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772B1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772B1
KR101035772B1 KR1020097006812A KR20097006812A KR101035772B1 KR 101035772 B1 KR101035772 B1 KR 101035772B1 KR 1020097006812 A KR1020097006812 A KR 1020097006812A KR 20097006812 A KR20097006812 A KR 20097006812A KR 101035772 B1 KR101035772 B1 KR 10103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radio signal
radio
transmiss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115A (ko
Inventor
치하루 야마자키
시게루 기무라
다케시 도다
겐타 오키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565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88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58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9064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처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제 1 제어 방법에 따라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제어부와,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와,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한다. 송신 제어부는,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제어 방법과는 다른 제 2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고,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당해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체 통신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을 향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 의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이 통신을 계속하면서 이동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절히 제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도플러 변동량(도플러 주파수)을 추정하고, 추정한 도플러 변동량이 작은 소정수의 소자 안 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전체 소자 안테나 중, 도플러 변동량이 작은 소자 안테나가 선택되기 때문에,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이 통신을 계속하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98508호(제 8 페이지, 제 5 도)
그런데, 무선 통신 단말의 주변에는,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에 의해, 정재파와 같이 주기적으로 전력값의 피크를 갖는 주기적 신호가 나타난다. 이러한 주기적 신호의 파장은, 일반적으로, 최단 길이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파장의 절반 정도이다. 예컨대,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2㎓대인 경우, 주기적 신호의 파장이 대략 절반이라고 가정하면, 주기적 신호의 파장은 약 7.5㎝ 이다.
즉, 무선 통신 단말 또는 무선 통신 단말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예컨대, 차량)가 고속(100㎞/h~)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 기지국에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된 무선 신호를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무선 기지국과 무선 통신 단말의 전파로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통신 품질이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단말 또는 무선 통신 단말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이 주기적 신호의 전력값의 피크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여, 무선 통신 단말이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통신 품질이 현저히 열화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인 대향 무선 통신 장치(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리버스 링크 신호 RSup)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무선 신호(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예컨대, 무선 기지국(100))로서,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제 1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제어부(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와, 상기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와,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판단부(106))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방법과는 다른 제 2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지향성이 다른 복수의 제어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 방법을 변경한다. 따라서,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따라, 제어 방법을 변경하여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므로,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전파로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제어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처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 또는 통신처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100㎞/h~)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변동 주기를 파악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변동 주기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변동 주기를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변동 상태를 검출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므로,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전파로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송신 무선 신호의 상태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처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 또는 통신처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100㎞/h~)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판단부는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파악된 상기 변동 주기를 비교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한 상기 처리 시간과 상기 변동 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Null)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전파로 상태의 변동 주기와,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을 비교하여,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위치로 널이 향하도록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므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널을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판단부는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변동 주기의 대략 절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변동 주기의 대략 절반이라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정된 경우,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처리 시간이 전파로 상태의 변동 주기의 대략 절반인 경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즉,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피크(빔)를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더 송신하고, 널을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한 상기 변동 상태의 검출은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도플러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로부터 변동 주기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한 상기 변동 상태의 검출은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로부터 전파로의 상태의 변동 주기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상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의해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각 소자 안테나에서의 수신 무선 신호의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관도가 높거나 또는 낮은 것에 의한 전파로의 상태를 고려하여,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진폭 및 위상의 값이 기지(旣知)인 기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기억된 기지 신호와의 위상차를 연산하는 위상차 연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위상차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송신 웨이트를 상기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 신호와 수신 무선 신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송신 웨이트를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한다. 즉,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보다 수신 전력의 피크(빔)가 높은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은,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위상차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에 대하여, 상기 기지 신호와의 위상차를 연산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상기 위상차와,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에서 작아지는 상기 송신 웨이트를 적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위상차와 전력값에 근거하여,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에서 수신 전력이 작아지는 송신 웨이트를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한다. 즉,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보다 수신 전력의 피크(빔)가 높은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널을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상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전력값이 가장 낮은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므로, 전력값이 가장 높은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널을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특징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송신 웨이트의 보정을 산출하는 산출식에서 사용되는 보정항을 연산하는 보정항 연산부(보정 계수 산출부(14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보정항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보정항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송신 웨이트를 상기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송신 웨이트를 보정하는 보정항을 연산하고, 당해 보정항을 이용하여 보정된 송신 웨이트를 상기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하므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널을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신 무선 신호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주파수 대역 상관 검출부(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 상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관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동일 웨이트가 사용된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상관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마다 각각 웨이트를 산출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주파수 대역용으로 산출한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를 산출할 때의 연산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특징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인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제 1 제어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스텝에서,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방법과는 다른 제 2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도록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4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빔이 향하도록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 특징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무선 기지국(1100))로서,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 수신한 제 1 수신 무선 신호(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1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와,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 수신한 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2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와, 상기 제 1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웨이트 산출부(1106))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변동 상태 및 상기 제 2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하는 송신 제어부(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따라,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을 향하게 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예컨대,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이동에 의해 전파로의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적어도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을 향하게 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동하는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널로 되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을 이용하는 경우,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특징은, 제 16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빔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특징은, 제 17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널을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특징은, 제 16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제 1 변동 주기(제 1 변동 주기 fA)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제 2 변동 주기(제 2 변동 주기 fB)를 검출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변동 주기 및 상기 제 2 변동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널을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변동 주기와 제 2 변동 주기를 고려하여,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널을 향하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0 특징은, 제 19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변동 주기를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2 변동 주기를 비교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한 상기 처리 시간과 상기 제 1 변동 주기의 비교 결과 및 상기 판단부에 의한 상기 처리 시간과 상기 제 2 변동 주기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1 특징은, 제 20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1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 범위 내인 것, 및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2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2 특징은, 제 21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고,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빔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처리 시간이 제 1 변동 주기~제 2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고,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빔이 향하는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므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의 전파로 변동을 고려하고, 송신 무선 신호에 의한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3 특징은, 제 20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1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및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2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가 아닌 것이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고,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4 특징은, 제 19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상기 제 1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상기 제 2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로부터 변동 주기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5 특징은, 제 19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를 상기 제 1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를 상기 제 2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로부터 전파로 상태의 변동 주기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6 특징은, 제 16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상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각 소자 안테나에서의 수신 무선 신호의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관도가 높거나 또는 낮은 것에 의한 전파로의 상태를 고려하여,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7 특징은, 제 16 특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 또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안테나 선택부(111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소자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므로,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따라 적절한 소자 안테나에 의해,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의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널을 향한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8 특징은, 제 27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1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내(內)인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작은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9 특징은, 제 27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1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외(外)인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0 특징은, 제 28 또는 29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2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작은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1 특징은, 제 28 또는 29 특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2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2 특징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1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1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스텝과,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2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스텝과, 상기 제 1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상기 판단 스텝에서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변동 상태 및 상기 제 2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과,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사이에서 공간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무선 기지국에서 제 1 무선 통신 단말을 향해 무선 신호가 송신될 때에는, 제 1 무선 통신 단말과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 제 2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품질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의 주변에서의 주기적 신호(정재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단말로부 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의 전파로 변동에 의한 수신 전력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의 주변에서의 주기적 신호(정재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의 주변에서의 주기적 신호(정재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 둘 수 있는 리버스 링크 신호와 포워드 링크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과, 전파로 변동에 따른 전력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 웨이트를 산출할 때에 산출하는 각종 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의 주변에서의 주기적 신호(정재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의 전파로 변동에 의한 수신 전력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의 전파로 변동에 의한 수신 전력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관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100)(무선 통신 장치)과 무선 통신 단말(200)(대향 무선 통신 장치)을 구비한다. 또,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단말의 수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100)과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행해진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TDMA/TD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를 이용하고 있다.
무선 통신 단말(200)은 휴대 전화 단말이며, 음성 통화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200)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노트북형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이, 시점 t1의 위치(a)에서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송신하고, 시점 t2의 위치(b)로 이동했을 때,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수신하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0)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기지국(100)은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인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로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한다.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장치 자체의 이동 또는 주변 물체의 이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파로가 변동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200)의 주변에는,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에 의해,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재파 등의 주기적으로 전력값의 피크를 갖는 주기적 신호가 나타난다.
이러한 주기적 신호에서, 피크(빔)의 수신 전력 P1로부터 널의 수신 전력 P2까지의 간격은, 예컨대,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2㎓대인 경우, 주기적 신호의 파장이 대략 절반이라고 가정하면, 주기적 신호의 파장은 약 7.5㎝이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구성)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이하,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기지국(100)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필수적인, 도시하지 않거나 혹은 설명을 생략한 논리 블록(전원부 등)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하고자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0)은 소자 안테나(101_1~101_n) 와 수신부(102_1~102_n)와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04)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와 판단부(106)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와 송신부(108_1~108_n)를 구비한다.
소자 안테나(101_1~101_n)는 수신부(102_1~102_n)와 송신부(108_1~108_n)에 접속되고,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TDMA/TDD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수신부(102_1~102_n)는,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다.
제 1 웨이트 산출부(103)는 수신부(102_1~102_n)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접속된다. 제 1 웨이트 산출부(103)는, 수신부(102_1~102_n)에서 수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에 근거하여, 수신한 시점 t1의 위치(a)로 피크가 향하도록, 무선 통신 단말(200)로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서 사용되는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한다(제 1 어레이 웨이트 산출 방법{기준의 신호 처리 방법}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에서 산출되는 제 1 어레이 웨이트는, 수신한 시점 t1의 위치(a)로 피크가 향하도록, 무선 통신 단말(200)로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서 사용되지만, 이 경우, 당해 제 1 어레이 웨이트에 근거하여 실행되는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보통(기준)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제 1 제어 방법)이다.
제 2 웨이트 산출부(104)는 수신부(102_1~102_n)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접속된다. 제 2 웨이트 산출부(104)는, 수신부(102_1~102_n)에서 수신 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에 근거하여, 수신한 시점 t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도록, 무선 통신 단말(200)로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서 사용되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한다(제 2 어레이 웨이트 산출 방법{기준의 신호 처리 방법과는 다른 별도의 신호 처리 방법}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제 2 웨이트 산출부(104)에서 산출되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는, 수신한 시점 t1의 위치(a)에 널을 향하도록, 무선 통신 단말(200)로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 사용되지만, 이 경우, 당해 제 2 어레이 웨이트에 근거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는 상기한 제 1 어레이 웨이트에 근거하여 실행되는 보통(기준)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와는 다른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제 2 제어 방법)이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수신부(102_1~102_n)와 판단부(106)에 접속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변동 주기를 파악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수신부(102_1~102_n)에서 수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전력값의 변동을 변동 주기 fa로서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200)의 이동에 의한 도플러 변동으로 변화되는 수신 전력값을 정기적으로 취득함과 아울러, 당해 수신 전력값의 변동 주기 fa를 파악한다. 또한,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파악한 변동 주기 fa를 판단부(106)에 통지한다.
판단부(106)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접 속된다. 또한, 판단부(106)는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까지의 처리 시간 Δt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파악된 변동 주기 fa를 비교한다. 판단부(106)는, 처리 시간 Δt가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로부터 통지된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06)는 처리 시간 Δt로 되는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의 범위를 나타내는 하한값 fL 및 상한값 fH를 미리 기억하여 두고,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파악된 변동 주기 fa가, 하한값 fL≤fa<상한값 f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판단부(106)는 판단 결과를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통지한다. 이 때, 판단부(106)에 의해, 변동 주기 fa가 하한값 fL≤fa<상한값 fH라고 판단된 경우, 후술하는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의해,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제 2 제어 방법)가 실행된다. 한편, 변동 주기 fa가 하한값 fL≤fa<상한값 fH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후술하는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의해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제 1 제어 방법)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판단부(106)는, 변동 주기 fa에 근거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단부(106)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검출된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성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와 제 2 웨이트 산출 부(104)와 판단부(106)와 송신부(108_1~108_n)에 접속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파악된 변동 주기 fa에 근거하여,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통해 송신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지향성을 제어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판단부(106)에 의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제어 방법과는 다른 제 2 제어 방법으로 제어 방법을 변경하고,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처리한다.
여기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파악된 변동 주기 fa에 근거하여 판단부(106)에 의해 비교된 처리 시간 Δt과 변동 주기 fa와의 비교 결과(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로 널이 향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 아니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로 피크(빔)이 향하도록,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제 1 제어 방법 또는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처리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성한다.
송신부(108_1~108_n)는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어댑티브 어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200)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기지국(100)이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이용하여,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13에서,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수신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변동 주기 fa를 파악한다. 또한,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파악한 변동 주기 fa를 판단부(106)에 통지한다.
여기서, 도 5에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서 취득된 수신 전력값과 시간축 상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로 상태 검출 부(105)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의 이동에 의한 전파로의 변화에 의해, 수신 전력값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이 변동을 변동 주기 fa로서 파악한다.
스텝 S15에서, 판단부(106)는 통지된 변동 주기 fa가 fL≤fa<f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a에서, 판단부(106)에 의해 변동 주기 fa가 fL≤fa<fH라고 판정된 경우(fL≤fa<fH가 예의 경우),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제 2 웨이트 산출부(104)에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도록 지시한다. 제 2 웨이트 산출부(104)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여,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통지한다.
스텝 S17b에서, 판단부(106)에 의해 변동 주기 fa가 fL≤fa<fH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fL≤fa<fH가 아니오의 경우),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에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도록 지시한다. 제 1 웨이트 산출부(103)는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여,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통지한다.
스텝 S19에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제 1 어레이 웨이트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처리 시간 Δt가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수신 전력값의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정된 경우, 무선 통신 단말(200)에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위치(a)에서 널을 향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200)이 시점 t1로부터 시점 t2까지의 처리 시간 Δt 동안에,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의 위치(b)로 이동하는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시점 t1의 위치(a)에서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에 근거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고, 시점 t2의 위치(a)에 피크의 수신 전력 P1이 되도록,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따라서, 시점 t2에서 위치(b)에 이동하는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널의 수신 전력 P2까지 급격히 저하하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무선 통신 단말(200)이 시점 t1로부터 시점 t2까지의 처리 시간 Δt 사이에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점 t2의 위치(a)에서 널의 수신 전력 P2가 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시점 t2의 위치(b)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은, 적어도 널의 수신 전력 P2가 아니라, 예컨대, 피크의 수신 전력 P1로 수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200)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200)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100㎞/h~)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 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경예 1)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 1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00)의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가, 수신부(102_1~102_n)에서 수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전력값의 변동을 변동 주기 fa로서 파악했었지만,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도플러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변동 주기 fa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변동 주기로서 파악되는 도플러 변동은 무선 통신 단말(200)의 이동 속도에 따라 도플러 변동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파악한 변동 주기 fa를 판단부(106)에 통지한다.
판단부(106)는 상술한 처리 시간 Δt의 동안에, 무선 통신 단말(200)이 무선 신호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f의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06)에서는, 처리 시간 Δt에서, 무선 신호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f의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에 상당하는 도플러 변동량의 하한값 fL~상한값 fH를 미리 기억하고,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파악된 변동 주기 fa가 fL≤fa<f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단부(106)는 판정 결과를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통지한다. 또,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경예 1에 따른 무선 기지국(100)에 따르면, 변동 주기 fa 가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에 상당하는 도플러 변동량의 하한값 fL~상한값 fH 내라고 판정된 경우, 시점 t2의 위치(a)에 널의 수신 전력 P2가 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따라서, 이동하는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시점 t2의 위치(b)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은, 적어도 널의 수신 전력 P2가 아니라, 예컨대, 피크의 수신 전력 P1로 수신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시점 t2의 위치(b)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은 적어도 널의 수신 전력 P2가 아니라, 널 이외의, 예컨대, 피크의 수신 전력 P1로 수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 기지국(100)에 따르면,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200)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200)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100㎞/h~)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경예 2)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는 수신부(102_1~102_n)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접속된다.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는 복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의 각각이 수신하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상관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는 수신부(102_1~102_n)의 각각에서 수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위상 및 진폭에 근거하여, 복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의 상관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가 높은 경우,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주변의 주기적 신호(예컨대, 정재파)에서, 전파로 변동에 의한 변동 주기 fa의 피크의 수신 전력값 P1과 널의 수신 전력값 P2의 차이가 작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는 검출한 상관도를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에 통지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에 근거하여,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검출된 상관도가 미리 기억하는 소정의 상관도 이하인 경우에, 또한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만,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로 널이 향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는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이러한 경우 이외에 있어서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로 피크가 향하도록,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는 제 1 제어 방법에 따라,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도록 처리한다. 또,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경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가 소정의 상관도 이하인 경우, 즉 무선 통신 단말(200) 주변의 주기적 신호(정재파)에서의 피크의 수신 전력값 P1과 널의 수신 전력값 P2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에만, 시점 t2의 위치(a)에서 널의 수신 전력 P2가 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 주변의 주기적 신호에서의 피크의 수신 전력값 P1과 널의 수신 전력값 P2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차이가 큰 경우에만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므로, 효율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 피크의 수신 전력으로 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00)이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도플러 변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전파로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도플러 변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전파로 변동을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20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201)를 통해, 무선 기지국(100)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02)와,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도플러 변동량을 검출하는 도플러 검출 부(203)와, 도플러 검출부(203)에서 검출된 도플러 변동량을 나타내는 도플러 정보를, 송수신부(202)를 통해, 무선 기지국(100)으로 통지하는 도플러 통지부(204)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가, 수신부(102_1~102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통지된 도플러 정보를 취득하여, 당해 도플러 정보로 표시되는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전파로 변동 주기로서, 판단부(106)에 통지한다. 다른 기능에 관하여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 검출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도플러 변동에 근거하여, 전파로 변동을 파악하므로, 무선 통신 단말(200) 쪽에서의 전파로 변동의 변동 주기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기능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서, 제 2 어레이 웨이트가 산출되는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와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와 절대값 산출부(124)와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와 위상 산출부(126)를 더 구비한다.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와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에 접속된다.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는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트레이닝 신호를 기억한다. 여기서, 이러한 트레이닝 신호는 진폭 및 위상의 값이 기지인 기지 신호를 나타낸다.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는 수신부(102_1~102_n)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와 절대값 산출부(124)에 접속된다.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는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트레이닝 신호와 수신부(102_1~102_n)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에 근거하여 희망파 수신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는 산출한 희망파 수신 전력을 절대값 산출부(124)에 통지한다.
절대값 산출부(124)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와 위상 산출부(126)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27)에 접속된다.
절대값 산출부(124)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로부터 통지된 희망파 수신 전력에 근거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 사용되는 웨이트의 절대값을, 희망파 수신 전력의 값을 대소 역전시키도록 변환함으로써 산출한다.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는 수신부(102_1~102_n)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 부(122)와 위상 산출부(126)에 접속된다.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는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진폭 및 위상의 값이 기지인 트레이닝 신호를 포함하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레이닝 신호(전파로에 의한 진폭 및 위상 변동의 영향이 생기는 트레이닝 신호)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차를 연산한다.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는 복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의 각각이 수신하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에 대하여, 트레이닝 신호와의 위상차를 연산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는 위상차 연산부를 구성한다.
위상 산출부(126)는 절대값 산출부(124)와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27)에 접속된다.
위상 산출부(126)는 송신에 이용하는 웨이트의 위상을, 절대값 산출부(124)에서 산출된 웨이트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의 시점 t1에서의 위치(a)로 널이 향하도록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에서 산출된 위상차에 보정을 가함으로써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제 2 웨이트 산출부(127)는 절대값 산출부(124)에서 산출된 웨이트의 절대값과, 위상 산출부(126)에서 산출된 위상을 이용하여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한다.
또한, 제 2 웨이트 산출부(127)는 산출한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에 통지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와 판단부(106)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27)와 송신부(108_1~108_n)에 접속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에 의해 연산된 위상차를 이용하여,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에 적용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제 2 제어 방법에 의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할 때,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위상차와, 복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의 각각이 수신하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전력값에 근거하여,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전력값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에서 작아지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로 널이 향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 아니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로 피크가 향하도록,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 하도록 제어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는 송신 제어부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과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낸 스텝 S17a의 동작만 다르기 때문에, 주로 상기 스텝 S17a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복수의 수신부(102_1~102_n) 중 하나의 수신부에서, 이동하는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의 희망파 수신 전력의 변동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이 이동함으로써,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희망파 전력은 도플러 변동의 영향을 받아 변동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서 이 변동을 검출하고,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에서 무선 통신 단말(200)이 주기적 신호(정재파)의 널로 이동하는 전파로 변동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 통신 단말(200)의 시점 t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도록(위치(b)에서는 피크를 향함)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때, 무선 기지국(100)은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도 10에서의 A, B, C와 같은 희망파 전력인 경우, 각각 A', B', C'와 같은 절대값의 웨이트로 송신해야 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200)은, 주기적 신호의 널로 이동하는 전파로 변동인 경우에는, 수신 시의 희망파 전력과 송신 시의 웨이트의 절대값과는 대소 역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절대값 산출부(124)에서 희망파 수신 전력의 값의 대소를 역전시키도록 보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절대값 산출부(124)에서는, 예컨대, 기준 전력을 A로 하고,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로부터 통지된 각각의 수신부(102_1~102_n)에서의 희망파 수신 전력 ARx(i)를 A1, A2, A3, …, An이라 하면, 역전시킨 보정 후의 웨이트의 절대값 ATx(i)를, (A-A1), (A-A2), (A-A3), …, (A-An)으로서 산출한다(도 11에 나타냄, 스텝 S17a1).
여기서, 무선 기지국(100)에 있어서, 일례로서, 3개의 수신부(102_1~102_3)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기준 전력을 "1"로 하고, 수신부(101_1)에서의 희망파 수신 전력 A1을 "0.3"으로 하고, 수신부(102_2)에서의 희망파 수신 전력 A2를 "0.5"로 하고, 수신부(102_3)에서의 희망파 수신 전력 A3을 "0.9"로 하면, 절대값 산출부(124)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부(102_1~102_3)의 웨이트의 절대값을, 각각 "0.7", "0.5", "0.1"으로서 산출한다.
또한, 위상 산출부(126)는 절대값 산출부(124)에서 산출된 절대값 ATx(i)와,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에서 산출된 희망파 수신 전력값 ARx(i)와,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에 의해 연산된 수신부(102_1~102_n) 각각의 위상차 φRx(i)를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100)의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로 널이 향하게 하기 위한 위상 φTx(i)을 산출한다(스텝 S17a2).
구체적으로, 우선, 위상 산출부(126)는, 하기 (1)식에서 산출되는 값이 최소가 되는 보정 부호 m(i)를 산출한다. 여기서, 보정 부호 m(i)는 +1, -1의 어느 하나의 값으로 결정한다.
또, 각 항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1
ATx(i): i번째의 수신부에서 역전시킨 보정 후의 웨이트의 절대값
ARx(i): i번째의 수신부에서의 희망파 수신 전력
예컨대, 도 12의 예에서는, 위상 산출부(126)는, 수신부(102_1~102_3)에서, 희망파 수신 전력과 웨이트의 절대값의 승산값은 각각 "0.21", "0.25", "0.09"로서 산출한다.
이 때, (1)식에서, 승산값의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보정한 승산값은, 예컨대, "-0.21", "0.25", "-0.09"이며, 보정 부호 m(i)는 수신부(102_1~102_3)에서 각각 "-1", "1", "-1"로 된다.
또한, 위상 산출부(126)는, 이러한 보정 부호 m(i)로부터, (2)식에 의해 보 정항 φ(i)을 0, π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산출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2
그리고, 위상 산출부(126)는 산출한 보정항 φ(i)부터, (3)식에 의해 위상 φTx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3
또, 각 항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φTx(i): i번째의 수신부에서의 보정 후의 위상
φRx(i): i번째의 수신부에서의 수신 신호와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차
φ(i): i번째의 수신부에서의 보정항
또한, 제 2 웨이트 산출부(127)는, 절대값 산출부(124)에 의해 산출된 절대값 ATx(i)와, 위상 산출부(126)에 의해 산출된 위상 φRx(i)을 이용하여, (4)식에 의해, 제 2 어레이 웨이트 W(i)를 산출한다(스텝 S17a3).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4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제 2 어레이 웨이 트를 적용하고, 대략 절반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적용한다.
이와 같이,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에서 적용되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는 희망파 위상차 산출부(125)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위상차 φRx(i)로부터 산출된 위상 φTx(i)과,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에서 산출된 희망파 수신 전력값로부터 산출된 절대값 ARx(i)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28)는 이러한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적용하고,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전력값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에서 작아진다.
(제 3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따르면, 처리 시간 Δt가,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의 하한값 fL~상한값 fH 내라고 판정된 경우, 무선 통신 단말(200)에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위치(a)로 널을 향하게 하도록,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제 2 어레이 웨이트는, 복수의 위상차로부터 산출한 위상 φTx(i)와, 희망파 수신 전력값 ARx(i)로부터 산출한 절대값 ATx(i)에 근거하여,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전력값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에서 작게 되도록 고려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전파로 변동을 고려하고, 무선 통신 단말(200)로 피크를 향하게 하도록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200) 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200)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100㎞/h~)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기능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서 구비하던 제 2 웨이트 산출부(104)를 구비하지 않고, 새로이,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와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와 안테나 선택부(131)를 구비한다. 또,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와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의 구성은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안테나 선택부(131)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32)에 접속된다. 안테나 선택부(131)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상태에 근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선택한다. 이 때, 안테나 선택부(131)는 소자 안테나(101_1~101_n)의 전력값이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선택부(131)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23)에서 산출된 수신부(102_1~102_n) 각각의 희망파 수신 전력값에 근거하여, 가장 희망파 수신 전력값이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선택한다. 또한, 안테나 선택부(131)는 선택한 소자 안테나(101_1~101_n)를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32)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32)는,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제 2 적응 제어를 적용하고, 대략 절반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제 1 적응 제어를 적용한다.
여기서, 제 1 적응 제어에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32)는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에서 산출된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적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 의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또한, 제 2 적응 제어에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32)는 안테나 선택부(131)에 의해 선택된 전력값이 가장 낮은 소자 안테나를 구비하는 송신부(예컨대, 소자 안테나(101_1)를 구비하는 송신부(108-1))를 통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는 송신 제어부를 구성한다.
(제 4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과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17a의 동작이 다르기 때문에, 주로 상기 스텝 S17a의 동작에 대하여, 도 14의 스텝 S117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스텝 S117a에서,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판단부(106)에 의해 변동 주기 fa가, fL≤fa<fH라고 판정된 경우(fL≤fa<fH가 "예"일 경우),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안테나 선택부(131)에, 희망파 수신 전력값이 가장 낮은 소자 안테나를 통지하도록 지시함과 아울러, 안테나 선택부(131)에 의해 선택된 소자 안테나를 구비하는 송신부(예컨대, 소자 안테나(101_1)를 구비하는 송신부(108-1))를 통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제 2 적응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117b에서, 판단부(106)에 의해 변동 주기 fa가, fL≤fa<fH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fL≤fa<fH가 "아니오"의 경우),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07)는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에 제 1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도록 지시하고, 제 1 적응 제어를 실행한다. 또, 이러한 스텝 S117b의 동작은 도 4의 스텝 S17b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제 4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단부(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 제 2 적응 제어를 적용하 고, 대략 절반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제 1 적응 제어를 적용한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이 이동함으로써,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희망파 전력은 도플러 변동의 영향을 받아 변동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서 이 변동을 검출하고,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에서 무선 통신 단말(200)이 주기적 신호의 널로 이동하는 전파로 변동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 2 적응 제어에 의한 송신을 행한다.
이 때, 희망파 수신 전력이 큰 소자 안테나일수록, 그 소자 안테나와 무선 통신 단말(200) 사이의 전파로가 양호하며, 송수신에서도 효율 좋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기지국(100)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의 타이밍에서, 무선 통신 단말(200)이 주기적 신호(정재파)의 널(골짜기)로 이동하는 전파로 변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의 희망파 전력과,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의 웨이트의 절대값은 대소 역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100)은 안테나 선택부(131)에서 선택된 희망파 전력이 작은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수신하는 시점 t2의 위치(b)에서, 양호한 통신 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기능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서 구비하고 있던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04)와 판단부(106)를 구비하지 않고, 새로이,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와 보정 계수 산출부(141)와 웨이트 산출부(142)를 구비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수신부(102_1~102_n)와 보정 계수 산출부(141)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43)에 접속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사이에서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한다.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는 웨이트 산출부(142)에 접속된다. 또한,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141)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검출된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송신 웨이트를 산출하는 산출식에서 사용되는 보정항 ε(t)를 연산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보정 계수 산출부(141)는 보정항 연산부를 구성한다.
웨이트 산출부(142)는 보정 계수 산출부(141)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43)에 접속된다.
웨이트 산출부(142)는 수신부(102_1~102_n)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와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 이용하는 송신 웨이트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 산출부(142)는 수신부(102_1~102_n)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트레이닝 신호와, 보정 계수 산출부(141)에서 산출된 보정항 ε(t)에 근거하여, 송신 웨이트 W를 산출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43)는 보정 계수 산출부(141)에 의해 연산된 보정항 ε(t)를 이용하여 보정된 송신 웨이트 W를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에 적용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43)는 송신 제어부를 구성한다.
(제 5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과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낸 스텝 S15~스텝 S17a 및 S17b의 동작만 다르기 때문에, 도 16을 참조하여, 다른 동작을 주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스텝 S215에서, 보정 계수 산출부(141)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 의해 검출된 변동 주기 fa와, 트레이닝 신호에 근거하여 하기의 (5)식으로 되는 (복소 보정항)을 산출한다. 단, r(t)는 트레이닝 신호의 계열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5
스텝 S217에서, 웨이트 산출부(142)에서는, 하기 (6)식의 E[|e(t)|2]가 최소로 되도록 송신 웨이트 W를 산출한다. 여기서, E[|e(t)|2]는 기대값 연산, H는 복소 공액 전치, X(t)는 수신 신호의 계열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6
여기서, 보정항 ε(t)가, "0"에 가까운 값이 될수록, 무선 통신 단말(200)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송신한 시점 t1에서의 위치(a)로, 피크를 향하게 하도록 송신 웨이트 W가 산출된다.
또한, 보정항 ε(t)가, "r(t)"에 가까운 값이 될수록, 무선 통신 단말(200)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송신한 시점 t1에서의 위치(a)로, 널을 향하게 하도록 송신 웨이트 W가 산출된다.
또, 웨이트 산출부(142)는 보정항 ε(t)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보정항 ε(t)을 이용하여 (6)식에 의해 송신 웨이트 W를 산출하고, 그 이외에는 "0"으로서 송신 웨이트 W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웨이트 산출부(142)는 산출한 송신 웨이트 W를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43)에 통지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43)는 통지된 송신 웨이트 W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행하고, 무선 통신 단말(200)에 포워드 링크 신 호 RSdown을 송신한다(스텝 S19).
(제 5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따르면, 변동 주기 fa에 따른 보정항 ε(t)을 산출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송신한 시점 t1에서의 위치(a)로, 변동 주기 fa에 따라, 널(또는 피크)을 어긋나게 한 송신 웨이트 W가 산출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00)이 보정항 ε(t)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사이에서의 변동 주기 fa에 따른 적절한 송신 웨이트 W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행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정항 ε(t)이 "0"이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1 어레이 웨이트에 상당하는 송신 웨이트 W, 즉, 무선 통신 단말(200)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송신한 시점 t1에서의 위치(a)로 피크를 향하게 하는 송신 웨이트 W가 산출되고, 보정항 ε(t)이 최대값 "r(t)"의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어레이 웨이트에 상당하는 송신 웨이트 W, 즉, 무선 통신 단말(200)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송신한 시점 t1에서의 위치(a)로 널을 향하게 하는 송신 웨이트 W가 산출되게 된다. 또, 위치(a)로 피크를 향하게 하는 송신 웨이트 W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제어 방법에 상당하고, 또한, 위치(a)로 널을 향하게 하는 송신 웨이트 W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는 제 2 제어 방법에 상당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변동 주기 fa와 트레이닝 신호에 근거하여, 보정항 ε(t)가 "0"인지, 또는 "0"보다 큰 값인지에 의해, 결과로서,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어레이 웨이트에 상당하는 송신 웨이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어레이 웨이트와는 다른 송신 웨이트가 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판단부(106)를 구비하지 않지만, 보정항 ε(t)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어레이 웨이트에 상당하는 송신 웨이트 W 그대로라도 좋거나, 또는 상기 제 1 어레이 웨이트와는 다른 송신 웨이트 W를 산출하는 것인지가 결정되므로, 이것은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에서 검출된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기능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 및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안테나(101_1~101_n)와 수신부(102_1~102_n)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와 판단부(106)와 송신부(108_1~108_n)와 적응 제어부(151_1~151_3)와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와 그룹화부(155)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서는, 3개의 적응 제어부(151_1~151_3)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소자 안테나(101_1~101_n)와 수신부(102_1~102_n)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와 판단부(106)와 송신부(108_1~108_n)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05)와 그룹화부(155)에 접속된다.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의 전파로 변동을 서로 상관 연산하여, 각각의 상관값을 산출한다. 또한,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는 산출한 상관값을 그룹화부(155)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는 주파수 대역 각각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주파수 대역 상관 검출부를 구성한다.
그룹화부(155)는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와 적응 제어부(151_1~151_3)에 접속된다.
그룹화부(155)는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에서 산출된 상관값에 근거하여 적응 제어부(151_1~151_3)를 그룹화한다.
그룹화부(155)는,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에 의해 연산된 상관값이 미리 기억하는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적응 제어부(151_1~151_3)를 동일 그룹으로 하도록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으로 된 적응 제어부(151_1~151_3)에 통지한다.
적응 제어부(151_1~151_3)는 수신부(102_1~102_n)와 판단부(106)와 그룹화부(155)와 송신부(108_1~108_n)에 접속된다.
적응 제어부(151_1~151_3)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에서,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마다,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 그룹이라고 통지된 적응 제어부(151_1~151_3)에서는, 그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제 1 어레이 웨이트 산출,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 산출을 행하고, 그 결과를 그룹 내에서 공유하여, 각각의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56)에 의해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행한다.
또, 적응 제어부(151_1~151_3)는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적응 제어부(151_1)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적응 제어부(151_1)는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04)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56)를 구비한다.
제 1 웨이트 산출부(103)와 제 2 웨이트 산출부(104)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56)는 그룹화부(155)로부터, 다른 적응 제어부(151_2~151_3)와 동일 그룹인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상기 동일 그룹으로 되는 적응 제어부(151_2~151_3)의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산출한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공유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행한다.
(제 6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도 18을 참조해 설명한다.
스텝 S311에서,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 단말(200)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다.
스텝 S312a에서,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의 전파로 변동을 서로 상관 연산하여, 각각의 상관값을 산출하고, 그룹화부(155)에 통지한다.
스텝 S312b에서, 그룹화부(155)는 상관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적응 제어부(151_1~151_3)를 그룹화한다. 그룹화부(155)는 동일 그룹으로 되는 적응 제어부(151_1~151_3)에 동일한 그룹인 것을 통지한다. 이 때, 그룹화부(155)는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도록 하나의 적응 제어부(예컨대, 적응 제어부(151_1))를 특정하고, 특정한 적응 제어부에 지시한다.
그룹화부(155)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도록 지시를 받은, 예컨대, 적응 제어부(151_1)에서는, 스텝 S313, 스텝 S315, 스텝 S317a~스텝 S317b의 동작을 행한다. 또, 스텝 S313, 스텝 S315, 스텝 S317a~스텝 S317b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스텝 S13, 스텝 S15, 스텝 S17a~스텝 S17b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스텝 S318에서, 그룹화부(155)로부터 통지를 받은, 예컨대, 적응 제어부(151_1)에서는,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56)가 동일 그룹 내의 적응 제어 부(151_2~151_3)에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통지한다.
스텝 S319에서, 적응 제어부(151_1~151_3) 각각의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는 통지된 제 1 어레이 웨이트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이용하여, 송신부(108_1~108_n)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적응 제어부(151_1~151_3)의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56)에서는, 전파로 변동 상관값 연산부(154)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으로 삼아, 그룹화되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200)의 위치(a)로 널이 향하는 동일의 제 2 어레이 웨이트, 또는 위치(a)로 피크가 향하는 동일의 제 1 어레이 웨이트가 사용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는 송신 제어부를 구성한다.
(제 6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00)에 의하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상관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적응 제어부(151_1~151_3)가 그룹화되어, 동일 그룹 내에서 하나의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공유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므로, 복수의 주파수 대역마다의 적응 제어부(151_1~151_3)에서 제 1 또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산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산 처리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 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행하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선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가 명백해질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00)이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200)이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무선 기지국(100)이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200)이 GPS 등의 위치 검출 기능 및 이동 속도 검출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경우,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 검출된 위치나 이동 속도에 따라, 피크(빔)를 향하는 제 1 어레이 웨이트, 또는 널을 향하는 제 2 어레이 웨이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 및 각 변경예의 구성도 각각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 및 각 변경예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바람직한 작용 및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각 실시예 및 각 변경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7 실 시예 및 제 8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이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공간 분할 다원 접속(SDMA)방식을 사용한다. SDMA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이하의 점을 고려해야 한다.
즉, 공간 분할 다원 접속(SDMA) 방식에 의한 통신의 경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단말을 향해 무선 신호가 송신될 때에는, 당해 제 1 무선 통신 단말과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 제 2 무선 통신 단말이 고속(100㎞/h~) 이동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되면, 당해 제 2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단말을 향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간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면, 상술한 무선 통신 단말(제 1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 무선 신호의 통신 품질의 열화라는 문제 이상으로, 제 2 무선 통신 단말에서의 통신 품질의 열화가 문제로 된다.
그래서, 무선 기지국과,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 사이에서 SDMA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단말을 향해 무선 신호가 송신될 때에는, 제 1 무선 통신 단말, 및 공간 분할 다원 접속되는 제 2 무선 통신 단말의 통신 품질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7 실시예에 관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9는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1100)(무선 통신 장치)과 무선 통신 단말(1201)(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과 무선 통신 단말(1202)(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을 구비한다. 또,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단말의 수는 도 19에 나타내는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1100)과 무선 통신 단말(1201~1202)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행해진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TDMA/TD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와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이용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1100)은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기지국(1100)은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인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 수신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제 1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에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100)은 무선 통신 단말(1202)과의 사이에서도, 수신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2)에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2(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한다.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은 휴대 전화 단말이며, 음성 통화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노트북형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이, 시점 t1의 위치(a)에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송신하고, 시점 t2에서 위치(b)로 이동했을 때, 포워드 링크 신 호 RSdown2를 수신하고, 또, 무선 통신 단말(1202)이 시점 t1의 위치(c)에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를 송신하고, 시점 t2에서 위치(d)로 이동했을 때,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2를 수신하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에서는, 장치 자체의 이동 또는 주변 물체의 이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전파로가 변동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주변에는, 무선 기지국(110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에 의해, 예컨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재파 등의 주기적으로 전력값의 피크를 갖는 주기적 신호가 나타난다.
이러한 주기적 신호에서, 피크의 수신 전력 P1로부터 널의 수신 전력 P2까지의 간격은, 예컨대,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2㎓대인 경우, 주기적 신호의 파장이 대략 절반이라고 가정하면, 주기적 신호의 파장은 약 7.5㎝이다.
여기서,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시점 t1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에 근거하여, 위치(a)를 향한 지향성의 적응 제어를 행하여도, 시점 t2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이 널의 수신 전력 P2로 되는 위치(b)로 이동하고, 그 결과, 통신 품질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지국(1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구성)
도 2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이하, 본 발명과의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100)은 무선 기지국(1100)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도시하지 않은 혹은 설명을 생략한 논리 블록(전원부 등)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하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100)은, 소자 안테나(1101_1~1101_n)와 수신부(1102_1~1102_n)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와 변동 범위 기억부(1104)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105)와 웨이트 산출부(1106)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와 송신부(1108_1~1108_n)를 구비한다.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는 수신부(1102_1~1102_n)와 송신부(1108_1~1108_n)에 접속되고, 무선 통신 단말(1201~1202)과의 사이에서, TDMA/TDD와 SDMA로 하고자 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수신부(1102_1~1102_n)는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부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수신부(1102_1~1102_n)와 웨이트 산출부(1106)에 접속된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 수신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과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1 변동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제 1 변동 주기 fA(제 1 변동 상태)를 파악한다. 이 때,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를 제 1 변동 주기 fA로서 파악한 다.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 수신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2)과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2 변동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2)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제 2 변동 주기 fB(제 2 변동 상태)를 파악한다. 이 때,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를 제 2 변동 주기 fB로서 파악한다. 또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파악한 변동 주기 fA 내지 fB를 웨이트 산출부(1106)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와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를 구성한다.
변동 범위 기억부(1104)는 임의의 수신 전력값의 변동 주기의 범위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변동 범위 기억부(1104)는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부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 Δt에 상당하는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의 범위를 나타내는 변동 주기의 하한값 fL 및 상한값 fH를 기억한다.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105)는 웨이트 산출부(1106)와 접속한다.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105)는 무선 통신 단말(1201~1202)과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트레이닝 신호를 기억한다. 여기서, 이러한 트레이닝 신호는 진폭 및 위상의 값이 기지인 기지 신호를 나타낸다.
웨이트 산출부(1106)는 수신부(1102_1~1102_n)와 변동 범위 기억부(1104)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105)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에 접속된다. 또한, 웨이트 산출부(1106)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송신할 때,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에 사용되는 웨이트를 산출한다.
또한, 웨이트 산출부(1106)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에 의해 검출된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예컨대, 대상으로 되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 산출부(1106)는, 제 1 변동 주기 fA 및 제 2 변동 주기 fB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에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포워드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대상을,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이라고 하면, 웨이트 산출부(1106)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 Δt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에 의해 파악된 제 1 변동 주기 fA를 비교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 단말(1202)에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2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 Δt와,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에 의해 파악된 제 2 변동 주기 fB를 비교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송신에서 이용하는 웨이트를 산출한다. 이 때, 웨이트 산출부(1106)는 처리 시간 Δt가 제 1 변동 주기 fA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및 처리 시간 Δt가 제 2 변동 주기 fB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웨이트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술한 소정의 범위 내란, 변동 범위 기억부(1104)에 기억되어 있는 변동 주기의 범위의 하한값 fL 및 상한값 fH의 범위 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웨이트 산출부(1106)는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와,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의 제 1 변동 주기 fA~제 2 변동 주기 fB와, 변동 범위의 하한값 fL 및 상한값 fH에 근거하여, 예컨대, 하기 (1)식 내지 (4)식을 이용하여, E[|e(t)|2]를 최소로 하도록 웨이트 W를 산출한다.
또, 하기 (1)식 내지 (4)식에 있어서, E[|e(t)|2]는 기대값 연산, r(t)는 트레이닝 신호(첨자의 A, B는 각각 무선 통신 단말(1201), 무선 통신 단말(1202)의 통신에 이용하는 트레이닝 신호를 나타냄), H는 복소 공액 전치, X(t)는 수신 신호의 계열을 나타낸다. 또한, fL 및 fH는 변동 범위 기억부(1104)에 기억되어 있는 변동 주기의 범위의 하한값 및 상한값, fA 및 fB는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의 희망파의 제 1 변동 주기 및 제 2 변동 주기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 예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웨이트를 산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예컨대, 제 1 변동 주기 fA~제 2 변동 주기 fB가, fL≤fA<fH이고, 또한, fL≤ 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1)식을 이용하여, 웨이트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7
또, 상기 (1)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널을 향하게 하고,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빔을 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웨이트가 산출된다. 또한, fL≤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2)식을 이용하여, 웨이트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8
또, 상기 (2)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널을 향하게 하고,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널을 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웨이트가 산출된다. 또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3)식을 이용하여, 웨이트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09
또, 상기 (3)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빔을 향하게 하고,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빔을 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웨이트가 산출된다. 또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4)식을 이용하여, 웨이트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10
또, 상기 (4)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빔을 향하게 하고,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널을 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웨이트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웨이트 산출부(1106)는 제 1 변동 주기 fA~제 2 변동 주기 fB의 크기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웨이트를 산출한다. 또, 당해 웨이트 산출은, 무선 통신 단말(1202)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2의 웨이트를 산출할 때에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웨이트 산출부(1106)는 판단부를 구성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웨이트 산출부(1106)와 송신부(1108_1~1108_n)에 접속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해 산출된 웨이트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실행하고, 송신부(1108_1~1108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송신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고 판단된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상술한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한 처리 시간 Δt와 제 1 변동 주기 fA의 비교 결과, 및 처리 시간 Δt와 제 2 변동 주기 fB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해 산출된 웨이트를 이용하여,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송신 제어부를 구성한다.
송신부(1108_1~1108_n)는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의 제어에 따라 어댑티브 어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송신한다.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다음에 상술한 무선 기지국(1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기지국(1100)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의 웨이트를 산 출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하기에 나타내는 동작은 무선 기지국(1100)이 무선 통신 단말(1201)에의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에서 사용되는 웨이트를 산출할 때의 동작이다.
스텝 S1011에서, 무선 기지국(1100)은, 수신부(1102_1~1102_n)가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다.
스텝 S1013에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의 희망파의 제 1 변동 주기 fA와,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의 제 2 변동 주기 fB를 산출한다.
스텝 S1015에서, 웨이트 산출부(1106)는 제 1 변동 주기 fA가 하한값 fL≤fA<상한값 fH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17에서, (fL≤fA<fH인 경우) 웨이트 산출부(1106)는 제 2 변동 주기 fB가 하한값 fL≤fB<상한값 fH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19에서, (fL≤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웨이트 산출부(1106)는 상기 (1)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이 널을 향하게 하고,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2)이 빔을 향하게 하도록 웨이트 W를 산출한다.
스텝 S1021에서, (fL≤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웨이트 산출부(1106)는 상기 (2)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널을 향하게 하고,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빔을 향하게 하도록 웨이트 W를 산출한다.
스텝 S1023에서, (fL≤fA<fH가 아닌 경우) 웨이트 산출부(1106)는 제 2 변동 주기 fB가 하한값 fL≤fB<상한값 fH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25에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웨이트 산출부(1106)는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빔을 향하게 하도록 웨이트 W를 산출한다.
스텝 S1027에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웨이트 산출부(1106)는 무선 통신 단말(1201)로 빔을 향하게 하고,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널을 향하게 하도록 웨이트 W를 산출한다.
스텝 S1029에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웨이트 산출부(1106)에서 산출된 웨이트 W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실행하고, 송신부(1108_1~1108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처리 시간 Δt가 제 1 변동 주기 fA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및 처리 시간 Δt가 제 2 변동 주기 fB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해 판단된 경우(상기 스텝 S1019),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는 웨이트를 이용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 단말(1202) 로 빔이 향하는 웨이트를 이용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처리 시간이 제 1 변동 주기 fA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및 처리 시간이 제 2 변동 주기 fB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가 아닌 것이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해 판단된 경우(상기 스텝 S1021),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수신한 시점 t1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 단말(1202)로 널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또, 상술한 스텝 S1011~S1023의 동작은 무선 통신 단말(1202)에 대하여도 행해진다.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에 따르면, 처리 시간 Δt가,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부터 송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의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이, 전파로의 변동에 의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수신할 때에, 널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는 것이 추측된 경우,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로 송신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를, 위치(a)로 널을 향하게 하도록 산출된 웨이트 W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1201)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점 t2의 위치(a)에서는 널의 수신 전력 P2로 되지만, 시점 t2의 이동처의 위치(b) 에서 수신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의 수신 전력은 적어도 널의 수신 전력 P2가 아니라, 예컨대, 피크의 수신 전력 P1로 수신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100)에 의하면,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단말(1201~1202)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100㎞/h~)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단말(1201~1202)과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SDMA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1201~1202)과 무선 통신을 실행 중에,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웨이트를 산출할 때,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이, 각각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수신하는 시점 t2에서, 널 부근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는 것이 추측된 경우,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웨이트를, 시점 t1의 위치(a)에서 널이 되도록,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2)이 존재하는 위치(c)에서 피크가 되도록 산출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1202)은, 시점 t2의 이동처의 위치(d)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피크가 아니라, 예컨대, 널 부근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므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에 의한 무선 통신 단말(1202)에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웨이트를 산출할 때에, 시점 t2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널 부근에서 수신하고,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1)이, 예컨대, 위치(c)로부터 이동하 지 않고,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2를 피크로 수신하는 것이 추측된 경우,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웨이트를, 시점 t1의 위치(a)에서 널이 되도록,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2)이 존재하는 위치(c)에서 널이 되도록 산출한다.
이 경우도, 무선 통신 단말(1202)은, 시점 t2의 위치(c)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널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므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에 의한 무선 통신 단말(1202)에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100)과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1201~1202) 사이에서 공간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무선 기지국(1100)으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이 송신될 때에는, 무선 통신 단말(1201)과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1202)의 통신 품질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예컨대,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웨이트를, 다른 무선 통신 단말(1202)에서는 널이 되도록 산출하므로, 서로의 간섭을 저감하고,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경예 1)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의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제 1 변동 주기 fA로 서 파악하고, 또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의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제 2 변동 주기 fB로서 파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술한 변동 주기로서 파악되는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는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의 이동 속도에 따라 도플러 변동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파악한 제 1 변동 주기 fA 및 제 2 변동 주기 fB를 웨이트 산출부(1106)에 통지한다.
웨이트 산출부(1106)는 상술한 처리 시간 Δt의 사이에, 무선 통신 단말(1201~1202)과의 무선 신호로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 f의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 산출부(1106)에서는, 처리 시간 Δt에서, 무선 신호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f의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에 상당하는 도플러 변동량의 하한값 fL~상한값 fH를 미리 기억하고,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에 의해 파악된 제 1 변동 주기 fA가, fL≤fA<fH인지 여부와, 제 2 변동 주기 fB가, fL≤fB<f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경예 1에 따른 무선 기지국(1100)에 의하면, 제 1 변동 주기 fA~제 2 변동 주기 fB가, 파장 λ의 대략 절반의 거리를 이동할 때의 이동 속 도에 상당하는 도플러 변동량을 이용하여도 웨이트를 적절히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에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수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함과 아울러, 다른 무선 통신 단말(1202)에서, 당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이 간섭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경예 2)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는 수신부(1102_1~1102_n)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에 접속된다.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는 복수의 소자 안테나(1101_1~1101_n)의 각각이 수신하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의 상관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는 수신부(1102_1~1102_n)의 각각에서 수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의 위상 및 진폭에 근거하여, 복수의 소자 안테나(1101_1~1101_n)의 상관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가 높은 경우, 무선 통신 단말(1201)에서는, 주변의 주기적 신호(예컨대, 정재파)에 있어서, 전파로 변동에 의한 제 1 변동 주기 fA의 피크의 수신 전력값 P1과 널의 수신 전력값 P2의 차이가 작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는 검출한 상관도를 웨이트 산출부(1106)에 통지한다.
또한, 웨이트 산출부(1106)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의 웨이트를 산출할 때, 통지된 상관도가, 미리 기억하는 소정의 상관도 이하인 경우에, 또한 처리 시간 Δt가 변동 주기 fA의 대략 절반이라고 웨이트 산출부(1106)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만,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을 수신한 시점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위치(a)로 널이 향하도록, 웨이트를 산출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에 근거하여, 웨이트 산출부(1106)에서 산출된 웨이트에 따라,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의 위치(a)로 널 또는 빔이 향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또,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경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100)에 의하면, 웨이트 산출부(1106)에서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1121)에 의해 검출된 상관도가 소정의 상관도 이하인 경우, 즉 무선 통신 단말(1201) 주변의 주기적 신호(정재파)에서의 제 1 변동 주기 fA가 길게 되는 경우에만, 시점 t2의 위치(a)에서 널의 수신 전력 P2로 되도록, 웨이트를 산출한다. 또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이러한 경우에만, 시점 t2의 위치(a)에서 널의 수신 전력 P2로 되는 웨이트를 이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201~1202) 주변의 주기적 신호에서의 제 1 변동 주기 fA를 고려하여, 제 1 변동 주기 fA가 길게 되는 경우에만 널로 되는 웨이트를 이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제어가 실행되므로, 무선 통신 단말(1201)에 대하여, 피크의 수신 전력 P1로 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의 구성)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 제 7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기능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에서 구비하고 있던 웨이트 산출부(1106)를 구비하지 않고, 새로이,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와 안테나 선택부(1113)를 구비한다.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는 수신부(1102_1~1102_n)와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105)와 안테나 선택부(1113)에 접속된다.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는 트레이닝 신호 기억부(1105)에 기억되어 있는 트레이닝 신호와 수신부(1102_1~1102_n)에서 수신된 각각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 에 근거하여 희망파 수신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는 산출된 희망파 수신 전력을 안테나 선택부(1113)로 통지한다.
안테나 선택부(1113)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와 전파로 상태 검출 부(1103)와 변동 범위 기억부(1104)와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에 접속된다.
안테나 선택부(1113)는 적어도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 또는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의 상태에 근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선택한다.
또한, 안테나 선택부(1113)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무선 통신 단말(1201)과의 전파로의 제 1 변동 주기 fA(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의 전력값이 작은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술한 소정의 범위 내란,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변동 범위 기억부(1104)에 기억되어 있는 변동 주기의 범위의 하한값 fL 및 상한값 fH의 범위 내를 나타낸다.
또한, 안테나 선택부(1113)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무선 통신 단말(1201)과의 전파로의 제 1 변동 주기 fA(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의 전력값이 큰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선택한다.
또한, 안테나 선택부(1113)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무선 통신 단말(1202)과의 전파로의 제 2 변동 주기 fB(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의 전력값이 작은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선택한다.
또한, 안테나 선택부(1113)는,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무선 통신 단말(1202)과의 전파로의 제 2 변동 주기 fB(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2의 전력값이 큰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선택부(1113)는,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에서 산출된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의 희망파 수신 전력과,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에서 파악된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의 제 1 변동 주기 fA 및 제 2 변동 주기 fB와, 변동 범위 기억부(1104)에 기억되어 있는 변동 주기의 하한값 fL 및 상한값 fH에 근거하여, 예컨대, 하기 (5) 내지 (8)식의 E[|e(t)|2]가 최대로 되도록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를 선택한다.
또, 하기 (5) 내지 (8)식에서, E[|e(t)|2]는 기대값 연산, n은 안테나, r(n)은 안테나 n에서의 희망파 전력값(첨자 A, B는 각각 무선 통신 단말(1201),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의 희망파 수신 전력값)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예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안테나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안테나 선택부(1113)는, 예컨대, 제 1 변동 주기 fA~제 2 변동 주기 fB가, fL≤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5)식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선택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11
또, 상기 (5)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작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큰 안테나가 선택된다. 또한, fL≤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6)식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선택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12
또, 상기 (6)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작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작은 안테나가 선택된다. 또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7)식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선택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13
또, 상기 (7)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크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큰 안테나가 선택된다. 또한, fL>fA 또는 fB≤fH이고, 또한, fL>fA 또는 fB≥fH인 경우, 하기에 나타내는 (8)식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선택한다.
Figure 112009020002827-pct00014
또, 상기 (8)식에 의해,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 시점 t1에서,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크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작은 안테나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안테나 선택부(1113)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에서 파악된 제 1 변동 주기 fA~제 2 변동 주기 fB와,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에서 산출된 희망파 수신 전력 rA~rB의 크기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안테나를 선택한다. 또, 안테나 선택부(1113)는 무선 통신 단말(1202)을 향한 안테나를 선택할 때에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안테나 선택부(1113)에 의해 선택된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통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송신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에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하기에 나타내는 동작은, 무선 기지국(1100)이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동작이 다.
스텝 S1101에서,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수신부(1102_1~1102_n)가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를 수신한다.
스텝 S1103에서, 희망파 전력 산출부(1111)는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의 희망파 수신 전력 rA와, 무선 통신 단말(1202)로부터의 희망파 수신 전력 rB를 산출한다.
스텝 S1105에서, 전파로 상태 검출부(1103)는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의 희망파의 제 1 변동 주기 fA와, 무선 통신 단말(1201)로부터의 제 2 변동 주기 fB를 산출한다.
스텝 S1107에서, 안테나 선택부(1113)는 제 1 변동 주기 fA가 하한값 fL≤fA<상한값 fH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09에서, (fL≤fA<fH인 경우) 안테나 선택부(1113)는 제 2 변동 주기 fB가 하한값 fL≤fB<상한값 fH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11에서, (fL≤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안테나 선택부(1113)는 상기 (5)식을 이용하여,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작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큰 안테나를 선택한다.
스텝 S1113에서, (fL≤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안테나 선택부(1113)는 상기 (6)식을 이용하여,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작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작은 안테나를 선택한다.
스텝 S1115에서, (fL≤fA<fH가 아닌 경우) 안테나 선택부(1113)는 제 2 변동 주기 fB가 하한값 fL≤fB<상한값 fH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17에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fH인 경우) 안테나 선택부(1113)는 상기 (7)식을 이용하여,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크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큰 안테나를 선택한다.
스텝 S1119에서, (fL>fA 또는 fA≤fH이고, 또한, fL>fB 또는 fB≥fH인 경우) 안테나 선택부(1113)는 상기 (8)식을 이용하여,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크고, 희망파 수신 전력 rB가 작은 안테나를 선택한다.
스텝 S1121에서, 어댑티브 처리 제어부(1107)는 안테나 선택부(1113)에 의해 선택된 소자 안테나(1101_1~1101_n)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1201)에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한다. 또, 상술한 스텝 S1101~S1121의 동작은 무선 통신 단말(1202)에 대하여도 행해진다.
(제 8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1100)에 의하면, 처리 시간 Δt가, 무선 통신 단말(1201~1202)로부터 송신된 리버스 링크 신호 RSup1~2의 변동 주 기 fA~fB의 대략 절반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무선 통신 단말(1201~1202)이, 전파로의 변동에 의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수신할 때에, 널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는 것이 추측된 경우,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에의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희망파 수신 전력 rA가 작은 안테나를 선택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201)이 이동함으로써,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희망파 전력은 도플러 변동의 영향을 받아 변동한다. 이 때, 희망파 수신 전력이 큰 소자 안테나일수록, 그 소자 안테나와 무선 통신 단말(1201) 사이의 전파로가 양호하며, 송수신 효율도 좋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기지국(1100)이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의 타이밍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이 주기적 신호(정재파)의 널(골짜기)로 이동하는 전파로 변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 리버스 링크 신호 RSup를 수신한 시점 t1의 희망파 전력과,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하는 시점 t2의 웨이트의 절대값은 대소 역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에(예컨대, 도 26에서의 A~C가, A'~C'로 대소 역전), 무선 기지국(1100)은 안테나 선택부(1113)에서 선택된 희망파 수신 전력이 작은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1201)에서는,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을 수신하는 시점 t2의 위치(b)에서, 양호한 통신 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SDMA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단 말(1201~1202)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동안에,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송신할 때, 무선 통신 단말(1201) 및 무선 통신 단말(1202)이, 각각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2를 수신하는 시점 t2에서, 널 부근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는 것이 추측된 경우, 무선 통신 단말(1201)에는, 시점 t1의 위치(a)에서 널이 되도록, 희망파 수신 전력이 작은 안테나를 선택함과 아울러,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2)이 존재한 시점 t1의 위치(c)에서 피크가 되도록, 희망파 수신 전력이 큰 안테나를 선택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1202)은, 시점 t2의 위치(d)에서,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피크가 아니라 널 부근의 수신 전력 P2로 수신하므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에 의한 무선 통신 단말(1202)에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기지국(1100)에서는, 안테나를 적절히 선택하고, 예컨대,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1201)을 향한 포워드 링크 신호 RSdown1을, 다른 무선 통신 단말(1202)에서는 널이 되도록 송신하므로, 서로의 간섭을 감소시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바와 같이, 제 7 및 제 8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선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가 명백해질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100)이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 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1201)이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무선 기지국(1100)이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201)이 GPS 등의 위치 검출 기능 및 이동 속도 검출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경우, 무선 기지국(1100)은 무선 통신 단말(1201)에서 검출된 위치나 이동 속도에 따라, 피크(빔)를 향하는 웨이트, 또는 널을 향하는 웨이트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 및 각 변경예의 구성도 각각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 및 각 변경예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바람직한 작용 및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각 실시예 및 각 변경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56541호(2006년 9월 21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65805호(2006년 9월 28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써,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은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또는 통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가 고속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체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34)

  1.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 목적지의 무선 통신 장치인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제 1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제어부와,
    상기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전파로 상태 검출부와,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방법과는 다른 제 2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변동 주기를 파악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변동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파악된 상기 변동 주기를 비교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한 상기 처리 시간과 상기 변동 주기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변동 주기의 대략 절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변동 주기의 대략 절반이라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정된 경우,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한 상기 변동 상태의 검출은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도플러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행해지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한 상기 변동 상태의 검출은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행해지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상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진폭 및 위상의 값이 기지인 기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기억된 기지 신호와의 위상차를 연산하는 위상차 연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위상차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송신 웨이트를 상기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에 대하여, 상기 기지 신호와의 위상차를 연산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서, 상기 위상차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상기 위상차와,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에서 작게 되는 상기 송신 웨이트를 적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소자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상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송신 웨이트를 산출하는 산출식에 사용되는 보정항을 연산하는 보정항 연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보정항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보정항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송신 웨이트를 상기 송신 무선 신호에 적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무선 신호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주파수 대역 상관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 상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관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동일 웨이트가 사용된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 목적지의 무선 통신 장치인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제 1 제어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검출된 상기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텝에서,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방법과는 다른 제 2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2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도록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빔이 향하도록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1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1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와,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2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와,
    상기 제 1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변동 상태 및 상기 제 2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하는 송신 제어부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빔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제 1 변동 주기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 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상태가 변동하는 제 2 변동 주기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변동 주기 및 상기 제 2 변동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변동 주기를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2 변동 주기를 비교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한 상기 처리 시간과 상기 제 1 변동 주기의 비교 결과, 및 상기 판단부에 의한 상기 처리 시간과 상기 제 2 변동 주기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1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및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2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고,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빔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1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인 것, 및 상기 처리 시간이 상기 제 2 변동 주기에 따른 소정의 범위 내가 아닌 것이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고,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상기 제 1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도플러 변동량의 주기를 상기 제 2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를 상기 제 1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2 전파로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의 변동 주기를 상기 제 2 변동 주기로서 검출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자 안테나 각각이 수신하는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안테나 상관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상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관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로 널이 향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2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 또는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소자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1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작은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1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제 1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2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작은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선택부는, 상기 제 2 변동 상태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2 수신 무선 신호의 전력값이 큰 소자 안테나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장치.
  32.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1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1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스텝과,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2 수신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인 제 2 변동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스텝과,
    상기 제 1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상기 판단 스텝에서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변동 상태 및 상기 제 2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하는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송신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응 송신 제어 방법을 제 1 제어 방법으로부터 제 2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4. 복수의 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적응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와, 제 2 대향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의 변동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대향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송신 무선 신호의 지향성을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97006812A 2006-09-21 2007-09-20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035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6541A JP4778868B2 (ja) 2006-09-21 2006-09-21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6-256541 2006-09-21
JPJP-P-2006-265805 2006-09-28
JP2006265805A JP4829064B2 (ja) 2006-09-28 2006-09-28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115A KR20090051115A (ko) 2009-05-20
KR101035772B1 true KR101035772B1 (ko) 2011-05-20

Family

ID=3920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812A KR101035772B1 (ko) 2006-09-21 2007-09-20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9039B2 (ko)
EP (1) EP2071746A4 (ko)
KR (1) KR101035772B1 (ko)
WO (1) WO20080357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99B1 (ko) * 2012-02-13 2015-03-31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장애 보상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965B2 (ja) * 2004-08-09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5231871B2 (ja) * 2008-05-28 2013-07-1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59589A1 (en) * 2011-09-01 2013-03-07 Nokia Corporation Enhanced mobility for devices using moving relay
WO2016061736A1 (zh) * 2014-10-20 2016-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协作定位方法及无线终端
WO2017178041A1 (en) * 2016-04-12 2017-10-19 U-Blox Ag Phase-comparison for assisting the determination of position or time
US10397831B1 (en) * 2016-04-26 2019-08-27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load balancing between frequency bands based on bandwidth capacity
CN108156658B (zh) * 2016-12-06 2021-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协作节点的定位方法、待定位节点及协作节点
WO2020200396A1 (en) * 2019-03-29 2020-10-0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for doppler shift compensation,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IL311802A (en) * 2021-09-30 2024-05-01 Smiths Interconne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phased single-pulse be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167A (ja) 2001-07-12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基地システムおよび送信指向性制御方法
JP2004159077A (ja) 2002-11-06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20040074935A (ko) * 2003-02-17 2004-08-2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156B2 (ja) 2001-12-26 2004-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ダプティブアレイ無線装置
JP2003332954A (ja) 2002-05-16 2003-11-21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167A (ja) 2001-07-12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基地システムおよび送信指向性制御方法
JP2004159077A (ja) 2002-11-06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20040074935A (ko) * 2003-02-17 2004-08-2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99B1 (ko) * 2012-02-13 2015-03-31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장애 보상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19039B2 (en) 2012-07-10
US20100173592A1 (en) 2010-07-08
KR20090051115A (ko) 2009-05-20
EP2071746A1 (en) 2009-06-17
WO2008035746A1 (fr) 2008-03-27
EP2071746A4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772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836207B1 (ko) 안테나의 빔 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49827B1 (ko) 코드북 기반의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는 다중 입출력시스템에 있어서, 빔포밍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US11456788B2 (en) Beam direction selection for a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119953A1 (en) Control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djustment method of array weight vec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306001B2 (en) Dynamic downlink 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for beamforming-space time code transmissions
EP2517368A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wireless link robustness using spatial diversity
WO2018048543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beam direction for an antenna
MXPA04008725A (es) Metodo y sistema para implementar antenas inteligentes y tecnicas de diversidad.
JP482906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90042859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40031346A (ko) 기지국, 무선 단말기, 채널값 추정 방법, 파일럿 신호 송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JP6355546B2 (ja) 目標検出装置
US8831685B2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stable communication by selecting antennas according to transmission environments
US9240829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03152607A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送信機及び受信機
KR101263747B1 (ko) Mimo 레이더 시스템에서 동적 그룹핑/프리코딩을 통한 성능 향상 방법
KR20110050560A (ko) 채널 예측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채널 예측 방법
WO2021011130A1 (en) Angle of propagation estimation in a multipath communication system
JP4778868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015054B2 (ja) アダプティブ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無線装置およびアレー出力信号生成方法
JP2014090271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3526908B1 (en) Relative uplink channel estimation
JP5115397B2 (ja) 遅延プロファイル取得方法及び装置
JP500622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