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050B1 -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050B1
KR101026050B1 KR1020090012410A KR20090012410A KR101026050B1 KR 101026050 B1 KR101026050 B1 KR 101026050B1 KR 1020090012410 A KR1020090012410 A KR 1020090012410A KR 20090012410 A KR20090012410 A KR 20090012410A KR 101026050 B1 KR101026050 B1 KR 10102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lamp
mold
casing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290A (ko
Inventor
이득우
성재석
이대규
양태석
전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050B1/ko
Priority to DE102009055803A priority patent/DE102009055803A1/de
Priority to US12/629,672 priority patent/US20100208920A1/en
Priority to CN200910252849A priority patent/CN101808482A/zh
Publication of KR2010009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5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encapsulation, e.g. waterproof resin forming an integral casing,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29C45/1465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o or mounted on a carrier, e.g. lead fram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47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29L2031/3061Numb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85Casings overmoulded over assembled switch or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9Flexible integral part of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28Line cor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71Bases, casings, or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switch and an 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는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으로 외부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기판 및 클램프를 수지재로 일체로 몰딩하여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몰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formed by molding,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nic application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 하는 구동 회로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수지재로 일체로 몰딩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회로 부품이나 케이블 등이 성형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회로 부품이나 케이블이 연결된 후 상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로 제공되는 전자 장치는 차량, TV, 무선통신기기 등의 원격 시동을 위한 리모컨, 이어셋과 헤드폰과 같은 음향기기의 컨트롤러 등과 같은 응용 전자장치로 제조된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의 특징은 핸드폰과 같은 응용장치들에 비해 부품수가 적 고, 비교적 간단한 제품구조를 가지며, 저가로 대량 생산된다는 것이다.
최근들어, 상기 전자 부품도 내부 회로 소자가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원상회복하는 스위치와 같은 구동부품을 내장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의 구동부가 되는 구동 부품을 기판 상에 실장하고, 이를 구동부 노출홀이 형성되는 상,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조립하는 방법이 현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공정은 상, 하부 케이스를 별도로 사출하여 준비하여야 하며, 이들을 결합하므로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부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틈 때문에 제품 방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는 상기 케이블을 전자 장치의 케이스 내에서 묶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제조 방식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를 크게하고, 내부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며 제품의 슬림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을 묶기 때문에 케이블 벤딩이나, 푸시 풀(push-pull)과 같은 외부의 충격에 매우 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기판 상에 실장되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회로부품과 다른 일반 회로 부품이 일체로 몰딩 성형되는 전자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는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으로 외부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기판 및 클램프를 수지재로 일체로 몰딩하여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몰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 렉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 렉은 상기 기판의 렉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기판에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가 더 실장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에 의해 몰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케이싱 몰딩부는 몰드 두께의 차이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호캡 내의 버튼 수용부에 수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누름에 의해 전기신호를 변경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버튼부와 스위치부는 격막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버튼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버튼 수용부에는 상기 스위치부와 버튼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홀에는 상기 버튼부에서 연장되는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기판 상에는 마이크가 더 실장되며, 상기 마이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싱 몰딩부에는 음성 전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서 구동부 또는 마이크를 덮으며, 상기 구동부 또는 마이크가 직접 몰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마이크를 덮는 보호캡에는 상기 음성 전달홀에 대응되는 소리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 통과 홀 상에 방수를 위한 메쉬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클램프는 그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 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상기 기판에는 금형의 지지핀이 통과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금형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과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에 클램프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는 기판을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지지핀을 통과시켜 상기 기판을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 내의 내부 공간에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지재 주입부를 통해 수지재를 충전하여, 상기 금형과 기판 사이의 간격이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 및 케이싱 몰딩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클램프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경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판 상에 마이크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싱 몰 딩부에 음성 전달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의 음성 전달홀 형성핀이 상기 마이크와 접촉된 상태에서 몰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의 상기 기판의 지지핀홀은 상기 기판 모서리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금형은 케이블이 클램프로 연결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지지핀홀과 결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판을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핀; 및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의 내부공간이 케이싱 몰딩부가 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하는 수지재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금형의 상기 지지핀은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지지핀홀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 금형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금형의 상기 기판 상에 마이크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에 음성 전달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에서 음성 전달홀 형성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금형은 상기 클램프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를 성형하기 위한 클팸프 몰딩부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금형은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외주면의 모서리에 외형 유지를 위한 지지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라인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는 케이블이 클램프로 연결되는 기판이 일체로 몰드 성형되며, 스위치부와 버튼부가 보호캡의 격막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과 원상회복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싱 몰딩부; 상기 케이싱 몰딩부 일측에서 연장되어 소리 신호를 제공받는 잭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타측에서 연결되어 소리가 제어되어 나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케이싱 몰딩부는 상기 구동부를 덮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몰드 두께 차이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외주면의 모서리에는 외형 유지를 위한 지지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 기 케이싱 몰딩부 내에는 마이크가 더 실장되며, 상기 마이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싱 몰딩부에는 음성 전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마이크를 덮는 보호캡에는 상기 음성 전달홀에 대응되는 소리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 통과 홀 상에 방수를 위한 메쉬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케이싱 몰딩부는 상기 구동부를 덮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몰드 두께 차이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외주면의 모서리에는 외형 유지를 위한 지지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케이싱 몰딩부 내에는 마이크가 더 실장되며, 상기 마이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싱 몰딩부에는 음성 전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응용예인 음향 전달 장치의 상기 마이크를 덮는 보호캡에는 상기 음성 전달홀에 대응되는 소리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 통과 홀 상에 방수를 위한 메쉬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 자 장치에 의하면,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의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외관을 형성하는 몰드 케이싱부가 동일 수지재로 전체가 몰딩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기구물의 구동부와 외부 케이스를 각각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제조공정이 단순해 짐으로써 나아가 생산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기구불의 구동부와 외부 케이스를 각각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제품 방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설계 변경으로 전자 부품의 외관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초박형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응용된 전자장치에 마이크를 내장하는 경우 마이크의 주위 부품을 몰딩재로 완벽하게 몰딩함으로써 소리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에 케이블을 고정 클램프로 연결하고 전체를 몰딩함으로써, 케이블이 벤딩, 푸시 풀(push-pull)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 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몰드 성형되기 전의 형상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가 조립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10)는 구동부(24), 기판(20),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 및 케이싱 몰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4)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회로부품 중의 하나로, 누름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회로부품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동부(24)는 회로패턴(25)이 형성되는 기판(20) 상에 실장된다.
상기 구동부(24)는 보호캡(40) 내의 버튼 수용부(44)에 수용되어 누름 및 원상회복되는 버튼부(242) 및 기판(20)에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부(2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기판(20)은 전자 장치(10)의 박형화를 위해 표면 실장 소자(surface-mount device)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20)에 PC, PC/ABS와 같은 일반적인 몰딩을 위한 수지재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하는 경우 표면 실장된 소자들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상기 기판(20) 상에 보호캡(40)을 덮은 후 상기 기판(20)을 몰딩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캡(40)은 상기 구동부(24)를 덮으며, 상기 구동부(24)가 직접 몰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캡(40)에는 상기 버튼 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 수용부(44)는 상기 버튼부(242)와 스위치부(244) 사이에 배치되는 격막이 된다. 상기 버튼 수용부(44)는 상기 버튼부(242)의 누름과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수용부(44)에는 상기 스위치부(244)와 버튼부(24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홀(45)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홀(45)에는 상기 버튼부(242)에서 연장되는 돌기(243)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243)가 상기 위치 결정홀(45)에 삽입되어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돌기(243)와 상기 위치 결정홀(45)은 버튼부(242)와 스위치부(244)의 중심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캡(40)은 러버 재질이며, 버튼부(242)는 플라스틱 수지재 일 수 있다. 전체가 몰딩된 후,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를 눌러 버튼부(242)가 눌려지게 하면 견고한 고체의 버튼부(242)가 러버 재질의 격막을 용이하게 눌러 힘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수지재를 융점이 낮고 흐름이 좋은 엘라스토머 러버로 사용하는 경우는 보호캡(4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표면 실장된 소자들이 파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몰딩될 수 있다.
상기 기판(20) 상에는 마이크(28)와 같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마이 크(28)에 소리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전자 장치(10)의 케이싱 몰딩부(12)에 소리 전달을 위한 음성 전달홀(17)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28)를 덮는 보호캡(40)에는 상기 음성 전달홀(17)에 대응되는 소리 통과 홀(48)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 통과 홀(48) 상에 방수를 위한 메쉬(47)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메쉬(47)는 음성 전달홀(17)로부터 유입되는 먼지가 마이크(28) 부품에 직접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20)을 금형에 배치시킨 후 몰딩을 전체적으로 하여 몰딩된 부분 자체가 전체적으로 전자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자 장치(10)의 외관은 상기 구동부(24)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24)가 수지재로 몰드 성형되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와 상기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와 함께 상기 기판(20) 전부를 덮도록 몰드 성형되는 케이싱 몰딩부(12)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의 작동을 위해 상기 구동부(24)를 눌러 작동을 시키는 경우, 상기 구동부(24)가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상기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와 케이싱 몰딩부(12)는 구획라인(15)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라인(15)은 금형의 높이 차이로 형성되며, 상기 금형의 높이 차이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와 케이싱 몰딩부(12)의 몰드 두께의 차이로 나타난다.
또한, 케이싱 몰딩부(12)의 외형 유지를 위해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의 외주면의 모서리에 지지라인(1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라인(13)은 외형 유지를 위해 케이싱 몰딩부(12)의 측부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을 몰딩하는 경우, 금형 내에 기판(20)을 배치시킨 후 몰딩하는데 기판(20)의 상하면을 몰딩해야 하므로, 금형의 내부공간 내에 기판(20)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20)에는 금형(도 6의 60)의 지지핀(도 6의 62)이 통과되어 상기 기판(20)이 상기 금형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핀 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20)의 지지핀 홀(26)에 상기 금형 내의 지지핀(62)이 고정된 채 몰딩되므로, 몰딩 후 케이싱 몰딩부(12)에도 지지핀 홀(1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클램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클램프가 기판에 연결되는 모습을 기판의 하부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전자 장치(10)는 기판(20), 케이블(30), 클램프(32) 및 케이싱 몰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케이블(30)이 클램프(32)로 기판(20)에 연결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 이외의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본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20)에는 외부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30)이 클램프(32)를 이용 하여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32)는 상기 케이블(30)을 상기 기판(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2)는 상기 케이블(30)을 둘러싸는 박형 금속으로, 클램프 렉(34)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 렉(34)은 상기 기판(20)의 렉 삽입홀(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32)는 그 일부가 상기 기판(2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20)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32)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18, 도 1 참조)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와 일체로 몰드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이 형성되는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 전의 전자 장치가 금형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6의 금형에 수지재가 충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조 방법을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전자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판(20)에 실장되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24)와 다른 회로 부품이 구획되어 보이도록 하는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에 상기 기판(20)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기판(20)을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에 배치 시, 상기 기판(20) 상에 상기 구동부(24)가 직접 몰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캡(40)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0) 상에 마이크(28)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28)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에 음성 전달홀(17)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60A 및 60B)의 음성 전달 형성핀(68)이 상기 마이크(28)와 접촉된 상태에서 몰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전달 형성핀(68)은 보호캡(40) 상의 메쉬(47)와 접촉한 후 몰딩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기판(20)의 지지핀 홀(26)에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지지핀(62)을 통과시켜 상기 기판(20)을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 내의 내부 공간에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20)의 지지핀 홀(26)은 상기 기판(20) 모서리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지재 주입부(69)를 통해 저압으로 수지재를 충전하여, 상기 금형(60)과 기판(20) 사이의 간격이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 및 케이싱 몰딩부(12)가 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전자 장치(10)를 제조하는 방법은 케이블(30)이 클램프(32)로 기판(20)에 연결되도록 하는 점 이외의 단계들은 이전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차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 제조방법은 케이블(30)을 상기 기판(20)에 클램프(32)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클램프(32)의 일부가 상기 기판(20)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경우, 상기 기판(20)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32)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18)도 케이싱 몰딩부(12)와 일체로 몰딩되도록, 상기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32) 부분이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에 적절히 배치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조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전자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60)은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 지지핀(62) 및 수지재 주입부(69)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에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24)가 실장되는 기판(20)이 배치된다.
상기 기판(20)은 회로부품이 상부로 하여 배치할 수도 있지만 하부로 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므로 상부와 하부는 상호 대체될 수 있는 방향이다.
상기 지지핀(6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20)에 형성되는 지지핀 홀(26)과 결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판(20)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핀(62)은 상기 기판(20)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지지핀 홀(26)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 금형(60A 60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재 주입부(60)는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재 주입부(6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60A 및 60B)의 내부공간이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와 케이싱 몰딩부(12)가 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판(20) 상에 마이크(28)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28)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에 음성 전달홀(17)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60A 및 60B)에서 음성 전달홀 형성핀(68)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60)은 상기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와 케이싱 몰딩부(12)가 구획되도록 하는 구획라인 형성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라인 형성부(65)는 상기 구동부(24)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14)를 높이를 달리하기 위해 구획라인 형성부(65) 내측에 홈(65)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60)은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의 외주면의 모서리에 외형 유지를 위한 지지라인(13)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라인 형성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전자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은 케이블(30)이 클램프(32)로 연결되는 기판(20)을 몰딩하여 클램프 몰딩부(18)를 일체로 성형하는 점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이전의 제조금형과 동일하다
즉, 상기 클램프(32)의 일부가 상기 기판(20)의 외부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 제조금형(60)은 상기 기판(20)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 몰딩부 형성부(6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응용되는 데, 이하에서는 응용된 전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 1 응용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어셋이나 헤드폰과 같은 음향 전달 장치(100)로 응용되었다.
상기 음향 전달 장치(100)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24)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케이싱 몰딩부(12), 상기 케이싱 몰딩부(12) 일측에서 연장되고 외부 음향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음향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소리를 전달하는 잭연결부(70) 및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의 타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4)의 누름에 의해 소리가 제어되어 나오는 스피커(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케이블을 포함하므로,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기판(20)에 클램프(32)로 연결되며, 클램프 몰딩부(18)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 2 응용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원격 시동, 원격 조정에 이용되는 무선 리모컨(200)으로 응용되었다.
상기 리모컨(200)은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16a, 16b, 16c, 16d)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케이싱 몰딩부(12) 및 상기 케이싱 몰딩부(12) 일측에서 상기 구동부(24)의 신호를 외부의 시동 또는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7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더 많은 응용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 장치에 의하면,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의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외관을 형성하는 몰드 케이싱부가 동일 수지재로 전체가 몰딩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기구물의 구동부와 외부 케이스를 각각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제조공정이 단순해 짐으로써 나아가 생산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기구불의 구동부와 외부 케이스를 각각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제품 방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설계 변경으로 전자 부품의 외관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초박형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응용된 전자장치에 마이크를 내장하는 경우 마이크의 주위 부품을 몰딩재로 완벽하게 몰딩함으로써 소리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에 케이블을 고정 클램프로 연결하고 전체를 몰딩함으로써, 케이블이 벤딩, 푸시 풀(push-pull)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몰드 성형되기 전의 형상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가 조립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클램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클램프가 기판에 연결되는 모습을 기판의 하부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성형 전의 전자 장치가 금형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금형에 수지재가 충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 1 응용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 2 응용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자 장치 20: 기판
30: 케이블 40: 보호 캡
60: 금형

Claims (29)

  1.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으로 외부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기판 및 클램프를 수지재로 일체로 몰딩하여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몰딩부;를 포함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 렉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 렉은 상기 기판의 렉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누름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고 원상회복하는 구동부가 더 실장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에 의해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케이싱 몰딩부는 몰드 두께의 차이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보호캡 내의 버튼 수용부에 수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누름에 의해 전기신호를 변경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와 스위치부는 격막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버튼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수용부에는 상기 스위치부와 버튼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홀에는 상기 버튼부에서 연장되는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마이크가 더 실장되며,
    상기 마이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싱 몰딩부에는 음성 전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구동부 또는 마이크를 덮으며, 상기 구동부 또는 마이크가 직접 몰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덮는 보호캡에는 상기 음성 전달홀에 대응되는 소리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 통과 홀 상에 방수를 위한 메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그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금형의 지지핀이 통과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금형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13. 기판과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상기 기판에 클램프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는 기판을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에서 연장되는 지지핀을 통과시켜 상기 기판을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 내의 내부 공간에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지재 주입부를 통해 수지재를 충전하여, 상기 금형과 기판 사이에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 및 케이싱 몰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경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마이크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에 음성 전달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의 음성 전달홀 형성핀이 상기 마이크와 접촉된 상태에서 몰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지지핀홀은 상기 기판 모서리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제조방법.
  17. 케이블이 클램프로 연결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지지핀홀과 결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판을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핀; 및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의 내부공간이 케이싱 몰딩부가 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하는 수지재 주입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조 금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지지핀홀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제조 금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마이크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싱 몰딩부에 음성 전달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에서 음성 전달홀 형성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제조 금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를 성형하기 위한 클팸프 몰딩부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제조 금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외주면의 모서리에 외형 유지를 위한 지지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라인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제조 금형.
  22. 케이블이 클램프로 연결되는 기판이 일체로 몰드 성형되며, 스위치부와 버튼부가 보호캡의 격막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과 원상회복에 의해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싱 몰딩부;
    상기 케이싱 몰딩부 일측에서 연장되어 소리 신호를 제공받는 잭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타측에서 연결되어 소리가 제어되어 나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전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몰딩부는 상기 구동부를 덮는 구동부 몰드 케이싱부와 몰드 두께 차이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몰딩부의 외주면의 모서리에는 외형 유지를 위한 지지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몰딩부 내에는 마이크가 더 실장되며,
    상기 마이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싱 몰딩부에는 음성 전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덮는 보호캡에는 상기 음성 전달홀에 대응되는 소리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 통과 홀 상에 방수를 위한 메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와 스위치부는 격막으로 이루어지는 버튼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수용부에는 상기 스위치부와 버튼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홀에는 상기 버튼부에서 연장되는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기판의 외부에 연장된 클램프와 대응되는 클램프 몰딩부도 상기 케이싱 몰딩부와 일체로 몰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전달 장치.
KR1020090012410A 2009-02-16 2009-02-16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KR101026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10A KR101026050B1 (ko) 2009-02-16 2009-02-16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DE102009055803A DE102009055803A1 (de) 2009-02-16 2009-11-26 Elektronisches Bauteil hergestellt durch Spritzgießen,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desselben und elektronisches Gerät zur Verwendung desselben
US12/629,672 US20100208920A1 (en) 2009-02-16 2009-12-02 Electronic device manufactured by molding,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CN200910252849A CN101808482A (zh) 2009-02-16 2009-12-04 电子装置、制造其的模具和方法及利用其的声音传输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10A KR101026050B1 (ko) 2009-02-16 2009-02-16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90A KR20100093290A (ko) 2010-08-25
KR101026050B1 true KR101026050B1 (ko) 2011-03-30

Family

ID=4235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10A KR101026050B1 (ko) 2009-02-16 2009-02-16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08920A1 (ko)
KR (1) KR101026050B1 (ko)
CN (1) CN101808482A (ko)
DE (1) DE102009055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13B1 (ko) * 2011-12-29 2015-06-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카드형 무선 송수신기의 수지 케이스 보정 방법
KR101425481B1 (ko) * 2012-04-10 2014-08-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카드형 무선 송수신기의 수지 케이스 경화 방법
KR101425479B1 (ko) * 2011-12-07 2014-08-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카드형 무선 송수신기 제조 방법
KR101456281B1 (ko) * 2011-12-29 2014-11-0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카드형 무선 송수신기 제조 방법
US9704663B2 (en) * 2012-05-21 2017-07-11 Apple Inc. Accessory button controller assembly
JP2014078935A (ja) * 2012-09-18 2014-05-01 Yamaha Corp スピーカ装置
DE102014205921A1 (de) * 2014-03-31 2015-10-01 Aktiebolaget Skf Modul
US9762781B2 (en) 2015-10-30 2017-09-12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without necessari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phone
US9525764B1 (en) 2015-10-30 2016-12-20 Essential Products, Inc. Co-mold features on a chassis shell of a mobile device
US9736383B2 (en) 2015-10-30 2017-08-15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US20210321524A1 (en) * 2020-04-13 2021-10-14 Flex Ltd. Electronic encapsulation through stencil printing
JP7143046B2 (ja) * 2020-12-07 2022-09-28 Nissha株式会社 電子部品付き樹脂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253A (ja) * 1996-04-05 1997-10-21 Yazaki Corp 電気接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068A (en) * 1986-11-24 1988-02-16 Telex Communications, Inc. Boom mounted microphone and connector
US5246384A (en) * 1990-03-15 1993-09-21 Hirose Electric Co., Ltd. Shielded cable board-in connector
JPH0722722A (ja) * 1993-07-05 1995-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樹脂成形タイプの電子回路装置
US5448646A (en) * 1993-11-01 1995-09-05 Unex Corporation Headset interface assembly
US6759607B2 (en) * 2002-06-12 2004-07-06 Curbell, Inc. Communication/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7151237B2 (en) * 2003-01-31 2006-12-19 Neeco-Tron, Inc. Control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144915B2 (en) * 2007-01-06 2012-03-27 Apple Inc.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8995677B2 (en) * 2008-09-03 2015-03-31 Apple Inc. Accessory controller for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253A (ja) * 1996-04-05 1997-10-21 Yazaki Corp 電気接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8920A1 (en) 2010-08-19
KR20100093290A (ko) 2010-08-25
DE102009055803A1 (de) 2010-08-26
CN101808482A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050B1 (ko)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KR101026044B1 (ko) 몰드 성형되는 전자 장치,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금형 및 이의 응용된 전자장치
CN102484754B (zh) 用于电子设备的附件控制器
US9414141B2 (en) Mesh structure providing enhanced acoustic coupling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8804993B2 (en) Audio port configuration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s
CN111108756B (zh) 麦克风组件及电子设备
WO2017000504A1 (zh) 微型扬声器
CN101228774A (zh) 无线通信装置的声通路
CN105957761A (zh) 用于电子设备的附件控制器
TWI614643B (zh) 用於頭戴式耳機之配件和配件按鈕控制器、及用於製造配件按鈕控制器的方法
KR101276353B1 (ko) 다기능 마이크로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0290306B (zh) 一种摄像头模组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
CN109428957B (zh) 输入/输出模块和电子装置
US20120205755A1 (en) Mems microphone
CN212752629U (zh) 电声组件、智能手表以及电子设备
CN108965526A (zh) 移动终端及其制造方法
JPWO2005015951A1 (ja) インサート端子付きケースおよびこのケースを用いた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インサート端子付きケースの製造方法
US8301188B2 (en)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ubstrate mounted acoustic actuators and related methods and mobile radiotelephones
US9659723B2 (en) Accessory controller with switch module
US10433038B2 (en) Loudspeaker module
JP5057345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マイクロホン装置、携帯電話機、および導音部材
JP3989453B2 (ja) 中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781615U (zh) 一种驻极体麦克风
JP6006530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