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699B1 -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 Google Patents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699B1
KR101742699B1 KR1020150123076A KR20150123076A KR101742699B1 KR 101742699 B1 KR101742699 B1 KR 101742699B1 KR 1020150123076 A KR1020150123076 A KR 1020150123076A KR 20150123076 A KR20150123076 A KR 20150123076A KR 101742699 B1 KR101742699 B1 KR 10174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inen
vertical
yar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38A (ko
Inventor
이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전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전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전섬유
Priority to KR1020150123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6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은 굵은 린넨원사(A)와 얇은 린넨원사(B)가 “A-B-B-A” 조직으로 경사를 구성하고 “A-B” 조직으로 위사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편침이 진입하는 방향부터 제1 멀티캠 - 니트캠 - 더크캠 - 미스캠 순서로 구성되는 제1 세트와, 제1 멀티캠(124a) - 니트캠(121) - 제2 멀티캠(124b) - 미스캠(123) 순서로 구성되는 제2 세트 내지 제4 세트를 포함하는 수직 모듈블럭과,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모듈블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CAM MODULE FOR MANUFACTURING DOUBLE LINEN TEXTILE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린넨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편침바늘을 가이드하기 위한 캠모듈 구조 및 그를 이용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줄기나 껍질에서 추출해서 제조하는 마직물은 린넨직물로 지칭하고 대표적으로는 국내의 모시나 삼베가 있다. 모시는 섬세하고 가늘게 직조한 마섬유이고, 삼베는 올이 굵고 성글게 직조된 마섬유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마섬유는 평직물이다. 평직물은 직물 조직 중에서 가장 간단한 조직으로서, 경사와 위사가 한올씩 상하 교대로 교차되어 있다. 제직이 간단하고 조직점이 많아서 얇으면서, 강하며 실용적이다. 표면의 구별이 없으며, 여러 가지 변화있는 직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마섬유는 조직점이 많아 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서 구김이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다. 흔히 사용하는 광목, 옥양목 등이 단순한 평직물의 대표적인 것이다.
마섬유는 유연성이 없어서 구김이 많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면이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과 혼합한 직물이 실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렇게 혼합직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앞면은 싱글바닥으로 구성되고 뒷면은 동글동글한 고리모양의 올조직이 있는 일명 “쭈리” 원단으로 직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이중구조를 가지는 마섬유는 유연성이 없는 마섬유 자체의 특성에 의해 일반적인 환편기에서 직조하면 천공이 생기는 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마섬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천공이 생기는 확률이 높아지는데, 이는 마섬유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환편기의 캠구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439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0626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조직을 가지는 린넨직물의 직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은 이중 린넨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회전다이얼과 실린더를 포함하는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에 연결되어 수직편침이 왕복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캠모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린넨직물을 구성하는 원사의 연결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이동홈 구조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직 모듈블럭과, 상기 수직 모듈블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모듈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직 모듈블럭은 상기 수직편침이 진입하는 방향부터 제1 멀티캠 - 니트캠 - 더크캠 - 미스캠 순서로 구성되는 제1 세트와, 상기 수직편침이 진입하는 방향부터 제1 멀티캠(124a) - 니트캠(121) - 제2 멀티캠(124b) - 미스캠(123) 순서로 구성되는 제2 세트 내지 제4 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은 제1 세트 내지 상기 제4 세트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은 제1 세트 및 상기 제4 세트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에는 상대적으로 굵은 린넨원사(A)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세트 및 상기 제3 세트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린넨원사(B)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은 굵은 린넨원사(A)는 40lea의 원사이고, 상기 얇은 린넨원사(B)는 60lea의 원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은 린넨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A-B-B-A” 조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린넨직물을 구성하는 위사는 “A-B” 조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에 의하면, 수직 모듈블럭에 의해 린넨직물의 연결부분이 느슨해져서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직 간의 연결강도도 향상시킴으로써 일명 “쭈리” 구조를 직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을 이용한 환편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환편기의 일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캠모듈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린넨 섬유는 아마 줄기에서 추출한 실로 직조한 인피 섬유로서 순수 린넨 섬유와 면마 혼방섬유인 하프 린넨 섬유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순수 린넨 섬유를 이용하여 일명 쭈리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캠모듈 및 환편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순수 린넨 섬유는 국내의 삼베와 물성, 착용감 및 촉감 등이 유사한 린넨 직물을 제공하기 위해 경사 및 위사를 이용하여 직조하는데, 평직으로 직조되는 순수 린넨 섬유는 경사와 위사가 한 올씩 교차되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한 장의 린넨 직물의 후면에 다시 고리모양의 올조직을 직조하여 이중구조의 린넨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이중구조의 린넨 섬유의 전면에 형성되는 순수 린넨 섬유의 직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린넨 직물을 이용하여 삼베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경사 및 위사 굵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중요한데, 굵기가 상이한 2종의 린넨사를 경사 및 위사로 제공하여 린넨사의 굵기 차이로 인한 요철감을 형성함과 동시에 굵은 실에 의한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캠모듈 및 환편기는 상기와 같은 이중구조의 린넨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캠모듈 및 환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캠모듈이 구비되는 환편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는 회전다이얼(10)과 실린더(20)로 구성되는 침상(30)을 포함하고, 상기 침상(30)에는 다수개의 캠모듈(1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캠모듈(100)에 의해 편침이 축방향 이동을 하면서 편사를 편성하여 린넨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다이얼(10)과 실린더(20)로 구성되는 환편기를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0)에는 다수개의 이동슬릿(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다이얼(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동슬릿(21)에 대응되도록 방사형으로 이동슬릿(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다이얼(10) 및 실린더(20)의 이동슬릿(21)에는 각각 수평편침(41)과 수직편침(42)이 결합된다. 상기 수평편침(41)과 수직편침(42)은 아래에서 설명할 캠모듈(100)에 의해 축방향 왕복운동을 하면서 린넨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상기 회전다이얼(10)의 상부에는 원사보빈(51)이 장착되는 보빈대 링(50)이 설치되고, 상기 보빈대 링(50)에는 원사보빈(51)으로부터 원사를 공급받아 환편기의 본체 중앙에 위치한 실린더(20)로 공급하는 급사부(60)가 연결된다. 상기 보빈대 링(50) 및 급사부(60)는 서로 다른 굵기의 원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사부(60)에서 공급되는 린넨원사는 수평편침(41)과 수직편침(42) 사이로 공급되어 수평편침(41)과 수직편침(42)의 왕복운동에 의해 린넨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상기 회전다이얼(10)과 실린더(2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캠모듈(100)이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다이얼(10)의 외주면에는 수평 캠모듈(101)이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20)에는 수직 캠모듈(102)이 연결된다.
상기 캠모듈(100)은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모듈블럭(12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블럭(120)의 일면에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홈(121)에는 수평편침(41)과 수직편침(42)에 형성되는 돌기(43)가 삽입되고, 상기 돌기(43)가 이동홈(1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평편침(41)과 수직편침(42)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직조를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블럭(1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블럭(120)은 수평 모듈블럭(130)과 수직 모듈블럭(14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블럭(120)은 니트캠(knit cam, 121), 더크캠(tuck cam, 122), 미스캠(miss cam, 123), 및 멀티캠(multi cam, 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트캠(121)은 원사를 편성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기능을 하고, 더크캠(122)은 양면 원단의 앞면과 뒷면을 서로 엮어주는 기능을 하고, 미스캠(123)은 단순히 원사를 물고 지나가서 다음 공정에서 원단을 직조하거나 엮어지도록 한다.
상기 멀티캠(124)은 두 가지 이상의 캠모듈을 혼합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상기 멀티캠(124)은 니트캠(121)과 더크캠(122)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제1 멀티캠(124a)와, 미스캠(123)과 니트캠(121)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제2 멀티캠(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모듈블럭(130)은 4가지 종류의 캠모듈이 선택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되지만, 수직 모듈블럭(140)은 4가지 종류의 캠모듈이 선택되어 일렬로 나열되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고, 총 4개의 세트가 상부에서 하부로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모듈블럭(140)은 4가지 종류의 캠모듈로 구성되는 제1 세트(141), 제2 세트(142), 제3 세트(143), 및 제4 세트(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트(141)는 제1 멀티캠(124a) - 니트캠(121) - 더크캠(122) - 미스캠(123) 순서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세트(141)에 의해 이동하는 수직편침(41)은 도 3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데, 먼저 제1 멀티캠(124a)에 의해 직조를 함과 동시에 양면을 구성할 원사를 연결하여 이음새를 구성하고, 니트캠(121)에 의해 각 면을 직조한 후에, 더크캠(122)에 의해 양면을 구성할 원사를 연결해서, 미스캠(123)을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세트(142) 내지 제4 세트(144)는 제1 멀티캠(124a) -니트캠(121) - 제2 멀티캠(124b) - 미스캠(123) 순서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멀티캠(124a)에 의해 제1 멀티캠(124a)에 의해 직조를 함과 동시에 양면을 구성할 원사를 연결하여 이음새를 구성하고, 니트캠(121)에 의해 각 면을 직조한 후에, 제2 멀티캠(124b)에 의해 직조를 마무리하면서 미스캠(123)으로 안내하고, 마지막으로 미스캠(123)을 통과한다.
상기 제1 세트(141) 내지 제4 세트(144)에는 각각 순차적으로 수직편침(41)이 연결되는데, 앞단에서부터(즉, 화살표 A 방향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세트(141), 제2 세트(142), 제3 세트(143), 제4 세트(144)에 각각 연결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제1 수직편침, 제2 수직편침, 제3 수직편침, 제4 수직편침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세트(141) 및 제4 세트(144)에 연결되는 수직편침(41)에는 상대적으로 굵은 린넨 원사가 연결되고, 제2 세트(142) 및 제3 세트(143)에 연결되는 수직편침(41)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린넨 원사가 연결된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구조의 린넨 섬유에 천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굵기의 린넨 원사를 배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조밀한 구조와 상대적으로 광밀한 구조를 번갈아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연결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캠모듈에 의해 직조되는 이중구조의 린넨 섬유는 40lea 굵기의 제1 경사(A)와 60lea 굵기의 제2 경사(B)가 교대로 배치되어 직조되는데, 패턴의 순서는 “A-B-B-A”가 반복되도록 직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세트(141) 및 제4 세트(144)에 연결되는 수직편침(41)(제1 수직편침 및 제4 수직편침)에는 40lea 굵기의 제1 경사(A)가 연결되고, 제2 세트(142) 및 제3 세트(143)에 연결되는 수직편침(41)(제2 수직편침 및 제3 수직편침)에는 60lea 굵기의 제2 경사(B)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경사(A)와 제2 경사(B)가 직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 세트(141)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41)에는 제1 경사(A)가 연결되어 제1 멀티캠(124a) - 니트캠(121) - 더크캠(122) - 미스캠(123) 순서로 직조된다.
그리고, 제2 세트(142) 및 제3 세트(143)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41)에는 제2 경사(B)가 연결되어 제1 멀티캠(124a) - 니트캠(121) - 제2 멀티캠(124b) - 미스캠(123) 순서로 직조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세트(141)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41)이 더크캠(122)에 의해 양면을 구성할 원사를 연결함에 반해, 이후에 따라오는 제2 세트(142) 내지 제4 세트(144)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41)이 제2 멀티캠(124b)에 의해 직조를 마무리하면서 미스캠(123)으로 안내한다.
이는 제1 세트(141)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41)이 더그캠(122)에 의해 양면을 구성할 원사를 연결함으로써 제1 세트(141)에 의해 직조되는 제1 경사(A)와 이전에 직조되어 연결되는 제1 경사(A)가 양면 원사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A-B-B-A”를 한세트로 구성하는 린넨조직이 연달아서 계속 연결되므로 세트와 세트가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제1 세트(141)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41)이 더크캠(122)에 의해 한번 더 연결보강작업을 함으로써 린넨원사가 가지는 특성, 즉 탄성이 없는 특성에 의해 원사 연결부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직모듈블럭(140)은 린넨직물의 연결부분이 느슨해져서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직간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모듈블럭(140)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평모듈블럭(130)은 특정모듈이 일렬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lea 굵기의 제1 위사(B)와 40lea 굵기의 제2 위사(A)가 번갈아 가면서 직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회전 다이얼 20 : 실린더
30 : 침상 41 : 수평편침
42 : 수직편침 50 : 보빈대 링
60 : 급사부 100 : 캠모듈
110 : 본체부 120 : 모듈블럭
130 : 수평모듈블럭 140 : 수직모듈블럭

Claims (7)

  1. 이중 린넨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회전다이얼과 실린더를 포함하는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에 연결되어 수직편침이 왕복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캠모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린넨직물을 구성하는 원사의 연결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이동홈 구조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직 모듈블럭과,
    상기 수직 모듈블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모듈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모듈블럭은
    상기 수직편침이 진입하는 방향부터 제1 멀티캠 - 니트캠 - 더크캠 - 미스캠 순서로 구성되는 제1 세트와,
    상기 수직편침이 진입하는 방향부터 제1 멀티캠(124a) - 니트캠(121) - 제2 멀티캠(124b) - 미스캠(123) 순서로 구성되는 제2 세트 내지 제4 세트를 포함하는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내지 상기 제4 세트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및 상기 제4 세트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에는 상대적으로 굵은 린넨원사(A)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세트 및 상기 제3 세트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편침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린넨원사(B)가 연결되는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린넨원사(A)는 40lea의 원사이고,
    상기 얇은 린넨원사(B)는 60lea의 원사인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린넨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A-B-B-A”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린넨직물을 구성하는 위사는 “A-B”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을 포함하는
    환편기.
KR1020150123076A 2015-08-31 2015-08-31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KR10174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76A KR101742699B1 (ko) 2015-08-31 2015-08-31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76A KR101742699B1 (ko) 2015-08-31 2015-08-31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38A KR20170025938A (ko) 2017-03-08
KR101742699B1 true KR101742699B1 (ko) 2017-06-01

Family

ID=5840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076A KR101742699B1 (ko) 2015-08-31 2015-08-31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6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57B1 (ko) 2019-11-26 2020-02-25 주식회사 모든에프엔씨 피부면에만 탄성사가 편직되는 고감성 양면 인터록 환편물의 제조방법
KR20210051861A (ko) 2019-10-31 2021-05-10 김종섭 환편기를 이용한 리버서블 니트 자켓용 더블 레이어드 환편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환편직물
KR20220048822A (ko) * 2020-10-13 2022-04-20 삼에스기계(주) 환편기의 실린더 캠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5680B1 (ja) * 2017-12-28 2018-10-31 ニッティド株式会社 肉厚部を備えた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肉厚部を備えた横編地
KR102647109B1 (ko) * 2023-01-12 2024-03-13 신흥수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33B1 (ko) 2010-05-20 2011-01-07 이성일 이중 편직물 제조장치
KR101035542B1 (ko) 2010-12-06 2011-05-23 이성일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KR101189586B1 (ko) * 2012-05-11 2012-10-10 김건훈 모듈형 캠식 환편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94B1 (ko) 2003-02-18 2005-10-06 강문환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기구
KR200380626Y1 (ko) 2005-01-17 2005-03-31 박동권 파일 환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33B1 (ko) 2010-05-20 2011-01-07 이성일 이중 편직물 제조장치
KR101035542B1 (ko) 2010-12-06 2011-05-23 이성일 이중 환편직물 제조장치
KR101189586B1 (ko) * 2012-05-11 2012-10-10 김건훈 모듈형 캠식 환편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861A (ko) 2019-10-31 2021-05-10 김종섭 환편기를 이용한 리버서블 니트 자켓용 더블 레이어드 환편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환편직물
KR102081057B1 (ko) 2019-11-26 2020-02-25 주식회사 모든에프엔씨 피부면에만 탄성사가 편직되는 고감성 양면 인터록 환편물의 제조방법
KR20220048822A (ko) * 2020-10-13 2022-04-20 삼에스기계(주) 환편기의 실린더 캠 구조
KR102432612B1 (ko) 2020-10-13 2022-08-16 삼에스기계 주식회사 환편기의 실린더 캠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38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699B1 (ko)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US10626529B2 (en) Woven fabric-like jacquard fabric for mattress ticking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CN112962204B (zh) 用于提高全成型服装夹位强度的编织方法及其加固结构
CN103938361B (zh) 一种家用纺织品的3d成型编织工艺
CN107574551A (zh) 双针板普通电脑横机编织一次成型无缝弹力裤的方法
KR101753631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CN110863287A (zh) 一种超轻成形双面针织校服面料及其编织方法
CN110257989A (zh) 一种特种高弹纱线及其面料
CN110184711A (zh) 四面弹仿针织牛仔面料
US20170130376A1 (en) Woven Fabric-Like Jacquard Fabric for Mattress Ticking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CN211446082U (zh) 一种超轻成形双面针织校服面料
KR101492932B1 (ko) 환편기를 이용한 질감 형성 원단의 제조방법
CN104695122A (zh) 编织物的编成方法
JP2014201854A (ja) 地厚ストレッチ生地
KR101782000B1 (ko) 환편 원단의 제조방법
CN108411475A (zh) 纬编仿丝绸弹力织物的生产工艺
CN208087843U (zh) 高回弹性的仿针织牛仔面料
CN218232724U (zh) 一种仿经编风格纬编针织面料
KR200418228Y1 (ko) 인디고 데님 원단 제작용 환편기 및 이를 통해 편직된인디고 데님 원단
CN206418257U (zh) 一种仿牛仔布针织面料
CN102182004A (zh) 一种针织花边布的织造工艺及其针织花边布
KR20210007970A (ko) 수정된 전 코스 탄성화된 니트 직물 및 이의 의복
CN110565250B (zh) 一种全消光仿棉弹力空气层面料
CN107142601A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
CN209292582U (zh) 防老化弹性运动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