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005B1 - 증착 소스 - Google Patents

증착 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005B1
KR101030005B1 KR1020090091144A KR20090091144A KR101030005B1 KR 101030005 B1 KR101030005 B1 KR 101030005B1 KR 1020090091144 A KR1020090091144 A KR 1020090091144A KR 20090091144 A KR20090091144 A KR 20090091144A KR 101030005 B1 KR101030005 B1 KR 10103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member
deposition
receiving member
cruc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590A (ko
Inventor
심혜연
지창순
이종우
권도성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005B1/ko
Priority to US12/857,665 priority patent/US20110076399A1/en
Publication of KR2011003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005B1/ko
Priority to US13/923,186 priority patent/US94350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8Vacuum evaporation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23C14/30Vacuum evaporation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electron bombard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 H10K71/441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in the presence of solvent vapors, e.g. solvent vapour annealing

Abstract

균일한 증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증착 재료가 내부에 배치된 도가니, 상기 도가니 내부의 상기 증착 재료 상부에 배치되는 열전달 부재 및 상기 열전달 부재를 수용하고 메쉬판을 구비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착 소스{Deposition source}
본 발명은 증착 소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균일한 증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증착 소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미세한 박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특히 평판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박막을 형성하여 제조되므로 박막의 특성 향상이 중요하다.
평판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다른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하여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하고 응답속도가 빨라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주위에 배치되는 유기층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공정이 단순한 진공 증착법이 자주 사용된다. 진공 증착법은 증착을 하기 위한 분말, 고체 형태의 증착 재료를 도가니에 넣고 도가니를 가열하여 원하는 부분에 증착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 증착법은 점 형태의 증착 소스를 이용하거나 선형태의 증착 소 스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진공 증착법은 도가니에 증착 재료 분말을 넣고 도가니를 가열하여 기체분자가 기판 방향으로 이동하여 증착 물질이 기판에 안착되어 원하는 증착막을 형성한다.
이 때 증착 재료에 불균일하게 열이 전달되어 증착 재료가 불균일하게 증발하거나, 증착 재료가 증발하면서 덩어리져 튀어나오는 스플래쉬(splash)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증착 특성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증착막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증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증착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착 재료가 내부에 배치된 도가니, 상기 도가니 내부의 상기 증착 재료 상부에 배치되는 열전달 부재 및 상기 열전달 부재를 수용하고 메쉬판을 구비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열전달 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증착 재료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부재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는 메쉬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고,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는 상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는 메쉬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측면부와 용접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증착 재료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메쉬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Ti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도가니의 내주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쉬판은 상기 열전달 부재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증착 소스는 증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착 장치(1000)는 챔버(101) 및 챔버(101)내부에 배치된 증착 소스(100)를 구비한다. 챔버(101)내부에는 증착 소스(100)와 대향하도록 기판(103)이 배치된다. 기판(103)은 증착 물질이 증착되는 영역으로서 고정된 후에 증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는데, 클램프 또는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된다.
챔버(101)내부는 진공 또는 저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펌프(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챔버(101)의 측면에는 기판(103)의 출입을 위한 한 개 이상의 출입구(102)가 배치된다.
증착 소스(100)는 증착 재료(120)가 내부에 배치된 도가니(110), 수용 부재(130) 및 열전달 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증착 소스(100)는 점형(point type)으로 사각형의 도가니(11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의 단면을 갖는 도가니(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가니(110)는 금속 또는 전도성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가니(110)내부에 채워진 증착 재료(120)는 발열부(미도시)에 의하여 가열 되어 기체 상태로 변하여 기판(103)을 향하여 이동하여 기판(103)에 증착된다. 발열부는 전자 빔 가열 방식 또는 저항 가열 방식으로 도가니(110)를 가열할 수 있다.
도가니(110)내부에 열전달 부재(150)를 수용한 수용 부재(130)가 배치된다. 열전달 부재(150)는 도가니(110)를 가열 할 때 증착 재료(120)에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증착의 균일도를 향상한다. 열전달 부재(150)는 열전달 입자(thermo ball)일 수 있다. 열전달 부재(150)는 증착 재료(120)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열전달 효율이 좋으며 고온에서도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를 포함한다. 구 체적으로 열전달 부재(150)는 적절한 직경의 Si분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증착 재료(120)가 유기물인 경우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유기물이 덩어리져 튀어나오는 스플래쉬(splash)현상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열전달 부재(150)는 증착 재료(120)상부에 배치되어 증착 재료(120)에서 기화된 기체분자들이 열전달 부재(150)를 통과하여 기판(103)방향으로 방사된다. 즉 덩어리진 기체분자들은 열전달 부재(150)들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스플래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열전달 부재(150)는 수용 부재(130)에 배치된다. 수용 부재(130)는 바닥부(131), 측면부(132) 및 상면부(133)를 구비한다. 바닥부(130), 측면부(132) 및 상면부(133)는 메쉬판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30), 측면부(132) 및 상면부(133)는 열전달 부재(15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열전달 부재(150)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갖는 메쉬판으로 형성된다.
수용 부재(130)의 바닥부(131), 측면부(132) 및 상면부(133)는 내열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전달 부재(150)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용 부재(130)는 지지부(134)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134)는 측면부(132)에 형성되는데 측면부(132)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4)는 바닥부(131)와 상면부(133)를 연결하여 수용 부재(130)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지지부(134)는 내구성이 우수한 티타늄(Ti)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부재(130)는 열전달 부재(150)를 수용하여 열전달 부재(150)가 증착 재 료(120)상부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한다. 입자 형태의 열전달 부재(150)가 증착 재료(120)상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증착 재료(120)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고 증착 재료(120)의 스플래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입자 형태의 열전달 부재(150)는 도가니(110)의 흔들림 또는 도가니(110)내부의 압력 분포 변화 등으로 인하여 증착 재료(120)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열전달 부재(150)는 수용 부재(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입자 형태의 열전달 부재(150)가 증착 재료(120)상부에 균일하게 위치한다. 특히 수용 부재(130)의 빈 공간이 없도록 열전달 부재(150)를 채우는 경우 열전달 부재(150)는 더 효과적으로 증착 재료(120)상부에서 균일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 부재(130)는 도가니(110)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수용 부재(130)가 도가니(110)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증착 재료(120)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수용 부재(130)의 바닥부(130), 측면부(132) 및 상면부(133)는 열전달 부재(150)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갖는 메쉬판으로 형성되므로 열전달 부재(150)를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증착 재료(120)에서 기화된 기체분자들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균일한 증착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부재(130)는 상면부(133)를 포함하는데, 상면부(133)는 수용 부재(130)에 열전달 부재(150)를 배치하기 전에 수용 부재(130)와 분리되어 있다가 열전달 부재(150)를 수용 부재(130)에 배치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측면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의 수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갖는 수용 부재(2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열전달 부재(250)는 수용 부재(230)에 배치된다. 수용 부재(230)는 바닥부(231), 측면부(232) 및 덮개부(233)를 구비한다. 또한 측면부(232)에는 지지부(234)가 형성된다. 바닥부(230), 측면부(232) 및 덮개부(233)는 메쉬판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230), 측면부(232) 및 상면부(233)는 열전달 부재(25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열전달 부재(150)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갖는 메쉬판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부재(230)는 덮개부(233)를 포함하는데, 덮개부(233)는 측면부(232)와 용접 방법으로 접합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용 부재(130)에 열전달 부재(150)를 배치하고 나서, 도 4(b)와 같이 덮개부(233)로 열전달 부재(150)를 덮어 열전달 부재(150)를 고정한다. 덮개부(233)에는 덮개부(23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덮개부(233)를 지지하는 돌출부(233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수용 부재(230)는 전술한 실시예의 수용 부재(130)와 달리 별도로 분리된 덮개부(230)를 구비한다. 이를 통하여 수용 부재(230)에 열전달 부 재(250)를 용이하게 배치하고, 수용 부재(230)로부터 열전달 부재(25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증착 공정 조건에 따라 열전달 부재(250)의 양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수용 부재(230)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수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증착 장치(2000)는 챔버(201) 및 챔버(201)내부에 배치된 증착 소스(300)를 구비한다. 챔버(201)내부에는 증착 소스(300)와 대향하도록 기판(203)이 배치된다. 또한 챔버(201)의 측면에는 기판(203)의 출입을 위한 한 개 이상의 출입구(202)가 배치된다.
증착 소스(300)는 기판(20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선형(linear type)구조이다. 증착 소스(3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지만 증착 소스(300)의 타 방향으로의 폭은 기판(203)의 길이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증착 소스(300)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선형(linear type)이므로 기판(203)의 전체 면적을 증착하기 위하여 증착 소스(300)는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 소스(300)의 하단부에는 일 방향 또는 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305)가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부(305)에 의하여 증착 소스(300)는 직선 운동을 하면서 기판(203)을 균일하게 증착할 수 있다.
증착 소스(300)는 증착 재료(320)가 내부에 배치된 도가니(310), 수용 부 재(330) 및 열전달 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증착 소스(300)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도가니(310)를 포함한다.
도가니(310)내부에 열전달 부재(350)를 수용한 수용 부재(330)가 배치된다. 열전달 부재(350)는 도가니(310)를 가열 할 때 증착 재료(320)에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증착의 균일도를 향상한다. 열전달 부재(350)는 열전달 입자(thermo ball)일 수 있다.
수용 부재(330)는 바닥부(331), 측면부(332) 및 상면부(333)를 구비한다. 바닥부(330), 측면부(332) 및 상면부(333)는 메쉬판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330), 측면부(332) 및 상면부(333)는 열전달 부재(35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열전달 부재(350)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갖는 메쉬판으로 형성된다.
수용 부재(330)는 지지부(334)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334)는 측면부(332)에 형성되는데 측면부(332)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34)는 바닥부(331)와 상면부(333)를 연결하여 수용 부재(330)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지지부(334)는 내구성이 우수한 티타늄(Ti)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부재(330)는 열전달 부재(350)를 수용하여 열전달 부재(350)가 증착 재료(320)상부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한다. 즉 수용 부재(330)로 인하여 입자 형태의 열전달 부재(350)가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증착 재료(320)상부에 균일하게 위치한다. 특히 수용 부재(330)의 빈 공간이 없도록 열전달 부재(350)를 채우는 경우 열전달 부재(350)는 더 효과적으로 증착 재료(320)상부에서 균일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 부재(330)는 도가니(310)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수용 부재(330)가 도가니(310)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증착 재료(320)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부재(330)는 상면부(333)를 포함하는데, 상면부(333)는 수용 부재(330)에 열전달 부재(350)를 배치하기 전에 수용 부재(330)와 분리되어 있다가 열전달 부재(350)를 수용 부재(330)에 배치한 후에 용접 방법으로 측면부(33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의 수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갖는 수용 부재(4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열전달 부재(450)는 수용 부재(430)에 배치된다. 수용 부재(430)는 바닥부(431), 측면부(432) 및 덮개부(433)를 구비한다. 또한 측면부(432)에는 지지부(434)가 형성된다. 바닥부(430), 측면부(432) 및 덮개부(433)는 메쉬판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430), 측면부(432) 및 상면부(433)는 열전달 부재(45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열전달 부재(450)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갖는 메쉬판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부재(430)는 덮개부(433)를 포함하는데, 덮개부(433)는 측면부(432)와 용접 방법으로 접합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용 부재(430)에 열전달 부재(450)를 배치하고 나서, 덮개부(433)로 열전달 부재(450)를 덮어 열전달 부재(450)를 고정한다. 덮개부(433)에는 덮개부(43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덮개부(433)를 지지하는 돌출부(433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수용 부재(430)는 전술한 실시예의 수용 부재(330)와 달리 별도로 분리된 덮개부(430)를 구비한다. 이를 통하여 수용 부재(430)에 열전달 부재(450)를 용이하게 배치하고, 수용 부재(430)로부터 열전달 부재(45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증착 공정 조건에 따라 열전달 부재(450)의 양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수용 부재(430)에 배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의 수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수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증착 소스의 수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200: 증착 소스 101, 201: 챔버
102, 202: 출입구 103, 203: 기판
110, 310: 도가니 120, 320: 증착 재료
130, 230, 330, 430: 수용 부재 150, 250, 350, 450: 열전달 부재
1000, 2000: 증착 장치

Claims (10)

  1. 증착 재료가 내부에 배치된 도가니;
    상기 도가니 내부의 상기 증착 재료 상부에 배치되는 열전달 부재; 및
    상기 열전달 부재를 수용하고 메쉬판을 구비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증착 소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열전달 입자인 증착 소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증착 재료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부재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는 메쉬판으로 형성된 증착 소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고,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는 상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는 메쉬판으로 형성된 증착 소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측면부와 용접 방법으로 연결된 증착 소스.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증착 재료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메쉬판으로 형성된 증착 소스.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증착 소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Ti를 함유하는 증착 소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도가니의 내주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증착 소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판은 상기 열전달 부재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형성된 증착 소스.
KR1020090091144A 2009-09-25 2009-09-25 증착 소스 KR10103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144A KR101030005B1 (ko) 2009-09-25 2009-09-25 증착 소스
US12/857,665 US20110076399A1 (en) 2009-09-25 2010-08-17 Deposition source
US13/923,186 US9435022B2 (en) 2009-09-25 2013-06-20 Deposition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144A KR101030005B1 (ko) 2009-09-25 2009-09-25 증착 소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90A KR20110033590A (ko) 2011-03-31
KR101030005B1 true KR101030005B1 (ko) 2011-04-20

Family

ID=4378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144A KR101030005B1 (ko) 2009-09-25 2009-09-25 증착 소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10076399A1 (ko)
KR (1) KR101030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5708A1 (de) * 2012-09-05 2014-03-0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orratsbehälter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und beschichtungsanlage
KR102098619B1 (ko) * 2013-05-31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가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CN104962864B (zh) * 2015-07-23 2017-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坩埚装置和蒸镀设备
TWI624554B (zh) 2015-08-21 2018-05-21 弗里松股份有限公司 蒸發源
MY190445A (en) 2015-08-21 2022-04-21 Flisom Ag Homogeneous linear evaporation source
CN106893981B (zh) * 2017-03-30 2019-01-25 南京大学 一种用于提高蒸发束流稳定性的坩埚和具有该坩埚的源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661A (ja) 1984-07-19 1986-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被膜形成装置
JPH03107452A (ja) * 1989-09-08 1991-05-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気相付着装置
KR20040034537A (ko) * 2002-10-21 2004-04-28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진공 증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3931U1 (de) * 1993-09-15 1994-01-13 Salzmann Manfred Sieb
US20030051662A1 (en) * 2001-02-26 2003-03-20 Dielectric Systems, Inc. Thermal reactor for transport polymerization of low epsilon thin film
US7601225B2 (en) * 2002-06-17 2009-10-13 Asm International N.V. System for controlling the sublimation of reacta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661A (ja) 1984-07-19 1986-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被膜形成装置
JPH03107452A (ja) * 1989-09-08 1991-05-0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気相付着装置
KR20040034537A (ko) * 2002-10-21 2004-04-28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진공 증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5022B2 (en) 2016-09-06
US20110076399A1 (en) 2011-03-31
KR20110033590A (ko) 2011-03-31
US20130280441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05B1 (ko) 증착 소스
JP4996430B2 (ja) 蒸気発生装置、蒸着装置、成膜方法
TWI394854B (zh) 具最小化凝結效應之汽相沈積源
JP4782219B2 (ja) 真空蒸着装置
JP2011132596A (ja) 蒸発源及びそれを用いた蒸着装置
JP5674168B2 (ja) 蒸着ソース
US9150952B2 (en) Deposition source and deposi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80013686A (ko) 대면적 기판에 박막을 적층하기 위한 장치
KR101938219B1 (ko) 선형 증발원용 도가니 및 선형 증발원
JP2007224393A (ja) 蒸着源セル、薄膜の製造方法、絞り部材、及び蒸着源加熱ヒータ
TWI408242B (zh) 蒸發器以及具有該蒸發器的真空沉積裝置
CN1274871C (zh) 蒸发装置
JP4216522B2 (ja) 蒸発源及びこれを用いた薄膜形成装置
JP7241604B2 (ja) 加熱装置、蒸発源装置、成膜装置、成膜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754802B1 (ko) 증발기 및 증발 증착 장치
JP6291696B2 (ja) 蒸着装置および蒸発源
KR101474363B1 (ko) Oled 증착기 소스
KR20040008606A (ko) 유기 전자 발광층의 증착 장치
TWI816883B (zh) 蒸鍍裝置
KR20140136650A (ko) 박막 증착 방법
JP7241603B2 (ja) 加熱装置、蒸発源装置、成膜装置、成膜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40083503A (ko) 증발원 및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KR20130023647A (ko) 박막 증착 장치 및 방법
KR20130031445A (ko) 박막 증착 장치
KR20140060965A (ko) 박막 증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