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109B1 -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 Google Patents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109B1
KR102647109B1 KR1020230015170A KR20230015170A KR102647109B1 KR 102647109 B1 KR102647109 B1 KR 102647109B1 KR 1020230015170 A KR1020230015170 A KR 1020230015170A KR 20230015170 A KR20230015170 A KR 20230015170A KR 102647109 B1 KR102647109 B1 KR 10264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ial
groove
needle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흥수
Original Assignee
신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수 filed Critical 신흥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실린더의 회전을 따라, 복수의 제1 바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캠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 상에 위치되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2 바늘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이얼 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Manufacturing Circ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직물 제조시에 한 종류의 원사로 요철을 구현하면서 서로 교차하는 바늘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직물에 볼륨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은 직물을 직조할 때 볼륨감을 갖도록 직조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의 직물지는 주로 평직을 제직한 직물지를 수지가공하여 요철을 형성하거나 일부분에 신축사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요철형태를 가지는 직물지를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물지는 요철상태가 미약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환편기는 복수의 바늘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원사를 엮어서 환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바늘들이 서로 교차할 때, 부딪쳐서 바늘들이 서로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10-1941122(2019.01.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편직물 제조시에 한 종류의 원사로 요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바늘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는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바늘들;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바늘들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캠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다이얼; 상기 다이얼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다이얼 상에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바늘들; 및 상기 다이얼 상에 위치되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바늘들의 방사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편직물 제조시에 한 종류의 원사로 요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환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바늘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환편기의 내구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편기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다이얼 캠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실린더 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제1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제2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환편기에서 제1 바늘과 제2 바늘이 서로 교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에 의해 제조된 환편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편기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다이얼 캠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실린더 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는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바늘을 이용하여 환편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일 수 있다.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는 급사부(1), 편직부(2), 및 권취부(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사부(1)는 편직 공정에 필요한 복수의 원사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급사부(1)는 일정하게 적당한 장력과 사속으로 원사를 편직부(2)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급사부(1)는 편직부(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급사부(1)는 여러 종류의 원사들을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원사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원사 공급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편직부(2)는 급사부(1)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원사를 편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편직부(2)는 실린더(210), 제1 캠부(230), 다이얼(250), 제2 캠부(270), 제1 바늘들(220) 및 제2 바늘들(26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린더(210)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실린더(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린더(210)는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슬라이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215)는 실린더(210)의 둘레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215)는 상하 방향(D1)으로 형성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늘들(220)은 실린더(21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바늘들(220)은 실린더(210)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바늘들(220) 각각은 실린더(210)의 제1 슬라이딩부(215)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늘들(22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캠부(230)는 실린더(21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캠부(230)는 실린더(21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실린더 캠들(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캠부(230)는 실린더(210)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1 바늘(2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캠부(230)가 제1 바늘들(220)을 상하 방향(D1)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함에 따라, 제1 바늘들(220)은 환편기에 의해 직조되는 직물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 캠들(235) 각각은 제1 바늘(220)이 상하 방향(D1)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홈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부(236)는 다소 형상이 다른 복수 개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부(236)는 제1 실린더 홈(2361), 제2 실린더 홈(2362), 제3 실린더 홈(2363) 및 제4 실린더 홈(23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 홈(2361)은 실린더 캠(235)의 최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실린더 홈(2361)은 미스(M)-니트(K)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실린더 홈(2362)은 제1 실린더 홈(236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실린더 홈(2362)은 미스(M)-니트(K)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실린더 홈(2363)은 제2 실린더 홈(236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린더 홈(2362)은 제1 실린더 홈(2361)과 제3 실린더 홈(236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실린더 홈(2363)은 니트(K)-터트(T)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4 실린더 홈(2364)은 실린더 캠(235)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실린더 홈(2364)은 제3 실린더 홈(236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실린더 홈(2363)은 제2 실린더 홈(2362)과 제4 실린더 홈(236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실린더 홈(2364)은 니트(K)-미스(M)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이얼(250)은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이얼(250)은 실린더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250)은 실린더(2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다이얼(250)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이얼(250)은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슬라이딩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255)는 다이얼(2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255)는 다이얼(2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D2)으로 연장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방사 방향(D2)은 실린더(21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사 방향(D2)은 실린더(210)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과 내측 방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2 바늘들(260)은 다이얼(25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바늘들(260)은 다이얼(250)과 제2 캠부(2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바늘들(260)은 다이얼(250) 상에 방사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바늘들(260) 각각은 제2 슬라이딩부(255)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늘들(26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캠부(270)는 다이얼(25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캠부(270)는 다이얼(250)과 실린더(2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캠부(270)는 다이얼(250)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2 바늘들(260)의 방사 방향(D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캠부(270)가 복수의 제2 바늘(260)을 방사 방향(D2)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 바늘들(260)은 환편기에서 직조되는 직물의 원주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캠부(270)는 복수의 제1 다이얼 캠들(271)과 복수의 제2 다이얼 캠들(2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얼 캠들(271) 각각과 제2 다이얼 캠들(273) 각각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다이얼 캠(271)과 제2 다이얼 캠(273)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다이얼 캠들(271) 각각은 제2 바늘(260)이 방사 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홈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부(272)는 다소 형상이 다른 복수 개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부(272)는 제1 다이얼 홈(2721), 및 제2 다이얼 홈(27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얼 홈(2721)은 미스(M)-니트(K)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다이얼 홈(2723)은 제1 다이얼 홈(27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다이얼 홈(2723)은 미스(M)-미스(M)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다이얼 캠들(273) 각각은 제2 바늘(260)이 방사 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홈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부(274)는 다소 형상이 다른 복수 개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부(274)는 제3 다이얼 홈(2741) 및 제4 다이얼 홈(27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다이얼 홈(2741)은 미스(M)-미스(M)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다이얼 홈(2741)은 제1 다이얼 홈(2721)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2 바늘(260) 중 일부에 구비된 제2 버트부(265)가 제1 다이얼 홈(2721)과 제3 다이얼 홈(27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4 다이얼 홈(2743)은 제3 다이얼 홈(274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다이얼 홈(2743)은 미스(M)-니트(K)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다이얼 홈(2743)은 제2 다이얼 홈(2723)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2 바늘들(260) 중 일부에 구비된 제2 버트부(265)가 제2 다이얼 홈(2723)과 제4 다이얼 홈(27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다이얼 홈(2721)과 제3 다이얼 홈(2741)은 환편직물의 외측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다이얼 홈(2723)과 제4 다이얼 홈(2743)은 환편직물의 내측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니트(K) 형태는 원사를 편성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미스(Miss) 형태, 니트(knit) 형태, 및 터크(tuck) 형태 각각은 전술한 제1 가이드 홈부(236) 및/또는 제2 가이드 홈부(27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니트(K) 형태는 상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삼각형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트(K) 형태는 원사를 편성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미스(M) 형태는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스(M) 형태는 단순히 원사를 물고 지나가서 다음 공정에서 원단을 직조하거나 엮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터크(T) 형태는 상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권취부(3)는 편직부(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권취부(3)는 편직부(2)에서 편직되는 환편직물을 권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제1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환편기에 설치된 제2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환편기에서 제1 바늘과 제2 바늘이 서로 교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바늘들(220) 각각은 제1 바디부(221), 제1 넥부(222), 제1 후크부(223), 제1 래치부(224) 및 제1 버트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늘들(220) 각각은 제1 마그넷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221)는 제1 바늘(2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부(22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바디부(221)는 상하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트부(225)는 제1 바디부(2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버트부(225)는 제1 가이드 홈부(236)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실린더 홈(2361), 제2 실린더 홈(2362), 제3 실린더 홈(2363) 및 제4 실린더 홈(2364) 각각에는 하나의 제1 바늘(220)의 제1 버트부(225)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늘들(220)은 제1 버트부(225)가 삽입된 제1 내지 제4 실린더 홈(2364)들의 형태에 따라 상하 이동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버트부(225)가 제1 가이드 홈부(236)의 터크(T) 형태에 위치될 경우, 제1 바늘(220)은 제1 버트부(225)가 제1 가이드 홈부(236)의 미스(M) 형태에 위치된 경우보다 상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제1 버트부(225)가 제1 가이드 홈부(236)의 니트(K) 형태에 위치될 경우, 제1 바늘(220)은 제1 버트부(225)가 제1 가이드 홈부(236)의 터크(T) 형태에 위치된 경우보다 상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제1 넥부(222)는 제1 바디부(22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넥부(222)는 제1 바디부(2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넥부(222)의 폭은 제1 바디부(22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후크부(223)는 제1 넥부(222)와 연결되고, 원사가 삽입되는 제1 후크 홈(2235)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후크부(22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사부(1)에서 공급된 원사가 제1 바늘(220)에 걸릴 수 있다.
제1 후크부(223)는 제1 바늘(2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삽입 홀(2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 홀(2233)에는 후술할 제1 마그넷부(226)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래치부(224)는 제1 넥부(2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래치부(224)는 제1 후크부(223)와 연결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제1 래치부(224)가 회동함에 따라, 제1 래치부(224)는 제1 후크 홈(2235)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래치부(224)가 회동하여 제1 후크부(223)와 연결됨에 따라, 제1 래치부(224)는 제1 후크 홈(2235)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후크 홈(2235)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바늘(220)이 상승할 때, 제1 넥부(222)에 위치하는 원사가 제1 래치부(224)를 따라 제1 후크부(223)에 걸리지 않고 제1 후크부(223)를 넘어갈 수 있다.
제1 래치부(224)가 제1 후크부(223)와 이격되어 제1 후크 홈(2235)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원사가 제1 후크 홈(2235)으로 삽입되어 제1 후크부(223)에 걸릴 수 있다.
제1 마그넷부(226)는 제1 후크부(223)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예에서, 제1 마그넷부(226)는 제1 삽입 홀(22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226)는 일단이 N극을 형성하고, 타단이 S극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제2 바늘들(260) 각각은 제2 바디부(261), 제2 넥부(262), 제2 후크부(263), 제2 래치부(264) 및 제2 버트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늘들(260) 각각은 제2 마그넷부(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61)는 제2 바늘(26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6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바디부(261)는 방사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부(261)는 제1 바디부(2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트부(265)는 제2 바디부(26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버트부(265)는 제2 가이드 홈부(272)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다이얼 홈(2721), 제2 다이얼 홈(2723), 제3 다이얼 홈(2741) 및 제4 다이얼 홈(2743) 각각에는 하나의 제2 바늘(260)의 제2 버트부(265)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늘들(260)은 제2 버트부(265)가 삽입된 제1 내지 제4 다이얼 홈들(2721, 2723, 2741, 2743)의 형태에 따라 방사 방향(D2)으로의 이동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버트부(265)가 제2 가이드 홈부(272)의 터크(T) 형태에 위치될 경우, 제2 바늘(260)은 제2 버트부(265)가 제2 가이드 홈부(272)의 미스(M) 형태에 위치된 경우보다 외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제2 버트부(265)가 제2 가이드 홈부(272)의 니트(K) 형태에 위치될 경우, 제2 바늘(260)은 제2 버트부(265)가 제2 가이드 홈부(272)의 터크(T) 형태에 위치된 경우보다 외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제2 넥부(262)는 제2 바디부(26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넥부(262)는 제2 바디부(261)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넥부(262)의 폭은 제2 바디부(26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후크부(263)는 제2 넥부(262)와 연결되고, 원사가 삽입되는 제2 후크 홈(2635)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후크부(26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사부(1)에서 공급된 원사가 제2 바늘(260)에 걸릴 수 있다.
제2 후크부(263)는 제2 바늘(26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삽입 홀(26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 홀(2633)에는 후술할 제2 마그넷부(266)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래치부(264)는 제2 넥부(26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래치부(264)는 제2 후크부(263)와 연결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제2 래치부(264)가 회동함에 따라, 제2 래치부(264)는 제2 후크 홈(2635)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래치부(264)가 회동하여 제2 후크부(263)와 연결됨에 따라, 제2 래치부(264)는 제2 후크 홈(2635)을 폐쇄할 수 있다.
제2 후크 홈(2635)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바늘(260)이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2 넥부(262)에 위치하는 원사가 제2 래치부(264)를 따라 제2 후크부(263)에 걸리지 않고 제2 후크부(263)를 넘어갈 수 있다.
제2 래치부(264)가 제2 후크부(263)와 이격되어 제2 후크 홈(2635)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원사가 제2 후크 홈(2635)으로 삽입되어 제2 후크부(263)에 걸릴 수 있다.
제2 마그넷부(266)는 제2 후크부(263)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예에서, 제2 마그넷부(266)는 제2 삽입 홀(26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마그넷부(266)는 일단이 N극을 형성하고, 타단이 S극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제2 바늘(260)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바늘들(220)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그넷부(266)는 제1 바늘들(220)에 설치된 제1 마그넷부(226)와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늘(260)이 서로 인접한 한 상의 제1 바늘들(220) 사이로 이동할 때, 제2 바늘(260)이 제1 바늘들(220)과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바늘들(220) 사이로 이동하는 제2 바늘(260)이 이동할 때, 제2 마그넷부(266)의 N극은 제2 바늘(260)의 일측에 위치된 제1 바늘(220)의 제1 마그넷부(226)의 N극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마그넷부(266)의 S극은 제2 바늘(260)의 타측에 위치된 제1 바늘(220)의 제1 마그넷부(226)의 S극과 마주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늘(260)은 제1 마그넷부(226)와 제2 마그넷부(266) 간의 척력에 의해 제1 바늘들(22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바늘들(220)과 제2 바늘들(260)은 자석과 반응하지 않으면서 강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늘들(220)과 제2 바늘들(260)은 티타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버트부(265)가 제2 다이얼 홈(2723)의 미스(M) 형태에 위치되고, 제1 버트부(225)가 제3 실린더 홈(2363)의 니트(K) 형태에 위치될 경우, 원사가 엮어서 환편직물이 직조될 수 있다.
제2 버트부(265)가 제1 다이얼 홈(2721)의 니트(K) 형태에 위치되고, 제1 버트부(225)가 제3 실린더 홈(2363)의 터크(T) 형태에 위치될 경우, 원사는 엮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편직물이 부풀어 오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한번 반복하면 하나의 요입부 또는 철부 형태의 직물이 직조될 수 있다.
제2 버트부(265)가 제4 다이얼 홈(2743)의 니트(K) 형태에 위치되고, 제1 버트부(225)가 제3 실린더 홈(2363)의 니트(K) 형태에 위치될 경우, 환편직물이 반대편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한번 반복되게 되면 직조된 하나의 요입부 또는 철부의 형태의 직물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철부 또는 요입부 형태의 직물이 직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직조된 직물이 요입부가 되면 인접하여 직조된 직물은 철부가 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원사는 나일론 DTY(Draw Textured Yarn)사일 수 있다.
제1 바늘(220)의 개수는 2개 내지 10개일 수 있다. 바늘의 개수가 너무 적게 되면 직조되는 직물의 요철부가 도드라지지 않게 되어 요철부의 경계가 애매하여 요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며, 바늘의 개수가 너무 많게 되면 신축에 의해 직물의 요철형태가 변형될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실린더 캠(235)에 의해 작동되는 바늘의 개수를 적당한 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급사부 2: 편직부
3: 권취부 210: 실린더
220: 제1 바늘 230: 제1 캠부
235: 실린더 캠 250: 다이얼
260: 제2 바늘 270: 다이얼 캠
K: 니트 M: 미스
T: 터크

Claims (5)

  1.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바늘들;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바늘들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캠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다이얼;
    상기 다이얼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다이얼 상에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바늘들; 및
    상기 다이얼 상에 위치되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바늘들의 방사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늘 및 상기 제2바늘 각각에는 서로 척력을 작용하도록 극성이 대향된 마그넷부; 를 더 포함하는,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다이얼 캠과 제2 다이얼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얼 캠은,
    미스-니트 형태로 배열되는 제1 다이얼 홈; 및
    상기 제1 다이얼 홈의 외측에 위치되고, 미스-미스 행태로 배열되는 제2 다이얼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이얼 캠은,
    미스-미스 형태로 배열되는 제3 다이얼 홈; 및
    상기 제3 다이얼 홈의 외측에 위치되고, 미스-니트 형태로 배열되는 제4 다이얼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실린더 캠들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캠들 각각은,
    미스-니트 형태로 배열되는 제1 실린더 홈;
    상기 제1 실린더 홈의 상측에 위치되고, 미스-니트 형태로 배열되는 제2 실린더 홈;
    상기 제2 실린더 홈의 상측에 위치되고, 니트-터크 형태로 배열되는 제3 실린더 홈; 및
    상기 제3 실린더 홈의 상측에 위치되고, 니트-미스 형태로 배열되는 제4 실린더 홈을 포함하는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과 상기 제2 바늘 각각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된 넥부;
    상기 넥부와 연결되고, 원사가 삽입되는 후크 홈을 갖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 홈을 개폐하도록 상기 넥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홈에 삽입되는 원사는 나일론 DTY사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들은 2개 내지 10개인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20230015170A 2023-01-12 2023-02-03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2647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04622 2023-01-12
KR1020230004622 2023-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109B1 true KR102647109B1 (ko) 2024-03-13

Family

ID=902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170A KR102647109B1 (ko) 2023-01-12 2023-02-03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1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6283U (ko) * 1985-04-03 1986-11-04
KR101625341B1 (ko) * 2015-12-01 2016-05-27 신흥수 공기층을 구비한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1625340B1 (ko) * 2015-12-01 2016-05-27 신흥수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20170025938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우전섬유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KR101941122B1 (ko) 2018-08-27 2019-01-22 이일영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KR20220063916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뮬라 표면에 탄성사를 갖는 환편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양면 환편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6283U (ko) * 1985-04-03 1986-11-04
KR20170025938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우전섬유 이중 린넨직물 제조를 위한 캠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환편기
KR101625341B1 (ko) * 2015-12-01 2016-05-27 신흥수 공기층을 구비한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1625340B1 (ko) * 2015-12-01 2016-05-27 신흥수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1941122B1 (ko) 2018-08-27 2019-01-22 이일영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KR20220063916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뮬라 표면에 탄성사를 갖는 환편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양면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94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CN104420069A (zh) 带有可横向于针床运动的导纱器的平针针织机
KR102647109B1 (ko)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US3961498A (en) Machine for producing circular textile webs
KR20010098609A (ko) 편물 기계 바늘
KR102647108B1 (ko) 공기층을 구비한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US6085554A (en) Loop transfer needl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24575C (zh) 用于同时织成多件筒状针织物的圆形纺织机
US3871194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242229B1 (ko) 두꺼운 양면 텍스타일 제조용 편직장치
KR20190018458A (ko) 양말 편성방법
CN107142601A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
KR100390122B1 (ko) 편성기 및 편사 패턴을 편성하는방법
US6854294B2 (en) Method and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knitwear, especially from hard, inelastic thread material
US3621677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including interlaced insert elements
KR101888462B1 (ko) 기능성 편직물용 환편기
JP2010059596A (ja) 編物の編成方法と経編機
JP2018517067A (ja) 編機
CN1292115C (zh) 编织无缝圆筒织物的方法和针织机
CN1045823A (zh) 针织机中选择和控制针的机械结构和用于该结构的针
CN101165252A (zh) 具有送纱切换装置的圆织机
JP2003183952A (ja) シングルニット編地、丸編機の編針、および編成方法
US525091A (en) Knit fabric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EP0474606B1 (en) Device for producing a yarn using fibers retained in a tubular knitted manufacture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