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162B1 - 배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162B1
KR101031162B1 KR1020040028854A KR20040028854A KR101031162B1 KR 101031162 B1 KR101031162 B1 KR 101031162B1 KR 1020040028854 A KR1020040028854 A KR 1020040028854A KR 20040028854 A KR20040028854 A KR 20040028854A KR 101031162 B1 KR101031162 B1 KR 10103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attery charger
contact portion
conductive blad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422A (ko
Inventor
사까이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9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충전기의 AC 플러그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에 수납되거나, 횡회전될 때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AC 플러그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 및 대략 직각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를 돌출하는 단면을 구비한다. 제1 면 및 제1 회전축이 제1 측면에 설치된다. 제2 면 및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설치된다. 한 쪽의 도전성 블레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접점부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된다. 다른 쪽의 도전성 블레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접점부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및 제2 접촉부의 선단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성 스프링 단자는 케이스의 기판에 설치된다. 각 접촉부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작은 배터리 충전기가 제공된다.
배터리 충전기, AC 플러그, 도전성 블레이드, 도전성 스프링 단자, 케이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기 {BATTERY CHARGER}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와 AC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2는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와 AC 플러그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외관을 표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외관을 각 방향에서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 플러그의 도전성 블레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6a 내지 도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 플러그가 조립된 배터리 충전기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 플러그의 구성 및 동작과 종래의 AC 플러그의 구성 및 동작을 비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개략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충전기
2 : 케이스
3 : AC 플러그
4 : 도전성 블레이드
5 : 단부면
15 : 접점부
17 : 도전성 스프링 단자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AC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의 케이스에 수납 가능한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매우 많은 종류의 휴대용 기기가 다양한 세대에 받아들여졌고 널리 이용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의 대부분의 전원은 전지이다. 특히, 최근에 전지 기술의 진보나 사용자의 재활용 의식이 증가하는 등의 배경으로, 많은 휴대용 기기가 충전 가능한 전지(예컨대, 리튬-이온전지)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가능한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전지를 충전하는 많은 배터리 충전기가 판매되어 왔다. 종래의 배터리 충전 기와 마찬가지로, AC 플러그가 충전기 본체에 수납될 수 있고(일본 특허 공개 평6-38388호 참조), 충전기 본체와 AC 플러그가 서로 접촉 가능한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실용신안 공개 평5-88152호 공보 참조) 배터리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6-38388호에 따르면, AC 플러그는 AC 플러그가 구비하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AC 플러그는 충전기 본체에서 90도 돌출되어 교류전원의 콘센트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AC 플러그는 상기 2개의 블레이드의 판면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한편, AC 플러그가 도전성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AC 플러그는 충전기 본체에서 90도 돌출된다는 점에서 유사한 구성이지만, AC 플러그가 상기 2개의 블레이드의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소위 횡회전형)하는 유형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횡회전형과 같은 AC 플러그의 회전 형태를 "횡회전"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의 예들은 도1a, 도1b 및 도2에 도시된다. 도1a 및 도1b는 교류 전원의 콘센트에 삽입되는 AC 플러그가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로부터 약90도의 각도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도1A)와 평면도(도1b)이다.
도1a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52), AC 플러그 회전축(53) 및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점부(54)를 구비하는 AC 플러그(51)가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50)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AC 플러그(51)는 AC 플러그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d)의 방향으로 약90도까 지 횡회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회전에 의해, AC 플러그(51)는 케이스(5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접점부(54)가 AC 플러그 회전축(53)의 표면에 배치된다. 접점부(54)는 각각 대응하는 도전성 블레이드(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접점부(54)는 원형의 AC 플러그 회전축(53)의 표면 외주부 주위에 AC 플러그 회전축(53)의 중심점을 끼워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도1a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접점부(54)는 각각 2개의 대응하는 도전성 스프링 단자(55)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C 플러그(51)가 화살표(d)의 방향으로 약90도 회전될 때, AC 플러그 회전축(53)의 일부분도 역시 유사하게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AC 플러그 회전축(53)의 표면에 배치된 접점부(54)도 역시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점부(54)는 각각 대응하는 도전성 스프링 단자(55)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분리된다.
접점부(54) 및 도전성 스프링 단자(55)의 접촉 상태가 도1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다. 공동부(56)는 AC 플러그(51)가 도1a에서 화살표(d)의 방향으로 약90도까지 횡회전될 때, 도전성 블레이드(52)를 수납하는 공간이다.
도2는 AC 플러그(51)가 상술한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상태, 즉, 블레이드(52)가 케이스(50)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돌출된 상태 경우에 있어서의 AC 플러그(51)의 주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타입의 배터리 충전기에 따르면, 특히 도1a를 참조하면 명백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극의 접점부(54)는 AC 플러그(51)의 동일 측의 AC 플러그 회전축(53) 표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접점부가 AC 플러그 회전축의 한 쪽 표면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외 안전 규격에 따른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 2개의 접점부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상으로 설정되어야만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해외 안전 규격인 UL [미국 보험 협회 안전 시험소(Underwriters Laboratories)] 1310에 따르면, 이 경우의 접점부 사이의 거리는 6.4 mm 이상을 확보해야만 한다.
게다가, 2개의 접점부 사이의 거리를 소정의 값 이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AC 플러그의 회전축 일부분이나 도전성 스프링 단자도 크기가 크게되어야만 한다는 문제도 생긴다. 결론적으로, AC 플러그의 회전축 주변부에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고, 배터리 충전기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AC 플러그의 회전축 주변부가 보다 작은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는 소형의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태양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을 갖는 배터리 충전기로 달성되며, 즉, 교류 전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AC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로서; 상기 AC 플러그는 제1 도전성 블레이드, 제2 도전성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는 일단측에 설치된 일정한 폭의 판면(plate surface)을 갖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와, 타단이 L자형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반원형으로 된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를 각각 접속하는 제1 협폭부(narrow width portion) 및 제2 협폭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의 각각의 면이 상기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의 판면과 수직인 위치 관계가 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연장선의 위치에 비해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가 회전 중심측에 보다 근접하도록, 상기 제1 협폭부 및 제2 협폭부가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AC 플러그를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의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AC 플러그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에 수납되거나,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 및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를 직각으로 돌출시키는 단부면과, 상기 단부면에 직교하여 상기 AC 플러그의 제1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형성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기판에, 상기 제1 접점부의 선단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도전성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접점부의 선단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2 도전성 스프링 단자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의 각각의 회전 반경이 작게 억제되기 때문에, 제1 도전성 스프링 단자 및 제2 도전성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AC 플러그의 회전축 주변부의 크기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작은 크기의 배터리 충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성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동봉된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a에서는 교류 전원의 콘센트에 삽입되는 AC 플러그(3)가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AC 플러그(3)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를 구비하고, AC 플러그(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a)의 방향으로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4)를 회전(횡회전)시켜, 도전성 블레이드(4)를 케이스(2)로부터 약90도 돌출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 충전기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충전하기 사용된다.
도3b는 AC 플러그(3)가 도3a의 상태로부터 화살표(a)의 방향으로 약90도 회전시켜, 도전성 블레이드(4)가 케이스(2)의 측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도전성 블레이드(4)가 교류 전원의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의 각 일단이 절연성 수지에 의해서 지지된다. 게다가, 도전성 블레이드(4)는 상기 지지부의 일부인 단부면(5)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상호 평행하게 지지된다. 배터리 충전기(1)는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4)를 통해 얻어지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3b에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AC 플러그(3)를 약90도 회전(횡회전)시킴으로써, AC 플러그(3)는 케이스(2) 내에 수납되어, 도3a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4a 내지 도4d는 케이스 내의 돌출된 AC 플러그(3)를 구비한 배터리 충전기 (1)를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4a는 배터리 충전기(1)의 평면도이고, 도4b는 배터리 충전기(1)의 측면도이며, 도4c는 배터리 충전기(1)의 저면도이고, 도4d 배터리 충전기(1)의 정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기(l)에 따르면, 충전될 대상으로서 배터리가 도4d에서 도시된 좌측 홈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는 도4a에서 도시된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배터리를 상기 홈부분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고, 배터리를 화살표(c)의 선단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장착시킨다. 따라서, 배터리의 단자는 슬라이드 셔터(9) 내의 단자 접점부와 접촉하여, 배터리는 이 상태로 충전된다.
도4a에서는 배터리 잠금용 갈고리(6), 배터리가 슬라이드할 때 훅형 압축 부재(7) 및 충전램프(8)가 도시된다.
다음에 AC 플러그(3)의 구조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5a는 도전성 블레이드(4)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5a는 도전성 블레이드(4)의 정면도이고, 도5b는 도전성 블레이드(4)의 저면도이며, 도5c는 도전성 블레이드(4)의 측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플러그(3)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를 포함하지만, 동일 형상의 도전성 블레이드(4)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블레이드(4)의 일단은 소정 폭의 판면을 갖고 있고, 이 부분이 교류전원의 콘센트에 삽입된다(이하, 이 부분을 삽입부라 한다). 이 부분의 폭, 두께, 길이 등은 소정의 규격에 준하는 것이다. 도전성 블레이드(4)의 타단은 L자형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이 접점부(15)로서 사용된다. AC 플러그(3)를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접점부(15)는 도전성 스프링 단자와 접촉하여, 기판 상의 회로 부에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도5a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블레이드(4) 내의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접점부(15)는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양자간의 협폭부(a narrow width portion)는 해당 2개의 부분을 접속하도록 비스듬히 구부러져 형성된다(이하, 이 구부러진 부분을 협폭부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AC 플러그(3)에 따른 회전 반경이 작아질 수 있지만, 이 점에 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6a 내지 도6d는 AC 플러그(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6a는 AC 플러그(3)의 정면도이고, 도6b는 AC 플러그(3)의 측면도이며, 도6c는 AC 플러그(3)의 배면도이고, 도6d는 AC 플러그(3)의 평면도이다.
도6b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AC 플러그(3)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를 포함한다. 주로, 도전성 블레이드(4)의 협폭부가, 예컨대, 절연성의 수지 등에 매립된다(도6b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 삽입부 및 접점부(15)는 상기 절연성 수지 등으로부터 외측에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사용되는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는 동일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의 도전성 블레이드(4)의 접점부(15)는 제1 면(11)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다른 쪽의 도전성 블레이드(4)의 접점부(15)는 제1 면(11)에 대향하는 제2 면(12)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는 접점부(15)가 절연성 수지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서 서로 가장 근접한다. 상기 근접하는 부분은 상기 협폭부의 일단이고, 접점부(15)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4)가 절연성 수지와 일체화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UL1310의 요구 거리(수지 내부의 절연 거리) 가 0.8 mm으로 단축되어, 상기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가 실질상 서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의 삽입부는 절연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부면(5)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호 평행하게 유지된다.
도6b 및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플러그(3)는 상기 제1 면(11) 및 상기 제2 면(12)으로부터 각각 돌출한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축은 배터리 충전기(1) 케이스(2)의 AC 플러그(3) 저장부 주변의 구조에 의해서 지지되고,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C 플러그(3)가 케이스(2)로부터 돌출될 때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한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기구용의 오목부(18)를 AC 플러그(3)의 우단에는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갈고리가 케이스(2)에 설치된다. 따라서, AC 플러그(3)가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 및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각각 AC 플러그(3)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도7a 내지 도7c를 참조하면, 상기 AC 플러그(3),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 및 도전성 스프링 단자 사이의 위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도7a 내지 도7c는 상기 AC 플러그(3)와 케이스(2) 내의 주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7a는 AC 플러그(3)가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7b 및 도7c는 AC 플러그(3) 내의 2개의 접점부(15)가 2개의 대응하는 도전성 스프링 단자(17)에 어떻게 접촉하는 가를 도시한다.
도7b 및 도7c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쪽의 접점부(15)는 대응하는 도전성 스프링 단자(17)에 접촉하고, 다른 쪽의 접점부(15)는 대응하는 별도의 도전성 스프링 단자(17)에 접촉한다. 이 예로서, AC 플러그(3)가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유사한 접촉 상태는 AC 플러그(3)가 배터리 충전기(1)의 케이스(2)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도 실현된다. 이것은 양쪽의 접점부(15)가 본 발명에 따른 매우 작은 회전 반경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이다.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은 도전성 블레이드(4), 접점부(15) 및 도전성 스프링 단자(17)를 통해 기판(16)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접점부(15)는 각각 AC 플러그(3)의 대향측의 측면에 배치되고, 각 도전성 블레이드(4)의 협폭부의 일단은 절연성의 수지 등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는 AC 플러그(3)의 회전축부근에서 매우 근접하고 (예컨대, 0.8 mm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판 내의 다른 부품과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접점부(15)가 AC 플러그(3) 본체로부터 가능한 한 돌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한 쪽의 접점부(15)의 단부와 다른 쪽의 접점부(15)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약8.4mm [AC 플러그(3)의 회전축상의 거리만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1)의 AC 플러그(3) 및 상술한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의 AC 플러그(51)의 구조는 도8a 내지 도8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 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1)의 AC 플러그(3)의 배면도이고, 도6c와 유사하다. 도8b는 본 발명의 AC 플러그(3)의 평면도이며 상기 AC 플러그(3)가 약90도 회전된 상태의 천이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8c는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의 AC 플러그(51)의 배면도이다. 도8d는 종래의 AC 플러그(51)의 평면도이며 상기 AC 플러그(51)가 약90도 회전된 상태의 천이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이다.
도8a 및 도8c를 대비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1)의 AC 플러그(3)에 있어서, 접점부(15)가 AC 플러그(3)의 양방의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AC 플러그(3)의 회전축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AC 플러그(3)의 회전축 부근의 2개의 도전성 블레이드(4)의 간격은, 예컨대, 0.8 mm로 설정될 수 있어, 해외 안전 규격 UL1310의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2개 접점부(15)가 AC 플러그(3)의 회전축으로 근접되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한 쪽의 접점부 근방의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분과 다른 쪽의 접점부 근방의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분이, 예컨대, 절연성 수지 등에 의해서 격리되기 때문에, 양자는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15)의 회전 반경은 작아질 수 있고, 각각의 주변 부품으로부터 공간 거리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이 경우에 있어서 접점부(15)의 회전 반경은 약4.30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의 AC 플러그(51)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54)는 AC 플러그(51)의 한 쪽에만 배치된다. 그러므로, AC 플러그(51)의 회전축과 직교 하는 방향에서 접점부 사이의 간격은 해외 안전 규격 UL1310의 요구에 의해 6.4mm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는, 상기 접점부(54)의 회전 반경이 커서, 각각의 주변 부품으로부터 공간 거리를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예컨대, 이 경우에 있어서 접점부(54)의 회전 반경은 약6.33mm 이상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쪽의 접점부 근방의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분과 다른 쪽의 접점부 근방의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분이,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에 의해서 격리되기 때문에, 양자는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접점부의 회전 반경이 작게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AC 플러그의 회전축의 주변부는 보다 작은 공간에서 구성될 수 있어, 보다 크기가 작은 배터리 충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수치는 단순히 예로서 나타내고, 다른 적절한 값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에 동봉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3)

  1. 교류 전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AC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로서,
    상기 AC 플러그는 제1 도전성 블레이드, 제2 도전성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는
    일단측에 설치된 일정한 폭의 판면(plate surface)을 갖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와,
    타단이 L자형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반원형으로 된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를 각각 접속하는 제1 협폭부(narrow width portion) 및 제2 협폭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의 각각의 면이 상기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의 판면과 수직인 위치 관계가 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연장선의 위치에 비해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가 회전 중심측에 보다 근접하도록, 상기 제1 협폭부 및 제2 협폭부가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AC 플러그를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의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AC 플러그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에 수납되거나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 및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의 일부를 직각으로 돌출시키는 단부면과, 상기 단부면에 직교하여 상기 AC 플러그의 제1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형성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2 접점부가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기판에, 상기 제1 접점부의 선단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도전성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접점부의 선단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2 도전성 스프링 단자가 설치되는, 배터리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 근방의 상기 제1 도전성 블레이드의 부분과 상기 제2 접점부 근방의 상기 제2 도전성 블레이드의 부분이 상기 지지부 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지지부 내의 상기 부분의 주위가 절연체로 구성되는, 배터리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플러그의 상기 단부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의 면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갈고리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배터리 충전기.
KR1020040028854A 2003-04-28 2004-04-27 배터리 충전기 KR101031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4432A JP3985726B2 (ja) 2003-04-28 2003-04-28 バッテリー充電器
JPJP-P-2003-00124432 2003-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422A KR20040093422A (ko) 2004-11-05
KR101031162B1 true KR101031162B1 (ko) 2011-04-27

Family

ID=3329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854A KR101031162B1 (ko) 2003-04-28 2004-04-27 배터리 충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70258B2 (ko)
JP (1) JP3985726B2 (ko)
KR (1) KR101031162B1 (ko)
CN (1) CN1302577C (ko)
TW (1) TWI248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88367Y (zh) * 2004-12-16 2006-06-14 陈振岩 便携式电子产品的备用电池接口装置
JP2007103304A (ja) * 2005-10-07 2007-04-19 Nagano Japan Radio Co Acアダプタ
TW200913426A (en) * 2007-09-07 2009-03-16 Acbel Polytech Inc Network real-time electric power monitoring system
TWI378625B (en) * 2007-12-28 2012-12-01 Charger device
US9024581B2 (en) * 2008-05-21 2015-05-05 James W. McGinley Charger plug with improved package
CN102044650B (zh) * 2009-10-16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充电器
JP5468995B2 (ja) * 2010-06-01 2014-04-09 東芝テクノネットワーク株式会社 電源部着脱型増幅器
CN102394412A (zh) * 2011-11-14 2012-03-28 昆山鸿日达电子科技有限公司 手机电池连接器
WO2015024225A1 (zh) * 2013-08-22 2015-02-26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充电器
USD762570S1 (en) * 2014-04-02 2016-08-02 Asian Express Holdings Limited Charger
CN112736602B (zh) * 2019-10-14 2022-07-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插头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371A (ja) * 1994-01-28 1995-08-18 Sanyo Electric Co Ltd 折りたたみ式のプラグイン充電器
JP2001143808A (ja) * 1999-11-17 2001-05-25 Mitsumi Electric Co Ltd 電源プラグ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523A (en) * 1977-01-17 1978-04-25 Izumi Products Company Rechargeable battery
US4467263A (en) * 1983-01-31 1984-08-21 Pittwa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powered flashlight system
US5006779A (en) * 1984-07-26 1991-04-09 Pittway Corporation Electrical unit with multi-position switch
US4794315A (en) * 1988-01-11 1988-12-27 Pittwa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powered device
US5057381A (en) * 1990-12-20 1991-10-15 David Persen Satellite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r system
JP3069927B2 (ja) * 1991-11-22 2000-07-24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Acアダプタ
JPH0638388A (ja) * 1992-07-17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器
JP3057344B2 (ja) * 1992-08-18 2000-06-26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電源プラグ装置
JPH0680271U (ja) * 1993-04-23 1994-11-08 入一通信工業株式会社 回転式プラグの接点機構
JP3234134B2 (ja) * 1995-07-07 2001-12-04 ホシデン株式会社 回転式コンセントプラグの構造
JPH11195447A (ja) * 1997-12-26 1999-07-21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ラグ収納式acアダプタ
JP3458061B2 (ja) * 1998-09-11 2003-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充電器
US6275002B1 (en) * 2001-01-23 2001-08-14 Son Kon Co., Ltd. Rotary charging plug structure of a char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371A (ja) * 1994-01-28 1995-08-18 Sanyo Electric Co Ltd 折りたたみ式のプラグイン充電器
JP2001143808A (ja) * 1999-11-17 2001-05-25 Mitsumi Electric Co Ltd 電源プラグ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2577C (zh) 2007-02-28
CN1551404A (zh) 2004-12-01
TWI248693B (en) 2006-02-01
TW200509440A (en) 2005-03-01
KR20040093422A (ko) 2004-11-05
US20040212343A1 (en) 2004-10-28
US7170258B2 (en) 2007-01-30
JP3985726B2 (ja) 2007-10-03
JP2004328979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162B1 (ko) 배터리 충전기
US20050020133A1 (en) Plug connection for a mobile terminal
US20130316553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plug module
JP3841080B2 (ja) バッテリー充電器
US20110028042A1 (en) Power plug and power plug assembly
JP2002260768A (ja) 電源変換アダプタ装置
US20050048847A1 (en) Electrical power jack
CN216872437U (zh) 多方位旋转可拆换电子连接器及其第一和第二连接头
US11223171B2 (en) Multifunctional plug and power adapter
CN218898387U (zh) 一种充电端子、气溶胶生成装置及气溶胶生成系统
CN210120422U (zh) 一种带翻盖结构的充电器
CN219575985U (zh) 一种充电器
CN209805061U (zh) 充电头和充电器
CN213522727U (zh) 转动式充电器
JP2007012392A (ja) 三芯の電源プラグ
JP2003203708A (ja) 栓刃電極収納具及びacアダプタ
CN219610815U (zh) 充电器
CN215834863U (zh) 一种充电器
CN211088545U (zh) 连接器、电池组件及电子装置
CN215497430U (zh) 一种充电结构
US20050112917A1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N210724268U (zh) 充电座和充电装置
CN210778748U (zh) 装配方便的线材安装结构
JP3240021U (ja) 電源プラグ
CN201041861Y (zh) 插座连接器后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