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892B1 -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892B1
KR101035892B1 KR1020077013926A KR20077013926A KR101035892B1 KR 101035892 B1 KR101035892 B1 KR 101035892B1 KR 1020077013926 A KR1020077013926 A KR 1020077013926A KR 20077013926 A KR20077013926 A KR 20077013926A KR 101035892 B1 KR101035892 B1 KR 10103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new
wireless
radio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720A (ko
Inventor
마우리 혼카넨
미카 카슬린
파시 카타자이넨
니코 키우코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에서 다수의 동시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다수의 동시 무선 접속들의 제어는 통신 장치에서 수행된다. 무선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이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adio access}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서 여러 개의 동시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더 융통성 있는 접속성과 더 광범위한 서비스 범위를 촉진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 장치들에서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 (radios)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셀룰라 액세스 단독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으며, 새 무선 테크놀로지들이 현재 통신 장치들에 포함되어, 특히 장차 새로운 접속 솔루션들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여러 무선 통신 방식들을 하나의 단말에 포함시키는 것은, 무선 통신 방식들의 수가 늘어날 때 더 뚜렷해지는 심각한 병합 문제를 일으킨다. 이 병합 문제의 한 요소가, 무선 통신 방식들의 동시 작동에 대한 적절한 처리이다. GSM 전화 통화 중에 무선 블루투스를 채용한 헤드셋을 사용하고, 가령 인터넷 서핑을 위해 무선 랜 (WLAN) 접속을 이용하는 것 같이 사용자들은 동시에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한 통신 장치로부터 둘 이상의 작동가능한 무선 접속이 있다고 할 때, 그 접속들은 서로에 대해 쉽사리 간섭하게 될 것이다. 접속들이 같은 주파수 대역 상에 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해도, 이들은 통신 장치 구성요소들의 비이상적 성질 때문에 여전히 서로 간섭하게 될 것이다. 이 구성요소들이 주파수 누설 현상 (spectral leakage)을 일으킬 수 있고, 수신기들의 선택도가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이들이 원하는 것과 다른 신호에 속하는 신호 성분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대역 사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여러 접속이 존재할 때, 이들이 서로에 대해 일으키는 간섭은, 이들이 서로 분리된 대역들 상에서 동작할 때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특히, 2.4 GHz의 미허가 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 상에서는, 블루투스 및 무선 랜 (WLAN) 접속들 같이 동일한 대역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여러 접속들이 있을 수 있다. 이 접속들이 서로에 대해 시스템간 (inter-system) 간섭을 일으켜,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동일한 통신 장치로부터 운영되는 동일 대역 상의 두 액티브한 접속들이 존재할 때, 이들 두 접속들은 서로에 대해 심각하게 간섭하기 십상이거나, 심지어 서로의 사용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이것은 두 접속 모두가 동일한 통신 장치로부터 운영되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고, 따라서 무선 트랜시버들이 서로로부터 수 센티미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역시 안테나 등과 같은 동일한 무선 구성요소들을 이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통신 장치 안에서 여러 개의 동시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존 무선 접속이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을 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여러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검출된 경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을 기존 무선 접속으로 생성하고,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처리하고,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가진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접속들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들, 및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을 모니터하고,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검출된 경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기존 무선 접속이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안된다. 이 프로세스는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과,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할 때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가진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고, 적어도 한 기존 무선 접속이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가 제안된다. 그 프로세스는,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과,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가진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한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여러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안된다. 그 프로세스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을 모니터하는 동작 및,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검출된 경우,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고, 한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여러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가 제안된다. 그 프로세스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을 모니터하는 동작 및,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검출된 경우,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속들이 한 주파수 대역 같은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했더라도, 한 통신 장치로부터 여러 무선 접속들의 동시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 무선 액세스 테크놀로지들과 무관하게 상이한 무선 접속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여러 무선 접속들을 활용하는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통신 장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멀티라디오 제어기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통신 장치에서, 운영되는 접속들이 존재하는 동안 새 접속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통신 장치에서 여러 개의 동일한 접속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해 여러 동시 무선 접속들을 활용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통신 장치(100)는 가령, 모바일 통신 장치, 컴퓨터, 랩탑, 도는 PDA (Personal DigitalAssistnat) 같은 퍼스널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또 모바일 통신 장치와 연결된 컴퓨터 같은 두 전자 장치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PDA와 모바일 통신 장치를 합한 것의 예가 노키아 커뮤니케이터 (Nokia Communicator)이다.
통신 장치(100)는 무선 라디오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110-114)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들(110-114)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활용하는 접속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서비스하는 GSM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122)을 통한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시스템과의 통신 링크(116)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4)는 서비스하는 WLAN 액세스 포인트(124)와의 WLAN (Wireless Local Areal Network)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 분(106)과의 또 다른 무선 접속(120)을 지원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106)은가령, 마이크로폰, 확성기, 및 모바일 전화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화 헤드셋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106)은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컴퓨터와 작용하는 키보드나 마우스일 수도 있다.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들(110-114)은 무선 접속(116-120) 동작 중에 부분적으로 통신 장치(100)의 동일 부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들(110-114)은 가령 동일한 안테나나 안테나들, 무선 주파수 증폭기, 및/또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각 통신 인터페이스(110-114)는 당연히 그 각자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렇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110-114)들 중 일부만이 같은 구성요소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의 예에서, 세 통신 인터페이스들(110-114)이 통신 장치 안에 주어지며, 이 인터페이스들(110-114)은 각자 블루투스 접속(120), GSM 접속(116), 및 WLAN 접속을 지원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가 통신 장치 내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개수나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는 가령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기반해 접속을 지원하는 몇 가지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GSM, WLAN, 블루투스,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for Handheld devices), UWB (Ultra Wideb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DMA2000.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 내에서 구현 가능하다.
통신 장치(100)는 장치(100)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4)을 더 포함한다. 제어 유닛(104)은 통신 장치(100)와 다른 통신 장치들 또는 네트워크 사이에 무선 접속들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04)은 도 통신 장치(100) 내 여러 동시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는 수단 역시 포함한다. 제어 유닛(104)은 가령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같은 별도의 로직 회로들이나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104)은 또 ASIC 안에 내장된 알맞은 소프트웨어가 있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두 구성들의 결합일 수도 있다.
통신 장치(100)는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는 키보드, 마이크로폰, 확성기, 디스플레이, 및/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보통 장치(100) 동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전압원(108)을 포함한다. 전압원은 재충전가능 배터리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통신 장치(100)의 구조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구조는 하위 계층들이 상위 계층들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된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on) 모델 같은 계층화 형식으로 묘사된다.
최상위 계층에는 무선 접속을 필요로 할 어플리케이션들(200-204)이 주어진다. 어플리케이션들(200-204)은 가령 음성 통화 처리 어플리케이션, 웹 또는 WAP (Wirel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GPS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재생기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통신 장치(100)가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도 역시 포함할 수 있다. 한 어플리케이션(200-204)이 다른 통신 장치나 네트워크로의 무선 접속들을 필요로 할 때마다, 그 어플리케이션은 하위 게층으로 접속을 설정하라는 요청을 보낸다. 접속 동작 중에,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통신 장치와의 접속을 통한 전송을 위해, 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하위 계층들로 보낸다.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은 하위 계층들을 통한 접속을 거쳐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더 이상 없을 때, 어플리케이션은 하위 계층에 접속을 중단하라는 요청을 보낸다.
하위 계층에서는, 접속 선택 매니저(206)에 의해 서비스들이 어플리케이션들(200-204)로 제공될 수 있다. 접속 선택 매니저(206)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접속 프로파일들 세트에 기초해 한 어플리케이션에 알맞은 접속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나 오퍼레이터는, 가령, 접속 프로파일들을 정의할 수 있고, 이 프로파일들은 가령 접속의 처리량(throughput), 비트 에러율 또는 가격 효율성 같은 어떤 기준의 적합성에 기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 (200-204)이 그들 스스로 적절한 접속을 규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므로, 접속 선택 매니저(206)는 통신 장치(100) 구조의 옵션 계층이 된다.
다음 하위 계층은 멀티라디오 제어기(208)이다. 멀티라디오 제어기(208)는 상위 계층들로부터의 접속 요건에 따라 무선 접속들을 설정, 제어, 및 종료한다. 멀티라디오 제어기(208)는 여러 무선 접속들의 동시 동작을 처리할 책임도 진다.
멀티라디오 제어기(208)는 이중(two-fold) 엔티티일 수 있다. 무엇보다, 여기에는 상위 계층들과 통신하는 공통 제어 요소(210)가 존재한다. 그것이 어플리케이션들 (200-204), 또는 적용시 접속 선택 매니저(206)로부터 무선 접속을 생성 및 종료하라는 요청을 수신한다. 공통 제어 요소(210)는 또, 상위 계층으로부터 요청된 무선 접속의 이용가능성을 체크하여 무선 접속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거나 아니면 요청된 무선 접속이 현지 이용 불가하다고 상위 계층들로 알릴 수 있다. 공통 제어 요소(210)는 도, 기존 무선 접속을 방해할지 모를 새 무선 접속이 생성될 때마다, 아니면 공통 제어기 요소(210)가 기존 접속의 특성들의 충분한 변화를 검출할 때마다 기존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함으로써 여러 무선 접속들의 동시 동작을 제어하는 일을 담당할 수도 있다.
멀티라디오 제어기(208)는 라디오(radio)-고유 엔티티들(212-224)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라디오-고유 엔티티는 멀티라디오 제어기(208) 및 고유 무선 인터페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보여질 수 있다. 라디오-고유 엔티티는 공통 제어 요소(210)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한 무선 접속을 처리한다. 라디오-고유 엔티티는 접속의 물리 계층과 가까워,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 및 고속 접속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라디오-고유 엔티티의 기능은 무선 시스템에 고유하며, 이것은 공통 제어 요소(210)로부터의 파라미터들이 무선 시스템의 표준 사양에 적용됨을 의미한다. 라디오 고유 엔티티는 공통 제어 요소(210)에 그것이 제어하는 접속에 대해 측정된 특성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측정된 접속 특성들에는 접 속의 비트 에러율 (BER), 블록 에러율, 또는 프레임 에러율이 포함될 수 있다. 측정된 특성들은 또, 대역 내 잡음 전력 밀도로 나눠지는 칩 당 수신 에너지 (Ec/No), 간섭 신호 코드 전력 (ISCP), 수신 신호 코드 전력 (RSCP), 수신 신호 세기 지시자 (RSSI), 신호 대 잡음 전력비 (SI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라디오 제어기의 실시예에서, 라디오-고유 엔티티들은 멀티라디오 제어기 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 대신, 멀티라디오 제어기가 각 라디오(무선통신방식)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엔티티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라디오-고유 엔티티들(212-224) 아래에 통신 인터페이스들 (226-238)이 주어진다. 각 통신 인터페이스는 사용된 특정한 물리적 매체 상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을 위해 적절한 전기 파형들로 인코딩 및 디코딩 처리한다. 이 프로세스는 각각의 무선 액세스 고유 표준에 따라 수행된다. 도 2의 구조는 EDGE, WCDMA, WLAN, 블루투스, DVB-H, UWB 및 GPS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물리 계층들을 이용하지만, 멀티라디오 제어기의 동작이 이 기술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무선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역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통신 장치에서 멀티라디오 제어기(208)의 동작이, 멀티라디오 제어기(208)의 공통 제어 요소(210) 구조를 포함하는 도 3을 참조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공통 제어 요소(210) 외에, 도 3은 공통 제어 요소(210)의 동작을 분명히 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들(300) 및 무선 인터페이스들(310)을 포함한다.
블록(300)은 무선 접속을 필요로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들(300)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블록(300)은 또 접속 선택 매니저가 통신 장치에 적용될 때 접속 선택 매니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속 요청 처리 블록(304)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접속 선택 매니저로부터 들어오는 무선 접속 요청을 처리한다. 접속 요청 처리 블록(304)은 적어도 요청의 정당성 및 요청과 관련된 무선 자원들의 이용가능성을 체크한다. 요청의 정당성 체크는, 요청된 무선 접속이 통신 장치에서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자원들의 이용가능성을 체크하는 것은 어떤 무선 접속들이 그리고 얼마나 많은 무선 접속들이 동작 중인지를 체크하고, 기존 접속의 동작을 악화시키거나 심지어 붕괴시키지 않고 다른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체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요청된 접속이 이용가능하고, 그것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접속 요청 처리 블록(304)은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208)로, 접속을 생성하라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 접속 생성이 가능하지 않으면, 접속 요청 처리 블록(304)이 어플리케이션이나 접속을 요청했던 접속 선택 매니저로, 요청된 접속이 현재 이용불가 하다는 것을 알린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은 통신 장치에 적용된 무선 접속들의 상태,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접속 상태는 접속이 동작 중인지, 이용가능한지, 아니면 불능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접속이 동작중일 때, 해당 특정 접속과 관련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통신 링크가 설정되었다. 접속이 이용가능하면, 그 특정 접속과 관련된 어떠한 통신 링크도 설정되지 않고 무선 자원들이 그 접속 설정에 사용가능하게 된다. 접속이 불능이면, 가령 무선 자원들의 부족으로 인해 접속이 유효하지 못하다. 무선 접속의 상태에 대해 두 가지 기술이 있을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여러 접속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라디오 레코드블록(302) 내 접속 상태는 '동작중' 및 '이용가능' 모두가 될 것이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에 보유된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에는 접속의 센터 주파수뿐 아니라 확산 코드, 채널 코드, 변조 기술, 전력 레벨, 타이밍 파라미터들, 데이터 레이트, 패킷 타입, 링크 타입, 자동 반복 요청 (ARQ) 방식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에 보유된 접속들의 특성들은 접속의 BER 또는 FER과 다른 접속의 측정 또는 검출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들만이 아니라 통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무선 액세스 기술에 고유한 모든 가능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도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각 무선 액세스 기술의 모든 가능한 주파수 대역들, 변조 및 코딩 방식들, 파형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은 또한 무선 신호들의 주파수 누설 (spectral leakage)이나 의사 방출 같은, 측정 또는 검출된 비이상적 접속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그 정보가 다수의 동시 운영 무선 접속들을 제어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은 접속들의 상태, 파라미터, 및 특성을 접속 요청 프로세싱 블록(304),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 그리고 연속 제어 매니저(306)로 제공한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은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 및 연속 제어 매니저로부터 그러한 상태, 파라미터, 특성의 갱신사항을 수신한다.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은 도 2의 공통 제어 요소(210) 안에 포함된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각 접속의 동작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접속 요청 프로세싱 블록(304)으로부터 새 접속을 생성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때,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어느 접속들이 동작가능한지와, 동작가능한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체크한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가, 새 접속 동작을 방해할지 모르는 활성화된 한 접속이 있다고 (혹은 그 반대 상황이 있다고) 검출하면,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두 접속들 간 간섭이 가능한 최소가 되도록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규정한다.
접속들 간 가능한 간섭의 검출은, 사용된 무선 자원들,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들에 대한 정보, 그리고 기존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한다. 이 정보는 라디오 레코드블록(302)에 포함된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가 먼저 새로 요청된 접속이 사용할 것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는 기존의 동작가능한 접속이 존재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 무선 자원들에는 주파수 대역, 시간 도메인, 및 공간 도메인이 포함될 수 있다. 공간 도메인은, 여러 개의 안테나들 및 안테나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라디오 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능력을 가진, 통신 장치들 내 가능한 무선 자원이다. 두 동시적 무선 접속들이,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이한 방향으로/으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는 무선 접속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 접속의 생성은 간단하게 되는데, 이는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808)가 같은 무선 자원들을 공유하기 위해 여러 접속들을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접속 파라미터 매 니저(308)은 단순히 접속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규정하고, 해당하는 라디오 고유 엔티티로 접속을 생성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요청된 새 접속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는 동작가능한 무선 접속이 존재하면,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두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할 수 있다. 접속 파라미터 관리자(308)는 또, 같은 무선 자원(들)을 사용해 두 접속들 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기존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생성중인 무선 접속 및/또는 기존 무선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조정하는 여러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생성중인 무선 접속은 기존 무선 접속이나 무선 접속들이 사용하는 것과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동등하게, 생성중인 무선 접속은 기존 무선 접속이나 무선 접속들이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 및 멀티라디오 제어기(208)의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무선 접속들의 파라미터들 정의/조정을 위한 다른 절차들 역시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할 때,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우선, 요청되어 생성중인 새 접속이 사용하게 될 것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기존 접속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이다.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쓰는 기존 접속이 존재하면, 접속 매니저는 (가능한 경우) 두 접속들의 주파수 대역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생성중인 접속의 주파수 파라미터들을 정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접속 및 WLAN 접속이 동일한 2.4 기가헤르쯔 ISM 대역 상에서 부분적으로 동작한다. 생성중인 접속이 브루투스 접속이고 동작중인 WLAN 접속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블루투스 접속은 주파수 호핑 확산 스펙트럼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접속이다. 그러면,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블루투스 접속이 WLAN 접속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로 호핑 (hopping)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블루투스 접속의 주파수 홉(hop) 제한은 블루투스 접속이 존재하고 있고 생성중인 접속이 WLAN일 때에도 당연히 가능하다. 블루투스 및 WLAN 접속들 이외의 접속들 간에도 주파수 중복이 당연히 있을 수 있고, 그러면 이들 다른 접속들의 주파수 파라미터들은 그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두 접속들의 주파수 대역들이 너무 많이 겹쳐서 같은 주파수 대역 상에서 두 접속들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가 기존 접속에 의해 tkyd되는 것과 같은 대역을 이용하지 않으면 새 접속이 생성될 수 없다고 검출한 경우,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다음으로, 접속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두 접속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가능한 경우, 두 접속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통신 장치의 멀티라디오 제어기(2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한 접속에 할당된 데이터 전송에 대해 매우 엄격히 규정된 타임 슬롯들이 존재한다. 그런 경우,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가,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는 접속들에 할당된 타임 슬롯들이 겹치지 않도록 새 접속의 설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
어떤 통신 시스템들 내에서는 통신 장치가 전송이나 수신 타이밍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GPS 시스템에서 GPS 수신기는 수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패킷 교환형 시스템들에서, 수신기는 다른 접속이 같은 무선 자원을 이용하고 있을 때 패킷 교환형 데이터 수신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 그 시간 중에 수신기가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놓치면, 전송기는 수신기로부터 '패킷이 수신됨'이라는 표시를 수신하지 못해 그 패킷을 다시 전송한다. 이것이 대부분의 패킷 교환형 시스템들의 표준적인 특성이다.
무선 자원으로서의 공간은 상술한 주파수 대역 및 시간과 같은 방식으로 접속들 간에 나눠질 수 있다.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접속이 존재하고/거나, 할당된 타임 슬롯들이 모두 사용 중이나, 생성중인 접속이 전송할지 모를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접속하는 접속은 없을 때, 그 새 접속은 오직 다른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같은 타임 슬롯들을 통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통신 장치로부터 접속들의 방향을 제어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통신 장치는 여러 방향 안테나들이나 안테나 어레이를 역시 포함해야 한다.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나 전체가 다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 말고는 두 접속들 (기존의 접속 및 생성중인 접속)에 대해 다른 대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새 접속 및 기존 접속 간 용인 가능한 간섭을 가지고, 새 접속에 대해 기존 접속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접속들 간 용인 가능한 레벨의 간섭이란, 접속들의 효율적인 데이터 레이트는 감소 되더라도 이 접속들이 서로를 차단하지 않는 정도의 간섭 레벨일 수 있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어느 무선 접속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 라디오 레코드(302)를 체크하고, 그런 경우의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두 접속들이 서로에 대해 간섭하고, 최악의 경우, 서로의 동작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 접속들이 가능한 한 더 많은 간섭을 용인할 수 있도록 이 접속들의 다른 파라미터들이 조정될 수도 있다. 그러한 파라미터들에는 변조, 코딩 (확산 코드 및/또는 채널 코드), 인터리빙(interleaving), 전송 전력, 및 데이터 레이트가 포함된다. 접속에 대한 그 외의 파라미터들도 조정될 수 있다. 새 접속이 기존 접속 보다 높은 우선권을 가지며, 두 접속들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새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기존 무선 접속이 스탠바이 (standby) 상태로 가거나 중단될 수 있다. 다른 선택 안은, 새 접속 생성이 중지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는 접속 생성을 요청했던 어플리케이션/접속 매니저에게 그 요청된 접속이 현재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린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가 생성주인 접속에 대한 적절한 파라미터들, 및 가능한 경우 기존 접속에 대한 조정가능 파라미터들을 결정한 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각개의 무선-고유 엔티티들로 규정된 파라미터들을 가진 접속을 새성하라고 하거나 기존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라는 명령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라디오 레코드(302)에 새 접속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는 또, 새 접속 파라미터뿐 아 니라, 새 접속 모니터 및 제어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연속 제어 매니저(306)에게 보낸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의 기능들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위에서,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의 기능이, 한 접속이 생성 중에 있고 한 기존 접속 파라미터들이 체크되어 가능하다면 조정되는 상황을 통해 기술되었다. 그 절차는 여러 접속들이 존재하고, 새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그 파라미터들이 체크 및/또는 조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와 유사하다.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의 동작은 기존 접속의 수에 제한받지 않는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가 동작가능한 무선 접속들을 모니터하고, 접속들에 대한 정보나 접속들의 성능에 따라 이들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의 기능은 혹시 달라질 수도 있는 무선 환경에 대해, 운영중인 무선 접속들을 신속하게 적응시키는 것이다. 새 접속이 생성될 때,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접속과 관련된 파라미터들과 새 접속의 모니터 및 제어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접속 파라미터 매니저(308)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접속의 특성들을 모니터하기 시작한다. 접속의 특성들이 통신 장치나 서비스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어, 해당 라디오-고유 엔티티를 통해 연속 제어 매니저(306)로 전달될 수 있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가령 동작가능한 접속의 성능 측정치를 모니터할 수 있다. 그러한 성능 측정치는 BER이나 FER일 수 있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가 접속과 관련해 너무 빈약한 성능 측정치를 검출하면, 그것은 그 빈약한 성능이 어떤 무선 자원 사용과 결부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접속과 관련될 때, 순간적으로 높은 비트 에러율은 어떤 주파수 홉(hop)과 결부될 수 있다. 이것은 동작가능한 WLAN 접속이 블루투스와 동일한 대역 상에서 부분적으로 존재할 때 일어날 수 있다. 열악한 성능이 어떤 무선 자원 (이나 무선 자원의 일부)의 사용과 관련이 있으면,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그 무선 자원이 여러 개의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지 않도록 접속이나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접속의 파라미터들은, 접속의 주파수 호핑이 어떤 다른 동작중인 접속도 존재하지 않는 더 좁은 대역으로 제한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시간 (또는 공간) 도메인 무선 자원들 (GSM 시스템 내 각 접속에 대해 할당된 타임 슬롯들 등)의 이용을 제어하는 것은, 가령 무선 시스템들에 의해 주어진 제약들도 당연히 고려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두 (또는 그 이상) 접속들에 대해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 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경우,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성능이 너무 열악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된 파라미터들은 확산 코드, 채널 코드, 변조 기술, 전력 레벨, 및/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이나 접속들의 성능이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으면,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일시적으로 접속을 닫거나, 열악하게 수행되는 접속이나 열악하게 수행되는 접속을 방해하는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또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접속들의 가능한 조합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 제어 매니저가 블루투스 접속에 있어 열악한 성능을 검출한 경우, 연속 제어 매니저는 자동으로, 동작가능한 WLAN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인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 이는 연속 제어 매니저가 이들 접속들이 서로에 대해 간섭할 수 있다는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가 동작가능한 WLAN 접속을 검출하면, 연속 제어 매니저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패킷 전송 스케줄링 및 전송될 패킷들의 파라미터 변경을 처리할 수 있다. 변경될 수 있는 가능한 파라미터들에는 패킷 길이, 패킷의 데이터량, 변조 방식, 채널 코딩 체계, 전송 주파수/패킷 레이트, 및/또는 패킷 포맷 (프리앰블, 헤더, 페이로드 등)이 포함된다.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여러 개의 접속들의 데이터 패킷들의 가능한 충돌을 예상하여 그에 맞춰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속 제어 매니저(306)는 접속들 간 가능한 동시발생들에 대한 정보 및, 그러한 상황들에 대해 어떻게 신속하게 적응할지에 관한 규칙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장치에서 무선 접속을 생성하고, 여러 무선 접속들의 동시 동작을 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400 단계에서 통신 장치에 아무런 동작가능 접속들도 없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402 단계에서 종래의 절차에 따라 제1무선 접속이 생성된다.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라는 요청이 404 단계에서 수신된다. 이 요청은 통신 장치의 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혹은 무선 네트워크 같은 외부 예로부터 들어올 수 있다.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들이 406 단계에서 체크된다. 이것은 생성 중에 있는 접속에 대해 특정된 무선 자원들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들은, 이용가능한 한 무선 자원 (주파수 대역, 타임 슬롯들,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새 접속이 사용되기로 특정된 주파수 대역이 사용 중에 있었다고 해도, 두 (또는 그 이상) 접속들은 동시에 (또는 같은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운영되게 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기존 접속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지 않고 새 접속이 생성될 수 있도록 무선 자원들 사용이 가능한 경우, 프로세스는 408 단계 (옵션) 및 410 단계로 진행한다. 접속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게 새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기존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이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 408 단계가 수행된다. 다른 접속에 간섭하지 않는 파라미터들을 가진 새 접속은 410 단계에서 생성된다.
406 단계에서 사용 유효한 무선 자원들이 없으면, 프로세스는 412 단계로 가서, 기존 접속 또는 접속들에 대해 사용된 것과 모두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접속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것은, 적어도 두 접속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주파수로 동작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임을 의미한다.
(기존 접속이나 접속들의 파라미터들 조정으로도) 다른 무선 접속의 사용을 차단하지 않고 다른 접속을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프로세스는 414 단계로 가고, 여기서 한 무선 접속은 스탠바이 상태로 있게 되거나 중단된다. 스탠바이 상태로 되거나 중단된 무선 접속은 기존 접속일 수 있으나, 새 무선 접속의 생성 절차가 취소될 수도 있다.
412 단계에서, 기존 접속이나 접속들을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해 다른 접속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면, 프로세스는 416 단계 및 418 단계 (옵션)로 진행한다. 접속이 어느 정도 간섭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파라미터들을 갖는 새 접속이 416 단계에서 생성된다. 기존 접속이나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은 필요할 때, 그에 맞춰 조정된다.
이 프로세스는 420 단계에서 끝난다.
도 5는 통신 장치에서 여러 동시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한 것이다.
프로세스는 500 단계에서 시작된다. 여러 무선 접속들이 도 4의 절차에 따라 502 단계에서 생성된다.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이 504 단계에서 모니터된다. 모니터되는 특성들에는 BER이나 FER 같이 접속 성능을 나타내는 특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506 단계에서, 두 접속들이 서로 간섭하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두 접속들이 서로 간섭한다는 검출은,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는 다른 접속이나 접속들이 존재한다는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한 접속 성능이 갑자기 저하되는데 기반할 수 있다.
506 단계에서 두 접속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504 단계로 돌아가서 접속들의 특성들에 대해 모니터를 계속한다. 506 단계에서 두 접속들이 서로 간섭한다고 검출되면, 무선 자원들이 체크되는 508 단계로 프로세스가 이동한다. 이것은 서로 간섭하는 두 접속들의 무선 자원들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 접속들이 서로 간섭 않고 동작하도록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들이 존재하면, 프로 세스는 510 단계에서 512 단계로 가고, 512 단계에서, 두 접속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적어도 한 접속의 파라미터들이 조정된다. 어떤 경우들에서는 한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으나, 서로 간섭하는 양 접속들 모두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506 단계에서 간섭에 연루되지 않았던 다른 접속이나 다른 접속들의 파라미터들 역시 어떤 경우들에는 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한 접속 파라미터들의 조정이, 조정된 접속 및 다른 접속 사이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상황에 해당할 수 있다. 그 두 접속들 간 간섭을 피하도록 동시에 다른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사전 조처 역시 있을 수 있다.
프로세스는 512 단계에서 504 단계로 돌아가서, 통신 장치의 동작가능한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에 대한 모니터를 개시한다.
같은 무선 자원들을 사용 것 말고는 두 접속들에 대해 어떤 다른 옵션도 존재하지 않을 때, 프로세스는 510 단계에서 514 단계로 이동하여, 거기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든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해 두 접속들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체크된다. 이것은, 적어도 두 접속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주파수로 동작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임을 의미한다.
514 단계에서 두 접속들이 같은 무선 자원들을 사용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면, 프로세스는 512 단계로 진행하여, 거기서 접속들이 어느 정도 간섭을 지탱하도록 한 접속이나 양 접속들 모두의 파라미터들이 조정됨으로써, 동일한 무선 자원들 을 이용하는 두 접속들의 운영이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스는 512 단계에서 504 단계로 돌아가서, 통신 장치의 동작가능한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에 대한 모니터하기가 재개된다.
514 단계에서 두 접속들이 같은 무선 자원들을 사용해 운영되는 것이 불가능하면, 프로세스는 516 단계로 이동하고, 접속들 중 하나가 스탠바이 상태나 심지어 종료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어떤 접속이 스탠바이 상태로 가거나 종료되는지에 대한 결정은 접속들의 우선순위나 성능 같은 어떤 기준에 따른다. 하위 우선순위나 더 열악한 성능을 가진 접속이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516 단계에서 504 단계로 돌아가서, 통신 장치의 동작가능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에 대한 모니터가 재개된다.
상술한 타입의 통신 장치(100)는 본 발명의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타입의 통신 장치들 역시 이러한 구현에 대해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기존 무선 접속이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기 위한 상술한 방법의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다수의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코딩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프로그램 저장 매체, 기록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컴퓨터 판독가능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컴퓨터 판독가능 전화통신 신호, 및 컴퓨터 판독가능 압축 소프트웨어 패키지 같이 소프트웨어 배포를 위해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방식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따른 예를 참조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거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40)

  1. 적어도 하나의 기존 무선 접속이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을 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06 단계, 412 단계); 및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갖는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단계(410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무선 접속이나 접속들, 그리고 상기 새 무선 접속은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활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 무선 접속이 기존 접속이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지 않도록 새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단계 (410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 무선 접속이 기존 무선 접속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 신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함( 410 단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 무선 접속이 기존 무선 접속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함 (410 단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 접속과 기존 접속 사이의 용인가능한 레벨의 간섭을 가진 채, 기존 접속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이 새 접속에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412);
    상기 새 접속 및 기존 접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이 할당될 수 있다고 결정되었으면, 새 무선 접속이 기존 무선 접속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하도록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단계 (41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은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 무선 접속과 기존 무선 접속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408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의 특성들에 대한 사전 정보에 기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기존 무선 접속의 검출 또는 측정된 특성들에 기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여러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을 모니터하는 단계 (504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에 간섭이 검출된 경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51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되는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에서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특성들을 모니터하는 단계 (504, 506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기존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512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들이 충분하지 않을 때, 서로 간섭하는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512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무선 접속들이 간섭을 지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는 무선 접속들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512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정해질 수 없는 경우,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을 스탠바이 (stand-by) 상태로 놓거나 해제하는 단계 (516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통신 장치 (100)에 있어서,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한 통신 인터페이스 (110, 112, 114); 및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을 기존 무선 접속으로서 생성하고,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10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 (104)은,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가진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새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활용하는 무선 접속들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상기 새 무선 접속이 기존 접속이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지 않게 새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새 무선 접속이 기존 무선 접속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게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새 무선 접속이 기존 무선 접속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게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상기 새 접속과 기존 접속 사이의 용인가능한 레벨의 간섭을 가진 채, 기존 접속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이 새 접속에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새 접속 및 기존 접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이 할당될 수 있다고 결정되었으면, 새 무선 접속이 기존 무선 접속과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하게 새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 는 무선 접속들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새 무선 접속과 기존 무선 접속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의 특성들에 대한 사전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기존 무선 접속의 검출 또는 측정된 특성들에 기반하여,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통신 장치 (100)에 있어서,
    무선 접속들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들 (110, 112, 114)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을 모니터하고,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검출된 경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되는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에서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특성들을 모니터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서로 간섭하는 상기 두 무선 접속들이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들이 충분하지 않을 때, 서로 간섭하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게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무선 접속들이 간섭을 지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는 무선 접속들의 파라미터들 을 조정하게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04)은, 서로 간섭하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정해질 수 없는 경우,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을 스탠바이 (stand-by) 상태로 놓거나 해제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3. 통신 장치에 있어서,
    한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
    그 무선 접속을 기존 무선 접속으로서 생성하는 수단;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처리하는 수단;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 사이에서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가진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새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4.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을 검출하도록 무선 접속들의 특성들을 모니터하는 수단; 및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에 간섭이 검출되면,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되는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5. 적어도 한 개의 기존 무선 접속이 있는 통신 장치에서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을 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06 단계); 및
    기존 무선 접속 및 새 무선 접속이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경우, 기존 무선 접속과 새 무선 접속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라미터들을 갖는 새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단계(410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36. 삭제
  37. 삭제
  38. 한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여러 무선 접속들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로 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그 프로세스는,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무선 접속들의 특성을 모니터하는 단계 (504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에 간섭이 검출된 경우,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간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적어도 두 무선 접속들 중 적어도 한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51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되는 파라미터들은 공간 도메인 파라미터(space domain parameter), 변조 파라미터(modulation parameter), 인터리빙 파라미터(interleaving parameter), 및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39. 삭제
  40. 삭제
KR1020077013926A 2004-11-22 2005-11-21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35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5450A FI20045450A0 (fi) 2004-11-22 2004-11-22 Menetelmä ja laite radioyhteyden kontrolloimiseen
FI20045450 2004-1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382A Division KR101010260B1 (ko) 2004-11-22 2005-11-21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720A KR20070088720A (ko) 2007-08-29
KR101035892B1 true KR101035892B1 (ko) 2011-05-23

Family

ID=335153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382A KR101010260B1 (ko) 2004-11-22 2005-11-21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077013926A KR101035892B1 (ko) 2004-11-22 2005-11-21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382A KR101010260B1 (ko) 2004-11-22 2005-11-21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623879B2 (ko)
EP (1) EP1815620B1 (ko)
JP (1) JP4753950B2 (ko)
KR (2) KR101010260B1 (ko)
CN (1) CN101088235A (ko)
BR (1) BRPI0519043A8 (ko)
FI (1) FI20045450A0 (ko)
RU (1) RU2393636C2 (ko)
WO (1) WO2006053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8939A1 (en) * 2006-01-31 2007-08-02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for reducing radio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access points
US20070214484A1 (en) * 2006-03-13 2007-09-13 Carolyn Taylor Digital video broadcast transition method and device
US8693950B2 (en) 2006-03-23 2014-04-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techniqu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existent wireless networks device
US7657286B2 (en) * 2006-05-11 2010-02-02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control interface element in modem
US7643830B2 (en) * 2006-07-17 2010-0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oft-decision bas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triggering
US20080062919A1 (en) * 2006-08-04 2008-03-13 Chen Camille 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nel avoidance system for a platform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4636458B2 (ja) * 2006-08-31 2011-02-23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装置
US7949364B2 (en) * 2006-10-03 2011-05-24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radio modems
JP4855212B2 (ja) * 2006-10-20 2012-01-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80101446A1 (en) * 2006-10-31 2008-05-01 Motorola, Inc. Multi-modem scheduling on a communication device
FI20065696A0 (fi) * 2006-11-03 2006-11-03 Nokia Corp Radioprosessin ohjaus
WO2008056224A2 (en) * 2006-11-06 2008-05-1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reduced interference in a multi-antenna system
FI20065699A0 (fi) * 2006-11-06 2006-11-06 Nokia Corp HARQ-vastaanotto moniradiolaitteessa
KR20090080541A (ko) * 2006-11-06 2009-07-24 노키아 코포레이션 자기간섭 제거를 위한 아날로그 신호 경로 모델링
GB0709813D0 (en) * 2007-05-22 2007-07-04 Nokia Corp A radio frequency apparatus
JP4533413B2 (ja) * 2007-08-30 2010-09-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周波数割当方法
JP5033598B2 (ja) * 2007-11-28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および映像機器
US8599705B2 (en) 2008-02-01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enhanced pilot measurement reports
US8504091B2 (en) 2008-02-01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GB2457987A (en) * 2008-03-06 2009-09-09 Nokia Corp Configuring a modula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device
JP4915371B2 (ja) * 2008-03-14 2012-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4410837B2 (ja) * 2008-03-28 2010-02-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選択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WO2009125248A1 (en) * 2008-04-08 2009-10-1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firewall for a software defined multiradio
US8218568B2 (en) * 2008-07-11 2012-07-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RF module activities
WO2010018643A1 (ja) * 2008-08-12 2010-02-18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
US8334809B2 (en) * 2008-10-22 2012-12-18 Raytheon Company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antenna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KR101580990B1 (ko) * 2009-01-13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적응형 음질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49510B2 (en) * 2009-02-11 2012-08-21 Utc Fire & Security Americas Corporation, Inc. Method and systems to facilitate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RF signals
US9313791B2 (en) 2009-05-14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ropping and adding an air interfa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50178B2 (en) 2009-06-01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on manag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148889B2 (en) 2009-06-0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multiple radios using a database of interference-related information
US20100319033A1 (en) * 2009-06-15 2010-12-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US9185718B2 (en) 2009-06-29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8351456B2 (en) 2009-06-29 2013-0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iltering in a multi-radio device
US9161232B2 (en) 2009-06-29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De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8886126B2 (en) * 2009-07-09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Resolution algorithms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9135197B2 (en) 2009-07-29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interface for multi-radio coexistence manager
US9185719B2 (en) 2009-08-18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pplications to radi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929386B2 (ja) 2009-09-07 2012-05-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競合管理装置
US8688132B2 (en) * 2009-09-07 2014-04-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nsing wireless transmissions from a licensed user of a licensed spectral resource
RU2527755C2 (ru) * 2009-09-14 2014-09-10 Эппл Инк.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ей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варианты), мобильная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и
US8340578B2 (en) 2009-10-05 2012-12-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existence algorithms in wireless systems
US8693569B2 (en) 2009-10-19 2014-04-0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wireless device coexistence
US8903314B2 (en) 2009-10-29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Bluetooth introduction sequence that replaces frequencies unusable due to other wireless technology co-resident on a bluetooth-capable device
US8559383B2 (en) * 2009-11-20 2013-10-15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control
US9226339B2 (en) * 2009-12-03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18062B2 (en) 2009-12-08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Combined intelligent receive diversity (IRD) and mobile transmit diversity (MTD) with independent antenna switching for uplink and downlink
US20110250926A1 (en) * 2009-12-21 2011-10-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ntenna selection in a wireless device
US9338276B2 (en) * 2010-01-26 2016-05-10 Apple Inc. Gating accessory connection
EP2545729A4 (en) * 2010-03-09 2016-11-23 Ericsson Telefon Ab L M ADJUSTING LINK ADAPTATION PARAMETER BASED ON DATA AND CONTROL CHANNEL LOAD
US9148375B2 (en) * 2010-03-15 2015-09-29 Fujitsu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link adaptation based on mobility
US8825860B2 (en) * 2010-03-3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voice activity detection and coexistence manager decisions
US9055556B2 (en) * 2010-04-0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adios and mapping applications to radios on a wireless device
US9072077B2 (en) * 2010-04-01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actional system selection by a wireless device
US9497636B2 (en) 2010-07-26 2016-11-1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disparate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213303A1 (en) * 2010-08-17 2012-08-23 Qualcomm Incorporated Compatible subset generation to facilitate multi-radio coexistence
KR101928448B1 (ko) 2010-10-11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시분할 방식으로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9130656B2 (en) 2010-10-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WO2012086472A1 (ja) * 2010-12-20 2012-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599709B2 (en) 2011-02-10 2013-12-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existence based on transceiver chain emphasis
US9144084B2 (en) 2011-06-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US8879999B2 (en) * 2011-09-14 2014-11-04 Marvell World Trade Ltd. Using frequency bands characterized by type of unwanted interference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9185684B2 (en) * 2011-09-14 2015-11-10 Marvell World Trade Ltd Using non-uniform frequency bands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9026156B2 (en) 2011-11-07 2015-05-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n-device co-existence signaling
CN102378333B (zh) * 2011-12-02 2014-05-1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调整功率的方法和装置
KR101600370B1 (ko) 2011-12-27 2016-03-07 인텔 코포레이션 다중 병치 무선장치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588101B2 (en) * 2012-01-06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Long term evoluton (LTE) user equipment relays having a licensed wireless or wired backhaul link and an unlicensed access link
US9433003B2 (en) * 2012-03-07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via timing controls for radios using the same radio access technology
US9820158B2 (en) 2012-03-07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interference mitigation via frequency selectivity
US8995553B2 (en) 2012-06-08 2015-03-3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ggressive form factor designs
US9191991B2 (en) 2013-02-27 2015-11-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impact of RF interference based on estimation of colored noise
EP2773152B1 (en) * 2013-02-27 2015-08-19 BlackBerry Limited Access point and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reduced RF interference
EP2773162B1 (en) * 2013-02-27 2018-10-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impact of rf interference based on estimation of colored noise
US20150029946A1 (en) * 2013-07-26 2015-01-29 Michael Edward Smith Luna Modulation of packet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an overlay communication channel
CN106465463B (zh) * 2014-05-15 2018-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
JPWO2015194134A1 (ja) 2014-06-18 2017-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状態推定装置、通信状態推定方法及び通信状態推定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録媒体
US9544934B2 (en) * 2015-06-05 2017-01-10 Apple Inc. Device and method for antenna synchronization and selection
CN106686738A (zh) * 2015-11-05 2017-05-17 索尼公司 基站侧和用户设备侧的装置及方法、无线通信系统
KR102430007B1 (ko) * 2017-12-22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576441A1 (en) * 2018-05-31 2019-12-04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US11082110B2 (en) * 2018-12-03 2021-08-03 Mediatek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895733B2 (en) 2018-12-13 2024-02-06 Apple Inc. Multi-radio interface for multiple radio computers
CN110401938B (zh) 2019-08-16 2023-04-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高保真Wi-Fi连接控制方法及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5366D0 (en) * 1986-03-05 1986-04-09 Secr Defence Digital processor
US5245695A (en) * 1991-06-12 1993-09-14 American Neuralogix Inc. Fuzzy microcontroller
US5649303A (en) * 1994-09-02 1997-07-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among communication systems
US6006106A (en) * 1996-12-31 1999-12-21 Ericsson Inc. Method for automatic transceiver selection in a mobile multiple RF transceiver apparatus
US6138010A (en) * 1997-05-08 2000-10-24 Motorola, Inc.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JP3348196B2 (ja) 1998-03-06 2002-11-20 独立行政法人通信総合研究所 無線伝送システム
KR100339034B1 (ko) * 1998-08-25 2002-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JP2000244358A (ja) * 1998-12-21 2000-09-0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US6442375B1 (en) * 1999-07-14 2002-08-27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peration of a receiver co-located with a transmitter and susceptible to interference therefrom by desensitization of the receiver
JP4292442B2 (ja) * 2000-01-31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全地球測位システムの受信装置及び携帯無線端末
US6278723B1 (en) * 2000-03-08 2001-08-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a probability of self-interference among neighboring wireless networks
SE516509C2 (sv) * 2000-05-18 2002-01-22 Ericsson Telefon Ab L M En kommunikationsapparat med två radioenheter och en driftmetod därav
JP3421639B2 (ja) * 2000-06-01 2003-06-30 富士通株式会社 複数の無線通信部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rf信号干渉を防止するための通信監視制御
WO2002025859A1 (en) * 2000-09-12 2002-03-28 Kvaser Consultant Ab An arrangement with a number of unit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use with such a system
US6895255B1 (en) * 2000-10-20 2005-05-17 Symbol Technologies, Inc. Dual mod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EP1366579B1 (en) * 2000-12-06 2006-11-1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weighting of a data signal in the at least two antenna elements of a radio connection unit, modul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7092733B2 (en) * 2001-01-25 2006-08-15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to plurality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TE449465T1 (de) * 2001-04-12 2009-12-15 Juniper Networks Inc Zugangsrauschunterdrückung in einem digitalen empfänger
US20030078037A1 (en) * 2001-08-17 2003-04-24 Auckland David T. Methodology for portable wireless devices allowing autonomous roaming across multiple cellular air interface standards and frequencies
CN1192531C (zh) * 2001-12-21 2005-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宽带码分多址系统同步的实现方法
US7117008B2 (en) * 2002-01-03 2006-10-03 Intel Corporation Mitigating interference among multiple radio device types
US7110469B2 (en) * 2002-03-08 2006-09-19 Broadcom Corporation Self-calibrating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JP4122789B2 (ja) * 2002-02-13 200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複合無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干渉回避制御方法
US6892076B2 (en) * 2002-06-05 2005-05-10 Nokia Corporation 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DVB-T) receiver interoperable with a GSM transmitter in a non-interfering manner using classmark change procedure
AU2003259388A1 (en) * 2002-06-07 2003-1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technology co-existence
JP4245311B2 (ja) * 2002-06-27 2009-03-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TWI234943B (en) * 2002-08-14 2005-06-21 Int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between transceiver systems
US6836506B2 (en) * 2002-08-27 2004-12-28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ing timing between multiple air link standard signals operating within a communications terminal
US6978121B1 (en) * 2002-11-05 2005-12-20 Rfmd W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ual-mode radi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68164A4 (en) * 2002-11-13 2010-01-06 Agere Systems Inc INTEROPERABILITY AND COEXISTENCE BETWEEN TWO DISPARATE COMMUNICATIONS SYSTEMS
JP4095417B2 (ja) * 2002-11-29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8005503B2 (en) * 2002-12-18 2011-08-23 Broadcom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multiple processors in a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GB2406479B (en) * 2003-03-10 2007-10-17 Toshiba Res Europ Ltd Communications systems & methods
US6965839B2 (en) * 2003-04-28 2005-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active automated calibration of integrated circuit interface
US6917890B2 (en) * 2003-05-29 2005-07-12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to provide off-line transfer of vehicle calibration data
JP2004363728A (ja) * 2003-06-02 2004-12-24 Canon Inc 無線情報通信端末
GB2402843B (en) 2003-06-12 2005-09-21 Nec Technologies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EP1639844B1 (en) * 2003-06-23 2015-10-21 Spreadtrum Communications Inc. Time interleaved multiple standard single radio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P1503220B1 (fr) * 2003-08-01 2007-02-14 Alcatel Détermination de positions de terminaux mobiles à l'aide de données d'assistance transmises sur requète
GB2407178B (en) 2003-10-17 2006-07-12 Toshiba Res Europ Ltd Reconfigurable signal processing module
US20050095982A1 (en) * 2003-11-05 2005-05-05 Blanchard Scott D. MSS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MSS user equipment
FR2863714B1 (fr) * 2003-12-16 2006-04-21 Cit Alcatel Dispositif de determination de position par filtrage de donnees d'integrite d'un systeme d'augmentation, pour un terminal mobile
WO2005069661A1 (en) * 2004-01-13 2005-07-28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Synchronization of time base units
FI20040261A0 (fi) * 2004-02-18 2004-02-18 Nokia Corp Aikatiedon tarjoaminen
WO2005088849A1 (en) * 2004-03-10 2005-09-22 Quorum Systems,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architecture for multi-mode wireless device
JP2005260425A (ja) * 2004-03-10 2005-09-22 Toshiba Corp デュアル無線端末装置およびデュアル無線システム
US7610057B2 (en) * 2004-04-23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ng a wireless networking technology on a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via multiple wireless technologies
WO2006096864A2 (en) 2005-03-09 2006-09-14 Xirrus, Inc. Media access controller for use in a multi-sector access point array
US7697896B2 (en) * 2005-03-16 2010-04-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apparatus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BRPI0520544A2 (pt) 2005-11-24 2009-05-12 Nokia Corp metodologia , módulo, terminal e sistema que permitem operação programada de um subsistema de identificação por radiofreqüência (rfdi) e um sub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WO2008056224A2 (en) * 2006-11-06 2008-05-1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reduced interference in a multi-antenna system
US7944904B2 (en) * 2007-04-25 2011-05-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iming functions in multiple timing protocols
GB0709813D0 (en) * 2007-05-22 2007-07-04 Nokia Corp A radio frequenc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3950B2 (ja) 2011-08-24
KR101010260B1 (ko) 2011-01-21
US7991413B2 (en) 2011-08-02
KR20090008434A (ko) 2009-01-21
RU2007118570A (ru) 2008-12-27
EP1815620B1 (en) 2016-07-20
US20100029215A1 (en) 2010-02-04
BRPI0519043A2 (pt) 2008-12-23
WO2006053951A1 (en) 2006-05-26
US7623879B2 (en) 2009-11-24
CN101088235A (zh) 2007-12-12
RU2393636C2 (ru) 2010-06-27
JP2008521309A (ja) 2008-06-19
BRPI0519043A8 (pt) 2016-03-22
EP1815620A1 (en) 2007-08-08
US20060135076A1 (en) 2006-06-22
EP1815620A4 (en) 2010-03-17
FI20045450A0 (fi) 2004-11-22
KR20070088720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92B1 (ko) 무선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TWI418228B (zh) 一種通信方法和處理通信信號的系統
EP2087614B1 (en) Control of radio process
US8134949B2 (en) Efficient use of the radio spectrum
US7865201B2 (en) HARQ data reception in multiradio device
US944527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ggressive form factor designs
US8396003B2 (en) Control of radio process
WO2008016774A2 (en) Method and system for granting channel slots
JP2009526428A (ja) 高価なフィルタの必要性を削減したwlan−gsmハイブリッド機器の同期
US20070049317A1 (e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reverse link of a feedback-based spread spectrum wireless network
JP200235387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の携帯通信端末及び基地局
EP4274320A1 (en) Method for adjusting transmitting power ratio of radio module and associated radio module
WO2024050218A1 (en) Techniques for reliable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earbuds in a high-interference scena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1005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