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542B1 -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542B1
KR101035542B1 KR1020100139955A KR20100139955A KR101035542B1 KR 101035542 B1 KR101035542 B1 KR 101035542B1 KR 1020100139955 A KR1020100139955 A KR 1020100139955A KR 20100139955 A KR20100139955 A KR 20100139955A KR 101035542 B1 KR101035542 B1 KR 10103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ial
knitted fabric
cylin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일
Original Assignee
이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일 filed Critical 이성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는, 이중 환편직물을 제조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에 있어서,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환편기의 직경 1인치에 대응하는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 내에는 4 내지 6개의 급사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겹으로 구성되는 환편직물에 있어서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마디의 길이를 종래보다 길게 형성시켜 보다 긴 날개 조직을 갖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더 우수한 품질의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 CIRCULAR WARP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마디의 길이를 종래보다 길게 형성시켜서 두 겹으로 구성되는 환편직물의 시각적(장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물(編織物, knitting)은 하나의 실을 계속 사용하거나 여러 종류의 실을 번갈아 사용하여 양면으로 코를 이어가면서 짠 직물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편직물은 편성물 또는 편물이라고도 하는데, 직조제품에 비해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좋다.
편직물에는 평뜨기, 고무뜨기, 펄뜨기, 무늬뜨기 그리고 이중뜨기 등의 위편직물과 트리코, 라셸 그리고 밀라니즈 등의 경편직물 2가지가 있다. 대부분 위편직물은 손뜨개나 기계로 짜지만, 상업용 직물은 일반적으로 기계로 짠다. 기본적인 뜨기 방법에는 코가 다음 코의 앞으로 통과해 들어가는 겉뜨기와, 뒤에서부터 당겨나오는 안뜨기가 있다.
상기와 같은 편직물을 짜는데 사용되는 환편기는 원형틀의 원주에 장착된 캠 장치와 상기 캠 장치의 홈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편직작용을 진행하는 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편기에 대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4876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캠 장치의 형상 및 크기의 제약에 따라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마디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므로, 시각적인 효과가 향상된 품질의 환편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힘든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겹으로 구성되는 환편직물에 있어서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마디의 길이를 종래보다 길게 형성시켜 시각(장식)적인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더 우수한 품질의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중 환편직물을 제조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환편기의 직경 1인치에 대응하는 상기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 내에는 4 내지 6개의 급사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되는 상기 패턴의 길이는 3 내지 5cm일 수 있다.
전방을 향해 경사진 전진캠과, 상기 전진캠에 대칭으로 후방으로 경사진 후진캠과, 상기 후진캠의 최하단에서 전방으로 작게 만곡지는 업스로우캠, 및 상기 업스로우캠과 연결되며 수평형태로 음각된 가이드캠을 포함하는 다이얼캠블록; 및 상기 다이얼캠블록의 외각 위치의 수직 하방에 형성되고, 상방을 향해 경사진 상승캠과, 상기 상승캠에 대칭으로 하방을 향해 경사진 하강캠과, 상기 하강캠에서 상방으로 만곡진 업스로우캠, 및 상기 업스로우캠과 연결되며 수평형태로 형성된 가이드캠을 포함하는 실린더캠블록을 포함하되, 표면지와 이면지로 구성되는 이중 환편직물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이얼캠블록이 전진캠, 후진캠, 업스로우캠 및 가이드캠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캠블록이 상승캠, 하강캠, 업스로우캠 및 가이드캠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상승캠이 상기 후진캠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표면지와 이면지가 형성된 후에 이루어지는 양면결합부의 형성과정에서는 상기 다이얼캠블록이 전진캠과 후진캠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캠블록이 상승캠과 하강캠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상승캠이 상기 전진캠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표면지와 이면지가 서로 결합되는 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지와 이면지가 서로 결합되는 조직은, 상기 실린더 캠의 녹오버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녹오버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상기 실린터 캠의 터크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녹오버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상기 실린더 캠의 녹오버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터크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상기 실린더 캠의 터크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터크 포지션을 대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겹으로 구성되는 환편직물에 있어서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마디의 길이를 종래보다 길게 형성시켜 보다 긴 날개 조직을 갖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더 우수한 품질의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중 편직물 제조장치를 형성하는 구조 중 표면지와 이면지를 각각 분리 형성하면서, 주기적으로 상기 표면지와 양면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길이가 긴 날개 조직을 갖는 이중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이중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이중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다이얼블록캠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실린더블록캠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일부분의 실린더블록캠과 다이얼블록캠의 배열상태를 예시한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다른 일부분의 실린더블록캠과 다이얼블록캠의 배열상태를 예시한 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l는 도 7의 a 내지 l 위치에서의 편성운동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의 캠 배열상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이중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이중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다이얼블록캠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실린더블록캠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중 환편직물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날개 조직을 갖는 이중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날개의 길이를 종래보다 2배 이상 길게 편성하기 위해서는 패턴 반복회수를 증가, 즉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편기의 직경(D) 1인치에 대응하는 상기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W) 내에는 4 내지 6개의 급사구(60)가 마련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환편기 직경 1 인치(2.54 cm)에 해당하는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 즉 원호 7.98 cm 당 급사구(60)를 4 내지 6개 구비시킨다. 덧붙여, 환편기의 직경 사이즈에 따라 총 급사구(60)의 개수는 변경됨은 물론이다. 도 2는 급사구(60)가 상기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 내에 6개가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4개 내지 6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급사구(60)의 총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환편기의 직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제조된 이중 환편직물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 즉 날개(56)의 길이(L)가 종래에 비해 2~3 배 정도 더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날개의 길이가 일정 이하로 짧게 형성됨에 따라 미적 감각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더 우수한 품질의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56)의 길이(L)를 대략 3~5cm 정도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서도 날개(56)의 형상을 확인 가능하므로 전술한 효과의 발생을 더욱 최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패턴과 날개(56)는 실질적으로 유사 또는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만약, 날개(56)의 길이(L)가 3c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 이상 떨어진 원거리에서 이중 환편직물 또는 이중 환편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류상의 날개(56)의 형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힘들게 되므로, 이중 환편직물의 시각적인 장식 효과가 저감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중 환편직물의 제조시, 이러한 날개(56)는 수용성 직물 등에 의해 고정되는데, 환편직물을 물 등의 액체에 일정 시간 담갔다가 빼내는 과정을 통해 날개(56)는 초기 수용성 직물 등에 의해 고정된 일단부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편기 직경 1 인치(2.54 cm)에 해당하는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 즉 원호 7.98 cm 당 급사구(60)를 4 내지 6개 구비시키는 구조는, 정밀 기계인 환편기에서 환편기 구조의 공간적 제약 때문에 쉽지 않게 되는데, 실린더 캠 및 다이얼 캠의 폭, 캠의 모양, 실린더 캠과 다이얼 캠 간의 상대적 위치를 적절히 구성함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의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는, 원판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다이얼캠블록(28)과 상기 다이얼캠블록(28)의 외각 수직 하방에 형성된 실린더캠블록(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이얼캠블록(28)과 실린더캠블록(18)에는 복수의 캠블록이 형성되어 있고, 바늘이 상기 복수 캠블록 각각의 음각에 거치된다. 따라서, 바늘은 캠블록에 형성된 음각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급사되는 실을 니팅(knitting)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캠블록(28)은 전방을 향해 경사진 전진캠(24)과, 상기 전진캠(24)과 연결되며 전진캠(24)에 대칭으로 후방으로 경사진 후진캠(26)과, 상기 후진캠(26)과 연결되며 후진캠(26)의 최하단에서 전방으로 작게 만곡지는 업스로우캠(22) 및 상기 업스로우캠(22)과 연결되며 수평형태로 음각된 가이드캠(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 이상의 캠블록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림더캠블록(18)은 상방을 향해 경사진 상승캠(14)과, 상기 상승캠(14)과 연결되며 상승캠(14)에 대칭으로 하방을 향해 경사진 하강캠(16)과, 상기 하강캠(16)과 연결되며 하강캠(16)에서 상방으로 작게 만곡진 업스로우캠(12) 및 상기 업스로우캠(12)과 연결되며 수평형태로 형성된 가이드캠(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 이상의 캠블록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일부분의 실린더블록캠과 다이얼블록캠의 배열상태를 예시한 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다른 일부분의 실린더블록캠과 다이얼블록캠의 배열상태를 예시한 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l는 도 7의 a 내지 l 위치에서의 편성운동 프로세스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의 캠 배열상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실린더캠블록(18)과 상기 다이얼캠블록(28)의 배열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l에서는 도 7에 도시된 a위치부터 l위치까지의 실린더캠블록(18)에 설치된 바늘인 실린더편침(N) 및 다이얼캠블록(28)에 설치된 바늘인 다이얼편침(N')를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7에서 a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상승캠(14)의 시작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후진캠(26)의 중간 위치이다. 이때, 도 9a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상승전 러닝 포지션(Running Position)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녹오버 포지션(Knock Over Position) 향해 하강중이다.
그리고 도 7에서 b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상승캠(14)의 중간점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업스로우캠(22)의 중간 위치이다. 이때, 도 9b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상승중 터크 포지션(Tuck Position)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녹오버 포지션(Knock Over Position) 위치이다.
도 7에서 c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상승캠(14)의 정점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가이드캠(20)의 시작 위치이다. 이때, 도 9c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클리어링 포지션(Clearing Position)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러닝 포지션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7에서 d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하강캠(16)의 중상점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가이드캠(20)의 중간 위치이다. 이때, 도 9d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하강중 터크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러닝 포지션에 위치된다.
도 7에서 e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하강캠(16)의 중하점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전진캠(24)의 시작 위치이다. 이때, 도 9e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녹오버 포지션을 향해 하강중이고, 다이얼편침(N')은 러닝 포지션에 위치된다.
도 7에서 f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업스로우캠(12)의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전진캠(24)의 중간 위치이다. 이때, 도 9f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녹오버 포지션이고, 다이얼편침(N')은 상승 중 터크 포지션에 위치된다.
도 7에서 g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가이드캠(10)의 시작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전진캠(24)의 정점 위치이다. 이때, 도 9g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러닝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클리어링 포지션에 위치된다.
도 7에서 h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가이드캠(10)의 중간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후진캠(24)의 중간 전방 위치이다. 이때, 도 9h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러닝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하강중 터크 포지션에 위치된다.
도 7에서 i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상승캠(14)의 시작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후진캠(24)의 중간 후방 위치이다. 이때, 도 9i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러닝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하강중 러닝 포지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a위치에서 i위치가 반복되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형성된 후에 이루어지는 양면결합부(54)의 형성과정은 도 8의 j위치와 l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 8의 j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상승캠(14)의 시작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전진캠(24)의 시작 위치이다.
그리고 도 8의 j위치에 대응되는 도 9j는 실질적으로 도 9i와 같이 실린더편침(N)이 러닝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은 상승중 러닝 포지션에 위치된다.
도 8의 k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상승캠(14)의 정점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 중 전진캠(24)의 정점 위치이다. 여기서, 도 8의 k위치에 대응되는 도 9k에서는 실린더편침(N)이 클리어링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도 클리어링 포지션에 위치된다. 따라서, 급사된 실이 실린더편침(N)과 다이얼편침(N')에 동시에 걸쳐진다.
도 8의 l위치는 실린더캠블록(18) 중 하강캠(16)의 최하단 위치이고 다이얼캠블록(28)도 후진캠(26)의 최후방 위치이다. 여기서, 도 8의 l위치에 대응되는 도 9l은 실린더편침(N)이 녹오버 포지션에 위치되고, 다이얼편침(N')도 녹오버 포지션에 위치된다.
상기 도 8의 j내지 l의 위치를 통과하면서 도 3의 양면결합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양면결합부(54)가 형성된 후에는 도 8의 l위치에서 다시 도 7의 a위치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서로 결합되는 조직은, 실린더 캠의 녹오버 포지션과 다이얼 캠의 녹오버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실린터 캠의 터크 포지션과 다이얼 캠의 녹오버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실린더 캠의 녹오버 포지션과 다이얼 캠의 터크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또는 실린더 캠의 터크 포지션과 다이얼 캠의 터크 포지션을 대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9a 내지 도 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편침(N)과 다이얼편침(N')이 도 7의 a로부터 도 8의 l위치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중지(58)를 편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를 형성하는 구조 중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형성되는 과정뿐만 아니라, 양면결합부(54)가 형성되는 과정까지를 형성하여 이중지(58)가 형성되는 전과정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날개(56)의 길이를 보다 증가시켜 원거리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날개(56)를 식별하여 장식성 및 식별성이 향상된 이중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 또한 갖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이드캠 12: 업스로우캠
14: 상승캠 16: 하강캠
18: 실림더캠블록 20: 가이드캠
22: 업스로우캠 24: 전진캠
26: 후진캠 28: 다이얼캠블록

Claims (5)

  1. 이중 환편직물을 제조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환편기의 직경 1인치에 대응하는 상기 환편기의 원주방향 원호 영역 내에는 4 내지 6개의 급사구가 마련되되,
    상기 이중 환편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되는 상기 패턴의 길이는 3 내지 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경사진 전진캠(24)과, 상기 전진캠(24)에 대칭으로 후방으로 경사진 후진캠(26)과, 상기 후진캠(26)의 최하단에서 전방으로 작게 만곡지는 업스로우캠(22), 및 상기 업스로우캠과 연결되며 수평형태로 음각된 가이드캠(20)을 포함하는 다이얼캠블록(28); 및
    상기 다이얼캠블록(28)의 외각 위치의 수직 하방에 형성되고, 상방을 향해 경사진 상승캠(14)과, 상기 상승캠(14)에 대칭으로 하방을 향해 경사진 하강캠(16)과, 상기 하강캠(16)에서 상방으로 만곡진 업스로우캠(12), 및 상기 업스로우캠(12)과 연결되며 수평형태로 형성된 가이드캠(10)을 포함하는 실린더캠블록(18)을 포함하되,
    표면지(50)와 이면지(52)로 구성되는 이중 환편직물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다이얼캠블록(28)이 전진캠(24), 후진캠(26), 업스로우캠(22) 및 가이드캠(20)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캠블록(18)이 상승캠(14), 하강캠(16), 업스로우캠(12) 및 가이드캠(10)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상승캠(14)이 상기 후진캠(26)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형성된 후에 이루어지는 양면결합부(54)의 형성과정에서는 상기 다이얼캠블록(28)이 전진캠(24)과 후진캠(26)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캠블록(18)이 상승캠(14)과 하강캠(16)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상승캠(14)이 상기 전진캠(24)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서로 결합되는 조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50)와 이면지(52)가 서로 결합되는 조직은,
    상기 실린더 캠의 녹오버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녹오버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상기 실린터 캠의 터크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녹오버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상기 실린더 캠의 녹오버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터크 포지션을 대응시키거나,
    상기 실린더 캠의 터크 포지션과 상기 다이얼 캠의 터크 포지션을 대응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KR1020100139955A 2010-12-06 2010-12-31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KR101035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79 2010-12-06
KR20100123579 2010-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542B1 true KR101035542B1 (ko) 2011-05-23

Family

ID=4436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955A KR101035542B1 (ko) 2010-12-06 2010-12-31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699B1 (ko) 2015-08-31 2017-06-01 주식회사 우전섬유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WO2017191881A1 (ko) * 2016-05-02 2017-11-09 전금희 싱글원단의 직조방법 및 이에 의해 직조된 싱글원단
KR20210051861A (ko) 2019-10-31 2021-05-10 김종섭 환편기를 이용한 리버서블 니트 자켓용 더블 레이어드 환편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환편직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360A (ja) * 1993-07-15 1995-02-03 Fukuhara Seiki Seisakusho:Kk シングルニット編地の製造方法
KR0122593B1 (ko) * 1989-12-12 1997-11-27 신지 가와세 환편기
KR100948761B1 (ko) * 2009-02-17 2010-03-23 장태동 양면 환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93B1 (ko) * 1989-12-12 1997-11-27 신지 가와세 환편기
JPH0734360A (ja) * 1993-07-15 1995-02-03 Fukuhara Seiki Seisakusho:Kk シングルニット編地の製造方法
KR100948761B1 (ko) * 2009-02-17 2010-03-23 장태동 양면 환편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699B1 (ko) 2015-08-31 2017-06-01 주식회사 우전섬유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WO2017191881A1 (ko) * 2016-05-02 2017-11-09 전금희 싱글원단의 직조방법 및 이에 의해 직조된 싱글원단
CN109072508A (zh) * 2016-05-02 2018-12-21 全锦姬 单面面料的织造方法及由其织造的单面面料
KR20210051861A (ko) 2019-10-31 2021-05-10 김종섭 환편기를 이용한 리버서블 니트 자켓용 더블 레이어드 환편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환편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3096B (zh) 具有边纹花纹的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CN103835063A (zh) 双色贾卡提花间隔织物的生产方法
US3986374A (en) Welf knitted fabric simulating woven cloth
CN108842269B (zh) 双面针织物的双层流苏复合结构的编织方法
CN102425032A (zh) 具有多层次提花效应的无缝服装生产方法
KR101035542B1 (ko)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CN110760982A (zh) 菱角果图案的编织方法
CN102965802A (zh) 折回编织方法及针织物
CN110042541B (zh) 针织物的微浮雕视错竖纹组织及其编织方法
JP2011511171A (ja) スペーサ編み布とスペーサ編み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EP3165647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fine knitwear with air permeable holes
CN103510268B (zh) 成圈三角以及在针织横机上制造金银丝针织物的方法
CN113943996A (zh) 一种由双针床横编织机编织圆筒双层提花的方法
CN106801289B (zh) 一种鱼鳞花的编织方法
KR20100035493A (ko) 가로방향 요철이 형성된 더블 라셀 편물의 제조방법 및 그 더블 라셀 편물
CN209211026U (zh) 一种柔软毛圈纬编针织物
CN204550979U (zh) 一种用于双针床经编机的成圈机构
KR101006133B1 (ko) 이중 편직물 제조장치
CN101851827A (zh) 双层半月型实芯型边花织带
CN110791863A (zh) 一种全成型摩尔花纹图案组织结构及其编织方法
EP2653596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CN202509216U (zh) 车骨类精细地网多梳栉经编贾卡提花织物
CN109652915A (zh) 经编无缝无底提花双面网孔织物的织造方法
EP3453792B1 (en) Method for knitting a single fabric
CN112962205B (zh) 一种全成型裤子横裆的编织方法及其横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