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873B1 -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873B1
KR101034873B1 KR1020047017823A KR20047017823A KR101034873B1 KR 101034873 B1 KR101034873 B1 KR 101034873B1 KR 1020047017823 A KR1020047017823 A KR 1020047017823A KR 20047017823 A KR20047017823 A KR 20047017823A KR 101034873 B1 KR101034873 B1 KR 10103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current
gain
supplied
transmission pow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296A (ko
Inventor
신이치로 쓰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5010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3/10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4Control by varying the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고 TPC 비트에 따라 송신 전력을 가변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데이터를 증폭하여 안테나에 공급하는 전력 가변 증폭부가 소비하는 전력의 삭감을 도모한다. 전력 가변 증폭부는 상기 TPC 비트에 대응하는 제어 전압으로 이득이 가변 제어되는 가변 이득 앰프(21), 고정 이득의 드라이버 앰프(22), 및 고정 이득의 파워업(23)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앰프(22)의 트랜지스터(26)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하는 가변 저항(25)을 설치하고, 이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을 상기 TPC 비트에 대응하는 제어 전압으로 가변 제어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26)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 전압(= 송신 전력)에 따른 전류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라이버 앰프(22)의 소비 전력의 삭감을 통해서, 해당 전력 가변 증폭부가 소비하는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MPLIFICATION CIRCUI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이나 IS-95규격에 대응하는 CDMA 방식 등의 휴대 전화기, PHS 전화기(Personal Handyphone System),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PDA(Personal Digital(Data) Assistant: 개인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 장치 등에 설치하기에 바람직한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통신 방식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W-CDMA 방식에서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각 이동 통신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대해서 각각 같은 송신 레벨(송신 전력)로 신호의 송신을 행하면, 기지국에 가까운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 레벨이, 기지국으로부터 먼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 레벨보다 커지므로, 기지국 측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먼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원근(遠近) 문제).
그러므로, W-CDMA 방식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SIR 측정값(신호 전력대 간섭 전력비)에 근거하는 적응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각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송신 레벨을 각각 필요 최소한으로 제어하여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은 각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逆擴散) 처리하고, RAKE 합성한 다음 상기 SIR 측정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SIR 측정값이 소정값(목표값)보다도 큰 값으로 되는 경우에는, 송신 레벨을 낮추는 제어 커맨드를 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서 송신한다. 또, 측정한 SIR 측정값이 상기 목표값보다 작은 값이 되는 경우에는, 송신 레벨을 높이는 제어 커맨드를 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서 송신한다.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이와 같은 제어 커맨드에 따라 송신 레벨을 조정하고, 이 조정한 송신 레벨로 기지국에 대해서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도 7에, 이와 같은 적응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전력 가변 증폭부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가변 증폭부는 이득을 가변 가능한 가변 이득 앰프(101), 고정 이득의 드라이버 앰프(102) 및 고정 이득의 파워업(103)을 차례로 접속한 3단 구성의 증폭부로 되어 있다.
각 앰프(101~103)는 전원 제어부로부터의 바이어스 전압(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해당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부(CPU)로부터 송신계를 구동 상태(액티브)로 하기 위한 신호가 하이레벨의 사이, 즉 구동 상태로 된다.
또, 가변 이득 앰프(101)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CPU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전압에 의해 이득이 가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력 가변 증폭부는 입력 단자(100)를 통하여 확산 변조 처리부로부터 확산 변조 처리된 송신 신호가 공급되면, 먼저 가변 이득 앰프(101)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이득으로 이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이어서 고정 이득으로 된 드라이버 앰프(102) 및 파워업(103)에서, 가변 이득 앰프(101)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각각 증폭한다. 그리고, 이 송신 신호를 출력 단자(104)로부터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로써, 상기 원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일본특허공개 평9-116357호의 공보(제3 페이지~ 제4 페이지, 도 1)에, 이와 같은 이득 증폭 회로의 선행 기술 문헌이 개시되어 있다.
도 8a에, 상기 가변 이득 앰프(101)의 제어 전압과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를 나타내며, 도 8b에, 상기 드라이버 앰프(102)에 공급하고 있는 전류값과 상기 가변 이득 앰프(101)의 제어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를 나타낸다.
도 8a는, 가로축이 CPU로부터 가변 이득 앰프(101)에 대해서 공급되는 제어 전압(V)을, 세로축이 이 제어 전압으로 가변되는 가변 이득 앰프(101)의 이득(db)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이득 앰프(101)의 이득은, 상기 가변 이득 앰프(101)에 인가하는 제어 전압을 크게 함에 따라 서서히 크게 된다.
이에 대해, 도 8b는 가로축이 CPU로부터 가변 이득 앰프(101)에 대해서 공급되는 상기 제어 전압(V)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드라이버 앰프(102)에 공급되는 전류값(I)을 나타내고 있다.
드라이버 앰프(102)는 해당 전력 가변 증폭부의 최대 출력 시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 가변 증폭부의 특성이 상기 SIR(신호 전력대 간섭 전력비)외에, 인접 채널 전력 누설비를 만족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이지만,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출력 시도 최대 출력 시와 같은 전류량을 소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드라이버 앰프(102)는 저출력 시에 대해서 불필요한 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용 가능 시간(연속 통화 시간, 연속대기 시간)을 장시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앰프(102)는 저출력 시에도 최대 출력 시와 같은 전류량을 소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을 많이 소비하고,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이용 가능 시간의 장시간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등의 이용 가능 시간을 장시간화할 수 있도록 한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단말 장치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송신 정보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정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으로부 터의 송신 정보를 고정적인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정 이득 증폭 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의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대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량 제어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송신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가진다.
또,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큰 이득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작은 이득으로, 상기 송신 정보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력량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이 적어지도록 상기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통신 단말 장치는, 전력량 제어 수단에 의해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바이패스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증폭 회로는, 정보를 증폭하는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 득 제어 정보에 따른 이득으로 상기 정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 수단과,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정보를 고정적인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정 이득 증폭 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증폭 수단을 가진다.
또, 이 증폭 수단에 더하여 상기 증폭 수단의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대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과, 상기 이득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량 제어 수단을 가진다.
또, 상기 전력량 제어 수단은,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큰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작은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이 적어지도록 상기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증폭 회로는, 전력량 제어 수단에 의해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이득 제어 정보에 따라 바이패스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변 이득 증폭 수단의 이득의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의 후단에 위치하는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증폭 수단의 저출력 시에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큰폭으로 삭감할 수 있고,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대폭적인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소비 전력의 삭감을 통해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기의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 제3 실시예로서, 휴대 전화기가 적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전력 가변 증폭부의 블록도.
도 3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전력 가변 증폭부에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의 회로도.
도 4a, 도 4b는 상기 드라이버 앰프에 있어서의 전류량의 제어에 의해,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의 회로도.
도 7은 적응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전력 가변 증폭부의 회로도.
도 8a, 도 8b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전력 가변 증폭부의 소비 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W-CDMA 방식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휴대 전화기가 적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동 통신 시스템 전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 무선 기지국(BTS), 무선 시스템 제어 장치(RNC),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 장치(MPE) 등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 도 1에서는, 휴대 전화기 및 무선 기지국의 구성만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의 구성〕
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로서의 휴대 전화기는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HPSK(Hybrid Phase Shift Keying) 등의 소정의 변조 처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소정의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 처리를 수행하는 확산 처리부(1)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수신 데이터의 확산 부호에 동기한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는 역확산 처리부(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휴대 전화기는 역확산 처리부(2)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 RAKE 복조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수신 데이터에 부가 되어 있는 송신 전력 제어 비트(TPC 비트: Transmitter Power Control bit)를 추출하고, 이 TPC 비트에 대응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RAKE 복조부(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휴대 전화기는 상기 TPC 비트의 제어 전압에 따라 이득을 변화시켜, 이 변화시킨 이득으로 상기 확산 처리부(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가변 증폭부(4)와, 이 전력 가변 증폭부(4)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역확산 처리부(2)에 공급하는 안테나(5)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의 구성〕
무선 기지국은 상기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10)와, 상기 안테나(10)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는 역확산 처리부(11)와, 상기 역확산 처리된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 RAKE 복조 처리를 수행하는 RAKE 복조부(12)와, 상기 RAKE 복조 처리된 수신 데이터에 따라 SIR(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값을 측정하는 SIR 측정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무선 기지국은 목표로 되는 SIR값(=기준으로 되는 SIR값)을 출력하는 목표 SIR값 출력부(14)와, 상기 SIR 측정부(13)에 의해 측정된 수신 데이터의 SIR값 및 상기 목표 SIR값 출력부(14)로부터의 목표로 되는 SIR값의 차분에 따라, 휴대 전화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TPC 비 트를 형성하는 비교부(15)와, 이 TPC 비트 및 송신 데이터를 소정의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 처리하고, 또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의 소정의 변조 처리를 수행하여, 이것을 안테나(10)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에 송신하는 확산 처리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동작〕
이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 측에서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무선 기지국이 역확산 처리부(11) 및 RAKE 복조부(12)에서 이 수신 데이터를 역확산 처리 및 RAKE 복조 처리하고, SIR 측정부(13)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의 SIR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비교부(15)에 있어서, 이 수신 데이터의 SIR값과 목표로 되는 SIR값을 비교하고, 양자의 차분에 대응하는 TPC 비트를 형성하고, 이 TPC 비트를 송신 데이터와 함께 확산 처리부(16) 및 안테나(10)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에 송신한다.
휴대 전화기는 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역확산 처리부(2)에서 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RAKE 복조부(3)에서 이 반대 확산 처리를 수행한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 RAKE 복조 처리를 행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TPC 비트를 추출한다. 그리고, RAKE 복조부(3)에서 이 TPC 비트에 대응하는 제어 전압을 형성하고, 이것을 전력 가변 증폭부(4)에 공급한다.
전력 가변 증폭부(4)는 확산 처리부(1)에 의해 확산 처리된 송신 데이터를 상기 RAKE 복조부(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가변한 이득으로 증폭하고, 이것을 안테나(5)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거리에 따라, 항상 최적인 송신 전력 레벨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적응 송신 전력 제어).
[전력 가변 증폭부의 구성]
다음에, 도 2에 이와 같은 적응 송신 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전력 가변 증폭부(4)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가변 증폭부(4)는 가변 이득 앰프(21), 드라이버 앰프(22) 및 파워업(23)을 가지는 3단 구성의 증폭부로 되어 있다. 각 앰프(21~23)는 전원 제어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해당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부(CPU)로부터 송신계를 구동 상태(액티브)로 하기 위한 신호가 하이레벨의 사이, 즉 구동 상태로 된다.
또, 드라이버 앰프(22)는 해당 전력 가변 증폭부(4)의 최대 출력 시에, 상기 전력 가변 증폭부(4)의 전체적인 특성이 상기 SIR(신호 전력대 간섭 전력비) 및 인접 채널 전력 누설비를 만족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력 가변 증폭부(4)는 입력 단자(20)를 통하여 상기 확산 처리부(1)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를, 가변 이득 앰프(21)에서, 상기 TPC 비트에 따른 제어 전압으로 가변된 이득으로 증폭한다. 또, 고정 이득으로 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22) 및 파워업(23)에 의해, 이 가변 이득 앰프(21)에서 증폭된 송신 데이터를 또 증폭하고, 이것을 출력 단자(24)로부터 안테나(5)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에 송신한다.
〔드라이버 앰프의 특징적인 구성〕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앰프(21~23)에는 전원 제어부로부터의 바이어스 전압(전원 전압)이 항상 인가됨으로써, 상기 각 앰프(21~23)는 항상 구동 상태로 되어 있지만, 저출력 시에도 최대 출력 시와 같은 전류량을 소비하고 있어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에 축전되어 있는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된다.
그러므로, 이 전력 가변 증폭부(4)의 드라이버 앰프(22)에는, 공급 전력 가변 회로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공급 전력 가변 회로에 의해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해당 전력 가변 증폭부(4)의 출력 레벨에 따라 가변 제어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하는 전력의 삭감을 통해서 불필요한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공급 전력 가변 회로〕
도 2에, 이와 같은 공급 전력 가변 회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 공급 전력 가변 회로를, 드라이버 앰프(22)의 트랜지스터(26)에 공급하는 전류를 바이패스하는 가변 저항(25)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TPC 비트에 따라 가변 이득 앰프(21)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은, 이 가변 저항(25)에도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 이 제어 전압으로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을 가변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되는 전류 중, 이 저항값에 따른 전류량의 전류를 상기 가변 저항(25)에서 바이패스함으로써,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량을 해당 전력 가변 증폭부(4)의 출력 레벨에 따라 조정하여 불필요한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통신 거리가 먼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고출력으로 송신을 지시하는 TPC 비트가 송신된다. 이로써, RAKE 복조부(3)로부터 가변 이득 앰프(21) 및 드라이버 앰프(22)의 가변 저항(25)에 대해서, 상기 고출력으로 송신을 지시하는 TPC 비트에 대응하는 높은 제어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 제어 전압에 의해 큰 이득으로된 가변 이득 앰프(21)에 의해 송신 데이터가 증폭된다.
또, 상기 제어 전압에 의해 드라이버 앰프(22)의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큰 저항값으로 제어된다. 이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큰 저항값으로 제어되면, 상기 가변 저항(25)에 대해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전류가 거의 제한되는 일 없이 드라이버 앰프(22)의 트랜지스터(26)로 흐르게 된다. 이로써, 드라이버 앰프(22)는 디폴트로서 고정적으로 설정되고 이득으로 가변 이득 앰프(2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에 대해, 휴대 전화기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통신 거리가 가까운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 저출력으로의 송신을 지시하는 TPC 비트가 송신된다. 이로써, RAKE 복조부(3)로부터 가변 이득 앰프(21) 및 드라이버 앰프(22)의 가변 저항(25)에 대해서, 상기 저출력으로의 송신을 지시하는 TPC 비트에 대응하는 낮은 제어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 제어 전압에 의해 작은 이득으로 된 가변 이득 앰프(21)에 의해 송신 데이터가 증폭된다.
또, 상기 제어 전압에 의해 드라이버 앰프(22)의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작은 저항값으로 제어된다. 이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작은 저항값으로 제어되 면, 상기 가변 저항(25)에 대해서 전류가 흐르기 쉬워져, 드라이버 앰프(22)의 트랜지스터(26)에 흘러야 할 전류가 거의 상기 가변 저항(25)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써, 저출력 시에 있어서, 드라이버 앰프(22)에 불필요하게 흐르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라이버 앰프(22)는 이와 같이 억제된 전류량에 따른 이득으로 가변 이득 앰프(2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드라이버 앰프의 상세한 구성〕
다음에, 도 3에 상기 드라이버 앰프(22)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버 앰프(22)는 각각 상기 가변 이득 앰프(2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차동 입력(Pin, Pin_X)되는 트랜지스터 Tr1 및 트랜지스터 Tr2로 구성된 차동 증폭 회로(30)와 트랜지스터 Tr3, 트랜지스터 Tr4 및 트랜지스터 Tr5로 이루어지는 다중연결형으로 된 커런트 미러 회로(31)와 상기 가변 저항(25)을 구비하고 있다.
(차동 증폭 회로)
상기 차동 증폭 회로(3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Trl, Tr2의 각 베이스는 입력 결합 콘덴서 C1, C2를 각각 통하여, 송신 데이터의 차동 입력을 하는 차동 입력 단자 Pin, Pin_X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l, Tr2의 각 베이스는, 바이어스 전압용 저항 Rb1, Rb2를 각각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바이어스 입력 단자 Vbias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1, Tr2의 콜렉터는, 각각 콜렉터 저항 Rc1, Rc2를 통하여 정전압원 VCC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1, Tr2의 이미터는, 각각 상기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3, Tr4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 Tr1, Tr2의 이미터는, 각각 이미터 저항 Re1의 일단 및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동 증폭 회로(30)는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와 콜렉터 저항 Rc1와의 접속점, 및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와 콜렉터 저항 Rc2와의 접속점으로부터, 각각 출력 결합 콘덴서 C3, C4를 통하여 차동 출력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차동 출력은, 차동 출력 단자 Pout, Pout_X를 통하여 상기 파워업(2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Trl, Tr2의 콜렉터 부하로서, 인덕터 또는 캐패시터를 사용한 교류 부하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 Trl, Tr2의 이미터 저항으로서, 인덕터 또는 캐패시터를 사용한 리액턴스 성분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커런트 미러 회로)
다음에, 커런트 미러 회로(31)는 트랜지스터 Tr5의 콜렉터가 상기 정전압원 VCC에 접속된 정전류원 Iref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트랜지스터 Tr3~Tr5의 이미터는 각각 접지되어 있고, 각 베이스는 각각 공통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베이스끼리의 공통 접속점이 상기 트랜지스터 Tr5의 콜렉터와 상기 정전류원 Iref와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의 이미터 사이즈와 트랜지스터 Tr3 및 트랜지스터 Tr4의 이미터 사이즈의 비가「1: N」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Tr5의 증폭율을「1」로 한 경우, 트랜지스터 Tr3 및 트랜지스터 Tr4의 증폭율은 상기 트랜지스터 Tr5의 증폭율의「N 배」의 증폭율로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Tr3~Tr5의 이미터의 사이즈에 반비례하는 저항값의 저항을 부귀환용으로서 설치함으로써, 증폭율의 상대적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다.
(가변 저항)
가변 저항(25)은 상기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에 대해 병렬로 설치되고, 일단이 접지되며,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 Tr5와 정전류원 Iref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가변 저항(25)은 RAKE 복조부(3)에 접속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RAKE 복조부(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 앰프의 상세한 동작]
이와 같은 드라이버 앰프(22)에 있어서, 상기 TPC 비트가 고출력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RAKE 복조부(3)로부터 높은 제어 전압이 가변 저항(25)에 인가되어 상기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큰 저항값으로 가변 제어된다.
정전류원 Iref로부터의 전류는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측(I1) 및 가변 저항(25) 측(I2)에 각각 흐르는 것이지만,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큰 저항값으로 제어되면 가변 저항(25)측에 대해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정전류원 Iref로부터의 전류의 대부분이 트랜지스터 Tr5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 Tr5에 의해 증폭된 전류 I1이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3 및 트랜지스터 Tr4의 각 베이스에 공급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Tr3 및 트랜지스터 Tr4의 각 콜렉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차동 증폭 회로(30)의 트랜지스터 Tr1, Tr2의 각 베이스에는, 각 차동 입력 단자 Pin, Pin_X를 통하여 송신 데이터가 차동 입력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트랜지스터 Trl, Tr2는 상기 차동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차동 증폭 회로(30)의 각 트랜지스터 Trl, Tr2에 교류 차동 입력 전압이 인가 되면, 상기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각 트랜지스터 Tr3, Tr4에 의해, 상기 정전류원 Iref로부터의 전류 I1이 대략 N배로 증폭된 전류 Ic1, Ic2가 차동 입력 전압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이 전류 Ic1을 차동 증폭 회로(30)의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와 콜렉터 저항 Rc1의 접속점으로부터 출력 결합 콘덴서 C3을 통하여 출력시킨다. 또, 전류 Ic2를 차동 증폭 회로(30)의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와 콜렉터 저항 Rc2의 접속점으로부터 출력 결합 콘덴서 C4를 통하여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대략 최대 증폭 출력인 송신 데이터를, 각 차동 출력 단자 Pout, Pout_X를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이 송신 데이터는, 파워 앰프(23)에 공급된다.
다음에, 상기 TPC 비트가 저출력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RAKE 복조부(3)로부터 낮은 제어 전압이 가변 저항(25)에 인가되어 상기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작은 저항값으로 가변 제어된다.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이 작은 저항값으로 제어되면, 가변 저항(25)측에 대 해 전류가 흐르기 쉬워져, 정전류원 Iref로부터의 전류의 대부분이 전류 I2로서 가변 저항(25)측으로 흘러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각 트랜지스터 Tr3~Tr5에 의해 전류량이 감소하고, 전류 I1을 N배한 전류 Ic1, Ic2가 바이어스 전류로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차동 증폭 회로(30)에 공급된 송신 데이터가 증폭되어 상기 각 차동 출력 단자 Pout, Pout_X를 통하여 출력된다.
도 4a에 가변 저항(25)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과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전단에 설치된 가변 이득 앰프(21)의 이득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를 나타내고, 도 4b에 상기 가변 이득 앰프(21) 및 가변 저항(25)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 가변 이득 앰프(21)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압)과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바이어스 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가로축이 상기 RAKE 복조부(3)로부터 가변 저항(25)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V)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이 제어 전압으로 가변되는 가변 이득 앰프(21)의 이득(db)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이득 앰프(21)의 이득은 상기 가변 이득 앰프(21)에 인가하는 제어 전압을 크게 함에 따라 서서히 크게 된다.
이에 대해, 도 4b는 가로축이 상기 RAKE 복조부(3)로부터 가변 저항(25)에 공급되는 상기 제어 전압(V)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바이어스 전류값(I)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도 4b 중 점선은 저출력 시에도 최대 출력 시와 같은 전류량을 소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던 종래의 드라이버 앰프의 특성을 나타내고, 실선은 출력 레벨에 따라 전류량이 제어되는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4a, 도 4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드라이버 앰프(22)는 제어 전압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을 가변 제어하여,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바이어스 전류의 전류량을 가변 제어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도 4b중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큰폭으로 소비 전류량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해당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드라이버 앰프(22)에 대해서 가변 저항(25)을 설치하고, 이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을 상기 TPC 비트에 대응하는 제어 전압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되는 전류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저출력 시에 있어서의 드라이버 앰프(22)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량을 큰폭으로 삭감할 수 있고, SIR(신호 전력대 간섭 전력비) 및 인접 채널 누설비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해당 휴대 전화기의 대폭적인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소비 전력의 삭감을 통해서, 해당 휴대 전화기의 이용 가능 시간(연속 통화 시간, 연속대기 시간)을 장시간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는 드 라이버 앰프(22)의 공급 전력 가변 회로로서 가변 저항(25)을 설치하고, 이 가변 저항(25)의 저항값을 가변 제어하여, 상기 드라이버 앰프(22)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이었지만, 이 제2 실시예는 드라이버 앰프(22)의 공급 전력 가변 회로로서 MOS 트랜지스터(Metal 0xide Semiconductor Transistor)를 설치하고, 이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상기 제어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드라이버 앰프(22)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도 5에 이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드라이버 앰프(22)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도 5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드라이버 앰프(22)의 각 부분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 부분에는 각각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실시예의 구성〕
도 5에 있어서, 이 드라이버 앰프(22)는 공급 전력 가변 회로로서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각 트랜지스터 Tr3~Tr5와 정전류원 Iref의 접속점에 소스가 접속되고 드레인이 접지되는 동시에, 게이트가 상기 RAKE 복조부(3)에 접속된 MOS 트랜지스터(35)를 가지고 있다.
〔제2 실시예의 동작〕
이와 같은 MOS 트랜지스터(35)는 게이트에 대해서 상기 RAKE 복조부(3)로부터의 제어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어 입력되도록 되어 있어, 이 반전 입력된 전압값에 따라 소스-드레인간을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MOS 트랜지스터(35)로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 NMOS)가 형성 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게이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극성의 상기 제어 전압의 전압값에 따라, 소스와 드레인 사이를 흐르는 상기 정전류원 Iref로부터의 전류의 전류량이 제어된다.
또, MOS 트랜지스터(35)로서, p채널 MOS 트랜지스터(= PM0S)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게이트에 인가되는 마이너스 극성의 상기 제어 전압의 전압값에 따라, 소스와 드레인 사이를 흐르는 상기 정전류원 Iref로부터의 전류의 전류량이 제어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상기 TPC 비트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 MOS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에는 이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제어 전압이 극성이 반전되어 공급된다.
이로써, MOS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에는 작은 제어 전압이 공급되어,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측에 흐르는 전류 I1의 전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TPC 비트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 MOS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에는 이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제어 전압이, 극성이 반전되어 공급된다.
이로써, MOS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에는 큰 제어 전압이 공급되어,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측에 흐르는 전류 I1에 대해서, 해당 MOS 트랜지스터(35)측에 흐르는 전류 I2의 전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제2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해당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MOS 트랜지스터(35)의 베이스에 상기 제어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외에, 공급 전력 가변 회로를 MOS 트랜지스터(35) 하나만으로 소규모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2 실시예는 드라이버 앰프(22)의 공급 전력 가변 회로로서 MOS 트랜지스터(35)를 설치하고, 이 MOS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에 상기 제어 전압을 인가하여, 드라이버 앰프(22)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MOS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면 같은 3V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 경우라도, 예를 들면 한쪽의 MOS 트랜지스터는 0.5mA의 전류가 흐르고 다른 쪽의 MOS 트랜지스터는 0.7mA의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이, 별개로 특성의 불균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각 드라이버 앰프(22)마다, 같은 전압값의 제어 전압임에도 불구하고 제어되는 전류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제3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22)는 이와 같이 특성의 불균형을 가지는 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경우라도, 상기 제어 전압에 의해 안정된 전류량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6에 이 제3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22)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도 6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드 라이버 앰프(22)의 각 부분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 부분에는 각각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3 실시예의 구성〕
도 6에 있어서, 이 드라이버 앰프(22)는 공급 전력 가변 회로를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 제1 커런트 미러 회로(41) 및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2)로 구성되어 있다.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는 각각 베이스에 상기 RAKE 복조부(3)로부터의 제어 전압이 차동 입력되는 트랜지스터 Tr6 및 트랜지스터 Tr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는 액티브 소자인 MOS 트랜지스터 Mos1, Mos2를 전자 부하(액티브 더미 로드)로서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M0S 트랜지스터 Mos1은 소스가 상기 정전압원 VCC에 접속되어 있고, 드레인이 자기의 게이트 및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의 트랜지스터 Tr6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M0S 트랜지스터 Mos1은 게이트가 상기 정전압원 VCC에 소스가 접속된 MOS 트랜지스터 Mos3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MOS 트랜지스터 Mos2는 소스가 상기 정전압원 VCC에 접속되어 있고, 드레인이 자기의 게이트 및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의 트랜지스터 Tr7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즉, 각 MOS 트랜지스터 Mos1, Mos2는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의 액티브 콜렉터 부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의 각 트랜지스터 Tr6, Tr7의 베이스에 대해서, 차동 입력으로 되는 상기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구성(듀얼 컨트롤 라인)으로 하였으나, 싱글 컨트롤 라인으로 상기 각 트랜지스터 Tr6, Tr7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Tr6에 대해서 제어 전압을 공급하고, 트랜지스터 Tr7에는 고정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면 된다.
제1 커런트 미러 회로(41)는 각각 베이스끼리가 접속된 트랜지스터 Tr9 및 트랜지스터 Tr8을 가지고 있다. 이 중, 트랜지스터 Tr8은 이미터가 접지되어 있고, 콜렉터가 상기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의 각 트랜지스터 Tr6, Tr7의 이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커런트 미러 회로(41)의 트랜지스터 Tr9는 이미터가 접지되어 있고, 콜렉터가 정전류원 Iref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제1 커런트 미러 회로(41)의 트랜지스터 Tr9의 콜렉터는 해당 트랜지스터 Tr9와 상기 트랜지스터 Tr8의 각 베이스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2)는 각각 베이스끼리가 접속된 트랜지스터 Trl0 및 트랜지스터 Tr11을 가지고 있다. 이 중, 트랜지스터 Tr10은 이미터가 접지되어 있고, 콜렉터가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와 정전류원 Iref1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2)의 트랜지스터 Tr11은 이미터가 접지되어 있고, 콜렉터가 자기의 베이스 및 상기 M0S 트랜지스터 Mos3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동작]
이와 같은 공급 전력 가변 회로는,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에 대해서 상기 RAKE 복조부(3)로부터의 제어 전압을 차동 입력으로서 공급하면, 정전류원 Iref2를 가지는 제1 커런트 미러 회로(41)에 의해, 이 제어 전압의 전압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의 전류를 M0S 트랜지스터 Mos1의 드레인 전류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어 전압의 전압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의 전류가 상기 M0S 트랜지스터 Mos1의 드레인 전류로서 흐르면, M0S 트랜지스터 Mos3을 통하여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2)의 각 트랜지스터 Tr10, Tr11이 온(ON)으로 동작한다. 즉, 커런트 미러 회로(42)의 각 트랜지스터 Tr10, Tr11은 상기 제어 전압과 등가인 전류에 의해 온으로 동작한다.
이로써, 커런트 미러 회로(31)의 트랜지스터 Tr5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2)의 트랜지스터 Tr10을 통해 바이패스된다. 그러므로, 제어 전압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효과]
이 제3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앰프(22)의 공급 전력 가변 회로는 상기 정전류원 Iref1이 접속되어 있는 정전압원 VCC에 접속된 Iref2를 가지고 있고, 차동 전압-전류 변환 회로(40)를 제어 전압으로 온/오프 제어하여, 이 정전류원 Iref2로부터 상기 제어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값의 전류를 얻는다. 그리고, 이 제어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값의 전류를 제1 및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1, 42)로 미러링하고, 상기 제2 커런트 미러 회로(42)에서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한다.
이로써, 같은 정전압원 VCC에 접속된 정전류원 Iref1 및 정전류원 Iref2를 사용하여 상기 바이패스 제어를 할 수 있게 되어, 각 MOS 트랜지스터 Mos1 ~ Mos3의 특성에 절대 불균형이 생기고 있는 경우라도, 향상된 정밀도로 해당 드라이버 앰프(22)의 소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외에,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MOS 트랜지스터 Mos1~Mos3의 상대 불균형은 상기 MOS 트랜지스터 Mos1~Mos3가 같은 웨이퍼로부터 형성된 경우, 어느 정도 보증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다른 적용 분야]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W-CDMA 방식의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출력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기기라면, 예를 들면 IS-95 규격에 대응하는 CDMA 방식의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전화기, 통신 기능을 가지는 PDA(Personal Digital(Data) Assistant)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장치 등의 다른 기기에 적용해도 되고, 이 경우라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드라이버 앰프(22)에 대해서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은 파워업 등의 다른 앰프에 대해서 전력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각 실시예외에도,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설계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 이득 증폭 수단의 이득의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의 후단에 위치하는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전력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증폭 수단의 저출력 시에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큰폭으로 삭감할 수 있고,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대폭적인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소비 전력의 삭감을 통해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기의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신 정보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큰 이득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작은 이득으로, 각각 상기 송신 정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고정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정 이득 증폭 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의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대해 각각 구동용의 일정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전압 공급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의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과;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와 동일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공급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바이패스 제어하는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상기 송신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접속된 바이어스 전류 공급 라인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큰 저항값으로 제어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작은 저항값으로 제어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처리하여 그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하는 바이패스용의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접속된 바이어스 전류 공급 라인에 대해서 소스 및 드레인이 병렬로 접속되고, 게이트에 대해서 극성이 반전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공급되는 M0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M0S 트랜지스터는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의 극성이 반전되어 게이트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제어하고,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의 극성이 반전되어 게이트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처리하는 것으로 그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와 등가의 송신 전력 제어 전류로 변환하는 송신 전력 제어 전류 형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전류 형성 수단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전류가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전류가 작은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 수단의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그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증폭 회로에 있어서,
    정보를 증폭하는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정보에 따른 이득으로 상기 정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정보를 고정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정 이득 증폭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는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의 가변 이득 증폭 수단 및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대하여 각각 구동용의 일정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전압 공급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의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대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과;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이득 제어 정보와 동일한 이득 제어 정보가 공급되고,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큰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작은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제어하는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증폭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접속된 바이어스 전류 공급 라인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큰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큰 저항값으로 제어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하며,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작은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작은 저항값으로 제어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하는 바이패스용의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접속된 바이어스 전류 공급 라인에 대해서 소스 및 드레인이 병렬로 접속되고, 게이트에 대해서 극성이 반전된 상기 이득 제어 정보가 공급되는 M0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M0S 트랜지스터는 큰 이득을 지시하는 상기 이득 제어 정보의 극성이 반전되어 게이트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하고, 작은 이득을 지시하는 상기 이득 제어 정보의 극성이 반전되어 게이트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 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이득 제어 정보와 등가인 이득 제어 전류로 변환하는 이득 제어 전류 형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득 제어 전류 형성 수단으로부터의 이득 제어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이득 제어 전류가 큰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이득 제어 전류가 작은 이득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 이득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량이 적어지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바이패스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폭 회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47017823A 2003-03-07 2004-03-03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 KR101034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2297 2003-03-07
JP2003062297A JP3907052B2 (ja) 2003-03-07 2003-03-07 通信端末装置及び増幅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296A KR20050107296A (ko) 2005-11-11
KR101034873B1 true KR101034873B1 (ko) 2011-05-17

Family

ID=329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823A KR101034873B1 (ko) 2003-03-07 2004-03-03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39468B2 (ko)
EP (1) EP1610457B1 (ko)
JP (1) JP3907052B2 (ko)
KR (1) KR101034873B1 (ko)
CN (1) CN1698266B (ko)
DE (1) DE602004027020D1 (ko)
WO (1) WO2004079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4833A1 (en) * 2005-09-12 2007-03-22 Sahota Gurkanwal S Multi-band radio frequency modulator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20070270111A1 (en) * 2006-05-19 2007-11-22 Broadcom Corporation Dual power mode transmitter
US7860467B2 (en) * 2006-08-29 2010-12-28 Broadcom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a dual mode transmitter
JP5245459B2 (ja) 2008-03-04 2013-07-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CN101489299B (zh) 2009-02-26 2012-05-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载频功放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306502B2 (en) * 2011-05-09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providing switchable impedance transformer matching for power amplifiers
US8786373B2 (en) * 2012-02-21 2014-07-22 Calogero D. Presti Adjustable bypass circuit for a supply voltage for an amplifier
US8970297B2 (en) 2012-03-19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Reconfigurable input power distribution doherty amplifier with improved efficiency
US9031518B2 (en) 2012-12-17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hybrid matching network
CN103490738B (zh) * 2013-07-01 2016-09-21 络达科技股份有限公司 可调增益放大器
CN103546106A (zh) * 2013-10-21 2014-01-29 杜一敏 信号放大电路
CN110504933A (zh) * 2019-08-07 2019-11-26 宁波大学 一种高线性可变增益放大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047A (ja) * 1997-03-27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器
WO1999043083A1 (fr) * 1998-02-19 1999-08-2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Amplificateur pour radiotransmission
JPH11251934A (ja) * 1998-03-06 1999-09-17 Sony Corp 携帯電話機の送信電力制御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0595B2 (ja) 1990-04-20 1997-12-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回路
JP3491910B2 (ja) * 1992-07-03 2004-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演算増幅器
WO1996007927A2 (en) * 1994-09-01 1996-03-14 Philips Electronics N.V. Transconductance amplifier having a digitally variable transconductance as well as a variable gain stage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comprising such a variable gain stage
US5548616A (en) * 1994-09-09 1996-08-20 Nokia Mobile Phones Ltd. Spread spectrum radiotelephone having adaptive transmitter gain control
JPH0918358A (ja) * 1995-06-27 1997-01-17 Sony Corp 無線送信機
US5808516A (en) * 1996-06-28 1998-09-15 Harris Corporation Linearization of voltage-controlled amplifier using MOSFET gain control circuit
JPH1093450A (ja) 1996-09-17 1998-04-10 Fujitsu Ltd 送信装置
JPH118560A (ja) 1997-04-25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出力制御回路及び送信出力制御方法
US6008698A (en) * 1998-05-18 1999-12-28 Omnipoint Corporation Amplifier with dynamically adaptable supply current
US6272336B1 (en) * 1998-12-30 2001-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ffic-weighted closed loop power detection system for use with an RF power amplifier and method of operation
JP4156735B2 (ja) * 1999-01-08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156564A (ja) 1999-11-30 2001-06-08 Toshiba Corp 可変利得増幅回路
US6721368B1 (en) * 2000-03-04 2004-04-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architectures for communications systems
JP2001284998A (ja) * 2000-03-31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装置
US6323732B1 (en) * 2000-07-18 2001-11-27 Ericsson Inc. Differential amplifiers having β compensation biasing circuits therein
US6711391B1 (en) * 2000-10-10 2004-03-23 Qualcomm, Incorporated Gain linearizer for variable gain amplifiers
US6452454B1 (en) * 2000-11-13 2002-09-17 Conexant Systems, Inc. Temperature compensation module
US6566951B1 (en) * 2001-10-25 2003-05-20 Lsi Logic Corporation Low voltage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constant common mode DC output
JP4015405B2 (ja) * 2001-11-07 2007-11-28 富士通株式会社 プッシュプル増幅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047A (ja) * 1997-03-27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器
WO1999043083A1 (fr) * 1998-02-19 1999-08-2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Amplificateur pour radiotransmission
JPH11251934A (ja) * 1998-03-06 1999-09-17 Sony Corp 携帯電話機の送信電力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0457A4 (en) 2006-06-14
EP1610457B1 (en) 2010-05-05
KR20050107296A (ko) 2005-11-11
DE602004027020D1 (de) 2010-06-17
US20060057981A1 (en) 2006-03-16
EP1610457A1 (en) 2005-12-28
CN1698266B (zh) 2013-03-06
JP3907052B2 (ja) 2007-04-18
CN1698266A (zh) 2005-11-16
WO2004079899A1 (ja) 2004-09-16
JP2004274390A (ja) 2004-09-30
US7539468B2 (en)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7246B2 (en) Doherty bias circuit to dynamically compensate for process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US6701138B2 (en) Power amplifier control
EP1418669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34873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증폭 회로
US734022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RU22739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линеаризации для усилителя с переменным усилением
KR100430323B1 (ko) 효율적인병렬단전력증폭기
US7190935B2 (en) Amplifier power detection circuitry
US7346318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component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337974B1 (en) Cellular mobile telephone terminal
JP3664990B2 (ja) 高周波回路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3298360A (ja) 高周波増幅器
RU2209504C2 (ru) Усилитель с переменным усилением и высоким динамическим диапазоном
US6731173B1 (en) Doherty bias circuit to dynamically compensate for process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JP2005538577A (ja) ゲイン調節可能な増幅回路、およびこの増幅回路を備えた送信装置
JPH1079633A (ja) 線形電力増幅器のための利得制御回路
JP2006303850A (ja) 高周波電力増幅回路および無線通信端末
US75452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 efficiency in GSM power amplifiers
US6967533B2 (en) Arrangement for saving energy in transmitter
JP2007306208A (ja) 送信装置並びに利得可変周波数変換回路
JP4322095B2 (ja) 高周波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KR100519316B1 (ko) 전력 증폭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531373B1 (ko) 전력 증폭기
KR20010053189A (ko)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102695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ransmission degrad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