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507B1 - 무인 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507B1
KR101027507B1 KR1020100107684A KR20100107684A KR101027507B1 KR 101027507 B1 KR101027507 B1 KR 101027507B1 KR 1020100107684 A KR1020100107684 A KR 1020100107684A KR 20100107684 A KR20100107684 A KR 20100107684A KR 101027507 B1 KR101027507 B1 KR 10102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ails
limit
frame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재규
Original Assignee
서문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재규 filed Critical 서문재규
Priority to KR102010010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은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바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레일과, 상기 레일들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배치 결합된 복수개의 베어링체와, 상기 프레임들 중 일측단부 측 및 타측단부 측에 배치된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체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제1,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회전축과 동반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결합된 와이어를 회전시키며, 상기 레일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레일들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 드럼과, 상기 레일들 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들 상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에 농약 등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방제기와, 상기 레일들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제기들의 호스를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 중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프레임들 상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중 상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복수개의 레일 각각에 방제기가 설치되어 복수의 영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방제를 실시하는 경우, 각 레일에 대응할 수 있는 긴 회전축을 배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방제기들 모두를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전 영역을 방제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방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제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가이드 롤러의 바디와 지지바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 롤러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와이어가 느슨해져 아래로 처지더라도 다른 부분에 접촉되지 않게 지지하므로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무인 방제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 방제 시스템{UNMANNED FERTILIZER SPRAY SYSTEM}
본 발명은 무인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해충 등을 방제하기 위한 무인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방제 시스템은 비닐 하우스 및 축사 내부에 농약, 액체비료, 기타 질병 예방 약품 등으로 구성되는 액비를 분사하여 원예작물, 가축, 가금류 등에 병충해 및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무인 방제 시스템은 온실의 내부에서 천정에 매달려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열의 레일 각각에 방제기가 메인 롤러에 의해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제기 각각에는 상기 방제기를 레일 각각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메인 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 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방제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방제기 각각에는 호스를 통해 약액공급기와 각각 연결된 분사관이 장착되고, 상기 분사관의 일단에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약액공급기의 펌핑 압력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호스, 분사관 및 노즐을 통해 작물로 분사된다.
상기 약액공급기는 상기 분사관으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약액이 담기는 탱크와 호스를 통해 약액을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무인 방제 시스템은 복수개의 방제기가 배치된 경우, 복수개의 방제기 각각을 구동하기 위해 복수개의 구동 모터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방제기를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시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무인 방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은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들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바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레일; 상기 레일들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배치 결합된 복수개의 베어링체; 상기 프레임들 중 일측단부 측 및 타측단부 측에 배치된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체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제1,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회전축과 동반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결합된 와이어를 회전시키며, 상기 레일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레일들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 드럼; 상기 레일들 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들 상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에 농약 등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방제기; 상기 레일들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제기들의 호스를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 중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프레임들 상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중 상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체; 상면과, 상기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양 측면 및 상기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수직하고, 상기 상면에 대향하게 형성된 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가 상기 양 측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지지바가 결합되되, 상기 측면과 상기 지지바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어 지지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된 고리; 및 상기 고리의 하단에 결합되며,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면은 상방으로 볼록한 반타원형 안착판;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중 상기 구동 모터 측에는 제1 리미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리미트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제2 리미트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상에 리미트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가 제1 리미트에 접촉 시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이 멈추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하고,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 측으로 이동됨과 함께 상기 리미트 돌기가 상기 구동모터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리미트에 접촉 시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개의 레일 각각에 방제기가 설치되어 복수의 영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방제를 실시하는 경우, 각 레일에 대응할 수 있는 긴 회전축을 배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방제기들 모두를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전 영역을 방제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방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제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가이드 롤러의 바디와 지지바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 롤러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와이어가 느슨해져 아래로 처지더라도 다른 부분에 접촉되지 않게 지지하므로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무인 방제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무인 방제 시스템 중 가이드 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무인 방제 시스템 중 가이드 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100)은 프레임(110)과, 레일(120)과, 베어링체(131)와, 회전축(130)과, 구동 모터(140)와, 회전 드럼(132)과, 이동 대차(미도시)와, 방제기(미도시)와, 가이드 롤러(160) 및 지지 롤러(17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의 상부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레일(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직교하는 방향, 즉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110)과의 결합에 의하여 바둑판 배열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레일(120)들은 복수개의 결합바(111)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들에 결합 지지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결합바(111)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측은 상기 프레임(110)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레일(120)들에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체(131)는 상기 레일(120)들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각각 배치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체(131)는 상기 레일(120)들 중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레일(120)에만 결합될 수도 있고, 각각의 레일(120)들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30)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110) 중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 위치된 프레임(110)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체(131)들에 관통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별을 위해 이하에서는 일측단부 측의 프레임(110)에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130)은 제1 회전축이라 하고, 타측단부 측의 프레임(110)에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130)은 제2 회전축이라 한다.
상기 구동 모터(140)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 드럼(132)은 복수개가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되며, 각각 복수개의 레일(120)과 대응되도록 레일(120)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 드럼(132) 사이에는 고무 밴드 등과 같이 단절된 곳이 없이 이어진 폐쇄형의 와이어(180)가 결합되어 회전 드럼(132)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이동대차는 복수개가 각각 레일(12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180)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18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반 이동된다.
즉, 상기 와이어(18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180)에 연결된 이동대차도 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와이어(18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동대차도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방제기는 원예작물 등에 액비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대차에 결합되어 이동대차의 이동 시 동반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160)는 상기 레일(12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제기에 액비 등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 등을 지지하며, 아울러 상기 와이어(180)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160)는 회전체(161)와, 바디(162)와, 고리(164) 및 안착판(165)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62)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일 측면의 길이가 짧아 상면 및 하면의 연결이 일 측면에서만 이루어지고, 타 측면에서는 상하면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 측면을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면, 레일(120) 상에 가이드 롤러(160)를 결합시키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레일(120)에 결합된 결합바(111)들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상기 바디(162)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된 양 측면 및 양 측면 중 일 측면의 하단부에 수직하고, 상기 상면에 대향하게 형성된 하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 측면 각각에는 상기 회전체(161)의 일측 및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과 양 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162)의 양 측면 중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짧게 형성된 측면에는 지지바(163)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63)와 상기 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163)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만이 상기 바디(162)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중심부는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지지바(163)의 중심부와 바디(162)의 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63)와 상기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는 와이어(180) 중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180)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고리(164)는 상단이 상기 바디(162)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안착판(165)은 상기 고리(164)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배치된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각형에서 상면과 좌우 측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안착면, 전후 측면이 격벽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은 상방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반타원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롤러(170)는 상기 프레임(110)들 상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롤러(170) 상에는 와이어(180) 중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180)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와이어(180)에 의해 동반 회전되면서 와이어(18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롤러(160)에 지지바(163)가 형성됨으로써 생기는 공간을 통해 와이어(180)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고, 상기 지지 롤러(170) 상에 와이어(180)의 상부가 안착 지지됨으로써, 계속된 동작에 의하여 느슨해져 아래로 처질 수 있는 와이어(180)를 지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 중 상기 구동모터(140) 측에는 제1 리미트(150) 및 제2 리미트(151)가 서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고, 와이어(180) 상에는 리미트 돌기(18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미트(151)는 상기 제1 리미트(150)와 상기 구동모터(14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40)와 제2 리미트(151) 및 제1 리미트(150)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150) 및 상기 제2 리미트(151)는 상기 방제기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방제기가 결합된 이동대차가 구동 모터(140) 측으로 이동하다 제1 리미트(150)에 접촉되면, 제1 리미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140)가 정지되어, 더 이상 방제기가 구동모터(140)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
상기 방제기가 상기 구동모터(140)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와 더불어 와이어(180)에 결합된 리미트 돌기(181)는 구동모터(140) 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리미트 돌기(181)가 제2 리미트(151)에 접촉되면, 제2 리미트(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140)가 정지되면서 방제기의 이동을 멈추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리미트(150) 및 제2 리미트(151)를 구동모터(140) 측에 배치하면, 제1 리미트(150)와 제2 리미트(151)에 연결된 전선 등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이며, 긴 길이의 전선 처리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무인 방제 시스템(100)의 구동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가 구동모터(140) 측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므로, 전선 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무인 방제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개의 레일(120) 각각에 방제기가 설치되어 복수의 영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방제를 실시하는 경우, 각 레일(120)에 대응할 수 있는 긴 회전축(130)을 배치하고, 상기 회전축(130)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하나의 구동 모터(140)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3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방제기들 모두를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전 영역을 방제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방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제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180)를 가이드 롤러(160)의 바디(162)와 지지바(163)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프레임(110)에 결합된 지지 롤러(170)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와이어(180)가 느슨해져 아래로 처지더라도 다른 부분에 접촉되지 않게 지지하므로 와이어(18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무인 방제 시스템(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무인 방제 시스템
110... 프레임
111... 결합바
120... 레일
130... 회전축
131... 베어링체
132... 회전 드럼
140... 구동 모터
150... 제1 리미트
151... 제2 리미트
160... 가이드 롤러
170... 지지 롤러
180... 와이어
181... 리미트 돌기

Claims (3)

  1.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들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바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레일;
    상기 레일들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각각 배치 결합된 복수개의 베어링체;
    상기 프레임들 중 일측단부 측 및 타측단부 측에 배치된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체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제1,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회전축과 동반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결합된 와이어를 회전시키며, 상기 레일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레일들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 드럼;
    상기 레일들 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들 상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에 농약 등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방제기;
    상기 레일들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제기들의 호스를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 중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프레임들 상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중 상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체;
    상면과, 상기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양 측면 및 상기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수직하고, 상기 상면에 대향하게 형성된 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가 상기 양 측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지지바가 결합되되, 상기 측면과 상기 지지바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어 지지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된 고리; 및
    상기 고리의 하단에 결합되며,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면은 상방으로 볼록한 반타원형 안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중 상기 구동 모터 측에는 제1 리미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리미트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제2 리미트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상에 리미트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가 제1 리미트에 접촉 시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이 멈추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하고,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 측으로 이동됨과 함께 상기 리미트 돌기가 상기 구동모터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리미트에 접촉 시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00107684A 2010-11-01 2010-11-01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02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84A KR101027507B1 (ko) 2010-11-01 2010-11-01 무인 방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84A KR101027507B1 (ko) 2010-11-01 2010-11-01 무인 방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507B1 true KR101027507B1 (ko) 2011-04-06

Family

ID=4404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84A KR101027507B1 (ko) 2010-11-01 2010-11-01 무인 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50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92Y1 (ko) 2011-06-23 2011-11-24 서문재규 무인 방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101670731B1 (ko) * 2016-07-21 2016-10-31 서문재규 무인방제장치
KR101913128B1 (ko) * 2014-11-03 2018-10-30 강희환 견인구용 가이드 롤러대
KR20190007605A (ko) 2017-07-13 2019-01-23 이택규 관수 및 쿨링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 발생 무인 방제 장치
KR200489590Y1 (ko) 2019-01-11 2019-07-08 서문재규 무인방제기
KR20200001788A (ko) * 2018-06-28 2020-01-07 이규용 비닐하우스의 농약 자동살포장치
KR102110969B1 (ko) 2020-03-23 2020-05-15 이원태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KR200491990Y1 (ko) * 2020-03-24 2020-07-14 형정문 약재 분사용 무인 방제장치
KR200491991Y1 (ko) * 2020-03-24 2020-07-14 형정문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무인 방제기
KR20200126298A (ko) 2019-04-29 2020-11-06 이원태 슬립타입 원터치 피팅을 이용한 무인 방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83Y1 (ko) * 1999-12-09 2000-05-15 강문식 무인방제장치용 호스 및 전선걸이구
KR200351056Y1 (ko) * 2004-02-20 2004-05-17 김창환 비닐하우스 무인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83Y1 (ko) * 1999-12-09 2000-05-15 강문식 무인방제장치용 호스 및 전선걸이구
KR200351056Y1 (ko) * 2004-02-20 2004-05-17 김창환 비닐하우스 무인방제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92Y1 (ko) 2011-06-23 2011-11-24 서문재규 무인 방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101913128B1 (ko) * 2014-11-03 2018-10-30 강희환 견인구용 가이드 롤러대
KR101670731B1 (ko) * 2016-07-21 2016-10-31 서문재규 무인방제장치
KR20190007605A (ko) 2017-07-13 2019-01-23 이택규 관수 및 쿨링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 발생 무인 방제 장치
KR20200001788A (ko) * 2018-06-28 2020-01-07 이규용 비닐하우스의 농약 자동살포장치
KR102110551B1 (ko) * 2018-06-28 2020-05-29 이종민 비닐하우스의 농약 자동살포장치
KR200489590Y1 (ko) 2019-01-11 2019-07-08 서문재규 무인방제기
KR20200126298A (ko) 2019-04-29 2020-11-06 이원태 슬립타입 원터치 피팅을 이용한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110969B1 (ko) 2020-03-23 2020-05-15 이원태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KR200491990Y1 (ko) * 2020-03-24 2020-07-14 형정문 약재 분사용 무인 방제장치
KR200491991Y1 (ko) * 2020-03-24 2020-07-14 형정문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무인 방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507B1 (ko)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428914B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 방제기
KR101670731B1 (ko) 무인방제장치
KR101120490B1 (ko) 무인 자동 방제장치
KR101271600B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0909589B1 (ko) 약품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인 방제 장치
KR101661707B1 (ko) 무선조종 방제 장치
KR101762929B1 (ko) 무인 방제기
KR101271604B1 (ko) 비닐하우스용 와이어 레일 방제장치
KR20140038032A (ko) 비닐하우스의 자동급수장치
KR101286801B1 (ko) 비가림하우스용 약액 및 용수 자동 살포장치
KR20150025162A (ko) 비닐하우스용 승강식 자동방제장치
KR102173332B1 (ko) 원격제어 실내 방역 약품 분사장치
KR200453333Y1 (ko) 무인 방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101464725B1 (ko) 무인방제장치
KR101368008B1 (ko) 농약 살포용 대차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KR20110069357A (ko) 하우스용 무인방제기구
KR102160515B1 (ko) 개량된 살포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KR20200137301A (ko) 비닐하우스용 무인 방제기
JPH0837960A (ja) 散布装置
JP2008017731A (ja) 液体散布支援システム
KR200489590Y1 (ko) 무인방제기
KR101302471B1 (ko) 무인 방제장치를 위한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