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267B1 -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267B1
KR101029267B1 KR1020100058195A KR20100058195A KR101029267B1 KR 101029267 B1 KR101029267 B1 KR 101029267B1 KR 1020100058195 A KR1020100058195 A KR 1020100058195A KR 20100058195 A KR20100058195 A KR 20100058195A KR 101029267 B1 KR101029267 B1 KR 10102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band
expans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이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원 filed Critical 이장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돌기가 형성된 환형밴드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이을 때는 물론, 파이프를 분리할 때 밴드를 제거함으로써 파이프를 절단 또는 훼손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에 파이프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확관부의 외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는 이 복수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복수의 파이프 고정돌기를 구비한 환형 밴드가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일단의 외면을 압박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이을 때 별도의 이음장치가 필요없고 분리할 때 밴드를 제거하여 삽입된 파이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관부를 둘러싼 환형밴드의 체결력이 강하여 상기 확관부에 파이프를 고정돌기 홈이 없더라도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고, 매번 확관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돌기 홈을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없으며, 무게가 상당한 고정돌기 홈을 형성하는 기구를 배관작업하는 현장에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Pipe Connector for Having Detachable Band}
본 발명은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파이프를 이음시 돌기가 형성된 밴드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훼손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이용한 배관작업 도중 배관길이를 연장하거나, 혹은 배관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서로 다른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플랜지커플링, 소켓 등과 같은 파이프 이음장치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소켓을 이용하는 파이프 이음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소켓을 이용하는 파이프 이음구조는 2개의 파이프(30, 30′)를 이을 때, 예컨대 일단에 소켓형 확관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확관부(31)의 내부에 고정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파이프(30)와 일단에 상기 확관부(31)의 고정돌기(32)가 걸리는 고정돌기 홈(33)이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파이프(30′)를 이을 때, 상기 고정돌기 홈(33)이 형성된 파이프(30′)가 상기 고정돌기(32)가 형성된 파이프(30)의 확관부(31)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돌기(32)가 고정돌기 홈(33)에 걸려 2개의 파이프(30, 30′)를 연결한다.
하지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소켓을 이용하는 파이프 이음구조는 상기 고정돌기 홈(33)에 고정돌기(32)가 걸리고 나면, 다시 걸린 상태를 해체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진 2개의 파이프(30, 30′)를 훼손시키지 않고 분리할 수가 없었다.
또한 매번 소켓형 확관부(31)에 삽입되는 파이프(30′)의 일단에 고정돌기 홈(33)을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고정돌기 홈(33)을 형성하는 기구의 무게가 상당하므로 배관작업하는 현장에 가지고 다니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가 형성된 밴드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이을 때는 물론, 파이프를 분리할 때 밴드를 제거함으로써 파이프를 절단 또는 훼손하지 않고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파이프의 일단이 바깥으로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턱을 형성하고, 내주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며, 이 요홈과 끝단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확관부와; 내측면에 상기 확관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양 끝단에 밴드고정부를 구비한 환형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밴드의 고정돌기가 상기 확관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끝단이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는 또 다른 파이프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상기 확관부에 삽입되는 또 다른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 기밀을 유지하도록 요홈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형밴드의 양 끝단에 구비된 밴드고정부는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파이프의 일단이 바깥으로 1차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제1턱을 형성하는 제1확관부와; 상기 제1확관부의 끝단이 바깥으로 2차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제2턱을 형성하고, 끝단이 내부로 향하여 절곡되어 제3턱을 형성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2확관부; 및 내측면에 상기 제2확관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양 끝단에 밴드고정부를 구비한 환형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환형밴드의 고정돌기가 상기 제2확관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끝단이 상기 제1확관부와 제2확관부에 삽입되는 또 다른 파이프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상기 제2확관부 내측의 제2턱과 제3턱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3턱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와 상기 제2확관부에 삽입된 파이프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환형밴드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2확관부의 관통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와 상기 제2확관부에 삽입된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제2턱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와 상기 제2확관부에 삽입된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플라스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플라스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형밴드의 양 끝단에 구비된 밴드고정부는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이을 때 별도의 이음장치가 필요없이 손쉽게 이을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의 수리, 바꿔 끼우기, 증설 등으로 인해 분리할 때 밴드를 제거하여 삽입된 파이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관부를 둘러싼 환형밴드의 체결력이 강하여 하나의 파이프에 삽입되는 또 다른 파이프의 외면을 압박하므로 상기 확관부에 파이프를 고정돌기 홈이 없더라도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매번 확관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돌기 홈을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없고, 무게가 상당한 고정돌기 홈을 형성하는 기구를 배관작업하는 현장에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소켓을 이용하는 파이프 이음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A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A′위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B위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환형밴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를 나타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밴드고정 홈을 나타낸 부분 발췌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파이프(10)의 일단에 또 다른 파이프(1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확관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관부(11)의 외주면을 환형밴드(20)가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1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직관일 수 있으며, T자형, 십자형 등의 형태일 수도 있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확관부(11)는 상기 파이프(10)의 일단이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턱(12)을 형성하고, 내주면을 다라 요홈(13)이 형성되며, 이 요홈(13)과 끝단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관부(11)에 삽입되는 파이프(10′)는 상기 턱(12)에 걸려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확관부(11)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밴드(20)가 끼워 맞춰지도록 밴드고정 홈(1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홈(13)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13)에는 상기 파이프(10, 10′)의 기밀유지를 위한 밀봉부재(15)가 위치하여 고정된다.
상기 밀봉부재(15)는 환형으로 되어있고 상기 요홈(1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15)는 고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다양한 재질의 링을 밀봉부재(15)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부재(15)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탄성체로 형성하여 파이프(10′)의 일단이 삽입되었을 때 밀봉되게 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환형밴드(20)는 내측면에 복수의 고정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이 절곡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밴드고정부(22)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는 상기 확관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4)에 끼워지며 끝단이 상기 확관부(11)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닿는다.
상기 환형밴드(20)는 절곡된 양단이 맞붙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환형으로 되어있으며 복수의 고정돌기(21)가 원심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관부(11)에 결합된 상기 환형밴드(20)는 외경과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의 끝단이 이루는 내경이 상기 파이프(10, 10′)와 같은 원심을 갖는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확관부(11)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닿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의 끝단은 삼각, 직각삼각, 사각, 사다리꼴 등 다양한 다각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는 파이프(10′)의 삽입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밴드(20)의 양 끝단은 밴드고정부(22)가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10)의 확관부(11)의 외주면을 둘러싼 형태에서 상기 밴드고정부(22)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면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가 상기 확관부(11)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삽입되는 파이프(10′)는 상기 확관부(11)를 빠져나가지 못한다.
상기 환형밴드(20)의 양 끝단에 구비된 밴드고정부(22)의 체결수단으로는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등이 있고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환형밴드(20)가 조여질수록 상기 고정돌기(21)는 파이프(10′)를 압박하고 파이프(10, 10′)는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파이프(10)의 일단에 형성된 확관부(11)의 요홈(13)에 밀봉부재(15)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1)에 파이프(10′)의 일단을 삽입하여 밀어넣고 파이프 이음 길이를 조정한 후, 상기 확관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14)에 환형밴드(20)의 고정돌기(21)를 관통시켜 넣어, 삽입된 파이프(10′)의 일단의 외면에 상기 고정돌기(21)의 끝단이 닿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환형밴드(20)의 밴드고정부(22)를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조인다.
상기 파이프(10) 및 확관부(11)의 외주면과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 상기 환형밴드(20), 상기 고정돌기(21)의 끝단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므로 파이프(10, 10′)는 어긋남이 없이 이음된다.
[실시예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파이프(10)의 일단에 또 다른 파이프(1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1확관부(11a)와 제2확관부(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확관부(11b)의 외주면을 환형밴드(20)가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1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직관일 수 있으며, T자형, 십자형 등의 형태일 수도 있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확관부(11a)는 파이프(10)의 일단이 바깥으로 1차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제1턱(12a)을 형성한다.
상기 제2확관부(11b)는 상기 제1확관부(11a)의 끝단이 바깥으로 2차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제2턱(12b)을 형성하고, 상기 제2확관부(11b)의 끝단이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제3턱(12c)을 형성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확관부(11a)와 제2확관부(11b)에 삽입되는 파이프(10′)는 상기 제1턱(12a)에 걸려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확관부(11b)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밴드(20)가 끼워 맞춰지도록 밴드고정 홈(1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확관부(11b)의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10)와 삽입되는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봉부재(15)가 구비되고, 복수의 고정돌기(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16)와 제2고정부재(1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환형으로 되어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상기 제2확관부(11b) 내측의 제2턱(12b)과 제3턱(12c)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3턱(12c)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11b)와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된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플라스틱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다양한 재질의 링을 제1고정부재(16)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상기 확관부(11)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돌기(21)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상기 제2확관부(11b)의 관통공(14)과 대응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상기 확관부(11)의 관통공(14)에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돌기(21)를 지지한다.
상기 밀봉부재(15)는 환형으로 되어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15)는 상기 제1고정부재(16)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11b)와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된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15)는 고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다양한 재질의 링을 밀봉부재(15)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부재(15)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탄성체로 형성하여 파이프(10′)의 일단이 삽입되었을 때 밀봉되게 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16′)는 환형으로 되어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16′)는 상기 밀봉부재(15)의 후방에서 상기 제2턱(12b)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11b)와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된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16′)는 플라스틱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다양한 재질의 링을 제2고정부재(16′)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15)와 제1고정부재(16) 및 제2고정부재(16′)는 상기 제2턱(12b)과 제3턱(12c)에 의해 상기 제2확관부(11b) 내측에 고정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환형밴드(20)는 복수의 고정돌기(21)를 구비하고, 양단이 절곡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밴드고정부(22)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는 상기 제2확관부(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4)과 상기 제1고정부재(16)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4′)에 끼워지며 끝단이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닿는다.
상기 환형밴드(20)는 절곡된 양단이 맞붙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환형으로 되어있으며 복수의 고정돌기(21)가 원심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확관부(11b)에 결합된 상기 환형밴드(20)는 외경과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의 끝단이 이루는 내경이 상기 파이프(10, 10′)와 같은 원심을 갖는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확관부(11a)와 제2확관부(11b)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닿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의 끝단은 삼각, 직각삼각, 사각, 사다리꼴 등 다양한 다각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확관부(11b)에 체결된 환형밴드(20)가 구비한 고정돌기(21)는 파이프(10′)의 삽입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밴드(20)의 양 끝단은 밴드고정부(22)가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제2확관부(11b)의 외주면을 둘러싼 형태에서 상기 밴드고정부(22)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면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21)가 상기 확관부(11)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삽입되는 파이프(10′)는 상기 확관부(11)를 빠져나가지 못한다.
상기 환형밴드(20)의 양 끝단에 구비된 밴드고정부(22)의 체결수단으로는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등이 있고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환형밴드(20)가 조여질수록 상기 고정돌기(21)는 파이프(10′)를 압박하고 파이프(10, 10′)는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파이프(10)의 일단에 형성된 제2확관부(11b)의 내주면에 밀봉부재(15)와 제1고정부재(16) 및 제2고정부재(16′)를 삽입하고, 제2확관부의 끝단을 내부를 향하여 절곡시켜 제3턱(12c)을 형성하여 상기 밀봉부재(15)와 제1고정부재(16) 및 제2고정부재(16′)를 고정시킨다.
단,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관통공(14′)이 상기 제2확관부(11b)에 형성된 관통공(14)과 대응하도록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1확관부(11a)와 제2확관부(11b)에 파이프(10′)의 일단을 삽입하여 밀어넣고 파이프 이음 길이를 조정한 후, 상기 제2확관부(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14)에 환형밴드(20)의 고정돌기(21)를 관통시켜 넣어, 삽입된 파이프(10′)의 일단의 외면에 상기 고정돌기(21)의 끝단이 닿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환형밴드(20)의 밴드고정부(22)를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조인다.
상기 파이프(10) 및 확관부(11)의 외주면과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 상기 환형밴드(20), 상기 고정돌기(21)의 끝단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므로 파이프(10, 10′)는 어긋남이 없이 이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10′: 파이프 11 : 확관부
11a : 제1확관부 11b : 제2확관부
12 : 턱 12a : 제1턱
12b : 제2턱 12c : 제3턱
13 : 요홈 14, 14′: 관통공
15 : 밀봉부재 16 : 제1고정부재
16′: 제2고정부재 17 : 밴드고정 홈
20 : 환형밴드 21 : 고정돌기
22 : 밴드고정부 30, 30′: 파이프
31 : 확관부 32 : 고정돌기
33 : 고정돌기 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파이프(10)의 일단이 바깥으로 1차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제1턱(12a)을 형성하는 제1확관부(11a)와;
    상기 제1확관부(11a)의 끝단이 바깥으로 2차 절곡되면서 확관되어 제2턱(12b)을 형성하고, 끝단이 내부로 향하여 절곡되어 제3턱(12c)을 형성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2)이 형성된 제2확관부(11b); 및
    내측면에 상기 제2확관부(11b)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2)에 끼워지는 복수의 고정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양 끝단에 밴드고정부(22)를 구비한 환형밴드(20);
    로 구성되며,
    상기 환형밴드(20)의 고정돌기(21)가 상기 제2확관부(11b)에 형성된 관통공(14)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돌기(21)의 끝단이 상기 제1확관부(11a)와 제2확관부(11b)에 삽입되는 또 다른 파이프(10′)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확관부(11b)는 내측의 제2턱(12b)과 제3턱(12c)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3턱(12c)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11b)와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된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환형밴드(20)의 고정돌기(21)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2확관부(11b)의 관통공(14)과 대응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16)와, 상기 제1고정부재(16)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11b)와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된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봉부재(15), 및 상기 밀봉부재(15)의 후방에서 상기 제2턱(12b)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2확관부(11b)와 상기 제2확관부(11b)에 삽입된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고정부재(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15)는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6)는 플라스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16′)는 플라스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밴드(20)의 양 끝단에 구비된 밴드고정부(22)는 볼트/너트 또는 나사, 리벳, 버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1020100058195A 2010-04-19 2010-06-18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101029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914 2010-04-19
KR20100035914 2010-04-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601A Division KR101070288B1 (ko) 2010-10-29 2010-10-29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267B1 true KR101029267B1 (ko) 2011-04-18

Family

ID=4405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195A KR101029267B1 (ko) 2010-04-19 2010-06-18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64B1 (ko) * 2017-09-08 2018-05-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배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274A (ja) 1997-10-07 1999-04-20 Maruyama Mfg Co Ltd 管路体接続装置
JP2001263557A (ja) 2000-03-21 2001-09-26 Kubota Corp 合成樹脂管および管路
KR20090010291A (ko) * 2007-07-23 2009-01-30 손병윤 배관파이프 체결구조
KR100880384B1 (ko) * 2007-09-12 2009-02-02 케이넷(주)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274A (ja) 1997-10-07 1999-04-20 Maruyama Mfg Co Ltd 管路体接続装置
JP2001263557A (ja) 2000-03-21 2001-09-26 Kubota Corp 合成樹脂管および管路
KR20090010291A (ko) * 2007-07-23 2009-01-30 손병윤 배관파이프 체결구조
KR100880384B1 (ko) * 2007-09-12 2009-02-02 케이넷(주)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64B1 (ko) * 2017-09-08 2018-05-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379B1 (ko) 관 연결 조립장치
KR101537107B1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CA2532119A1 (en) Plug-in connector
ES2920278T3 (es) Aparato y procedimientos de accesorio de tubería
US20100072744A1 (en) Quick-Connect Structure for Quick Connection of Piping Elements
JP2004537696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070288B1 (ko)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101029267B1 (ko)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101723372B1 (ko) 냉매관 연결구
KR20190073237A (ko) 배관 연결용 패킹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1881210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JP4671645B2 (ja) 離脱防止管継手
CA2733285A1 (en) Pipe joint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KR20140098967A (ko) 가압식 패킹부재를 이용한 배관 커플러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JP2002357295A (ja) 管継手
KR20050046508A (ko) 관 접속구조
JP6231506B2 (ja) アンカーボルト
JP6147709B2 (ja) 橋梁添架ケーブル保護管の補修用ソケット
KR101144004B1 (ko) 파형관 이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