽입된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 또는 제 2 철선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용접철망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용접철망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용접철망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가로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철선(110)과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세로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2 철선(120)을 가진다.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20)은 교차하며,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20)의 교차점 부위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로인해,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20)은 일체로 연결된다.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20)의 결합으로 구성된 용접철망은 사용처의 넓이에 따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철선(11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 1 벤딩부(113)가 형성되고, 제 2 철선(12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 2 벤딩부(123)가 형성된다.
제 1 벤딩부(113)는 대략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2 철선(120)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걸림공(115)이 형성된다. 제 2 벤딩부(123)도 대략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2 철선(120)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 2 걸림공(1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은 상호 인접하는 용접철망과 용접철망을 상호 연결하였을 때, 상호 연결된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20), 또는 상호 연결된 제 1 철선(110)과 제 1 철선(110)이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 1 및 제 2 벤딩부(113,123)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벤딩부(113)는 제 1 곡선벤딩부(113a), 제 2 곡선벤딩부(113b) 및 제 1 직선벤딩부(113c)를 가진다.
제 1 곡선벤딩부(113a)는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철선(110)의 단부에서 제 1 철선(110)의 상측을 향하다가 하측을 향한다. 따라서, 제 1 곡선벤딩부(113a)는 제 1 철선(110)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제 2 곡선벤딩부(113b)는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제 1 곡선벤딩부(113a)의 단부에서 제 1 철선의 하측을 향하다가 상측을 향한다. 따라서, 제 2 곡선벤딩부(113b)는 제 1 철선(110)과 점점 가까와지는 형태를 이룬다.
제 1 직선벤딩부(113c)는 제 2 곡선벤딩부(113b)의 단부에서 벤딩 형성되며, 제 1 철선(11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 1 철선(110)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곡선벤딩부(113a)와 제 2 곡선벤딩부(113b)에 의하여 제 1 걸림공(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곡선벤딩부(113a) 및 제 2 곡선벤딩부(113b)는 제 1 철선(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O-O)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중심선(O-O)을 기준으로 대략 선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 1 걸림공(115)의 중심(O1)과 가상의 중심선(O-O)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제 1 철선(110)과 제 1 곡선벤딩부(113a)가 접하는 부위와 제 2 곡선벤딩부(113b)와 제 1 직선벤딩부(113c)가 접하는 부위 사이에는 제 1 개방부(117)가 형성된다. 제 1 개방부(117)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2 철선(120)이 제 1 걸림공(115)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안내한다.
제 1 걸림공(115)의 직경과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1 철선(120)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제 1 걸림공(115)의 직경은 제 1 개방부(117)의 간격의 1∼1.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2 철선(120)을 제 1 개방부(117)로 삽입하면, 제 1 벤딩부(113)의 탄성에 의하여 제 1 개방부(117)가 벌어졌다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고, 따라서 제 1 걸림공(115)에 삽입된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2 철선(120)을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 2 벤딩부(123)의 구성은 제 1 벤딩부(113)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 2 벤딩부(123)는 제 3 곡선벤딩부(123a), 제 4 곡선벤딩부(123b) 및 제 2 직선벤딩부(123c)를 가지는데, 이는 제 1 벤딩부(113)의 제 1 곡선벤딩부(113a), 제 2 곡선벤딩부(113b) 및 제 1 직선벤딩부(113c)와 각각 대응된다.
그리고, 제 3 곡선벤딩부(123a)와 제 4 곡선벤딩부(123b)에 의하여 제 1 걸림공(115)과 대응되는 제 2 걸림공(125)이 형성되고, 제 2 철선(120)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가상의 중심선(미도시)과 제 2 걸림공(125)의 중심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철선(120)과 제 3 곡선벤딩부(123a)가 접하는 부위와 제 4 곡선벤딩부(123b)와 제 2 직선벤딩부(123c)가 접하는 부위 사이에는 제 1 개방부(117)와 대응되는 제 2 개방부(12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은 제 1 벤딩부(113)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제 1 걸림공(115)의 중심(O1)이 제 1 철선(110)의 중심선(O-O)상에 위치되고, 제 2 벤딩부(123)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제 2 걸림공(125)의 중심이 제 2 철선(120)의 중심선상에 위치된다.
그러면, 용접철망과 용접철망을 상호 연결하였을 때, 상호 인접하는 용접철망 중,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2 철선(120), 또는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이 콘크리트의 하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이로인해, 콘크리트에 의하여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20)에 작용하는 응력이 균일하므로, 어느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과 다른 하나의 용접철망의 제 2 철선(110)을 연결하는 제 1 벤딩부(113) 또는 제 2 벤딩부(123)에 작용하는 응력이 균일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벤딩부(113,123)가 상대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제 1 또는 제 2 벤딩부(113,123)에 삽입된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제 1 철선(110) 또는 제 2 철선(120)이 이탈되지 않는다. 이로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용접철망 110 : 제 1 철선
113,123 : 벤딩부 120 : 제 2 철선

Claims (4)

  1.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면서 가로로 배치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 1 벤딩부가 형성된 제 1 철선,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철선과 교차하여 상기 제 1 철선에 결합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 2 벤딩부가 형성된 제 2 철선을 구비하는 용접철망에 있어서,
    상기 제 1 벤딩부는 상기 제 1 철선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벤딩된 제 1 곡선벤딩부와 상기 제 1 곡선벤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철선과 점점 가까와지는 형태로 벤딩된 제 2 곡선벤딩부, 상기 제 2 곡선벤딩부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 1 철선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진 제 1 직선벤딩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곡선벤딩부 및 상기 제 2 곡선벤딩부는 상기 제 1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곡선벤딩부와 상기 제 2 곡선벤딩부에 의하여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상기 제 1 철선 또는 상기 제 2 철선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철선과 상기 제 1 곡선벤딩부가 접하는 부위와 상기 제 2 곡선벤딩부와 상기 제 1 직선벤딩부가 접하는 부위 사이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상기 제 1 철선 또는 상기 제 2 철선을 상기 제 1 걸림공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걸림공의 중심은 상기 제 1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벤딩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상기 제 1 철선 또는 상기 제 2 철선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 2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공의 중심은 상기 제 2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벤딩부는 상기 제 2 철선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벤딩된 제 3 곡선벤딩부와 상기 제 3 곡선벤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 점점 가까와지는 형태로 벤딩된 제 4 곡선벤딩부, 상기 제 4 곡선벤딩부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 2 철선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진 제 2 직선벤딩부를 가지고,
    상기 제 3 곡선벤딩부와 상기 제 4 곡선벤딩부에 의하여 상기 제 2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곡선벤딩부 및 상기 제 4 곡선벤딩부는 상기 제 2 철선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철선과 상기 제 3 곡선벤딩부가 접하는 부위와 상기 제 4 곡선벤딩부와 상기 제 2 직선벤딩부가 접하는 부위 사이에는 인접하는 다른 용접철망의 상기 제 1 철선 또는 상기 제 2 철선을 상기 제 2 걸림공에 삽입하기 위한 제 2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공의 직경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개방부의 간격의 1∼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
  4. 삭제
KR1020110005458A 2011-01-19 2011-01-19 용접철망 KR10103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58A KR101036410B1 (ko) 2011-01-19 2011-01-19 용접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58A KR101036410B1 (ko) 2011-01-19 2011-01-19 용접철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410B1 true KR101036410B1 (ko) 2011-05-23

Family

ID=4436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458A KR101036410B1 (ko) 2011-01-19 2011-01-19 용접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2520A (zh) * 2018-05-16 2018-08-17 中国矿业大学 一种抗撕裂易联接高刚度钢筋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235A (ja) * 2000-02-08 2001-08-14 Geiyo Senzai Kk 金網、金網の製造方法、金網製造装置、線材、線材の製造方法、及び線材溶接装置
KR20040039921A (ko) * 2002-11-05 2004-05-12 이상영 스트립의 저장 및 배출장치
KR200439921Y1 (ko) 2008-01-24 2008-05-13 우진철망 주식회사 콘크리트 보강용 철망
KR20090057505A (ko) * 2007-12-03 2009-06-08 최오영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20090086795A (ko) * 2008-02-11 2009-08-14 현대휀스개발 (주) 사각 용접철망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235A (ja) * 2000-02-08 2001-08-14 Geiyo Senzai Kk 金網、金網の製造方法、金網製造装置、線材、線材の製造方法、及び線材溶接装置
KR20040039921A (ko) * 2002-11-05 2004-05-12 이상영 스트립의 저장 및 배출장치
KR20090057505A (ko) * 2007-12-03 2009-06-08 최오영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200439921Y1 (ko) 2008-01-24 2008-05-13 우진철망 주식회사 콘크리트 보강용 철망
KR20090086795A (ko) * 2008-02-11 2009-08-14 현대휀스개발 (주) 사각 용접철망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2520A (zh) * 2018-05-16 2018-08-17 中国矿业大学 一种抗撕裂易联接高刚度钢筋网
CN108412520B (zh) * 2018-05-16 2024-03-26 中国矿业大学 一种抗撕裂易联接高刚度钢筋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0167B1 (ja) 電線保護パイ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023440A (ja) 鉄骨梁
JP6990979B2 (ja) 建築物の架構構造
US11525272B2 (en) Anti-seismic performance reinforcement and crack repair structure of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ame
KR101036410B1 (ko) 용접철망
CN205804600U (zh) 附设粘滞流体阻尼器的钢结构古建筑单梁‑柱减震节点
TW201435181A (zh) 落石防護柵
JP6535704B2 (ja) 柱梁架構
KR20200000050U (ko) 배관의 가이드 어셈블리
JP3899112B1 (ja) 金網フェンスの構造
JP6508866B2 (ja) 柱梁架構
JP5615061B2 (ja) ガードケーブル
JP6144509B2 (ja) メッシュパネル及びフェンス
JP4265040B2 (ja) 多段式ブーム
JP6674843B2 (ja) アンカー
JP3208783U (ja) 防護柵
CN111542456A (zh) 用于保险杠的碰撞盒
JP578456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開口部補強構造および梁筋ユニット
KR102051676B1 (ko)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JP4807813B2 (ja) 防獣フエンス
CN108360529A (zh) 双排桩顶冠梁与连系梁的接头结构
CN213626932U (zh) 一种围栏网片组装结构
CN207250733U (zh) 建筑工程用接地装置
JP7123354B2 (ja) 連結金具
KR20130001796U (ko) 용접철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