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900B1 - 피아노용 액션부 - Google Patents

피아노용 액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900B1
KR101032900B1 KR1020030079475A KR20030079475A KR101032900B1 KR 101032900 B1 KR101032900 B1 KR 101032900B1 KR 1020030079475 A KR1020030079475 A KR 1020030079475A KR 20030079475 A KR20030079475 A KR 20030079475A KR 101032900 B1 KR101032900 B1 KR 10103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on
upper pen
main body
hee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424A (ko
Inventor
요시수에겐지
아베기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7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2Actions specially adapted for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Golf Club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만으로 만들어진 액션부에 비해 강도가 더 높으면서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생기는 유용한 효과를 가짐으로써, 더 작은 타건 에너지에 의해서도 음량을 얻을 수 있고 액션의 반응특성을 향상시킨 피아노용 액션부를 제공한다. 이 액션부는 건반의 타건에 의해 피봇식으로 이동함으로써 건반의 타건에 의해 생긴 타건 에너지를 해머로 전달하게 된다. 이 액션부는 장섬유 공정에 의해 몰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된 물품으로 형성되며, 보강을 위한 장섬유를 포함한다.
액션부, 위펜, 장섬유

Description

피아노용 액션부{ACTION PART FOR PIANO}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위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위펜을 적용한 액션을 포함하는 건반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위펜이 적용된 경우와 나무로 만든 위펜이 적용된 경우에서, 건반의 타건 속도와 해머의 회전 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위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위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라인 X1-X1을 절취한 횡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펜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1은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위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위펜의 우측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펜 2 : 본체
3 : 힐 부분 6 : 전위부
7 : 후위부 8 : 중앙부
8a : 레버 장착부 3a, 3b, 8e, 8f : 전이부
11 : 전위 홈부 12 : 후위 홈부
13 : 상위 홈부 14 : 중앙 홈부
51 : 액션 52 : 건반
53 : 리피티션 레버
본 발명은 피아노용 액션부(action part)에 관한 것으로서, 타건(打鍵), 즉 건반을 누르면 축을 중심으로 피봇이동(pivotally move)하고, 건반을 누를 때 생기는 타건 에너지(key depression energy)가 해머로 전달되는 액션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랜드 피아노의 액션부의 일부인 위펜(wippen)은 그 재질이 나무이며, 피벗이동을 위한 위펜의 후위(이하, 연주자의 위치에서 볼 때의 앞쪽을 "후위"라 한다) 단부에서 그 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이동하게 된다. 위펜은 건반의 후위부상에 위치한다. 건반을 누르는 타건을 행하면, 위펜은 위로 밀어 올려져 위쪽으로 피벗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잭(jack) 등의 다른 액션부의 부품들을 연동하여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해머가 위쪽으로 피벗이동하여 그 위쪽에 있 는 현을 때리는 타현(打絃)을 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위펜은 그 무게, 즉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피봇이동하게 되고, 건반의 후위부와 접하게 됨으로써, 다음 타건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위펜은 타건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를 해머로 전달하기 위한 액션부의 필수 부품이다. 또한, 액션은 위펜을 통해 건반상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액션의 무게는 건반의 타건시의 가압력 무게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건반의 타건시의 가압력에 의한 무게는 건반의 전위부(front part)에 부착되는 웨이트와 액션의 무게간의 균형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설명한 위펜의 예는, 일본 실용신안 공보 공개번호 소화62-146194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문헌에 있는 위펜은 그 무게감을 더하기 위하여,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거나, 웨이트가 부착되어 있다. 위펜이 일단 위쪽으로 피봇이동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무게가 더해진 위펜은 더 빨리 하강하게 되어, 건반과 신속히 접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위펜은 타건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위펜은 그 재질이 나무인데, 이는 나무가 가벼우면서도 매우 단단하여 타건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성수지와 비교해 볼 때, 나무는 가공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액션의 제조시에 필요한 조정 동작에 있어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 나무는 건조하거나 습도가 높을 때 부피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나무로 만든 위펜은 다른 액션부품들과의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액션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합성수지로 만든 위펜은 나무로 만든 위펜을 사용할 때 생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없으나, 합성수지는 나무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해머의 피벗이동시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동일한 음량을 얻기 위해서는, 타건 에너지를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는 나무에 비해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위펜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액션의 반응 민감성도 떨어지게 되어, 타현에 있어서의 타이밍이 느려지게 된다. 또, 비중이 더 큰 합성수지로 만든 위펜을 포함한 액션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나무재질의 위펜과 동일한 건반의 타건시의 가압력에 의한 무게감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언급한 건반에 부착되는 웨이트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금속재질의 위펜은 나무재질의 위펜을 사용할 때 생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없으나, 합성수지재질의 위펜과 마찬가지로, 금속은 합성수지보다 비중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타현 타이밍이 지연되고, 건반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위펜에 웨이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만으로 만들어진 액션부에 비해 강도가 더 높으면서도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생기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더 작은 타건 에너지에 의해서도 음량을 얻을 수 있고 액션의 반응 민감성을 향상시킨 피아노용 액션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반의 타건에 따라 피벗이동하여, 타건에 의해 생성된 타건 에너지를 해머로 전달하는 피아노용 액션부로서, 액션부 가 장섬유 공정(long fiber process)에 의해 성형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몰딩된 물품으로 형성되며, 보강(reinforcement)을 위한 장섬유를 포함하는 피아노용 액션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액션부는 장섬유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몰딩된 물품에 의해 형성되며 보강용 장섬유를 포함한다. 장섬유 공정은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되는 팰릿(Pellet)의 사출성형에 의해 몰딩되며 팰릿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보강용 물질을 포함하는 물품을 얻기 위한 것이다. 장섬유 공정에 의하면, 섬유의 길이가, 예컨대 0.5 mm 이상인 비교적 섬유질의 보강용 물질이 몰딩된 물품에 포함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액션부는 비교적 긴 보강용 장섬유를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합성수지로만 만들어진 액션부에 비하여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건반에 의해 액션부가 밀어 올려질 때 생기는 액션부의 변형을 유발하는 타건 에너지의 전달 손실을 감소시켜, 해머의 왕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더 작은 타건 에너지를 가지고도 동등한 수준의 음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액션부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가공 정밀도와 치수 안정성을 보장하는 합성수지의 유용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장섬유는 카본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션부의 가동부분(movable portion)에 먼지가 붙게 되면, 액션부의 반응 민감성이 낮아질 수 있어 액션부의 움직임이 느려지게 된다. 또, 일반적으로 카본 섬유는 유리 섬유와 같은 다른 보강용 장섬유에 비해 전기 도전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액션부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포함된 보강용 장섬유로서 카본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액션부의 전기 도전성을 증가시켜 정전 변화가능성(electrostatic changeability)을 낮출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액션부에 먼지가 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액션부의 양호한 움직임과 액션의 양호한 반응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액션부에 먼지가 붙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액션의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액션을 조정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작업자의 손과 옷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션부는 이 액션부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무게 경감용 부분(lightening portion)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액션부에 무게 경감용 부분이 제공되기 때문에, 액션부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션부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하여, 액션의 반응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액션의 전체 무게는 액션부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어, 건반에 부착된 웨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합성수지로만 만들어진 액션부에서는, 무게의 감소가 제한되는데, 이는 충분한 타건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션부는 상술한 장섬유에 의해 매우 높은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액션부의 무게가 감소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강도의 적절한 여유도(margin)에 의해 강도에 대한 무게 감소의 영향의 정도가 매우 작다. 이에 의하면, 액션부의 무게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데, 무게 경감부를 제공함으로써 액션부의 무게를 최대한으로 감 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액션부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액션부의 높은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ABS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액션부에는 다른 부품이 단단히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ABS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접착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액션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ABS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액션부에 고정되는 다른 부품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어, 액션의 조립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카본 섬유와 같은 보강용 물질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사출성형에 의해 몰딩되는데, 만일 용융유동성 속도인 멜트플로우 속도(melt flow rate)가 크다면, 몰드로 흘러들어가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입 속도가 높아져서, 몰딩된 물품에서 보강용 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지향되기 쉽게 된다. 이것은 몰딩된 물품의 강도의 비등방성(anisotropy)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ABS 수지는 멜트플로우 속도가 작은 고무성질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BS 수지에 의해 액션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액션의 강도에 대한 비등방성이 억제될 수 있으며, 액션부의 높은 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액션부의 충격강도가 ABS 수지의 연성(ductility)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액션부는 건반의 타건에 의해 위로 밀려 올려짐으로써 피벗이동하는 위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펜은 타건 에너지를 다른 액션 부품을 통해 해머로 전달하기 위해 건반에 의해 직접 위로 밀어 올려져서 피벗이동을 하기 위한 필수 액션 부품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이 위펜에 적용되는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위펜의 강도는 배우 높은 정도로 증가하게 되어, 건반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지는 액션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타건 에너지를 전달함에 있어서의 전달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상기 언급한 유용한 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위펜은 다른 액션부와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해머가 현을 때리는 타현을 이루어지도록 피벗이동을 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무게 경감부가 위펜에 형성되면, 위펜의 동작이 그 감소된 무게만큼 신속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위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전위부와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후위부(rear part)와 상기 전위부 및 후위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central part)를 구비하고, 상기 전위부 및 후위부의 수직 높이보다 더 큰 수직 높이를 갖는 본체와; 건반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지며, 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하부 표면을 갖는, 하나의 부재에서 다른 부재로 변화하는 각각의 전이부(transition portion)를 통해 본체의 전위부 및 후위부와 연속으로 연결되는, 뒷굽모양의 힐 부분(heel portion)과;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홈부(reces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건반에 의해 힐 부분이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됨으로써,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위펜은 후단부(rear end)를 통해 연장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건반의 추력(thrusting force)에 의해 생기는 굽힘 하중(bending load)은 힐 부분과, 이 힐 부분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본체의 중앙부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특히 힐 부분과 중앙부가 쉽게 변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의 중앙부는 전위부와 후위부의 수직 높이보다 더 큰 수직 높이를 가지며, 힐 부분은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하부면을 갖는 전이부를 통해 본체의 전위부 및 후위부와 연속하여 연결됨으로써, 위펜의 높이(수직 길이)가 힐 부분과 본체 사이의 경계부에서 점진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위펜의 굽힘 강도가 증가하고, 중앙부와 힐 부분의 전체 강도가 증가하게 되어, 건반에 의해 밀어 올려질 때 생기는 위펜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타건 에너지를 전달할 때의 전달 효율을 추가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펜의 높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힐 부분 및 본체 사이의 경계부에서 점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건반의 추력이 작용할 때 경계부에서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펜에 응력집중에 의한 부작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부(무게 경감부)는 본체 및/또는 힐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위펜의 무게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펜의 움직임이 더 신속하게 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펜은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술한 무게 경감부와 유사한 홈부를 제공함으로써 위펜의 무게를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의 전위부 및 후위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상부 표면을 갖는 전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중앙부와 연속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의 전위부 및/또는 후위부는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상부 표면을 갖는 전이부를 통해 본체의 중앙부와 연속으로 연결되고, 위펜의 높이(수직 길이)는 전위부 및/또는 후위부와 중앙부간의 경계부에서 점진적으로 변한다. 이에 의하여, 경계부의 강도를 가능한 높게 유지하고, 경계부에서의 응력집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힐 부분은 이 힐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건반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지는 힐 부분은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강도, 특히 변경되기 쉬운 힐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후단부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와 연속하여 연결되는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가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힐 부분과;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위펜의 본체와 연속하는 힐 부분의 전면 및/또는 후면은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힐 부분과 본체 사이의 경계부에서, 위펜의 높이는 힐 부분으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됨으로써, 강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경계부에서의 강도는 높이를 급격하게 감소시킨 종래의 위펜과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다. 또, 위펜의 높이는 힐 부분과 본체 사이의 경계부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건반의 추력이 작용할 때 경계부에서 응력집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이 응력집중에 의해 생기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체 및/또는 힐 부분에는 홈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위펜의 높이는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홈부는 본체와 힐 부분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홈부는 위펜의 넓은 영역 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위펜의 무게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보면, 그랜드 피아노의 액션(5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액션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펜(1)(액션 부품)이 포함되어 있고, 건반(52)은 키오프(key-off: 건반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액션(51)은 전후방향(도 3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위펜(1)을 구비하며, 위펜(1)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잭(54)과 리피티션 레버(repetition lever)(53) 및 캡스턴 나사(60)에 의해 건반(52)의 후위부(도 3에서는 좌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위펜(1)은 위펜 플랜지(58)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위펜 플랜지(58)에 대해 피벗이동되는 후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리피티션 레버(53)의 전위부의 상단부에는 생크 롤러(shank roller)(55)에 의해 해머(56)가 위치하게 된다. 또, 건반(52)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건반에 실을 수 있는 무게인 터치 웨이트(touch weight)를 조정하기 위하여 웨이트(도시 안됨)가 건반에 부착된다.
건반(52)이 눌려져 키오프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면, 위펜(1)이 위로 밀어 올려지고, 리피티션 레버(53)와 잭(54)이 위펜(1)과 함께 위쪽으로 피봇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위쪽으로 피벗이동된 잭(54)은 생크 롤러(55)에 의해 해머(56)를 위로 밀어 올려 현(S)을 때리도록 한다.
위펜(1)은 장섬유 공정(long fiber process)에 의해 몰딩된다. 이 장섬유 공정에서, 위펜(1)은 팔레트를 몰딩(아래에 설명됨)하고 사출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팔레트는 미리 정해진 장력을 인가하여 배향된 카본 섬유의 로빙(roving), 예컨대 ABS 수지로 피복시켜서 몰딩이 되는데, 이러한 ABS 수지는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고무성질의 폴리머(rubbery polymer)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이에 의하면, 팔레트가 몰딩될 때 카본 섬유의 로빙을 브레이킹(braking)하지 않고 카본 섬유가 팔레트에 포함되기 때문에, 팔레트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카본섬유가 팔레트에 포함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팔레트의 길이가 5 내지 15 밀리미터(mm)로 설정되기 때문에, 팔레트를 이용하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위펜(1)에 0.5 내지 2 mm의 길이를 갖는 카본 섬유가 포함된다. 상기 고무성질의 폴리머의 용융유동성 속도인 멜트플로우 속도(melt flow rate)는 비교적 작은 값, 예컨대 2.16 kg의 하중과 230 ℃의 검사조건하에서 10분당 0.1 내지 50 g의 범위로 설정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위펜(1)은 도 1에는 도시된 측면 모양을 가지며, 위펜(1)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하부측과 연속으로 연결되며 건반(52)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지는 뒷굽모양의 힐 부분(heel section)(3)이 포함되어 있다. 위펜(1)은 좌우방향으로의 두께가, 이하 설명되는 홈부(recesses)를 제외한 부분에서 소정의 크기(예컨대, 9.6 mm)로 설정된다. 또, 위펜(1)의 전체 무게는 대략 10 그램(g)이다.
본체(2)는 앞쪽에서부터 전위부(6), 중앙부(8) 및 후위부(7)의 순서로 분리되어 있다. 전위부(6)와 후위부(7)는 그 단면이 기본적으로 사각형이고, 전위부(6)는 미리 정해진 높이 H2(수직 길이)를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위부(7)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높이는 미리 정해진 높이 H2와 거의 동일한 미리 정해진 높이 H3(수직 길이)을 갖지만, 후위부의 중간 부분은 미리 정해진 높이 H3보다 계단모양으로 더 낮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중간 부분의 뒤쪽 부분은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짧게 연장되어 있고, 수평으로 연장된 후위단부를 연속하게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8)의 높이 H1(수직 길이)은 전위부(6)의 높이 H2와 후위부(7)의 높이 H3 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중앙 부(8)의 후단부쪽으로 향하는 부분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레버를 장착하기 위한 레버 장착부(8a)가 있다. 또, 중앙부(8)의 상부와 전위부(6) 및 후위부의 상부는 각 전이부(8e, 8f)에 의해 서로 연속되도록 되어 있다. 전면측 전이부(8e)의 상면은 전위부(6)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중앙부(8)까지 바깥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한편, 후면측 전이부(8f)의 상면은 후위부(7)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중앙부(8)까지 안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힐 부분(3)은 중앙부(8)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힐 부분(3)의 하부와 전위부(6) 및 후위부(7)의 하부는 전이부(3a, 3b)에 의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면측 전이부(3a)의 하면은 전위부(6)로부터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힐 부분(3)까지 안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한편, 후면측 전이부(3b)의 하면은 후위부(7)로부터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힐 부분(3)까지 안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연장되어 있는데, 전면측 전이부(3a) 보다는 다소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 힐 부분(3)의 바닥면의 중앙부는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는 캡스턴 나사 접촉부(3c)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이 캡스턴 나사(60)와 접하게 된다.
위펜(1)의 좌측과 우측에는 위펜(1)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복수개의 홈부(무게 경감용 부분)가 형성되어 있는데,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복수개의 홈부는 전위 홈부(11), 후위 홈부(12), 상위 홈부(13) 및 중앙 홈부(14)(도면에는 1개씩만 도시함)가 각각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는 위펜(1)이 사출성형에 의해 몰 딩될 때, 위펜(1)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위 홈부(13)를 제외한 홈부(11, 12, 14)는 그 깊이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데, 구체적으로 말해서 위펜(1)을 몰딩하기에 충분히 큰, 하한값을 예컨대 1 mm로 하여 설정된다.
전위 홈부(11)는 각각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주변부를 제외하고는, 전위부(6)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전면측 전이부(3a)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위 홈부(12)는 각각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주변부를 제외하고는, 후위부(7)의 후단부의 바로 앞에 있는 후위부(7)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후면측 전이부(8f)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위 홈부(13)는 각각 레버 장착부(8a)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위 홈부(13)는 한쪽 면이 레버 장착부(8a)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 대략 사각형이며, 후위 홈부(12) 및 중앙 홈부(14)와는 이격되어 있다.
중앙 홈부(14)는 각각 힐 부분(3)의 각각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외측 주변부와 전이부(3a, 3b, 8e)를 제외하고는, 중앙부(8)로부터 힐 부분(3)의 전체로 연속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앙 홈부(14)의 하부에서 캡스턴 나사 접촉부(3c)의 바로 위의 위치에는, 힐 부분(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두께를 넓힌 보강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15)는 위펜(1)이 사출성형으로 몰딩될 때 위펜(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15)는 대략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서 중앙 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장 돌출된 부분이 힐 부분(3)의 대향측면 각각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기 위해 그 선단이 위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의할 것은, 종래의 위펜과 마찬가지로, 전위부(6)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앞쪽 부분이 두 갈래로 나누어져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되어 잭 장착부(6a)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잭 장착부(6a)의 두 갈래(좌측 및 우측)로 갈라진 부분에는 좌우방향에서 관통하여 연장되는 잭(54)을 장착하기 위한 잭 장착용 홀(6b)이 형성되어 있다. 잭 장착용 홀(6b)에는 잭(54)을 지지하기 위한 핀(도시 안됨)을 통과하기 위한 부싱 클로스(bushing cloth)(도시 안됨)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전위부(6)에는 잭 장착부(6a)의 뒤쪽에서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푼 장착용 홀(spoon-mounting hole)(6c)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푼 장착용 홀(6c)에 스푼(57)(도 3 참조)이 압입(press-fit)된다.
레버 장착부(8a)는 좌측부와 우측부의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갈라진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리피티션 레버(53)를 장착하기 위한 레버 장착용 홀(8b)이 상단부에, 리피티션 스프링(61)(도 3 참조)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용 홀(8c)이 중앙부에 있다. 레버 장착용 홀(8b)에는 부싱 클로스(도시 안됨)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후위부(7)의 후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지지를 위한 홀(7a)이 형성되어 있다. 위펜(1)은 홀(7a)을 관통한 중앙 핀에 의해 위펜 플랜지(58)(도 3 참조)로 피봇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위펜(1)은 보강용의 장섬유로서 길 이가 0.5 내지 2 mm 인 비교적 긴 카본 섬유를 포함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체(2)의 중앙부(8)의 높이 H1은 전위부(6)의 높이 H2와 후위부(7)의 높이 H3보다 더 높도록 설정됨으로써, 중앙부(8)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힐 부분(3) 및 중앙부(8)는 만곡된 전이부(3a, 3b) 및 만곡된 전이부(8e, 8f)에 의해 전위부(6) 및 후위부(7)와 연속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경계부에서, 위펜(1)의 높이(수직 길이)는 전후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있어, 그 강도도 감소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경계부에서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힐 부분(3)의 강도는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15)에 의해 증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위펜(1)은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지게 되며, 이에 의하여 타건 에너지의 전달 손실을 감소시키게 되어 해머(56)의 왕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더 작은 타건 에너지에 의해서도 동일한 수준의 음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보강용의 장섬유로서 카본 섬유가 포함되기 때문에, 위펜(1)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위펜(1)의 양호한 움직임과 액션(51)의 양호한 반응 민감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위펜(1)에 먼지가 붙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액션(51)의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액션(51)을 조정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작업자의 손과 옷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펜(1)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가공 정밀도와 치수 안정성을 보장하는 합성수지의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위펜(1)은 높은 접착성을 갖는 ABS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싱 클로스를 접착제 를 이용하여 잭 장착용 홀(6b)과 레버 장착용 홀(8b)에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션(5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펜(1)의 높이는 전이부(3a, 3b, 8e, 8f)에 의해 힐 부분(3)과 본체(2)간의 경계 부분, 후위부(7)와 중앙부(8)간의 경계 부분, 및 후위부(7)와 중앙부(8)간의 경계 부분에서 완만하게 변하기 때문에, 건반(52)의 추력이 위펜(1)에 작용할 때 경계 부분에서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응력집중의 부작용이 위펜(1)에 작용을 미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명한 바와 같이, 위펜(1)의 측면에는 허용 가능한 최대의 영역과 깊이를 가지도록 홈부(11~14)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위펜(1)의 무게를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위펜의 움직임이 신속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건반(52)의 타건에 대한 액션(51)의 반응 민감성을, 예를 들어 현(S)을 때리는 타현의 타이밍을 신속하게 하는 것과 같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액션(51)의 전체 무게는 위펜(1)의 무게의 감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건반에 부착된 웨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 홈부(14), 전위 홈부(14), 후위 홈부(12) 및 상위 홈부(13)는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그 경계 부분들은 두꺼운 리브(rib)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경계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펜(1)을 형성하는 ABS 수지에 포함된 고무성질의 폴리머의 멜트플로 우 속도는 비교적 작은 값이 되기 때문에, 카본 섬유를 몰딩된 제품에서 특정의 방위로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위펜(1)의 강도가 균등하게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펜(1)의 높은 강도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위펜(1)의 충격강도(impact strength)를 ABS 수지의 연성(ductility)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펜(1)이 사용되는 경우와 나무로 만든 위펜이 사용되는 경우, 실선으로 나타낸 건반(52)의 타건 속도 KV(m/s)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해머(56)의 왕복 속도 HV(m/s)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건 속도 KV에 대한 해머(56)의 왕복 속도 HV(m/s)는 나무로 만든 위펜을 사용할 때보다 위펜(1)을 사용할 때 다소 더 크다. 위펜(1)의 향상된 강도를 실현하였기 때문에, 나무로 만든 위펜의 강도보다 같거나 더 큰 강도를 갖는 위펜(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해머의 왕복 속도가 더 빨라지면 건반을 강하게 때렸을 때 생기는 음량이 커진다. 또, 해머의 왕복 속도는 타건 속도, 즉 타건 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타건 에너지가 매우 크게 되면, 해머의 왕복 속도는 포화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상술한 관계로부터, 해머의 왕복 속도의 포화값이 낮으면, 건반이 강하게 타건되는 경우에도, 피아노는 충분한 수준의 음량을 내지 못하게 되며, 피아노의 음악적 표현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해머의 왕복 속도의 포화값은 위펜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펜(1)은 나무로 만든 위펜에 비해 강도가 더 높기 때문에, 해머의 왕복 속도의 포화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위펜(1)을 이용하면 피아노의 음악적 표현을 풍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펜(20)(액션부)을 나타낸다. 도 5와 도 6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펜(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펜(20)은 주로 측면의 모양과, 위펜(20)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각각의 홈(35)(무게 경감부)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위펜(20)의 상면에는 전위부(6)의 후단부로부터 위쪽 그리고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안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연장된 전면부가 있으며, 레버 장착부(8a)와 연속으로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 장착부(8a)의 뒤쪽에서 위펜(20)의 상면의 일부는 상면의 전면측 부분과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구성된다. 레버 장착부(8a)는, 상술한 상위 홈부(13)를 대신하여,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고 위펜(20)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무게 경감부용 홀(30)(무게 경감부)이 형성된 하단부를 각각 갖는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을 구비한다.
힐 부분(22)은, 그 외형이 전위부(6)의 후단부로부터 대략 수직 아래로 연장하는 전면부(22a), 이 전면부(22a)의 하단부로부터 아래쪽 그리고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전위 경사면(22b), 이 전위 경사면(22b)의 하단부로부터 계단부를 거쳐 수평으로 연장하는 바닥면(22c), 이 바닥면(22c)의 후단부로부터 계단부를 거쳐 위쪽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비스듬히 짧게 연장하는 후위 경사면(22d), 및 이 후위 경사면(22d)의 후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히 약간의 만곡 형태로 연장하는 후면부(22e)로 둘러싸여 있다. 전위 경사면(22b)과 후위 경사면(22d)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경사면(22b, 22d)이 없고 바닥면(22c)이 전면부(22a)와 후면부(22e)에 대해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위펜(20)의 높이는 전위 경사면(22b)과 후위 경사면(22d)이 앞쪽 그리고 뒤쪽으로 점차 감소되게 됨으로써, 그에 따라 위펜(20)의 무게도 더 감소하게 된다.
본체(2)와 힐 부분(22)의 대향 측면에는,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외측 주변부를 제외하고, 후위부(7)로부터 힐 부분(22)의 전체로 각각 연장하는 홈부(35)(하나씩만 도시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5)의 각각의 깊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중앙 홈부(14) 등의 깊이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홈부(35)에는 중앙부(8)로부터 힐 부분(22)까지의 영역에서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모두 9개의 무게 경감용 홀(31)(무게 경감부)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9개의 무게 경감용 홀(31) 중에서, 홈부(35)의 상부와 레버 장착부(8a)의 아래에 2개의 홀이 형성되고, 홈부(35)의 중심부에 4개의 홀이 형성되며, 홈부(35)의 하부에 3개의 홀이 형성되는데, 이들 상부, 중심부 및 하부에 있는 홀은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체적으로는 9개의 무게 경감용 홀(31)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홈부(3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앙 홈부(14) 등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 깊이를 가지며, 후위부(7)로부터 힐 부분(22)의 전체까지의 영역범위에 형성되고, 무게 경감용 홀(30, 31)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펜(20)의 무게를 허용 가능한 최대범위까지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펜(70)(액션부)을 나타낸다. 도 7과 도 8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위펜(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위펜(70)은 주로 측면의 모양과 위펜(7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홈부(35)(무게 경감부)의 구성이 상이하다.
레버 장착부(71a)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면부와 후면부의 모양만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전면부는 안쪽으로 만곡된 면을 통해 중앙부(71)의 상면과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후면부는 뒤쪽으로 선형으로 연장하는 경사면을 통해 중앙부(71)의 상면과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앙부(71)는 그 높이가 전위부(6)와 후위부(7)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 H4(수직 길이)를 가지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힐 부분(72)은 그 외형이 수직방향으로 거의 선형으로 연장하는 전면부(72a)와 후면부(72b), 이 전면부(72a)와 후면부(72b)의 하단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면(72d)으로 둘러싸여 있다. 힐 부분(72)의 바닥면(72d)은 약간 함몰되어 있는 중앙 부분을 갖는 캡스턴 나사 접촉부(72c)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캡스턴 나사 접촉부(72c)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면(72d)에는 전면부(72a)와 후면부(72b)의 하단부의 약간 위쪽 위치로부터 캡스턴 나사 접촉부(72c)까지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부분들이 있다.
또한, 힐 부분(72)의 전면부(72a)는 직선으로 연장하는 전위 경사면(71b)(전이부)을 통해 전위부(6)의 하면과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힐 부분(72)의 후면부(72b)는 직선으로 연장하는 후위 경사면(71c)(전이부) 을 통해 후위부(7)의 하면과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힐 부분(72)과 중앙부(71) 사이의 경계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하는 하부 내측 리브(8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내측 리브(81)는 전위 경사면(71b) 및 후위 경사면(71c)과 연속하여 연결되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각각 갖는다.
또한, 위펜(70)의 각 측면에 있는 홈부는 본체 홈부(75), 레버 홈부(76) 및 힐 홈부(77)로 구성된다. 본체 홈부(75)는 전위부(6)의 후위측 부분과 후위부(7)의 중간 부분 사이의 긴 거리 위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또, 본체 홈부(75)는 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따라 연장하는 외측 리브(82)와 하부 내측 리브(81)에 의해 둘러싸인 모양을 가지며, 외측 홈부(75a) 및 중앙 홈부(75b)로 형성된다.
중앙 홈부(75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 베이스가 하부 베이스에 비해 더 길게 되어 있는 뒤집힌 마름모꼴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는 중앙부(71)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다른 2개의 경사 라인은 전위 경사면(71b) 및 후위 경사면(71c)과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다. 중앙 홈부(75b)는 상술한 것과 같은 모양을 가지며, 중앙 홈부(75b)의 외측에 위치한 본체 홈부(75)의 일부는 외측 홈부(75a)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홈부(75a)의 깊이는 소정의 제1 값 W1(예컨대, 3.3 mm)로 설정되고, 중앙 홈부(75b)의 깊이는 상기 소정의 제1 값 W1에 비해 더 큰 소정의 제2 값 W2(예컨대, 3.4 mm)로 설정된다.
레버 홈부(76)는 레버 장착부(71a)의 하부에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부 내측 리브(83)는 본체 홈부(75)와 레버 장착부(71a) 사이의 경계부상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레버 홈부(76)는 상부 내측 리브(83)와 레버 장착부(71a)의 스프링 장착용 홀(8c) 사이의 영역 전체에 형성된다. 레버 홈부(76)의 상부는 위쪽으로 만곡된 형태로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레버 장착부(71a)의 전면부과 후면부상에 배치된 각각의 리브는 상부 내측 리브(83)에 비해 약간 더 얇은 두께를 갖는다. 레버 홈부(76)의 깊이는 힐 홈부(77)의 값과 동일한 미리 정해진 제3 값 W3으로 설정되는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힐 홈부(77)는 하부 내측 리브(81)와, 힐 부분(72)의 전면부(72a), 바닥면부(72d) 및 후면부(72b)로 둘러싸여 있는 모양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홈부(77)의 깊이는 미리 정해진 제3 값 W3(예컨대, 3.3 mm)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향하는 힐 홈부(77)는 캡스턴 나사 접촉부(72c)의 바로 위에 있는, 힐 부분(7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85)를 구비한다. 이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85)는 대체로 원추형이고, 힐 홈부(77)의 상단부터 바닥까지 수직으로 제공되어 있다. 이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85)는 좌우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 힐 부분(3)의 대향 측면과 동일 높이를 갖는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 홈부(75)는 본체(2)의 대향 측면의 넓은 영역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힐 홈부(77)와 레버 홈부(76)가 각각 힐 홈부(72)와 레버 장착 부(71a)에 형성되기 때문에, 위펜(70)의 무게를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71)의 높이 H4는 전위부(6)와 후위부(7)의 높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 중앙부(71)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 힐 부분(72)의 강도는 힐 부분(72)의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85)에 의해 증가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힐 부분(72)이 건반(52)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지면, 위펜(70)은 지지를 위한 홀(7a)을 통해 연장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이동을 한다. 이에 의하여, 굽힘 하중(bending load)이 위펜(70)에 인가됨으로써, 굽힘 응력을 만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굽힘 응력은 위펜(70)의 중앙부에서는 작고 그 외측부에서는 크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 따라, 본체 홈부(75)의 깊이가 중앙 홈부(75b)에 대해 더 큰 값으로 설정되고, 외측 홈부(75a)에 대해서는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굽힘 응력을 분산시켜 적절하게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높은 강도를 갖는 것과 함께 적절히 균형을 맞춰 무게를 감소시킨 위펜(70)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체(75)의 외측 홈부(75a)와 중앙 홈부(75b)는 계단모양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위펜(70)을 몰딩시키기 위한 몰드는 그 깊이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홈부를 갖는 위펜을 몰딩시키기 위한 몰드에 비해 더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펜(90)(액션부)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위펜(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위펜(90)은 주로 측면 모양과, 위펜(9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홈부의 구성이 상이하다.
제1 실시예와 달리, 레버 장착부(91a)의 하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지 않고, 측면은 대략 마름모꼴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레버 장착부(91a)의 하단부에는 각각 본체(2)의 중앙부(91) 및 후위부(92)와 연속하도록 연결되어 안쪽으로 만곡된 전면부와 후면부가 있다.
지지를 위한 홀(7a)이 형성된 후위부(92)의 부분은 이하 설명되는 홈부를 제외하고는 위펜(90)의 다른 부분들보다 더 얇게 되어 있으며, 앞쪽과 뒤쪽으로 인접하는 부분은 후위부(92)의 맨 처음 언급한 부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링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도 10A 참조).
힐 부분(93)의 외형은 전면부(93a)와 후면부(93b)와 이 전면부(93a) 및 후면부(93b)의 하단부들 사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바닥면(93c)으로 둘러싸여 있다. 힐 부분(93)의 전면부(93a)는 본체(2)의 전위부(96)의 후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약간 만곡된 형태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아래쪽으로는 거의 직선으로 짧게 연장되어 있다. 힐 부분(93)의 후면부(93b)는 전면부(93a)에 대해 거의 대칭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후면부(93b)는 후위부(92)의 전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약간 만곡된 형태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앞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거의 직선으로 짧게 연장되어 있다. 힐 부분(93)의 바닥면(93c)은 중심부가 약간 오목하게 된 캡스턴 나사 접촉부(93d)에 대해 전후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형성되며, 전면부(93a)와 후면부(93b)의 하단부의 약간 위쪽으로부터 힐 부분(93)의 중심까지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위펜(90)의 각 측면에 있는 홈부(무게 경감부)는 본체 홈부(94)와 레버 홈부(95)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 홈부(94)는 미리 정해진 깊이(예컨대, 3.8 mm)를 가지며, 전위부(6)의 후면부로부터, 후위부(92)의 지지를 위한 홀(7a)과 함께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91), 힐 부분(93) 및 후위부(92)까지의 영역에, 본체(2)와 힐 부분(93)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외측 주변부외에는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부(96)는 본체 홈부(94)의 전단부를 통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언급한 스푼 장착용 홀(6c)에 대응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 보강부(96)는 대략 원통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연장하고. 좌우방향을 따라 측면이 돌출되어 있다. 또,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 장착용 홀(6c)이 보강부(96)의 중심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보강부(96)가 우측을 향하여 전위부(6)의 상면에 인접하는 위치, 사용자측에서 봤을 때 사용자측을 향하는 위치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위치까지 아래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보강부(96)는 좌측보다 우측이 더 돌출되고, 가장 돌출된 부분이 전위부(6)의 우측면과 동일 높이를 갖게 된다.
레버 홈부(95)는 레버 장착부(91a)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 레버 홈부(95)는 대략 마름모꼴 모양을 가지며, 측면이 본체 홈부(94)로부터 이격되어 레버 장착부(91a)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면을 갖는다. 레버 홈부(95)는 본체 홈부(94)의 깊이 값보다 약간 더 큰 미리 정해진 값(예컨대, 4.0 mm)으로 설정되는 고정된 깊이를 갖는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힐 부분(93)의 전면부(93a)와 후면부(93b)는 본체(2)와 함께 연속으로 만곡된 형태로 연장되기 때문에, 건반(52)의 추력이 가해질 때 경계부에서의 응력집중이 생기는 것과 응력집중에 의해 생기는 문제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힐 부분(93)과 본체(2)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체 홈부(94)가 본체(2)와 힐 부분(93)의 대향 측면의 넓은 범위에 연속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뿐만 아니라, 레버 홈부(95)가 레버 장착부(91a)에 형성되기 때문에, 위펜(90)의 무게를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의 액션용 위펜에 적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의 위펜외의 액션부와, 위펜이 있는 업라이트 피아노(upright piano)의 액션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건 에너지를 해머로 전달하는데 포함되는, 위펜이외의 액션부를 이루는 잭 등의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단부에 접착된 레버 스킨(59)(도 3 참조)을 갖는 리피티션 레버(5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피티션 레버(53)는 ABS 수지로 몰딩된 제품으로 형성되며, 레버 스킨(59)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리피티션 레버(53)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기 때문에, 액션(5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위펜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홈부로서 본체(2)와 힐 부분(3, 22, 72 또는 93)에 홈부(11 내지 14) 등이 형성될 수 있지만, 본체와 힐 부분 중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홈부(11 내지 14) 등은, 본 발명의 목적, 즉 무게를 줄이면서 강도를 높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모양이나 크기라도 가능하다.
또한, 전이부(8e, 8f)의 상면은 만곡 형태로 연장되어 있지만, 직선으로 비스듬히 연장해도 된다. 또, 전이부(8e, 8f)는 중앙부(8), 전위부(6) 및 후위부(7)의 사이의 경계부에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경계부들 중 하나에만 제공되어도 된다. 또,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부(15)의 모양과 크기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힐 부분(3)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한, 어떠한 모양이나 크기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힐 부분(93)의 전면부(93a)와 후면부(93b)는 모두 만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부와 후면부 중 하나만 만곡된 형태로 할 수 있고, 또 전면부와 후면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직선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만으로 만들어진 액션부에 비해 강도가 더 높으면서도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생기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며, 더 작은 타건 에너지에 의해서도 음량을 얻을 수 있고 액션의 반응 민감성을 향상시킨 피아노용 액션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건반의 타건에 따라 피벗이동하여, 상기 건반의 타건에 의해 생성되는 타건 에너지를 해머로 전달하는 피아노용 액션부로서,
    상기 액션부는 장섬유 공정에 의해 성형되며 보강용 장섬유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로 몰딩된 물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섬유 공정은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되며 동일 길이의 섬유 보강물질을 함유하는 팰릿을 사출성형하여 몰딩한 물품을 얻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카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부는 이 액션부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무게 경감용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ABS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부는 상기 건반의 타건에 의해 위로 밀려 올려짐으로써 피벗이동하는 위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전위부와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후위부 및 상기 전위부와 후위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위부 및 후위부의 수직 높이보다 더 큰 수직 높이를 갖는 중앙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건반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지며, 상기 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하부 표면을 갖는 각각의 전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전위부 및 후위부와 연속으로 연결되는 힐 부분과;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위부 및 후위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표면을 갖는 전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중앙부와 연속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힐 부분은 이 힐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두께를 증가시킨 보강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펜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며, 후단부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와 연속하여 연결되는 전면부 및 후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비스듬한 직선 또는 만곡된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힐 부분과;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힐 부분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액션부.
KR1020030079475A 2003-02-28 2003-11-11 피아노용 액션부 KR101032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54708 2003-02-28
JP2003054708 2003-02-28
JP2003196633A JP4363920B2 (ja) 2003-02-28 2003-07-14 ピアノのウィッペン
JPJP-P-2003-00196633 2003-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424A KR20040077424A (ko) 2004-09-04
KR101032900B1 true KR101032900B1 (ko) 2011-05-06

Family

ID=3285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475A KR101032900B1 (ko) 2003-02-28 2003-11-11 피아노용 액션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1728B2 (ko)
JP (1) JP4363920B2 (ko)
KR (1) KR101032900B1 (ko)
CN (2) CN1542729B (ko)
DE (1) DE10356149B4 (ko)
TW (1) TWI2907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29B1 (ko) * 2002-12-16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앵글을 지원하는 데이터 구조로 기록된 정보저장매체및 그 장치
JP4363920B2 (ja) * 2003-02-28 2009-11-1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ウィッペン
JP2005141182A (ja) 2003-10-14 2005-06-0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レペティションレバー
JP4989864B2 (ja) * 2005-03-11 2012-08-0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アクション
JP5276767B2 (ja) 2005-07-05 2013-08-2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レバー
US7687693B2 (en) * 2007-06-14 2010-03-30 Wessell, Nickel & Gross Grand piano composite piano action
US7687694B2 (en) * 2007-06-14 2010-03-30 Wessell, Nickel & Gross Low inertia grand piano piano action
US9495940B2 (en) * 2014-03-20 2016-11-15 Casio Computer Co., Ltd.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instrument
JP6464868B2 (ja) * 2015-03-25 2019-02-06 ヤマハ株式会社 サポ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鍵盤装置
JP6540147B2 (ja) 2015-03-25 2019-07-10 ヤマハ株式会社 サポ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鍵盤装置
WO2016156913A1 (de) * 2015-04-02 2016-10-06 Leopold Merzendorfer Hammermechanik mit tasteneinrichtung und hammereinrichtung, zum anschlagen eirner saite eines tasteninstruments, mit mindestens einer modifizierung zum erzielen einer hohen anschlagrepetitionsfrequenz
US9899014B2 (en) * 2015-04-10 2018-02-20 Casio Computer Co., Ltd.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instrument
US10431403B2 (en) * 2017-04-04 2019-10-01 Yamaha Corporation Reactive force generation device
CN108694924A (zh) * 2018-08-09 2018-10-23 曹阳 一种双面板琴体共振古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929A (en) * 1986-09-02 1988-09-13 Toray Industries, Inc. 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JPH04279638A (ja) * 1991-03-06 1992-10-05 Mitsubishi Kasei Corp 導電性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9281959A (ja) * 1996-04-18 1997-10-3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レピティションレバー
JP2003044037A (ja) * 2001-08-02 2003-02-14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アク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0095A (en) * 1962-03-05 1966-03-15 Steinway & Sons Piano action bushing assembly
US3583271A (en) * 1969-01-13 1971-06-08 Baldwin Co D H Plastic piano action
US3878752A (en) * 1970-08-28 1975-04-22 Tsuguo Yamada Piano hammer felt
JPS62146194A (ja) 1985-12-12 1987-06-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充填装置
US5945617A (en) * 1996-10-29 1999-08-31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Piano keyboard device including improved support chassis and optional action simulation mechanism,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DE19903701C5 (de) * 1999-01-30 2006-12-1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hermoplastischen Formkörpers, der Kohlefasern enthält
JP4363920B2 (ja) * 2003-02-28 2009-11-1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ウィッペ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929A (en) * 1986-09-02 1988-09-13 Toray Industries, Inc. 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JPH04279638A (ja) * 1991-03-06 1992-10-05 Mitsubishi Kasei Corp 導電性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9281959A (ja) * 1996-04-18 1997-10-3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レピティションレバー
JP2003044037A (ja) * 2001-08-02 2003-02-14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アク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63920B2 (ja) 2009-11-11
CN1542729A (zh) 2004-11-03
JP2004318042A (ja) 2004-11-11
TWI290710B (en) 2007-12-01
US20040168562A1 (en) 2004-09-02
DE10356149A1 (de) 2004-09-09
TW200425054A (en) 2004-11-16
CN1542729B (zh) 2010-10-27
DE10356149B4 (de) 2017-06-01
US7141728B2 (en) 2006-11-28
KR20040077424A (ko) 2004-09-04
CN2716954Y (zh)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900B1 (ko) 피아노용 액션부
US8158876B2 (en) Keyboard apparatus
US8716588B2 (en) Key press switch for electronic piano
US7897860B2 (en) Keyboard apparatus
EP1701335B1 (en) Action for piano
JP5488985B2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型アクション
JP5276767B2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レバー
JP3984563B2 (ja) ピアノのウィッペン
US7678977B2 (en) Repetition lever of grand piano
JP5073191B2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バット
JP3415605B2 (ja) 鍵盤装置
JP2008122978A (ja) ピアノのアクション部品
JP3920234B2 (ja) グランド型ピアノのウィッペン
JP2005140992A (ja) ピアノのハンマー
JP2002108341A (ja) 電子ピアノ用鍵盤装置
JP4071137B2 (ja) グランド型ピアノのウィッペン
JP2005099609A (ja) ピアノのハンマーシャンク
JPH11305760A (ja) 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2004272074A (ja) ピアノのウィッ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