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226B1 -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226B1
KR101036226B1 KR1020090026526A KR20090026526A KR101036226B1 KR 101036226 B1 KR101036226 B1 KR 101036226B1 KR 1020090026526 A KR1020090026526 A KR 1020090026526A KR 20090026526 A KR20090026526 A KR 20090026526A KR 101036226 B1 KR101036226 B1 KR 10103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data block
writ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701A (ko
Inventor
아키히로 이타쿠라
도시카즈 가나오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스토리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스토리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스토리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2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2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88Servo signal format patterns or signal processing thereof, e.g. dual, tri, quad, burst signal patter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21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disk tracks
    • G11B5/5526Control therefor; circuits, track configurations or relative disposition of servo-information transducers and servo-information tracks for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 정밀도와 포맷 효율을 양립시키는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패턴드 미디어인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자기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자기 기억 제어 장치는, 기록 매체의 소정의 트랙에서의 동기 마크를 재생하고, 이 동기 마크 사이의 데이터 블록마다 헤드가 이 데이터 블록을 주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값으로 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기록 클록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기록 클록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DATA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패턴드 미디어 기록(patterned media recording)을 행하는 자기 기억 제어 장치, 자기 기억 제어 방법, 자기 기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디스크 장치의 고밀도화 기술로서, 패턴드 미디어 기록이 주목받고 있다. 패턴드 미디어의 디스크 상에는 아일랜드형의 자화 영역(이하, 랜드라고 부름)이 형성된다. 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기록 시에, 랜드에 기록 자계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연속하는 소정수의 비트(기록 영역)와 다른 연속하는 소정수의 비트 사이에 라이트 타이밍용의 동기 영역을 구비하는 자기 기록 매체, 및 동기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신호에 의해 라이트 클록을 생성하는 기록 장치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57507호 공보
패턴드 미디어 기록은 요구되는 라이트 타이밍의 정밀도가 높다. 동기 정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전술한 소정수가 적은 편이 좋다. 그 경우, 동기 영역이 증가하고, 포맷 효율(기록 용량)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동기 정밀도와 포맷 효율을 양립시키는 자기 기억 제어 장치, 자기 기억 제어 방법, 자기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패턴드 미디어인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자기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자기 기억 제어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트랙에서의 동기 마크를 재생하고, 이 동기 마크 사이의 데이터 블록마다 헤드가 이 데이터 블록을 주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값으로 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기록 클록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패턴드 미디어인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자기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자기 기억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트랙에서의 동기 마크를 재생하고, 이 동기 마크 사이의 데이터 블록마다 헤드가 이 데이 터 블록을 주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값으로 하며, 측정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상기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기록 클록의 설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는 것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패턴드 미디어인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는 헤드와,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트랙에서의 동기 마크를 재생하고, 이 동기 마크 사이의 데이터 블록마다 상기 헤드가 이 데이터 블록을 주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값으로 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기록 클록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개시한 자기 기억 제어 장치, 자기 기억 제어 방법, 자기 기억 장치에 의하면, 동기 정밀도와 포맷 효율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자기 기억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 도이다. 이 자기 디스크 장치는, 컨트롤러(11)(측정부, 산출부), 리드 채널(12a), 헤드(21), 디스크(22)(기록 매체)를 갖는다. 컨트롤러(11)는 호스트와의 통신 및 리드 채널(12a)을 제어한다. 디스크(22)는 패턴드 미디어이다. 헤드(21)는 디스크(22)에 대하여 리드 및 라이트를 수행한다.
리드 채널(12a)은 라이트 클록 생성기(31a)(생성부), 변조부(32), 복조부(32)를 갖는다. 변조부(32)는 컨트롤러(11)로부터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결과를 헤드(21)에 출력한다. 복조부(33)는 헤드(21)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파형 등화 및 복조를 수행하여 복조 결과를 컨트롤러(11)에 출력한다. 또한, 리드 채널(12a)과 컨트롤러(11)를 적절하게 처리부(100)와 같이 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기능마다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라이트 클록 생성기(31a)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라이트 클록 생성기(31a)는 마크 검출기(41),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a), RAM(Random Access Memory)(44), 셀렉터(45), PLL(Phase Locked Loop)(46a)을 갖는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에서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이트 처리는 라이트 데이터를 디스크(22)에 기록하는 처리이다.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는 라이트를 실행하기 위한 라이트 클록을 보정하는 처리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의 (a)는 디스크(22) 상의 트랙 방향의 디스크 패턴을 도시하는 배치도이다. 이 (a)에 있어서, 디스크 패턴에 대한 헤드(21)의 상대 위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디스크 패턴은, 랜드의 집합인 데이터 블록(데이터 도트열)과 동기를 위해 독출되는 동기 마크를 갖는다. 소정 길이의 데이터 블록 사이에 동기 마크가 삽입된다.
또한, 도 3의 (b)는 (a)의 디스크 패턴 상의 헤드(21)의 상대 위치에 대한 동작 모드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여기서, 헤드(21)가 데이터 블록 위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 모드는 라이트 모드이고, 헤드(21)가 동기 마크 위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 모드는 리드 모드이다.
또한, 도 3의 (c)는 (b)의 동작 모드에 대한 PLL 입력 신호[셀렉터(45)로부터 출력되어 PLL(46a)에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라이트 모드에 있어서, PLL 입력 신호는, 헤드(21)에 의해 독출된 동기 마크의 타이밍에서 생성되는 펄스인 동기 신호(제1 펄스)와, 동기 신호 사이에서 생성되는 펄스인 의사 동기 신호(제2 펄스)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기 신호의 간격을 M등분한 타이밍 중, 동기 신호의 타이밍 이외의 (M-1)회의 타이밍에서 의사 동기 신호의 펄스가 생성되는 것으로 한다. PLL(46a)은 동기 신호 및 의사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록을 생성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는, 라이트 처리 전에, 미리 디스 크(22)의 편심에 의한 주파수 변동, 프로세스에 기인하는 고차 변동 등을 계측하는 변동 계측 처리를 수행한다. 변동 계측 처리를 수행하는 타이밍은 공장 출하 시, 최초 라이트 처리 전, 전원 투입 시, 일정 시간 경과 시, 큰 충격을 검출한 후(충격에 의해 편심 조건이 변하기 때문) 등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의 (a)는 디스크(22) 상의 트랙 방향의 디스크 패턴을 도시한다. 디스크 패턴은 도 3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블록과 동기 마크를 갖는다. 또한, 도 4의 (b)는 (a)의 데이터 블록마다 계측된 데이터 블록 시간의 측정값(Ta, Tb, Tc)을 나타낸다. 데이터 블록 시간은 동기 마크 사이(데이터 블록)의 길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컨트롤러(11)는 소정의 트랙에서, 데이터 블록마다, 데이터 블록 시간을 계측한다(S11). 여기서, 컨트롤러(11)는 소정의 주파수의 클록을 카운트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시간을 계측하여 측정값으로 한다. 다음에, 컨트롤러(11)는 측정값을 RAM(44)에 보존한다(S12).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에 의한 측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있어서, 횡축은 데이터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은 데이터 블록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트랙 1주분의 데이터 블록 시간의 변동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측정값(Ta, Tb, Tc) 을 나타낸다.
다음에, 컨트롤러(11)는 트랙 1주분의 데이터 블록 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 계측이 종료되지 않았다면(S13, N), 처리 S11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데이터 블록 시간을 계측한다. 한편, 종료되었다면(S13, Y), 컨트롤러(11)는 측정값의 변동으로부터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변동을 예측하여, 각 데이터 블록 내의 의사 동기 신호의 위상의 보정값을 산출하고(S14), 이 보정값을 보정 테이블로서 RAM(44)에 보존하며(S15), 이 흐름은 종료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1)는, 보정값 산출 대상인 데이터 블록의 측정값과 그 이전 및 이후의 데이터 블록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대상 데이터 블록 내의 측정값(라이트 클록 주파수)의 변동을 예측한다. 또한, 여기서는, 데이터 블록 내에서 (M-1)회의 의사 동기 신호의 펄스마다 PLL(46a)의 동기가 행해지기 때문에, 컨트롤러(11)는 각 데이터 블록에서 (M-1)개의 보정값을 산출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마크 검출기(41)는 라이트 처리 대상이 되는 트랙에서 리드 모드로 하고, 재생 신호로부터 동기 마크를 검출하여 동기 신호의 펄스를 생성하며, 라이트 모드로 한다(S21).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a)는, 동기 신호를 셀렉터(45)로 선택하여 PLL(46a)에 입력하고, PLL(46a)을 동기 신호의 펄스에 동기시킨다(S22).
다음에,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는 의사 동기 신호 발생 타이밍을 위해 기준 클록의 카운트를 시작한다(S23). 다음에,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는 RAM(44)의 보정 테이블로부터 보정값을 취득한다(S24). 다음에,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는 카운트값이 소정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의사 동기 신호의 펄스를 생성하고, 보정값에 따라 펄스의 위상을 조정한다(S25). 소정의 카운트값은 데이터 블록 시간을 M등분한 값이다.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a)는 의사 동기 신호를 셀렉터(45)로 선택하여 PLL(46a)에 입력하고, PLL(46a)을 의사 동기 신호의 펄스에 동기시킨다(S26).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a)는 소정의 수(M-1)의 의사 동기 신호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7). 의사 동기 신호의 생성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S27, N), 처리 S23로 되돌아가고, 다음 의사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의사 동기 신호의 생성이 종료한 경우(S27, Y), 이 흐름은 종료하고, 재차 이 흐름을 실행한다.
또한,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는 보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자 했지만, 계산을 이용하여 위상을 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컨트롤러(11)는 계측된 데이터 블록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블록의 위치와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 및 위상의 보정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의 파라미터를 RAM(44)에 보존한다. 또한,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는 관계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의 위치로부터 보정값을 산출하여 의사 동기 신호의 위상을 조정한다. 관계식은 모든 변동을 통합한 식을 이용하여도 좋고, 변동 요인이나 변동 주파수마다 분리된 식을 이용하여도 좋다. 분리된 산출식을 이용하는 경우, 1차 변동인 편심과, 프로세스 기인 등 그 외의 고차 변동이 분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정값이 RAM(44)에 보존되는 것으로 했지만, 보정값이 비휘발성 메모리나 디스크(22)의 시스템 영역에 보존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전원이 절단된 후에도 보정값이 계속 보존됨으로써, 변동 계측 처리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블록 내에서의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 변동을 예측하여, 동기 신호와 같은 의사 동기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동기 마크를 증가시키지 않고, 즉 포맷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동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자기 기억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호는 도 1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물을 나타내므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자기 디스크 장치는 도 1의 자기 디스크 장치와 비교하면, 리드 채널(12a) 대신에 리드 채널(12b)을 갖는다. 리드 채널(12b)은 리드 채널(12a)과 비교하면, 라이트 클록 생성기(31a) 대신에 라이트 클록 생성기(31b)를 갖는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라이트 클록 생성기(31b)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2와 동일 부호는 도 2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 거나 또는 상당물을 나타내므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라이트 클록 생성기(31a)와 비교하면, 라이트 클록 생성기(31b)는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a) 대신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b)를 구비하고, PLL(46a) 대신에 PLL(46b)을 구비하며, 새롭게 주파수·위상 보정기(47)를 구비하고,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42)와 셀렉터(45)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동 계측 처리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지만, 본 실시형태의 변동 계측 처리에 의해 산출되어 RAM(44)에 보존되는 보정값은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 및 위상의 보정값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에서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의 (a)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디스크(22) 상의 트랙 방향의 디스크 패턴을 도시하는 배치도이다. 또한, 도 10의 (b)는 (a)의 디스크 패턴 상의 헤드(21)의 상대 위치에 대한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에서, 횡축은 헤드(21)의 상대 위치를, 종축은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변동 계측 처리는 데이터 블록을 M등분한 보정 타이밍마다 보정값을 산출하고, 본 실시형태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는 보정 타이밍마다 라이트 클록 주파수 및 위상을 보정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7과 동일 부호는 도 7에 나타낸 대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처리를 나타내므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마크 검출기(41)는 실시형태 1과 같은 처리 S21을 실행한다. 다음에, 마크 검출기(41)는 동기 신호를 PLL(46b)에 입력하고, PLL(46b)을 동기 신호의 펄스에 동기시킨다(S42).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b)는 라이트 클록 보정 타이밍을 위해 기준 클록의 카운트를 시작한다(S43).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b)는 RAM(44)의 보정 테이블로부터 보정값을 취득한다(S44).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b)는 카운트값이 소정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보정값을 주파수·위상 보정기(47)에 보내고, 주파수·위상 보정기(47)는 PLL(46b)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보정값에 따라 보정하여, 라이트 클록으로서 출력한다(S45).
다음에,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43b)는 소정수(M-1)의 보정을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7). 보정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S47, N), 처리 S43으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보정을 행한다. 보정이 종료된 경우(S47, Y), 이 흐름은 종료하고, 재차 이 흐름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블록 내에서의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 변동을 예측하여, 라이트 클록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보정함으로써, 동기 마크를 증가시키지 않고, 즉 포맷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동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여러 가지 개량, 대체 및 개질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라이트 클록 생성기(31a)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변동 계측 처리에 의한 측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라이트 클록 생성기(31b)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클록 보정 처리의 일 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의 라이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부호의 설명>
11: 컨트롤러 12: 리드 채널
21: 헤드 22: 디스크
31a, 31b: 라이트 클록 생성기 32: 변조부
33: 복조부 41: 마크 검출기
42: 의사 동기 신호 발생기 43a, 43b: 라이트 동기 컨트롤러
44: RAM 45: 셀렉터
46a, 46b: PLL 47: 주파수·위상 보정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데이터 기억 장치로서,
    원주 방향으로 동기 마크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블록이 교대로 배치된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또는 상기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헤드와,
    상기 기록 매체의 동기 마크를 독출하고, 상기 동기 마크 사이의 데이터 블록마다 헤드가 상기 데이터 블록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며, 측정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기록 클록의 설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상기 기록 클록에 동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동기 마크를 재생하고, 재생된 상기 동기 마크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며, 데이터 블록 내의 복수의 타이밍의 각각에서 상기 기록 클록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재생된 상기 동기 마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제1 펄스를 생성하고, PLL을 상기 제1 펄스에 동기시켜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펄스와 설정값에 기초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펄스 사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제2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PLL을 상기 제1 펄스 및 상기 제2 펄스에 동기시켜 상기 기록 클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장치.
  6. 삭제
KR1020090026526A 2008-03-31 2009-03-27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3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526A KR101036226B1 (ko) 2008-03-31 2009-03-27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9080 2008-03-31
KR1020090026526A KR101036226B1 (ko) 2008-03-31 2009-03-27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01A KR20090104701A (ko) 2009-10-06
KR101036226B1 true KR101036226B1 (ko) 2011-05-20

Family

ID=4153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526A KR101036226B1 (ko) 2008-03-31 2009-03-27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2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349A (ja) * 2004-12-03 2006-06-22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349A (ja) * 2004-12-03 2006-06-22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01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5392B2 (ja) 磁気記憶制御装置、磁気記憶制御方法、磁気記憶装置
JP4835156B2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261664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signal and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igital signal
KR101069792B1 (ko) 자기 기록 장치 및 클록 신호 생성 방법
JP3731949B2 (ja) 記録媒体の読み出し装置
KR101036226B1 (ko)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데이터 기억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70127343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related method
UA82042C2 (uk) Носій інформації та пристрій для сканування носія інформації
JP2010073295A (ja) 磁気記録装置、制御装置および磁気記録装置制御方法
TWI29214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and/or copy window control for use with a domain expans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 carrier
KR100975328B1 (ko) 클록 생성 장치, 자기 디스크 장치 및 라이트 동기 방법
JP5450983B2 (ja) 半導体装置
JP2010225205A (ja) ライトクロックの作成方法及び磁気記憶装置
JP5025543B2 (ja) 磁気記憶制御装置、磁気記憶制御方法、磁気記憶装置
KR20040038604A (ko) 광 디스크 장치 및 위상 조정 방법
US82380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ase shift in a disk drive having bit-patterned media
US20050002299A1 (en) Clock generating device
JP2597732B2 (ja) データ記録装置のアドレス・マーク書込み制御方式
JP3949875B2 (ja) クロック位相補正回路
JP4940418B2 (ja) 磁気記憶装置及び磁気記憶媒体
KR100808034B1 (ko) 디스크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4253097A (ja) 磁気テープ装置
JP2011155360A (ja) 同期信号生成装置、同期信号生成方法
KR100223883B1 (ko) 광 디스크 기록재생기의 회전제어장치
JP2003198519A (ja) クロック生成方法及びクロック生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