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467B1 - 위폐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위폐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467B1
KR101029467B1 KR1020080081919A KR20080081919A KR101029467B1 KR 101029467 B1 KR101029467 B1 KR 101029467B1 KR 1020080081919 A KR1020080081919 A KR 1020080081919A KR 20080081919 A KR20080081919 A KR 20080081919A KR 101029467 B1 KR101029467 B1 KR 10102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ensor
signal
unevenness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250A (ko
Inventor
장상환
김종집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4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08Acoustic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폐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를 이용한 위폐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이미지 센서 등으로 검출할 수 없는 지폐의 요철을 검출할 수 있는 위폐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폐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고유한 요철을 검출하여 정상적인 지폐와 위조지폐를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위폐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위폐, 초음파, 센서, 요철, 검출

Description

위폐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BOGUS NOTE}
본 발명은 위폐 검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를 이용한 위폐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 권역이 넓어지고 일반인의 해외 출장, 여행이 늘어남에 따라 원화뿐 아니라 외화를 다루는 일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고성능 컬러복사기의 개발과 같은 화상 처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인들은 구분이 불가능한 정교하게 제작되어진 위폐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위폐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막대한 금액을 투입하여 새로운 기법을 사용한 화폐를 개발하는 일이 반복되고, 또한 이러한 위폐를 구분해내기 위한 위폐 검출장치들이 끊임없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와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에 인쇄된 형광물질을 감식하거나, 적외선 잉크 패턴을 검출하거나 자기장 특성 및 치수 특성을 이용하여 위폐를 검출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는 컬러 복사기 또는 컬러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위조지폐에 대해서는 감별이 가능하지만, 인쇄방식으로 제작되어 형광물질, 적외선 잉크 등이 사용된 위조지폐에 대해서는 감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의 요철을 검출하여 위조지폐를 판별할 수 있는 위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폐에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와, 상기 초음파 송신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송신되어 상기 지폐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지폐의 요철을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초음파를 생성하여 방출하는 초음파 송신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 및 생성된 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를 가지는 초음파 송신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센서는 상기 초음파 송신보드에 장착된다.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방출되어 상기 지폐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수신 센서에 수신된 초음파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와 상기 제 2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로 상기 지폐의 요철을 검출하는 요철검출/분석 수단과 상기 요철검출/분석 수단에서 검출된 결과를 처리하는 결과 처리 수단을 가지는 초음파 수신보드를 포함하고, 상 기 초음파 수신 센서는 상기 초음파 수신보드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초음파로 검출된 분석 대상 지폐의 요철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지폐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초음파로 검출된 분석 대상 지폐의 요철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지폐에 초음파를 방출 및 투과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폐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초음파를 시간에 따라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링된 초음파 영역 중 불규칙한 영역을 세밀하게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불규칙한 초음파 영역의 파형을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이미지 센서 등으로 검출할 수 없는 지폐의 요철을 검출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위폐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폐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고유한 요철을 검출하여 정상적인 지폐와 위조지폐를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위폐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내부 센서 배치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신부와 초음파 송신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신부와 초음파 송신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송신부(150)와, 초음파 수신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지폐를 투입하는 입구인 호퍼(210)와, 투입된 지폐를 낱장으로 분류하는 투입부(220)와, 권종을 구분하는 이미지 센서(230)와, 초음파 송신부(150) 및 초음파 수신부(160)에서 검출된 요철에 의해 지폐를 분류하는 메인 제어부(240)와, 분류된 지폐의 배출 방향을 변경하는 절체기(250)와, 분류되어 배출 방향이 결정된 지폐가 배출되는 주포켓(270) 및 보조포켓(260)을 포함한다. 또한, 지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지폐 상태 검지 센서(290)와, 지폐의 이송을 검출할 수 있는 이송 검출 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송신부(150)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송신 센서(154)를 제어하는 초음파 송신보드(152)와, 초음파 송신보드(152)에 장착되어 초음파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초음파 송신 센서(154)를 둘러싸는 제 1 차폐체(156)를 포함한다.
초음파 송신보드(1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송신 센서(154)에 필요한 신호, 예를 들어, 30 내지 50㎑의 신호를 펑션 제너레이터(function generator) 또는 주파수 발진기(152a) 등으로 생성하고 이를 증폭하여 초음파 송신 센서(154)에 인가한다. 물론, 초음파 송신 센서(154)에 필요한 신호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송신 센서(154)가 100 내지 500㎑ 범위의 초음파를 방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초음파 송신보드(152)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초음파 송신 센서(154)가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는 펑션 제너레이터 또는 주파수 발진기(152a)와, 생성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152b)가 구비된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어 다수의 초음파 송신 센서(154)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송신 센서(154)의 개수 등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초음파 송신 센서(154)는 펑션 제너레이터 또는 주파수 발진기(152a) 등에서 생성된 신호에 의해 초음파를 생성하며, 초음파 송신 센서(154)에서 생성되어 방출된 초음파는 대상이 되는 지폐(300)를 투과하여 초음파 수신 센서(164)에 입사된다. 이때, 초음파 송신 센서(154)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를 이용한 진동자를 발진시켜 초음파를 생성 및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초음파 송신보드(152)에 3개의 초음파 송신 센서(154)가 일렬로 장착된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송신 센서(154)는 초음파 송신보드(15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송신 센서(154)(또는 초음파 수신 센서(164))와 근접한 초음파 송신 센서(154)(또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 사이의 거리(A)는 지폐(300)의 요철(예를 들어, 은선, 시리얼 넘버, 음화, 점자, 그림 등)검출 정밀도와 관련된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금융사무기기, 예를 들어, 지폐 정사기 또는 정사 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기 등에서는 10㎜ 내지 17㎜ 간격으로 초음파 송신 센서(154)(또는 초음파 수신 센서(164))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비교적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금융사무기기, 예를 들어, 2매의 지폐가 겹쳐진 상태를 검출(이매검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금융사무기기는 17㎜ 이상의 간격으로 초음파 송신 센서(15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근접한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지폐의 요철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신호 간섭으로 인해 잘못된 신호가 검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초음파 수신 센서(164)에 각각 제 1 차폐체(156)와 제 2 차폐체(166)를 설치한다. 물론, 초음파 송신 센서(154)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차폐체(156)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신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 송신 센서(154)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초음파 송신보드(152)에 초음파 송신 센서(154) 다수개가 근접하여 구비될 경우, 초음파 송 신 센서(154)간의 신호 간섭으로 인해 잘못된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송신 센서(154)의 외주연에 제 1 차폐체(156)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 1 차폐체(156)가 근접한 초음파 송신 센서(154) 사이에 구비되므로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차폐체(156)는 초음파를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차폐체(156)는 초음파가 투과되는 물질을 베이스 물질로 하고, 베이스 물질에 초음파를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초음파 송신 센서(154)간의 거리 등 조건을 조절함에 따라 제 1 차폐체(156)가 생략될 수도 있다.
초음파 수신부(160)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 수신보드(162)와, 초음파 수신보드(162)에 장착된 초음파 수신 센서(164) 및 초음파 수신 센서(164)를 둘러싸는 제 2 차폐체(166)를 포함한다.
초음파 수신보드(162)는 초음파 수신 센서(164)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수신 센서(164)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수단인 제 2 증폭기(162a)와, 제 2 증폭기(162a)에서 증폭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수단(162b)과, 신호 처리 수단(162b)에서 처리된 신호를 변환하는 컨버터(162c)와, 컨버터(162c)에서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지폐의 요철을 검출 및 분석하는 요철검출/분석 수단(162d)과, 요철검출/분석 수단(162d)에서 검출 및 분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결과처리 수단(162e)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증 폭기(162a)는 지폐를 투과하여 수신된 초음파를 증폭하며, 전술된 제 1 증폭기(152b)와 동일한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162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하므로 본 발명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를 예시한다. 결과처리 수단(162e)은 요철검출/분석 수단(162d)에 의해 분석된 요철정보, 즉, 처리 결과를 위폐 검출장치의 메인 제어부(240)에 인가하며, 메인 제어부(240)는 처리 결과에 따라 절체기(250)를 제어하여 지폐를 정상적인 지폐와 위조지폐로 분류한다.
초음파 수신 센서(164)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에서 방출되어 지폐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여 초음파 수신보드(162)의 제 2 증폭기(162b)에 인가한다. 이러한 초음파 수신 센서(164)는 전술된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동일하게 초음파 수신보드(16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수신 센서(164)의 개수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음파 수신 센서(164)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제 2 차폐체(166)는 초음파 수신 센서(164)간의 신호간섭을 방지하며, 전술된 제 1 차폐체(156)와 동일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 2 차폐체(166) 역시 제 1 차폐체(156)와 동일하게 초음파 수신 센서(164)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는 초음파 송신부(150)와 초음파 수신부(160)는 투과형 광전 스위치와 같이, 초음파 송신부(150)의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초음파 수신부(160)의 초음파 수신 센서(164)를 마주보게 하고 초음파 송신 센서(154)로부터 방출된 초음파가 물체에 의해 차단될 때 초음파 수신 센서(164)의 신호 변화를 검출하는 대향형 방식 또는 초음파 송신 센서(154)로부터 발진된 초음파의 에코가 물체(예를 들어, 지폐)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시간차로 거리를 측정하는 반사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 송신부(150)와 초음파 수신부(160)가 물체, 즉, 지폐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구비된 대향형 방식을 예시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송신부(150)의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초음파 수신부(160)의 초음파 수신 센서(164)는 최적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소정 거리(B), 예를 들어, 약 5㎜ 내지 30㎜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초음파 송신부(150)와 초음파 수신부(160)의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초음파 수신 센서(164)를 지폐이송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반사파가 수신된 신호에 합성되어 정확한 요철검출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초음파 송신 센서(154)와 초음파 수신 센서(164)의 설치각도를 지폐이송방향과 직교하는 각도보다 소정각도(θ) 기울어진 각도, 예를 들어, 10도 내지 25도 기울어진 각도로 구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동작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S1)와, 지폐를 투입하는 단계(S2)와,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초음파로 검출된 분석 대상 지폐의 요철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S3)와, 검출된 요철에 의해 지폐를 분류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S1)는 미리 정상적인 지폐에 초음파를 투과시켜 요철에 따른 초음파 신호 파형의 특징을 저장한다. 이때, 정상적인 지폐의 모든 부분에 대한 초음파 신호 파형을 저장할 수도 있으나, 위폐 검출장치의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특징적인 요철에 다른 초음파 신호 파형을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지폐를 투입하는 단계(S2)는 호퍼에 지폐를 적재한다. 이때, 호퍼에 지폐가 적재되면 장비가 동작되며, 투입부의 동작에 의해 낱장으로 분류된 지폐는 장비 내부로 투입된다.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를 초음파로 검출된 분석 대상 지폐의 요철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S3)는 투입부에 의해 낱장으로 분류된 지폐의 권종을 이미지 센서로 인식하고 초음파 송신부와 초음파 수신부 사이로 통과시킨다. 이때, 초음파 송신부의 초음파 송신 보드에서 펑션 제너레이터 또는 주파수 발진기 등에서 생성된 신호가 증폭되어 초음파 송신 센서에 인가된다. 또한, 초음파 송신 보드에서 생성되어 증폭된 신호에 따라 초음파 송신 센서의 진동자가 발진하여 지폐에 방출된 다. 이후, 지폐에 방출된 초음파는 지폐를 투과하여 초음파 수신 센서에 입사되며, 초음파 수신 센서에 입사된 초음파는 초음파 수신 보드에서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신호 처리수단에 의해 스캐닝되어 직렬신호로 변환되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인 직렬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이와 같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요철검출/분석수단이 지폐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요철을 분석하는 기초가 되며, 요철검출/분석수단에 의해 검출된 요철 정보는 저장된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정보와 비교된다. 또한, 비교된 결과 즉, 분석 결과는 결과 처리수단에 전송된다. 또한, 분석 결과는 결과 처리수단에 의해 메인 제어부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는 지폐의 모든 영역을 세밀하게 분석하게 되면 위폐 검출장치의 처리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요철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일부 영역만을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요철검출/분석수단은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시간에 따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초음파 영역 중 불규칙한 영역을 다시 세밀하게 샘플링한다. 이후, 불규칙한 초음파 영역의 파형, 즉, 데이터를 정상적인 지폐의 요철 데이터와 비교하고, 결과를 결과 처리수단을 통해 메인 제어부에 전송한다.
검출된 요철에 의해 지폐를 분류하는 단계(S4)는 메인 제어부로 전송된 분석 결과에 따라 지폐를 분류한다. 이때, 사용자의 설정기준에 따라 지폐의 특정 위치에 특정 두께 및 형상의 요철이 존재하는 지폐, 즉, 정상적인 지폐는 주포켓으로 배출되며, 지폐의 특정 위치에 특정 두께 및 형상의 요철이 존재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지폐, 즉, 위조지폐는 보조포켓으로 배출된다. 물론, 이와 같은 지폐의 분류는 메인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메인 제어부는 배출 포켓을 결정하고 절체기를 제어하여 지폐의 배출 포켓 위치를 지정한다. 정상적인 지폐와 위조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요철검출 그래프이다. 이때, 도 7은 요철이 없는 일반 종이의 요철검출 그래프이고, 도 8은 요철이 있는 지폐의 요철검출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8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8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의 X축은 시간이며 Y축은 파형의 크기를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요철이 존재하지 않는 일반 종이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에 투입될 경우, 파형은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요철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이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초음파 송출 센서에서 방출되어 종이를 투과한 초음파는 시간에 따른 파형의 변화가 거의 없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존재하는 지폐를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에 투입할 경우, 파형에 변화가 일어나는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지폐의 모든 영역을 세밀하게 분석하게 되면 위폐 검출장치의 처리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요철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일부 영역만을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 이다. 즉, 도 8의 그래프와 지폐를 비교하면 파형이 낮아지는 부분에 요철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파형의 전체 영역에서 근접한 파형보다 낮아지는 부분에 요철이 존재하므로, 파형이 낮아지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분석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은 확대된 파형이 사인파에 가깝게 나타나며, 요철이 존재하는 부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인파가 아닌 불규칙적인 파형(C)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요철에 따른 파형의 특징으로 해당 요철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파형을 확대한다는 것은 샘플링 주기를 짧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X축이 더욱 세분화되도록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횟수만큼 샘플링하여 파형의 변화를 분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이미지 센서 등으로 검출할 수 없는 지폐의 요철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폐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고유한 요철을 검출하여 정상적인 지폐와 위조지폐를 쉽게 분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지폐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지폐뿐만 아니라 채권과 상품권 등을 포함하는 모든 유가증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내부 센서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신부와 초음파 송신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신부와 초음파 송신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동작에 따른 순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검출장치의 요철검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초음파 송신부 152: 초음파 송신보드
152a: 발진기 152b: 제 1 증폭기
154: 초음파 송신 센서 160: 초음파 수신부
162: 초음파 수신보드 162a: 제 2 증폭기
162b: 신호 처리 수단 162c: 컨버터
162d: 요철검출/분석 수단 162e: 결과처리 수단
164: 초음파 수신 센서

Claims (7)

  1. 지폐에 초음파를 송신하며, 주변을 둘러싸는 제 1 차폐체가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초음파 송신 센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송신부와,
    상기 초음파 송신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송신되어 상기 지폐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지폐의 요철을 검출하며, 주변을 둘러싸는 제 2 차폐체가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초음파 수신 센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검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 및 생성된 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를 가지는 초음파 송신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센서는 상기 초음파 송신보드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검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수신 센서에 수신된 초음파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와 상기 제 2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로 상기 지폐의 요철을 검출하는 요철검출/분석 수단과 상기 요철검출/분석 수단에서 검출된 결과를 처리하는 결과 처리 수단을 가지는 초음파 수신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 센서는 상기 초음파 수신보드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검출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80081919A 2008-08-21 2008-08-21 위폐 검출장치 KR10102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919A KR101029467B1 (ko) 2008-08-21 2008-08-21 위폐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919A KR101029467B1 (ko) 2008-08-21 2008-08-21 위폐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50A KR20100023250A (ko) 2010-03-04
KR101029467B1 true KR101029467B1 (ko) 2011-04-18

Family

ID=4217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919A KR101029467B1 (ko) 2008-08-21 2008-08-21 위폐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270B1 (ko) * 2014-06-30 2017-01-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KR101758366B1 (ko) * 2015-02-25 2017-07-19 기산전자 주식회사 알에프를 이용한 지폐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2416334B1 (ko) * 2015-09-15 2022-07-06 기산전자(주) 지폐 이송 진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841A (ja) * 1990-04-27 1993-02-26 Kiwa Ishiwatari 偽札判別装置
KR200283069Y1 (ko) * 2002-03-26 2002-07-26 최문도 위조지폐 검출장치
KR20080044544A (ko) * 2006-11-16 2008-05-21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폐/수표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841A (ja) * 1990-04-27 1993-02-26 Kiwa Ishiwatari 偽札判別装置
KR200283069Y1 (ko) * 2002-03-26 2002-07-26 최문도 위조지폐 검출장치
KR20080044544A (ko) * 2006-11-16 2008-05-21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폐/수표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50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9800C (zh) 用于检验钞票的方法和装置
KR20010020270A (ko) 문서용 안전 엘리먼트의 구조물 및 이러한 안전 엘리먼트를 가진 문서 시험용 장치와 사용 방법
US20090312957A1 (en) Method for assessing a state of a document of value with regard to limpness using ultrasound, and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H08329306A (ja) 偽造防止文書の信憑性を検出する方法
US91653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 security feature of a value document
KR20010082590A (ko) 경화판별장치
EP0798669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US9792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 value document
KR101029467B1 (ko) 위폐 검출장치
US20090266902A1 (en) Method provided with magnetic body and magnetic body sensing device
AU20123592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amining a document of value
JP3369088B2 (ja) 紙葉鑑別装置
KR101080262B1 (ko) 신권 검출장치 및 신권 검출 방법
JPH06301840A (ja) 紙幣識別方法
US65253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urrency
JPH0520521A (ja) 硬貨鑑別装置
KR20100083274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테이프권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3381828B2 (ja) 紙葉類の損傷判別方法及び装置
JP2896288B2 (ja) 紙幣識別方法
JP3855502B2 (ja) 印刷物及びその真偽判別方法並びにその真偽判別装置
JPH07239960A (ja) 紙幣識別装置
JP3540684B2 (ja) 紙葉類の真偽判定方法
JP7256047B2 (ja) 電磁波検出装置、媒体処理装置及び電磁波検出方法
JP3842510B2 (ja) 硬貨識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硬貨識別センサ
JP3897182B2 (ja) マイクロコード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