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69B1 -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69B1
KR102110969B1 KR1020200035238A KR20200035238A KR102110969B1 KR 102110969 B1 KR102110969 B1 KR 102110969B1 KR 1020200035238 A KR1020200035238 A KR 1020200035238A KR 20200035238 A KR20200035238 A KR 20200035238A KR 102110969 B1 KR102110969 B1 KR 10211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connector
nozzle
control uni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태
Original Assignee
이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태 filed Critical 이원태
Priority to KR102020003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 또는 약액(농약)이 공급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배관을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연속해서 연결함으로써 배관과 연결부위가 고압의 분사압에 견딜 수 있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막힘이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은 밸브(101)를 통해 원수탱크(T1) 또는 약액탱크(T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공급관(100)과; 일측은 상기 제1공급관(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공급관(110)과 연결되는 펌프(200)와; 상기 제2공급관(110)에서 분기되되 비닐하우스(H)의 내부 상측에 다수열로 배치되는 제3공급관(300)과; 상기 펌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UNMANNED FERTILIZER SPRAY SYSTEM}
본 발명은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 또는 약액(농약)이 공급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배관을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연속해서 연결함으로써 배관과 연결부위가 고압의 분사압에 견딜 수 있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막힘이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방제 시스템은 비닐 하우스 및 축사 내부에 농약, 액체비료, 기타 질병 예방 약품 등으로 구성되는 액비를 분사하여 원예작물, 가축, 가금류 등에 병충해 및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무인 방제 시스템은 온실의 내부에서 천정에 매달려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열의 레일 각각에 방제기가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상기 방제기 각각에는 호스를 통해 약액공급기와 각각 연결된 분사관이 장착되고, 상기 분사관의 일단에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약액공급기의 펌핑 압력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호스, 분사관 및 노즐을 통해 작물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인 방제 시스템 구조는 복수개의 방제기를 구동시켜야 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번거럽고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가 비닐하우스 내부에 직접 방제재나 물을 공급하거나 분사할 경우 작업자가 방제재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약액 등이 공급되는 종래의 PVC 재질의 호스는 비닐 하우스 내에서 장시간 햇빛 노출로 인해 부식되기 싶고 연결부위 등에 이물질이 끼이기 쉬우며 이러한 이물질 등에 의해 노즐도 막히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7507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 또는 약액(농약)이 공급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배관을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연속해서 연결하여 간편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고압의 분사압에 견딜 수 있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막힘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 상측에서 원수 또는 약액을 고압 안개 분사(분무)하여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은 무인 방제 시스템에 있어서, 밸브를 통해 원수탱크 또는 약액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공급관과; 일측은 상기 제1공급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공급관과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제2공급관에서 분기되되 비닐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다수열로 배치되는 제3공급관과;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공급관은 단위 공급관이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중공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에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양측에 노즐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결합공에 노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3공급관은 상기 단위 공급관이 상기 걸림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커넥터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내부는 중앙 부위에 상기 노즐결합공과 연통되는 노즐결합부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노즐결합부의 양측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을 다수개 가지고 일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부 및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터의 단부에 걸쳐질 수 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단위 공급관은 단부측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공급관을 상기 걸림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에 삽입시키면 상기 내측돌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급관이 상기 걸림부재와 맞물리면서 커넥터에 체결되고, 상기 걸림부재와 맞물린 단위 공급관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상기 외측돌부에 의해 커넥터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부재는 제1바디체, 제2바디체, 및 커버체가 서로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의 제2바디체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바디체 내에 삽입 배치되는 여과체와, 상기 제2바디체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측에 볼이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배치되는 조정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바디체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체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체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바디체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체의 타측에는 상기 커버체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결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제2바디체의 제3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의 내측에는 세라믹 재질의 팁부가 구비되되 상기 팁부의 중앙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분무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의 외주에는 제1고무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외주에는 제2고무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체의 내측에는 제3고무패킹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노즐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에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비닐하우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와이어에 걸쳐지는 고정구에 안치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에 걸쳐지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재가 안치되는 안치부, 상기 안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공급관 상에는 원수탱크의 원수 또는 약액탱크의 약액을 여과하는 여과기가 설치되되 상기 여과기는 내부에 여과볼층을 구비하여 상기 원수 또는 약액이 상기 여과볼층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여과볼층은 다수의 여과볼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볼은 볼 형태를 가지면서 7중량%의 펄라이트, 18중량%의 견운모, 20중량%의 규조토, 15중량%의 빙정석, 3중량%의 피트모스, 12중량%의 실바이트, 3중량%의 질석, 12중량%의 제올라이트, 및 10중량%의 벤토나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공급관 상에는 전동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밸브에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전동 밸브에 의해 상기 배출관이 제2공급관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팁부의 분무홀은 0.01 ~ 0.03㎛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타이머 제어부, 온습도 제어부, 및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제어부는 타이머 설정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온습도 제어부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습도에 의거하여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구동 정보를 상기 타이머 제어부 또는 온습도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타이머 제어부 또는 온습도 제어부가 상기 구동 정보에 따라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위 공급관은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되 질량%로 0.1 ~ 0.13%의 탄소(C), 1.1 ~ 1.5%의 규소(Si), 5 ~ 7%의 망간(Mn), 20 ~ 23%의 크롬(Cr), 10 ~ 12%의 니켈(Ni), 0.05 ~ 0.1%의 질소(N), 0.5 ~ 3.0%의 텅스텐(W), 0.01 ~ 0.04%의 알루미늄(Al), 0.005%이하의 황(S), 0.01 ~ 0.02%의 세륨(Ce), 0.0006 ~ 0.0015%의 붕소(B), 0.1 ~ 0.5%의 니오븀(Nb), 0.006 ~ 0.01%의 인(P), 0.006%이하의 산소(O), 0.01 ~ 0.4%의 티타늄(Ti)을 각각 포함하고 나머지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펌프에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설정부는 설정 압력에 따라 상기 인버터를 통해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상측에서 안개 분사(분무) 방식으로 방제하므로 비닐하우스 내에서 사각지대 없이 단시간에 비닐하우스 전체가 효과적으로 방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 하우스 내에 설치되는 배관이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손쉽게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비닐 하우스 내에 설치되는 배관이 스테레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배관 내에 이물질 생성이 억제됨과 아울러 부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압에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제 시스템은 시간 또는 온습도 등의 설정 조건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으로 스마트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이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공급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위 공급관의 단부측을 나타낸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단위 공급관, 커넥터, 및 노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어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걸림부재를 단면으로 나타내어 걸림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커넥터를 단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커넥터에 단위 공급관이 삽입 결합되었을 때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노즐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에서 (a)는 노즐몸체의 제1바디체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b)는 노즐몸체의 제2바디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에서 (a)는 커버체의 내측을, (b)는 커버체의 외측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2b는 고정구에 노즐부재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여과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 의한 구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상측에서 원수 또는 약액을 고압 안개 분사(분무)하여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수 또는 약액(농약)이 공급되는 배관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하여 고압을 견디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관을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무인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과 구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제 시스템은 제1공급관(100), 제2공급관(110), 펌프(200), 제3공급관(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공급관(100)은 밸브(101)를 통해 원수탱크(T1) 또는 약액탱크(T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관로이다. 상기 밸브(101)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공지의 볼밸브이거나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400)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공지의 전자제어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관(100)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밸브(101)를 조작 또는 제어하여 원수탱크(T1)와 연결되어 원수(상용수)를 공급하거나 약액탱크(T2)와 연결되어 약액(농약)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공급관(100)상에 급수펌프(103)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설치되어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펌프(200) 구동과 동시에 구동하여 원거리에 설치된 원수탱크(T1) 내의 원수를 펌프(200)로 원활하게 급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판넬(201)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공급관(100)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2공급관(110)과 연결되어 제1공급관(100)에서 공급된 원수 또는 약액을 제2공급관(110)과 제3공급관(300)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펌프(200)는 후술하는 노즐부재(600)에서 고압으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는 고압 펌프(예를 들면, 100kg/㎠ 또는 130kg/㎠ 정도의 고압 펌프)가 적용된다. 특히, 상기 펌프(200)에는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는 인버터(201)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압력(다시 말해, 공급관에 작용하는 수압 또는 펌프 압력)에 따라 펌프(200)의 구동 속도 또는 펌핑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2공급관(110)은 펌프(200)에서 고압으로 배출된 원수 또는 약액을 비닐하우스(H)에 설치된 제3공급관(300)으로 공급하는 관로이다.
본 발명의 제3공급관(3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급관(110)에서 분기되면서 비닐하우스(H)의 내부 상측에 다수열로 배치되는 관로로서, 단위 공급관(301)이 커넥터(5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공급관(300)은 단위 공급관(301)이 커넥터(500)에 원터치(one touch) 조립 방식으로 체결되어 다수의 단위 공급관(301)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해 후술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위 공급관(301)은 소정 길이를 가진 파이프로서 도 5의 (a)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부측 외주 또는 외주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홈부(30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넥터(500)는 도 5의 (b)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에 걸림부재(510)가 구비되며 양측에 노즐부재(600)가 결합되는 노즐결합공(50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00)의 단부에는 단위 공급관(301)이 삽입 체결되고, 커넥터(500)의 양측에는 노즐부재(60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공급관(300)은 상기 단위 공급관(301)이 걸림부재(510)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커넥터(500)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바, 커넥터(500)와 단위 공급관(301)의 결합관계를 이하에서 상술한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00)의 내부는 중앙 부위에 상기 노즐결합공(501)과 연통되는 노즐결합부(502)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노즐결합부(502)의 양측에 걸림턱(506)이 각각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결합부(502)의 양측에 단차가 형성된 단턱부(503), 내측 공간인 내공부(505), 걸림턱(506), 외측 공간인 외공부(507)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원수 또는 약액은 일측 외공부(507)에서 유입되어 내공부(505)를 지나 노즐결합부(502) 통해 노즐결합공(501)으로 유출되거나 다시 타측 내공부(505)를 지나 외공부(507)로 유출된다.
도 7a,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공부(505)와 외공부(507)의 사이(경계 부위)에는 걸림턱(50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510)는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개홈(511)을 다수개 가지고 일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부(512) 및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부(513)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터(500)의 단부에 걸쳐질 수 있는 플랜지부(514)가 형성된다.
도 8a는 커넥터(5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커넥터(500)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510)는 외공부(507)와 내공부(505)에 걸쳐 배치되고, 내공부(505) 내측이면서 걸림부재(510)와 단턱부(503) 사이에는 고무링(504)이 배치된다.
상기 걸림부재(510)는 플랜지부(514)가 형성됨으로써 커넥터(500)에 걸쳐질 수 있게 되어 커넥터(500)의 내부로 들어가 버리거나 인입되지 않으며, 외측돌부(5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돌부(513)가 커넥터(500)의 걸림턱(506)에 걸림으로써 커넥터(500)의 외부로 빠져버리거나 인출 또는 분리되지 않는다. 즉, 걸림부재(510)는 도 8a [및 도5의 (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외측돌부(513)와 플랜지부(514)에 의해 커넥터(500)에 구속되어 커넥터(500)의 양단부에 구비된다.
도 8b는 커넥터(500)에 단위 공급관(301)이 삽입 결합되었을 때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위 공급관(301)은 도 5의 (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측에 원주방향으로 홈부(301A)가 형성되는 바, 상기 단위 공급관(301)을 도 6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510)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500)에 삽입시키면 상기 걸림부재(510)의 내측돌부(512)가 상기 홈부(301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급관(301)이 상기 걸림부재(510)와 맞물리면서 커넥터(500)에 체결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위 공급관(301)의 일단부를 커넥터(500)에 구비된 걸림부재(510) 내부로 삽입시킬 경우 상기 걸림부재(510)는 절개홈(511)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어 다소 벌어지게 되고 내측돌부(512)에 단위 공급관(301)의 홈부(301A)이 다다르게 되면 내측돌부(512)가 홈부(301A)내에 맞물리면서 삽입된다.
그 결과, 단위 공급관(301)이 걸림부재(510)에 맞물리면서 커넥터(500)에 체결된다. 이때, 단턱부(503)까지 삽입된 단위 공급관(301) 단부의 외측에는 고무링(504)이 배치되게 되어 단위 공급관(301) 내의 원수 또는 약액이 누출되지 않고 노즐결합부(502)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510)와 맞물린 단위 공급관(301)은 상기 걸림부재(510)의 외측돌부(513)가 상기 걸림턱(506)에 걸림으로써 커넥터(50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공급관(301)과 걸림부재(510)가 맞물리면 서로 일체로 움직이게 되므로, 단위 공급관(301)이 압력이나 외력에 의해 커넥터(500) 외부로 이탈 또는 분리되거나 빠질려고 할 경우 걸림부재(510)의 외측돌부(513)가 커넥터(50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506)에 걸리게 되어 걸림부재(510)와 단위 공급관(301)이 커넥터(500) 외부로 빠지거나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커넥터(500)에 구속된 걸림부재(510)에 의해 걸림부재(510)와 맞물린 단위 공급관(301)이 커넥터(500)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측돌부(512)에 의해 걸림부재(510)와 맞물린 단위 공급관(301)은 상기 걸림턱(506)에 걸리는 외측돌부(513)에 의해 커넥터(50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단위 공급관(301)과 커넥터(500)의 결합이 고압에도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즐부재(600)는 상기 단위 공급관(301) 또는 제3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또는 약액을 안개 분사식으로 고압 분무하는 것으로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체(611), 제2바디체(612), 및 커버체(613)가 서로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노즐몸체(610)와, 상기 노즐몸체(610)의 제2바디체(612)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바디체(611) 내에 삽입 배치되는 여과체(620)와, 상기 제2바디체(61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측에 볼(631)이 구비되는 스프링(630)과, 상기 스프링(6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조정구(64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몸체(610)는 내부로 원수 또는 약액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제1바디체(611), 제2바디체(612), 및 커버체(613)가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서, 원수 또는 약액이 유입되는 제1바디체(611)에 제2바디체(612)가 나사 결합되어 조립되고, 제2바디체(612)에 원수 또는 약액이 분무되어 유출되는 커버체(613)가 나사 결합되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여과체(620)는 상기 노즐몸체(610)의 제2바디체(612)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바디체(611) 내에 삽입 배치되어 원수나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을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바디체(612)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621A)를 가지면서 일측이 개방된 지지체(621) 및 상기 지지체(621)에 설치되어 제1바디체(611)로 유입된 원수 또는 약액을 통과시키면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을 필터링하는 여과망(622)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망(622)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 구멍들로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으로 필터링함과 아울러 이를 통과하는 유체를 미세 입자화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제2바디체(61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측에 볼(631)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수 또는 약액의 수압을 통해 조정구(6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바디체(612)로 유입되는 원수 또는 약액의 수압을 스프링(630)에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630)의 일측에 볼(631)이 구비됨으로써, 조정구(640)에 대하여 수압에 따른 탄성작용이 확실하게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조정구(640)는 후술한 분무홀(614A)과 대향하면서 상기 스프링(630)의 타측 위에 배치되어 분무홀(614A)을 통해 분무되는 원수 또는 약액의 분무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가해지는 수압에 따른 상기 스프링(630)의 탄성 작용으로 분무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즐부재(600)는 여과체(620) 또는 여과망(622)과 스프링(630)의 탄성이 작용하는 조정구(640)와 분무홀(614A)을 통해 원수 또는 약액을 미세 입자화하여 안개 분사(또는 분무)시키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며 제1바디체(611), 제2바디체(612), 및 커버체(613)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바디체(611)는 원수 또는 약액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여과체(62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중공형 관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노즐결합공(501)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1결합부(6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체(612)의 제2결합부(612A)가 나사 결합하도록 타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611A)는 상기 노즐결합공(50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노즐부재(600) 또는 제1바디체(611)가 노즐결합공(501)에 결합되었을 때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결합부(611A)의 외주에 제1고무패킹(P1)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바디체(612)는 제1바디체(611)와 마찬가지로 원수 또는 약액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630)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중공형 관통 구조를 가지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체(62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바디체(611)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부(612A)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체(611)와 결합되었을 때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2결합부(612A)의 외주에 제2고무패킹(P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바디체(612)의 타측에는 커버체(613)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 나사산이 형성된 제3결합부(612B)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체(61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바디체(612)의 제3결합부(612B)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613A)이 형성된다. [도 11의 (a)는 커버체(613)의 일측과 내부를 나타내고, (b)는 커버체(613)의 타측을 나타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체(613)의 내측에는 세라믹 재질의 팁부(614)가 구비되고, 상기 팁부(614)의 중앙에는 상기 관통공(613A)과 연통되는 미세 구멍인 분무홀(614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원수 또는 약액이 최종 분무(안개 분사)되는 커버체(613)의 내측 저면에 세라믹 재질의 팁부(614)가 구비되고 상기 팁부(614)에 분무홀(614A)이 형성됨으로써 분무홀(614A) 부위에 생길 수 있는 이물질(또는 찌꺼기) 끼임을 억제하여 이물질 끼임에 의한 노즐부재(600)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즐부재(600)의 막힘에 의한 분무 불량이 발생하는 일 없이 한번 설치 후 장시간 노즐부재(6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613)의 내측이면서 팁부(614) 상에는 상기 제2바디체(612)와 결합되었을 때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3고무패킹(P3)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팁부(614)의 분무홀(614A)은 0.01 ~ 0.03㎛의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즐부재(600)에서 원수 또는 약액은 여과체(620)와 분무홀(614A)에 의해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미세 입자화되어 고압으로 분무(안개 분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무홀(614A)과 대향하는 조정구(640)가 수압에 따른 스프링(630)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분무홀(614A)로 유출되는 원수 또는 약액의 분무압 내지 분무량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노즐부재(600)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00)의 노즐결합공(501)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500)에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비닐하우스(H)의 상측에 설치되는 와이어(W)에 걸쳐지는 고정구(700)에 안치되게 된다.
따라서, 노즐부재(600)가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노즐부재(600)의 분무(분사) 각도가 각각 180도에 이르게 되어 비닐하우스(H) 상측에서 사각지대 없이 분무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700)는 금속 선재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W)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에 걸쳐지는 걸이부(701), 상기 걸이부(70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재(600)가 안치되는 안치부(702), 및 상기 안치부(70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500)를 지지하는 지지부(703)를 포함한다.
와이어(W)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H) 상측에 다수열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구(700)를 통해 제3공급관(30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의 와이어가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700)의 걸이부(701)는 와이어(W)에 걸쳐질 수 있도록 ∧형태를 이루고, 상기 안치부(702)는 노즐부재(600)가 거치 또는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701)의 하부 양측에 U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703)는 상기 안치부(702)에서 고정구(700)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그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500)를 양측에서 접촉 지지한다.
따라서, 고정구(700)에 의해 커넥터(500)와 노즐부재(600)가 비닐하우스(H)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안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3공급관(300)이 비닐하우스(H) 상측에서 원거리로 길게 연장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급관(100) 상에 원수탱크(T1)의 원수 또는 약액탱크(T2)의 약액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 또는 중금속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102)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기(10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여과볼층(103)을 구비하여 상기 원수 또는 약액이 상기 여과볼층(103)을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도 13에서 화살 표시는 원수 또는 약액의 유동 방향을 나타냄)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볼층(103)은 다수의 여과볼(103A)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볼(103A)은 볼 형태를 가지면서 7중량%의 펄라이트, 18중량%의 견운모, 20중량%의 규조토, 15중량%의 빙정석, 3중량%의 피트모스, 12중량%의 실바이트, 3중량%의 질석, 12중량%의 제올라이트, 및 10중량%의 벤토나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볼(103A)은 7중량%의 펄라이트, 18중량%의 견운모, 20중량%의 규조토, 15중량%의 빙정석, 3중량%의 피트모스, 12중량%의 실바이트, 3중량%의 질석, 12중량%의 제올라이트, 및 10중량%의 벤토나이트를 각각 분말 형태로 준비한 후 물을 첨가하여 공지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20분간 교반한 다음, 공지의 볼 성형기를 이용하여 구 형태의 볼로 가공하고, 가공된 볼을 1000 ~ 1500℃로 소성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 견운모, 규조토, 빙정석, 피트모스, 실바이트, 질석,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는 각각 정수 또는 수질 개선 기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중금속 또는 유해 세균의 흡착력이 우수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기(102)는 상기 여과볼층(103) 또는 여과볼(103A)이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급관(110) 상에는 전동 밸브(111)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밸브(111)에 배출관(120)이 연결되어 상기 전동 밸브(111)에 의해 상기 배출관(120)이 제2공급관(110)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밸브(111)는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해 개폐 구동이 제어되는 공지의 전자 제어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경우에는 제2공급관(110)을 통해 제3공급관(300)으로 원수 또는 약액이 공급되도록 컨트롤러(400)가 전동 밸브(111)를 제어하여 배출관(120)을 폐쇄하지만,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이 (설정 구동 시간 또는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습도 조건을 충족하여) 방제를 완료했을 경우에는 컨트롤러(400)가 전동 밸브(111)를 제어하여 배출관(120)을 제2공급관(110)과 연통시킨다.
다시 말해, 컨트롤러(400)는 원수 또는 약액을 제3공급관(300)으로 공급하면서 시스템을 가동할 때에는 전동 밸브(111)를 제어하여 배출관(120)이 제2공급관(110)과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하고, 방제가 완료되어 펌프(200) 구동을 정지시키면서 시스템 가동을 정지시킬 때에는 전동 밸브(111)를 제어하여 배출관(120)이 제2공급관(110)과 연통되도록 한다.
시스템 가동 중에는 원수 또는 약액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펌프(200)에 의해 제2공급관(110)과 제3공급관(300)에 고압의 수압이 가해지는데, 시스템 가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제3공급관(300)에 고압의 수압이 장시간 동안 계속 가해지고 있으면 노즐부재(600)의 분무홀(614A)에서 원수 또는 약액이 누수될 수 있는 등의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제가 완료되고 펌프(200)의 구동이 정지되면 컨트롤러(400)가 전동 밸브(111)를 제어하여 배출관(120)을 제2공급관(110)과 연통시켜 제2공급관에 있는 원수 또는 약액의 일부를 배출관(120)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제2공급관(110)과 제3공급관(300)에 가해지고 있던 고압의 수압을 해제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컨트롤러(400)는 전동 밸브(111) 제어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만 배출관(120)을 제2공급관(110)과 연통시키고 다시 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 밸브(111)의 제어를 통해 방제가 완료되고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을 때에는 제3공급관(300) 또는 노즐부재(600)에 고압의 수압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시스템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 제어부(410), 온습도 제어부(420), 및 스마트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는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타이머 설정키(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 설정키(411)를 통해 입력된 구동 시간에 따라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구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구동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ON/OFF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온습도 제어부(420)는 비닐하우스(H)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1) 및 습도센서(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 설치되는 온도 설정키(도시 생략)를 통해 입력된 설정 온도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습도 설정키(도시 생략)를 통해 입력된 설정 습도에 의거하여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온습도 제어부(420)의 제어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도 설정키를 통해 설정 온도를 20도로 설정한 경우 만약 온도센서(S1)에 의해 감지된 비닐하우스(H)의 내부 온도가 22도라면 펌프(200)를 구동시켜 원수가 분무되도록 하여 비닐하우스(H) 내부 온도를 낮추도록 제어하고 비닐하우스(H)의 내부 온도가 20도 밑으로 내려가면 펌프(200)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습도센서(S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습도 설정키를 통해 설정 습도를 설정하면 습도센서(S2)에 의해 감지된 비닐하우스(H) 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 미만일 경우 원수가 분무되도록 펌프를 구동시키고 다시 비닐하우스(H) 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 보다 높게 감지되면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을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를 통해 제어할지 또는 상기 온습도 제어부(420)를 통해 제어할지는 외부에 설치되는 선택키(도시 생략)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온습도 제어부(420)에 의한 제어를 선택했을 경우 온도센서(S1)를 통해 제어할지 또는 습도센서(S2)를 통해 제어할지는 마찬가지로 외부에 설치되는 선택키(도시 생략)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스마트폰(C)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C)에서 송신된 구동 정보를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 또는 온습도 제어부(420)로 전송하여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 또는 온습도 제어부(420)가 상기 구동 정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를 통한 제어 관계를 이하에서 상술한다.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는 본 발명의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고 실행 중인 스마트폰(C)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데, 이때 무선 통신 기술은 WiFi 또는 Bluetooth 등을 이용하는 공지의 무선 통신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스마트폰(C)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동 시간,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시간,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스마트폰(C)에서 송신되면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가 상기 구동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 또는 온습도 제어부(4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 정보를 전송받은 타이머 제어부(410) 또는 온습도 제어부(4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정보 즉, [상기 스마트폰(C)를 통해] 설정된 구동 시간 또는 설정된 설정 온도 또는 설정된 설정 습도에 따라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S1) 또는 습도센서(S2)에서 감지된 비닐하우스(H)내의 온도 또는 습도는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폰(C)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비닐하우스(H)내의 온도 또는 습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인 방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폰(C)을 통해 원격으로도 제어될 수 있어, 사용자가 원거리가 설치된 비닐하우스(H)까지 직접 가서 시스템을 구동시키거나 제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단위 공급관(301)은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PVC 재질의 배관은 비닐하우스(H) 상측에서 장기간 노출될 경우 부식이 되기 쉽고 부식에 의한 누수 등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내식성이 매우 강하고 가벼운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단위 공급관(301)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단위 공급관(301)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되 질량%로 0.1 ~ 0.13%의 탄소(C), 1.1 ~ 1.5%의 규소(Si), 5 ~ 7%의 망간(Mn), 20 ~ 23%의 크롬(Cr), 10 ~ 12%의 니켈(Ni), 0.05 ~ 0.1%의 질소(N), 0.5 ~ 3.0%의 텅스텐(W), 0.01 ~ 0.04%의 알루미늄(Al), 0.005%이하의 황(S), 0.01 ~ 0.02%의 세륨(Ce), 0.0006 ~ 0.0015%의 붕소(B), 0.1 ~ 0.5%의 니오븀(Nb), 0.006 ~ 0.01%의 인(P), 0.006%이하의 산소(O), 0.01 ~ 0.4%의 티타늄(Ti)을 각각 포함하고 나머지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조성범위와 한정이유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탄소(C)는 첨가시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지만 과량 첨가시 연신율이 저하되므로 0.1 ~ 0.13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Si)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과다 첨가시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므로 1.1 ~ 1.5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은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상을 준안정화시키지만 과다첨가되는 경우 가공시 내열성을 악화시키므로 5 ~ 7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은 스테인레스강의 산화 피막형성을 촉진하는 원소로서 내열성 및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이상의 첨가가 필요하고, 과다 첨가되는 경우 페라이트상 생성원소이므로 가공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니켈 함량이 더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20 ~ 23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은 C, N와 같이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이고 내산화성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10 ~ 12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로서 Ni원소를 대체하는 원소이며, 고온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나 과다시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0.05 ~ 0.1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텅스텐(W)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과다 첨가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0.5 ~ 3.0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은 결정입도 제어 및 탈산제 원소이며 과다 첨가시 노즐 막힘 가능성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0.01 ~ 0.04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은 미량의 불순물 원소로서 결정입계에 편석되어 가공크랙을 일으키는 주원소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0.005질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륨(Ce)은 희토류 금속원소로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원소이지만 과다 첨가시 산화물이 발생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0.01 ~ 0.02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소(B)는 크리프 파열 강도 및 내식성을 개선하지만, 과량의 붕소는 가공성을 악화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0.0006 ~ 0.0015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오븀(Nb)도 마찬가지로 크리프 파열 강도 및 내식성을 개선하지만 과량일 경우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0.1 ~ 0.5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은 내식성에 유리하지만 가공성에 불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0.006 ~ 0.01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O)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 내산화성 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원소이지만 과량일 경우 미고용 산화물을 생성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0.006질량%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Ti)은 내식성 및 크리프 파열 강도를 개선시키지만 과량의 티타늄은 가공성을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0.01 ~ 0.4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위 공급관(301)은 전기 아크로, 아르곤-산소-탈탄소(AOD), 진공 도입 용융 방법을 포함하는 공지의 제조 방법으로 합금 용융물을 제조하고 나서, 그 용융물을 연속적으로 괴철로 주조하거나 잉곳으로 주조하고 공지의 압출 방법으로 제조된 후, 상기 홈부(301A)가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위 공급관(301)이 상기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볍고 가공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습도가 놓고 강한 햇빛이 내리쬐는 비닐하우스(H) 상측에서 장시간 배치되더라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이물질 끼임 또는 발생이 없으며, 누수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200)에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201)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인버터(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 설정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설정부(440)는 설정 압력에 따라 상기 인버터(201)를 통해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압력 설정부(440)와 인버터(201)의 구동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H)의 크기가 커서 제2공급관(110)과 제3공급관(300)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야 할 경우 원수 또는 약액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보다 높은 압력(수압)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상황에 따라서 펌프(2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수압)[즉, 펌프 압력]을 사용자가 조절해서 시스템을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인버터(201)를 통해 펌프(20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펌프(200)에 의해 시스템의 제2공급관((110)과 제3공급관(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한다.
다시 말해, 상기 압력 설정부(440)는 외부에 설치되는 압력 설정키(4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압력 설정키(441)를 통해 설정 압력[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펌프(200)가 작용하는 압력 또는 펌프 압력]을 입력하면, 상기 압력 설정부(440)는 입력된 설정 압력에 의거하여 인버터(201)를 제어하고, 이에 인버터(201)는 상기 설정 압력에 따라 펌프(2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인버터(201)는 공지의 인버터가 채택되거나 공지의 인버터 제어 회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력 설정키(441)와 압력 설정부(44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압력에 따라 펌프(200)의 압력이 선택될 수 있음으로써 설치 상황에 적합하게 펌프(200)를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설정 압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C)에서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압력에 관한 구동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에서 수신되면 마찬가지로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는 상기 설정 압력에 관한 구동 정보를 상기 압력 설정부(440)로 전송하여, 상기 압력 설정부(440)에서 상기 구동 정보에 따라 인버터(201)를 제어하고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제1공급관, 101: 밸브, 102: 여과기,
110: 제2공급관, 111: 전동 밸브, 120: 배출관,
200: 펌프, 300: 제3공급관, 301: 단위 공급관,
301A: 홈부 400: 컨트롤러, 410: 타이머 제어부,
411: 타이머 설정키, 420: 온습도 제어부, 430: 스마트 제어부,
500: 커넥터, 501: 노즐결합공, 502: 노즐결합부,
503: 단턱부, 504: 고무링 , 505: 확장부,
506: 걸림턱, 507: 입구부, 510: 걸림부재,
511: 절개홈, 512: 내측돌부, 513: 외측돌부,
514: 플랜지부, 600: 노즐부재, 610: 노즐몸체
611: 제1바디체, 611A: 제1결합부, 612: 제2바디체,
612A: 제2결합부, 612B: 제3결합부, 613: 커버체,
613A: 관통공, 614: 팁부, 614A: 분무홀
620: 여과체, 630: 스프링, 631: 볼,
640: 조정구, 700: 고정구, 701: 걸이부,
702: 안치부, 703: 지지부, T1: 원수탱크,
T2: 약액탱크, H: 비닐하우스 S1: 온도센서,
S2: 습도센서, C: 스마트폰, P1: 제1고무패킹,
P2: 제2고무패킹, P3: 제3고무패킹, W: 와이어.

Claims (1)

  1. 무인 방제 시스템에 있어서,
    밸브(101)를 통해 원수탱크(T1) 또는 약액탱크(T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공급관(100)과;
    일측은 상기 제1공급관(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공급관(110)과 연결되는 펌프(200)와;
    상기 제2공급관(110)에서 분기되되 비닐하우스(H)의 내부 상측에 다수열로 배치되는 제3공급관(300)과;
    상기 펌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급관(300)은 단위 공급관(301)이 커넥터(5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500)는 중공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에 걸림부재(510)가 구비되며 양측에 노즐결합공(501)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결합공(501)에 노즐부재(600)가 결합되고,
    상기 제3공급관(300)은 상기 단위 공급관(301)이 상기 걸림부재(510)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커넥터(500)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커넥터(500)의 내부는 중앙 부위에 상기 노즐결합공(501)과 연통되는 노즐결합부(502)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노즐결합부(502)의 양측에 걸림턱(50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510)는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절개홈(511)을 다수개 가지고 일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부(512) 및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부(513)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터(500)의 단부에 걸쳐질 수 있는 플랜지부(514)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 공급관(301)은 단부측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홈부(301A)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공급관(301)을 상기 걸림부재(510)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500)에 삽입시키면 상기 내측돌부(512)가 상기 홈부(301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위 공급관(301)이 상기 걸림부재(510)와 맞물리면서 커넥터(500)에 체결되고,
    상기 걸림부재(510)와 맞물린 단위 공급관(301)은 상기 걸림턱(506)에 걸리는 상기 외측돌부(513)에 의해 커넥터(50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노즐부재(600)는,
    제1바디체(611), 제2바디체(612), 및 커버체(613)가 서로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노즐몸체(610)와,
    상기 노즐몸체(610)의 제2바디체(612)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바디체(611) 내에 삽입 배치되는 여과체(620)와,
    상기 제2바디체(61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측에 볼(631)이 구비되는 스프링(630)과,
    상기 스프링(6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조정구(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체(611)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결합공(501)에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부(6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체(612)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체(62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바디체(612)가 상기 제1바디체(611)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부(6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체(612)의 타측에는 상기 커버체(613)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결합부(612B)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체(613)는 상기 제2바디체(612)의 제3결합부(612B)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에 관통공(613A)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613)의 내측에는 세라믹 재질의 팁부(614)가 구비되되 상기 팁부(614)의 중앙에 상기 관통공(613A)과 연통되는 분무홀(614A)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611A)의 외주에는 제1고무패킹(P1)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612A)의 외주에는 제2고무패킹(P2)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체(613)의 내측에는 제3고무패킹(P3)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부재(600)는 상기 커넥터(500)의 노즐결합공(501)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500)에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비닐하우스(H)의 상측에 설치되는 와이어(W)에 걸쳐지는 고정구(700)에 안치되고,
    상기 고정구(700)는 상기 와이어(W)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W)에 걸쳐지는 걸이부(701), 상기 걸이부(70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재(600)가 안치되는 안치부(702), 및 상기 안치부(70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500)를 지지하는 지지부(7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관(100) 상에는 원수탱크(T1)의 원수 또는 약액탱크(T2)의 약액을 여과하는 여과기(102)가 설치되되 상기 여과기(102)는 내부에 여과볼층(103)을 구비하여 상기 원수 또는 약액이 상기 여과볼층(103)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여과볼층(103)은 다수의 여과볼(103A)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볼(103A)은 볼 형태를 가지면서 7중량%의 펄라이트, 18중량%의 견운모, 20중량%의 규조토, 15중량%의 빙정석, 3중량%의 피트모스, 12중량%의 실바이트, 3중량%의 질석, 12중량%의 제올라이트, 및 10중량%의 벤토나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공급관(110) 상에는 전동 밸브(111)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밸브(111)에 배출관(120)이 연결되어 상기 전동 밸브(111)에 의해 상기 배출관(120)이 제2공급관(110)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팁부(614)의 분무홀(614A)은 0.01 ~ 0.03㎛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400)는 타이머 제어부(410), 온습도 제어부(420), 및 스마트 제어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는 타이머 설정키(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온습도 제어부(420)는 비닐하우스(H)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1) 및 습도센서(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습도에 의거하여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4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스마트폰(C)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C)에서 송신된 구동 정보를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 또는 온습도 제어부(420)로 전송하여 상기 타이머 제어부(410) 또는 온습도 제어부(420)가 상기 구동 정보에 따라 무인 방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며,
    상기 단위 공급관(301)은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되 질량%로 0.1 ~ 0.13%의 탄소(C), 1.1 ~ 1.5%의 규소(Si), 5 ~ 7%의 망간(Mn), 20 ~ 23%의 크롬(Cr), 10 ~ 12%의 니켈(Ni), 0.05 ~ 0.1%의 질소(N), 0.5 ~ 3.0%의 텅스텐(W), 0.01 ~ 0.04%의 알루미늄(Al), 0.005%이하의 황(S), 0.01 ~ 0.02%의 세륨(Ce), 0.0006 ~ 0.0015%의 붕소(B), 0.1 ~ 0.5%의 니오븀(Nb), 0.006 ~ 0.01%의 인(P), 0.006%이하의 산소(O), 0.01 ~ 0.4%의 티타늄(Ti)을 각각 포함하고 나머지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200)에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201)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인버터(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 설정부(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설정부(440)는 설정 압력에 따라 상기 인버터(201)를 통해 상기 펌프(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0200035238A 2020-03-23 2020-03-23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11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238A KR102110969B1 (ko) 2020-03-23 2020-03-23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238A KR102110969B1 (ko) 2020-03-23 2020-03-23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69B1 true KR102110969B1 (ko) 2020-05-15

Family

ID=7067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238A KR102110969B1 (ko) 2020-03-23 2020-03-23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3384A (zh) * 2020-10-20 2021-02-02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作物群体承载力的植保装置及其作业方法
KR20220018255A (ko) * 2020-08-06 2022-02-15 이재영 다기능 스마트 무인 방제 분적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02A (ko) * 1994-11-28 1996-06-17 강성찬 무인 자동화 방제 및 관수시설 제어장치
KR20100034808A (ko) * 2008-09-25 2010-04-02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027507B1 (ko) 2010-11-01 2011-04-06 서문재규 무인 방제 시스템
JP2016049102A (ja) *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リコー 圃場管理システム、圃場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705686B1 (ko) * 2016-06-09 2017-02-23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용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20180047975A (ko) * 2016-11-02 2018-05-10 이경재 무인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02A (ko) * 1994-11-28 1996-06-17 강성찬 무인 자동화 방제 및 관수시설 제어장치
KR20100034808A (ko) * 2008-09-25 2010-04-02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027507B1 (ko) 2010-11-01 2011-04-06 서문재규 무인 방제 시스템
JP2016049102A (ja) *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リコー 圃場管理システム、圃場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705686B1 (ko) * 2016-06-09 2017-02-23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용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20180047975A (ko) * 2016-11-02 2018-05-10 이경재 무인방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55A (ko) * 2020-08-06 2022-02-15 이재영 다기능 스마트 무인 방제 분적 시스템
KR102459254B1 (ko) * 2020-08-06 2022-10-26 주식회사 광진기업 다기능 스마트 무인 방제 분적 시스템
CN112293384A (zh) * 2020-10-20 2021-02-02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作物群体承载力的植保装置及其作业方法
CN112293384B (zh) * 2020-10-20 2022-07-29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作物群体承载力的植保装置及其作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969B1 (ko) 안개 분사식 무인 방제 시스템
CN103153041A (zh) 用于自动推动的机械化灌溉系统的配水组件
US20070252023A1 (en) Tube System for Supplying a Fluid, Preperably for Subsoil Irrigation
CN103329784A (zh) 一种无线控制的浇灌系统
JP2013215115A (ja) 潅水監視装置
WO2017008528A1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用于园林园艺的自动浇水装置
CN109122222A (zh) 一种立体绿化墙灌溉系统
US20100218828A1 (en) Irrigation And Fertigation Collection And Mixing Devi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212660771U (zh) 一种农业物联网无线监控灌溉终端
CN110436698A (zh) 一种适用于水产养殖的水质改善装置
CN207665682U (zh) 一种小流量滴灌灌水器及滴灌设备
CN202269250U (zh) 多功能豆芽机
CN208465288U (zh) 一种净水机滴漏保护装置
KR200414682Y1 (ko) 자동관수장치
CN214593319U (zh) 一种边坡选育用全自动灌溉系统
CN211322218U (zh) 一种中草药育苗装置
JPH10248414A (ja) 水田用水位コントローラ
CN112520866B (zh) 一种自动控制净水器及系统
CN219205458U (zh) 一种滴灌设备
CN205307932U (zh) 单罐手动反冲洗砂石过滤装置
CN216242614U (zh) 一种开度检测机构及液控缓闭蝶阀应急启闭装置
CN213173783U (zh) 一种建筑施工用地基基坑排水装置
CN214508525U (zh) 一种城市绿化用洒水装置
CN219972041U (zh) 一种提升装置、曝气系统
CN209234577U (zh) 一种无土栽培专用滴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