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857B1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 Google Patents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857B1
KR101025857B1 KR1020030067854A KR20030067854A KR101025857B1 KR 101025857 B1 KR101025857 B1 KR 101025857B1 KR 1020030067854 A KR1020030067854 A KR 1020030067854A KR 20030067854 A KR20030067854 A KR 20030067854A KR 101025857 B1 KR101025857 B1 KR 10102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heet
region
core
absorb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271A (ko
Inventor
카와타히카리
나카시타마사시
야마우치카오리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8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팬츠를 통하지 않고서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로 구성된 세로로 긴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1A)로서, 이면 시트(3)의 외측에 위치하여 패드(1A)의 중간 영역(6)에서 후방 영역(7)을 향해 연장되는 외면 시트(11)가, 패드(1A)의 양측부(10)에 고착된 고정 양측부(14)와, 패드(1A)의 후단부(9)에 고착된 고정 단부(15)와,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단부(15) 사이에 위치하여 패드(1A)로부터 유리되는 자유부(16)를 지니고, 전방 영역(5) 측에서 후방 영역(7) 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이 이면 시트(3)와 외면 시트(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30067854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Description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DISPOSABLE SANITARY PAD}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하는 체액 흡수 패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4는 사용 상태에 있는 패드의 사시도.
도 5는 폐기하기 위해서 접어 포갠 사용후의 패드의 사시도.
도 6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체액 흡수 패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9는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체액 흡수 패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X-X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12는 사용 상태에 있는 패드의 사시도.
도 13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체액 흡수 패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XV-XV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1B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1C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1D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2 :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3 :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
4 : 액체 흡수성 코어
4a : 양단 가장자리
4b : 양측 가장자리
5 : 전방 영역
6 : 중간 영역
6a : 전반분
6b : 후반분
7 : 후방 영역
8 : 전단부
9 : 후단부
10 : 양측부
11 : 외측 시트
12 : 신축성 탄성 부재
13 : 표시 요소
14 : 고정 양측부
15 : 고정 단부
16 : 자유부
17 : 삽입부
18 : 융기부
25 : 주벽
26 : 신축성 탄성 부재
27 : 절곡 안내부
P1 : 포켓(삽입부)
본 발명은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세로 방향으로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과, 전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구비하고,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전후방 영역 사이로 연장되는 액체 흡수성 코어로 구성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를 지니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는 공지이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패드의 이면 시트에는, 환상의 가늘고 긴 고무가 부착되어 있다. 고무는 패드의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고무는 그 세로 방향 양단 가장자리부가 이면 시트의 외면에 고착되고, 양단 가장자리부 사이로 연장되는 중앙부가 이면 시트에 고착되어 있지 않으며, 이면 시트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이 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팬츠의 안쪽에 얹은 후에 팬츠를 입는다. 이 패드는 이면 시트의 외면에 부착된 고무가 팬츠의 안쪽에 접하기 때문에, 고무가 미끄럼을 방지하여 팬츠에 대한 패드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119528호 공보(제2-3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패드는 그 사용에 팬츠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패드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 패드는 그 사용시에 패드를 팬츠에 얹을 뿐이기 때문에, 패드 그 자체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지는 않아, 팬츠를 통해 패드를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 패드는 팬츠가 사용자의 고간부에서 틀어져 내려가면, 그에 따라 패드도 고간부에서 틀어져 내려가, 패드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되어 패드에 체액을 흡수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팬츠를 통하지 않고서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세로 방향으로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과, 상기 전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구비하고, 피부 접촉 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피부 비접촉 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전후방 영역 사이로 연장되는 액체 흡수성 코어로 구성되며,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단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이면 시트의 외면을 덮는 외측 시트가, 상기 전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 중의 적어도 상기 중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시트가 상기 패드의 양측부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양측부와, 상기 고정 양측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패드로부터 유리되는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패드의 사용자가 그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의 자유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를 갖는다.
(1) 상기 외측 시트가, 상기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 중의 적어도 상기 중간 영역에서부터 상기 후방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패드의 후단부를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부를 지니고, 상기 패드에서는, 상기 자유부가 상기 고정 양측부와 상기 고정 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전방 영역 측에서 상기 후방 영역 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이다.
(2) 상기 패드의 양측부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전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 중의 적어도 상기 중간 영역에 수축 가능 하게 부착되어 있다.
(3) 상기 패드의 전후 단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세로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패드의 양측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부터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후 단부와 상기 양측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 신축 가능한 주벽을 형성하고 있다.
(4) 상기 주벽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환상을 그리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5) 상기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전반분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상기 중간 영역의 후반분과 상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보다도 크다.
(6)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2번 접어 포개기 위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 안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강성이, 상기 절곡 안내부를 제외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낮다.
(7)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2번 접어 포개기 위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 안내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를 제외한 상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8) 상기 외측 시트가 위치하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부위에는, 상기 외측 시트의 주연부 근방에 따라서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사이의 두께 치수가 상기 융기부를 제외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크다.
(9) 상기 외측 시트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실시되어 있다.
(10) 상기 외측 시트가 소정의 표시 요소를 갖는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례로서 나타내는 패드(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며, 도 2, 3은 도 1의 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와, 도 1의 II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또,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나 외측 시트(11)의 내면이란 코어(4)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2, 3, 11)의 외면이란 코어(4)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패드(1A)는 피부 접촉 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와, 피부 비접촉 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A)는 세로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을 띠고, 세로 방향으로 전방 영역(5) 및 후방 영역(7)과, 전후방 영역(5, 7)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6)을 갖는다. 패드(1A)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8, 9)와,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10)를 갖는다. 패드(1A)에는 이면 시트(3)의 외측에 배치되어 시트(3)의 외면을 덮는 외측 시트(11)가 부착되어 있다.
코어(4)는 패드(1A)의 전후방 영역(5, 7) 사이로 연장되어,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코어(4)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이며, 소정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고로, 코어(4)는 그 강성이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그것보다도 높다. 코어(4)는 그것의 형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로 둘러 피폭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영역(6)의 양측부(10)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신축성 탄성 부재(12)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2)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며,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2)는 중간 영역(6)뿐만 아니라, 전방 영역(5)과 후방 영역(7)으로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1에서는 탄성 부재(12)가 세로 방향 내측으로 수축되고, 패드(1A)가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되고 있다.
외측 시트(11)는 중간 영역(6)에서부터 후방 영역(7)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패드(1A)의 후단부(9)에 달하고 있다. 외측 시트(11)에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또, 외측 시트(11)는 전방 영역(5)에서부터 후방 영역(7)을 향해 연장되고 있더라도 좋다. 외측 시트(11)에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이루어져 있다(착색은 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가 유백색이라면, 외측 시트(11)의 색조는 적색이나 청색, 황색이다. 외측 시트(11)에는 소정의 표시 요소(13)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요소(13)는 외측 시트(11)의 외면에 인쇄된 토끼 얼굴의 일러스트이다. 표시 요소(13)는 일러스트 외에, 문자나 도형, 기호라도 좋다.
외측 시트(11)는 패드(1A)의 양측부(10)에 고착된 고정 양측부(14)와, 패드(1A)의 후단부(9)에 고착된 고정 단부(15)와,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단부(15)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부(16)를 갖는다.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단부(15)에서는 외측 시트(11)의 내면이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자유부(16)는 이면 시트(3)에 고착되어 있지 않고, 이면 시트(3)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이면 시트(3)와 외측 시트(11)의 자유부(16) 사이에는 전방 영역(5) 측에서 후방 영역(7) 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P1)(삽입부)이 형성되어 있다(도 2, 3 참조). 포켓(P1)은 후기하는 패드(1A)의 사용자(20)가 손(21)을 넣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전후 단부(8, 9)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에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단부(8, 9)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양측부(10)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부(10)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도 4, 5는 사용 상태에 있는 패드(1A)의 사시도와, 폐기하기 위해서 접어 포개어진 사용후의 패드(1A)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패드(1A)의 사용자(20)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패드(1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20)가 포켓(P1)(삽입부)에 손(21)을 넣어, 중간 영역(6)이 고간부(23)에 위치하도록, 패드(1A)의 표면 시트(2)를 자기의 피부에 댄다. 패드(1A)는 전방 영역(5)이 사용자(20)의 복부(22) 측에 접촉하고, 후방 영역(7)이 사용자(20)의 둔부(24) 측에 접촉하는 동시에, 중간 영역(6)이 사용자(20)의 고간부(23)에 접촉한다. 사용자(20)는 패드(1A)를 댄 상태에서 표면 시트(2) 상에 배뇨한다. 소변은 표면 시트(2)를 투과하여 코어(4)에 흡수, 유지된다.
패드(1A)는 그것을 사용자(20) 자신이 자기의 피부에 꼭 대기 때문에, 패드(1A)를 배뇨 위치에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어, 소변을 패드(1A)에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사용자(20)는 포켓(P1)에 손(21)을 넣어 패드(1A)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댄 패드(1A)가 고간부(23)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패드(1A)는 종래 기술의 그것과 달리, 팬츠를 통해 패드(1A)를 피부에 밀착 시킬 필요는 없다. 패드(1A)는 그 사용에 팬츠를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포켓(P1)에 손을 넣어 패드(1A)를 댈 뿐이기 때문에, 패드(1A)의 사용이 간단함은 물론, 패드(1A)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패드(1A)에서는 외측 시트(11)에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이루어지고, 또, 토끼 얼굴의 일러스트가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피부에 대어야 할 면(표면 시트(2))을 틀리는 일은 없으며, 또한, 포켓(P1)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사용후의 패드(1A)를 폐기하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1A)를 전방 영역(5)에서 후방 영역(7)을 향해 세로 방향으로 접어 포개고, 외측 시트(11)의 내면이 외측이 되도록 외측 시트(11)의 내외면을 반전시켜, 외측 시트(11)와 표면 시트(2)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P1)에 접어 포개어진 패드(1A)를 수납한다. 사용후의 패드(1A)는 포켓(P1)에 의해 그 접힌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패드(1A)를 접어 포갠 상태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체액 흡수 패드(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며, 도 7, 8은 도 6의 VII-V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와, 도 6의 VIII-V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패드(1B)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B)는 세로 방향으로 전후방 영역(5, 7) 및 중간 영역(6)을 지니고,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8, 9)와,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10)를 갖는다.
패드(1B)에는 이면 시트(3)의 외면을 덮는 외측 시트(11)가 부착되어 있다. 중간 영역(6)의 양측부(10)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신축성 탄성 부재(12)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2)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도 6에서는, 탄성 부재(12)가 세로 방향 내측으로 수축하고, 패드(1B)가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되고 있다. 코어(4)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패드(1B)의 전후 영역(5, 7) 사이로 연장되며,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외측 시트(11)는 중간 영역(6)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시트(11)에는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외측 시트(11)는 전후방 영역(5, 7)과 중간 영역(6) 중의 적어도 중간 영역(6)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외측 시트(11)의 색조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동일하다.
외측 시트(11)는 패드(1B)의 양측부(10)에 고착된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양측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부(16)를 갖는다. 고정 양측부(14)에서는 외측 시트(11)의 내면이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자유부(16)는 이면 시트(3)에 고착되어 있지 않고, 이면 시트(3)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이면 시트(3)와 외측 시트(11)의 자유부(16) 사이에는 패드(1B)의 사용자(20)가 그 손(21)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삽입부(17)가 형성되어 있다(도 7, 8 참조).
외측 시트(11)의 고정 양측부(14)를 이면 시트(3)에 고착할 때는 외측 시트(11)가 가로 방향으로 비신장 상태에 있다. 한편, 외측 시트(11)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고정 양측부(14)를 이면 시트(3)에 고착하더라도 좋다.
외측 시트(11)가 위치하는 코어(4)의 부위에는 외측 시트(11)의 주연 근방을 따라서 표면 시트(2) 측을 향해 융기되는 융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8)에 있어서의 코어(4)의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사이의 두께 치수는 융기부(18)를 제외한 코어(4)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크다. 융기부(18)는 실질적으로 환상을 띤다. 융기부(18)에 있어서의 코어(4)의 두께 치수를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크게 하려면, 코어(4)를 형성하는 펄프나 합성 수지 섬유, 폴리머의 분량을 나머지 부위보다도 융기부(18)에서 많게 하면 된다.
전후 단부(8, 9)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양측부(10)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이 패드(1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사용자(20)가 삽입부(17)에 손(21)을 넣어, 중간 영역(6)이 고간부(23)에 위치하도록, 패드(1B)의 표면 시트(2)를 피부에 꼭 댄다. 패드(1B)는 전방 영역(5)이 사용자(20)의 복부(22) 측에 접촉하고, 후방 영역(7)이 사용자(20)의 둔부(24) 측에 접촉하는 동시에, 중간 영역(6)이 사용자(20)의 고간부(23)에 접촉한다. 사용자(20)는 패드(1B)를 댄 상태에서 융기부(18)에 둘러싸인 부위(19)에 배뇨한다. 소변은 표면 시트(2)를 투과하 여 코어(4)에 흡수, 유지된다. 패드(1B)에서는 코어(4)에 형성된 융기부(18)가 소변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부위(19)에 배설된 소변의 패드(1B) 외측으로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패드(1B)는 그것을 사용자(20) 자신이 자기의 피부에 대기 때문에, 패드(1B)를 배뇨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어, 소변을 패드(1B)에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사용자(20)는 삽입부(17)에 손(21)을 넣어 패드(1B)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댄 패드(1B)가 고간부(23)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패드(1B)는 그 사용에 팬츠를 이용할 필요는 없고, 삽입부(17)에 손(21)을 넣어 패드(1B)를 피부에 댈 뿐이기 때문에, 패드(1B)의 사용이 간단한 동시에, 패드(1B)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패드(1B)는 외측 시트(11)에 신축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삽입부(17)에 넣은 손(21)이 외측 시트(11)에 단단히 죄여, 손(21)이 삽입부(17)로부터 간단히 빠져 버리는 일은 없다.
사용후의 패드(1B)를 폐기하려면, 도시하지는 않지만, 패드(1B)를 전방 영역(5)에서 후방 영역(7)을 향하여 세로 방향으로 접어 포개, 외측 시트(11)의 내면이 외측이 되도록 외측 시트(11)의 내외면을 반전시켜, 표면 시트(2)와 외측 시트(11) 사이에 접어 포개진 패드(1B)를 수납한다.
도 9는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체액 흡수 패드(1C)의 사시도이며, 도 10, 11은 도 9의 X-X선 화살 표시 단면도와, 도 9의 XI-X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패드(1C)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C)는 세로 방향으로 전후방 영역(5, 7) 및 중간 영역(6)을 지니고,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8, 9)와,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10)를 갖는다.
패드(1C)에는 이면 시트(3)의 외면을 덮는 외측 시트(11)가 부착되어 있다. 코어(4)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패드(1C)의 전후 영역(5, 7) 사이로 연장되어,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면 시트(3)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28)와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29)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외측 시트(11)는 중간 영역(6)에서 후방 영역(7)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패드(1A)의 후단부(9)에 달하고 있다. 외측 시트(11)에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외측 시트(11)에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이루어져 있다(착색은 도시하지 않음). 외측 시트(11)의 외면에는 토끼 얼굴의 일러스트가 인쇄되어 있다.
외측 시트(11)는 패드(1C)의 양측부(10)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양측부(14)와, 패드(1C)의 후단부(9)를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부(15)와,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단부(15)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부(16)를 갖는다. 고정 양측부(14)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 근방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 단부(15)는 후방 영역(9) 측으로 연장되는 코어(4)의 단가장자리(4a) 근방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단부(15)에서는 외측 시트(11)의 내면이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자유부(16)는 이면 시트(3)에 고착되어 있지 않고, 이면 시트(3)로부터 유리되고 있다. 이면 시트(3)와 외측 시트(11)의 자유부(16) 사이에는 전방 영역(5) 측에서 후방 영역(7) 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P1)(삽입부)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11 참조).
패드(1C)의 전후 단부(8, 9)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에서 세로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전후 단부(8, 9)는 그 대부분이 이면 시트(3)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단부(8 ,9)에서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에서 세로 방향 내측으로 표면 시트(2) 부분이 약간 연장되고, 표면 시트(2) 부분에서 더욱 세로 방향 내측으로 이면 시트(3) 부분이 연장되고 있다. 전후 단부(8, 9)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패드(1C)의 양측부(10)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에서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양측부(10)는 그 대부분이 이면 시트(3)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부(10)에서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에서 가로 방향 내측으로 표면 시트(2) 부분이 약간 연장되고, 표면 시트(2) 부분으로부터 더욱 가로 방향 내측으로 이면 시트(3) 부분이 연장되고 있다. 양측부(10)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쳐,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패드(1C)의 전후 단부(8, 9)와 양측부(10)는, 코어(4) 상측에 위치하여 코어(4)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25)을 형성하고 있다. 주벽(25)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환상을 그리는 복수 라인의 신축성 탄성 부재(26)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26)는 주벽(25)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내측을 향해 소여 치수 이격되어 늘어서, 소정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주벽(25)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6)는 이면 시트(3)를 형성하는 부직포(28)와 필름(29)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에 고착되어 있다. 주벽(25)은 탄성 부재(26)의 수축력에 의해 코어(4)의 상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수축하고 또 둘레 방향 내측으로 협착하고 있다. 코어(4)의 주위와 주벽(25) 사이에는 패드(1C)의 둘레 방향 내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P2)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영역(5)과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서는 거기에 위치하는 코어(4)의 두께 치수가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과 후방 영역(7)에 위치하는 코어(4)의 그것보다도 크고, 코어(4)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과 후방 영역(7)에 위치하는 코어(4)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그것보다도 크다. 전방 영역(5)이나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 있어서의 코어(4)의 융기 높이(두께 치수)를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이나 후방 영역(7)에 있어서의 코어(4)의 그것보다도 크게 하려면, 코어(4)를 형성하는 펄프나 합성 수지 섬유, 폴리머의 분량을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이나 후방 영역(7)보다도 전방 영역(5)이나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서 많게 하면 된다. 또, 전방 영역(5)이나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서는 거기에 위치하는 코어(4)의 밀도가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이나 후방 영역(7)에 위치하는 코어(4)의 그것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영역(5)이나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 있어서의 코어(4)의 밀도를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이나 후방 영역(7)에 있어서의 코어(4)의 그것보다도 높게 하려면, 코어(4)를 형성하는 펄프나 합성 수지 섬유의 밀도를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이나 후방 영역(7)보다도 전방 영역(5)이나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서 높게 하면 된다.
중간 영역(6)에는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패드(1C)를 세로 방향으로 2번 접어 포개기 위한 절곡 안내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7)는 중간 영역(6)의 세로 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안내부(27)에서는 거기에 위치하는 코어(4)의 두께 치수가 중간 영역(6)의 안내부(27)를 제외한 코어(4)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작고, 안내부(27)에 있어서의 코어(4)의 강성이 코어(4)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낮다. 절곡 안내부(27)에 위치하는 코어(4)의 밀도는 중간 영역(6)의 나머지 부위에 위치하는 코어(4)의 그것과 동일하더라도 좋고, 중간 영역(6)의 나머지 부위에 위치하는 코어(4)의 그것보다 낮더라도 좋다. 안내부(27)에 있어서의 코어(4)의 밀도를 나머지 부위에 있어서의 코어(4)의 그것보다도 낮게 하려면, 코어(4)를 형성하는 펄프나 합성 수지 섬유의 밀도를 나머지 부위보다도 안내부(27)에서 낮게 하면 된다.
도 12는 사용 상태에 있는 패드(1C)의 사시도이다. 패드(1C)를 사용하려면, 사용자(20)가 포켓(P1)(삽입부)에 손(21)을 넣어, 중간 영역(6)이 고간부(23)에 위치하 도록, 패드(1A)의 표면 시트(2)를 자기의 피부에 꼭 댄다. 한편, 이 패드(1C)의 폐기 처리 순서는 도 1의 패드(1A)의 그것과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1C)는 전방 영역(5)이 사용자(20)의 복부(22) 측에 접촉하고, 후방 영역(7)이 사용자(20)의 둔부(24) 측에 접촉하는 동시에, 중간 영역(6)이 사용자(20)의 고간부(23)에 접촉한다. 사용자(20)는 패드(1C)를 댄 상태에서 배뇨한다. 소변은 표면 시트(2)를 투과하여 코어(4)에 흡수, 유지된다. 패드(1C)는 그것을 피부에 댔을 때에, 패드(1C)가 절곡 안내부(27)를 통해 세로 방향으로 2번 접기가 되기 때문에, 전방 영역(5)을 복부(22)에 후방 영역(7)을 둔부(24)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패드(1C)는 그것을 폐기할 때에, 절곡 안내부(27)를 통해 패드(1C)를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어 포갤 수 있다.
패드(1C)는 그것을 사용자(20) 자신이 자기의 피부에 대기 때문에, 패드(1C)를 배뇨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어, 소변을 패드(1C)에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사용자(20)는 포켓(P1)에 손(21)을 넣어 패드(1C)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댄 패드(1C)가 고간부(23)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패드(1C)는 그 사용에 팬츠를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포켓(P1)에 손(21)을 넣어 패드(1C)를 피부에 댈 뿐이기 때문에, 패드(1C)의 사용이 간단한 동시에, 패드(1C)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패드(1C)에서는, 외측 시트(11)에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이루어지고, 또한 토끼 얼굴의 일러스트가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20)가 피부에 대야 할 면(표면 시트(2))을 틀리는 일이 없고, 또, 포켓(P1)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패드(1C)는 소변이 표면 시트(2)의 외면에서 확산되어 코어(4) 주위에 달했다고 해도, 소변이 코어(4) 주위와 주벽(25) 사이에 형성된 포켓(P2)에 수용되기 때문에, 소변이 패드(1C)의 전후 단부(8, 9)나 양측부(10)에서 외측으로 새어 버리는 일은 없다. 패드(1C)는 전방 영역(5)과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 위치하는 코어(4)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두께 치수)가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과 후방 영역(7)에 위치하는 코어(4)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그것보다도 크고, 패드(1C)에 다량의 소변이 배설되었다고 해도, 전방 영역(5)과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 위치하는 코어(4)에 배설된 다량의 소변을 흡수시킬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체액 흡수 패드(1D)의 사시도이며, 도 14, 15는 도 13의 XIV-XIV선 화살 표시 단면도와, 도 13의 XV-XV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3에서는 세로 방향을 화살표 X, 가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패드(1D)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이들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D)는 세로 방향으로 전후방 영역(5, 7) 및 중간 영역(6)을 지니고,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8, 9)와,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10)를 갖는다.
패드(1D)에는 이면 시트(3)의 외면을 덮는 외측 시트(11)가 부착되어 있다. 코어(4)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패드(1D)의 전후 영역(5, 7) 사이로 연장되고,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면 시트(3)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28)와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29)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외측 시트(11)는 중간 영역(6)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시트(11)에는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외측 시트(11)의 색조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동일하다. 외측 시트(11)는 패드(1D)의 양측부(10)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양측부(14)와, 고정 양측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자유부(16)를 갖는다. 고정 양측부(14)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 근방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 양측부(14)에서는 외측 시트(11)의 내면이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자유부(16)는 이면 시트(3)에 고착되어 있지 않고, 이면 시트(3)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이면 시트(3)와 외측 시트(11)의 자유부(16) 사이에는 패드(1D)의 사용자(20)가 손(21)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삽입부(17)가 형성되어 있다(도 14, 15 참조).
패드(1D)의 전후 단부(8, 9)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에서 세로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전후 단부(8, 9)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에서 세로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단부(8, 9)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쳐져,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패드(1D)의 양측부(10)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에서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양측부(10)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에서 가로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부(10)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 부분이 서로 겹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패드(1D)의 전후 단부(8, 9)와 양측부(10)는, 코어(4)의 상측에 위치하여 코어(4)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25)을 형성하고 있다. 주벽(25)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환상을 그리는 복수 라인의 신축성 탄성 부재(26)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26)는 소정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주벽(25)에 부착되고 있다. 탄성 부재(26)는 이면 시트(3)를 형성하는 부직포(28)와 필름(29) 사이에 개재하며, 이들에 고착되어 있다. 주벽(25)은 탄성 부재(26)의 수축력에 의해서 코어(4)의 상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수축하고 또 둘레 방향 내측으로 협착하고 있다. 코어(4)의 주위와 주벽부(25) 사이에는 패드(1D)의 둘레 방향 내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P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영역(6)에는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패드(1D)를 세로 방향으로 2번 접어 포개기 위한 절곡 안내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7)는 중간 영역(6)의 세로 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코어(4)를 제외한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7)에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더라도 좋고,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안내부(27)에는 코어(4)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안내부(27)에 있어서의 패드(1D)의 강성이 안내부(27)를 제외한 패드(1D)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낮다.
이 패드(1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2와 같이, 사용자(20)가 삽입부(17) 에 손(21)을 넣어, 중간 영역(6)이 고간부(23)에 위치하도록, 패드(1D)의 표면 시트(2)를 피부에 댄다. 한편, 이 패드의 폐기 처리 순서는 도 6의 그것과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1D)는 전방 영역(5)이 사용자(20)의 복부(22) 측에 접촉하고, 후방 영역(7)이 사용자(20)의 둔부(24) 측에 접촉하는 동시에, 중간 영역(6)이 사용자(20)의 고간부(23)에 접촉한다. 사용자(20)는 패드(1D)를 댄 상태에서 배뇨한다. 소변은 표면 시트(2)를 투과하여 코어에 흡수, 유지된다. 패드(1D)는 그것을 피부에 대었을 때에, 패드(1D)가 절곡 안내부(27)를 통해 세로 방향으로 2번 접기로 되기 때문에, 전방 영역(5)을 복부(22)에 후방 영역(7)을 둔부(24)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패드(1D)는 그것을 폐기할 때에, 절곡 안내부(27)를 통해 패드(1D)를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어 포갤 수 있다.
패드(1D)는 그것을 사용자(20) 자신이 자기의 피부에 대기 때문에, 패드(1D)를 배뇨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어, 소변을 패드(1D)에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사용자(20)는 삽입부(17)에 손(21)을 넣어 패드(1D)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댄 패드(1D)가 고간부(23)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패드(1D)는 그 사용에 팬츠를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삽입부(17)에 손(21)을 넣어 패드(1D)를 피부에 댈 뿐이기 때문에, 패드(1D)의 사용이 간단한 동시에, 패드(1D)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패드(1D)는 소변이 표면 시트(2)의 외면에서 확산되어 코어(4)의 주위에 달했다고 해도, 소변이 코어(4)의 주위와 주벽(25) 사이에 형성된 포켓(P2)에 수용되기 때문에, 소변이 패드(1D)의 전후 단부(8, 9)나 양 측부(10)에서 외측으로 새어 버리는 일은 없다.
표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드(1A, 1B)의 이면 시트(3)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끼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드(1C, 1D)의 이면 시트(3)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끼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에는 스펀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로운, 서멀본드, 스펀본드, 케미컬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시트(11)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나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신축성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3)나 외측 시트(11)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블로운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높은 강도와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 스펀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를 겹친 복합 부직포(SM 부직포 또는 SMS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는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것, 또는 이들 섬유를 혼합한 복합 섬유로 만들 수 있다. 합성 섬유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섬유에 는 심초형 복합 섬유, 병렬형 복합 섬유, 이형 중공 섬유, 미세 다공 섬유, 접합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는 합성 섬유로 만들 수 있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반합성 섬유나 재생 섬유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신축성 섬유 부직포에는 멜트블로운이나 스펀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방사한 신축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섬유 부직포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또 소수성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용융, 방사한 권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합시킨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에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입자형 또는 섬유형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끼리의 고착, 이면 시트(3)에 대한 외측 시트(11)의 고착,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에 대한 코어(4)의 접합,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에 대한 탄성 부재(12, 26)의 고착에는 접착제, 또는 히트시일이나 소닉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내면에 스파이럴형이나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패드(1A)에서는, 도 6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외측 시트(11)가 위치하는 코어(4) 부위에 외측 시트(11)의 주연부를 따라서 표면 시트(2) 측을 향해 융기 하는 융기부(17)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 도 1, 9의 패드(1A, 1C)는 외측 시트(11)가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1, 6의 패드(1A, 1B)에서는 중간 영역(6)의 세로 방향 중앙에 절곡 안내부(27)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한편, 도 9, 13의 패드(1C, 1D)에서는 중간 영역(6)에 절곡 안내부(27)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도 6, 13의 패드(1B, 1D)는 외측 시트(11)에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이루어져 있더라도 좋고, 외측 시트(11)에 일러스트나 문자, 도형, 기호 등의 표시 요소(13)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패드(1B, 1D)의 외측 시트(11)에 착색이 실시되는 동시에 표시 요소(13)가 형성되면, 사용자(20)가 피부에 대야 할 면(표면 시트(2))을 틀리는 일은 없고, 삽입부(17)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3의 패드(1D)는 도 9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전방 영역(5)과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 위치하는 코어(4)의 두께 치수가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과 후방 영역(7)에 위치하는 코어(4)의 그것보다도 크고, 전방 영역(5)과 중간 영역(6)의 전반분(6a)에 위치하는 코어(4)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중간 영역(6)의 후반분(6b)과 후방 영역(6)에 위치하는 코어(4)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그것보다 크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이 삽입부(포켓)에 손을 넣어 패드를 자기의 피부에 대기 때문에, 패드를 배뇨 위치에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어, 소변을 패드에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에 손을 넣어 패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댄 패드가 고간부에서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이 패드는 종래 기술의 그것과 달리, 팬츠를 통해 패드를 피부에 밀착시킬 필요는 없다. 이 패드는 그 사용에 팬츠를 이용할 필요는 없고, 삽입부에 손을 넣어 패드를 피부에 댈 뿐이기 때문에, 패드의 사용이 간단함은 물론 패드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코어의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주벽을 갖는 패드는, 코어의 주위와 주벽 사이에 패드의 둘레 방향 내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이 형성되기 때문에, 소변이 표면 시트의 외면에서 확산되어 코어의 주위에 달했다고 해도, 소변이 포켓에 수용되어, 소변이 패드의 전후 단부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새어 버리는 일은 없다.
전방 영역과 중간 영역의 전반분에 위치하는 코어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중간 영역의 후반분과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코어의 피부 접촉 측에서 상측으로의 그것보다도 큰 패드는 그것에 다량의 소변이 배설되었다고 해도, 전방 영역과 중간 영역의 전반분에 위치하는 코어에 배설된 다량의 소변을 흡수시킬 수 있어, 소변의 중간 영역의 후반분과 후방 영역으로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중간 영역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가 형성된 패드는 패드를 피부에 대었을 때에, 패드가 절곡 안내부를 통해 세로 방향으로 2번 접기로 되기 때문에, 전방 영역을 복부에 후방 영역을 둔부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 패드는, 그것을 폐기할 때에, 절곡 안내부를 통해 패드를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어 포갤 수 있다.
외측 시트가 위치하는 코어 부위에 융기부가 형성된 패드에서는, 융기부가 소변에 대한 장벽으로 되어, 배설된 소변이 패드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외측 시트에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와는 다른 색조의 착색이 실시된 패드 또는 외측 시트가 소정의 표시 요소를 갖는 패드에서는, 사용자가 패드의 피부에 대야 할 면(표면 시트)을 틀리는 일은 없으며, 또, 삽입부(포켓)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Claims (11)

  1. 세로 방향으로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과, 상기 전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구비하고, 피부 접촉 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피부 비접촉 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전후방 영역 사이로 연장되는 액체 흡수성 코어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단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외면을 덮는 외측 시트가, 상기 중간 영역 또는 상기 전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 모두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시트가, 상기 패드의 양측부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양측부와, 상기 고정 양측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패드로부터 유리되는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패드의 사용자가 그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의 자유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가, 상기 중간 영역 또는 상기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 모두에서 상기 후방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패드의 후단부를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부를 지니고, 상기 패드에서는 상기 자유부가 상기 고정 양측부와 상기 고정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전방 영역 측에서 상기 후방 영역 측을 향해 개구되는 포켓인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양측부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중간 영역 또는 상기 전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 모두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전후 단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세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패드의 양측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부터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후 단부와 상기 양측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 신축 가능한 주벽을 형성하고 있는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환상을 그리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패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전반분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 측에서부터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상기 중간 영역의 후반분과 상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 측에서부터 상측으로의 융기 높이보다도 큰 패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2번 접어 포개기 위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 안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강성이, 상기 절곡 안내부를 제외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낮은 패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2번 접어 포개기 위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 안내부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를 제외한 상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패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가 위치하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 부위에는 상기 외측 시트의 주연부 근방을 따라서 피부 접촉 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융기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사이의 두께 치수가, 상기 융기부를 제외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의 나머지 부위의 그것보다도 큰 패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의 색조와 다른 색조의 착색이 이루어져 있는 패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가 소정의 표시 요소를 갖는 패드.
KR1020030067854A 2002-09-30 2003-09-30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KR101025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5937 2002-09-30
JPJP-P-2002-00285937 2002-09-30
JPJP-P-2003-00125111 2003-04-30
JP2003125111A JP2004174209A (ja) 2002-09-30 2003-04-30 使い捨て体液吸収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271A KR20040029271A (ko) 2004-04-06
KR101025857B1 true KR101025857B1 (ko) 2011-03-30

Family

ID=3198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854A KR101025857B1 (ko) 2002-09-30 2003-09-30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040064124A1 (ko)
EP (1) EP1402866B1 (ko)
JP (1) JP2004174209A (ko)
KR (1) KR101025857B1 (ko)
CN (1) CN1500451A (ko)
AT (1) ATE318567T1 (ko)
DE (1) DE60303754T2 (ko)
ES (1) ES2254875T3 (ko)
TW (1) TWI272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209A (ja) 2002-09-30 2004-06-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吸収パッド
CN101080208B (zh) * 2004-12-29 2010-05-26 Sca卫生产品股份公司 吸收物品
JP4951281B2 (ja) * 2006-06-23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品
JP5177347B2 (ja) * 2006-12-27 2013-04-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装構造
JP5154129B2 (ja) 2007-03-30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シート及び複合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20120071850A1 (en) * 2010-09-21 2012-03-22 Tomassetti Peter C Diaper with hand receiving pocket
JP5688957B2 (ja) * 2010-12-08 2015-03-2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9993613B2 (en) 2011-11-09 2018-06-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extension catheter
JP6199681B2 (ja) * 2013-09-30 2017-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1840B2 (ja) * 2013-09-30 2017-1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053275A1 (en) 2014-09-30 2016-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and secondary fastening system
WO2016053285A1 (en) * 2014-09-30 2016-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providing enhanced control
US10925780B2 (en) 2014-10-31 2021-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ipe gripper handle
WO2018075700A1 (en) 2016-10-18 2018-04-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extension cathe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852A (ja) * 1989-10-30 1991-08-16 Procter & Gamble Co:The 使い捨ておむつ
EP0496716A1 (fr) 1991-01-24 1992-07-29 Jean Clément Edouard Ghislain Malak Couche-culotte, ou similaire, à jeter
JP2000042033A (ja) * 1998-05-29 2000-02-15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11685A1 (en) 2002-09-30 2006-05-25 Hikari Kawata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pad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545A (en) * 1964-09-25 1968-02-20 Kendall & Co Disposable diaper with an integral container and method for disposal
US3877432A (en) * 1965-10-20 1975-04-15 Procter & Gamble Disposable diaper with integral disposal bag
US4372309A (en) * 1980-07-19 1983-02-08 Humanicare International Inc. Moisture absorbent pad
US4493713A (en) * 1982-07-22 1985-01-15 Izzo Alexander P Added feature to disposable diapers
US4507121A (en) * 1983-05-02 1985-03-26 Leung Martin C Disposable diaper with isolated wetness indicator
US4551145A (en) * 1984-05-14 1985-11-05 Ryan Lizabeth L Sanitary napkin
US4808175A (en) * 1987-07-27 1989-02-28 Hansen William T Disposable diaper and wet wipe pad package
US4923455A (en) * 1988-05-04 1990-05-08 Personal Hygiene Research Associates Disposable diaper with integral disposal envelope
US4931052A (en) * 1989-06-16 1990-06-05 Feldman Ruth L Diaper with integral wiping cloth and disposal container
US5071414A (en) * 1989-11-27 1991-12-10 Elliott Donald P Packaging pocket for disposable diaper
US5141505A (en) * 1991-07-25 1992-08-25 Peter Barrett Garment assembly with attached bag for enclosing the garment when soiled
USD343233S (en) * 1992-05-04 1994-01-11 Lanmon Donna G Diaper
US5643189A (en) * 1994-12-07 1997-07-01 Masini; Michael A. Composite wound dressing including inversion means
US6599262B1 (en) * 1994-12-07 2003-07-29 Masini Michael A Bandage with thermal insert
JP3020728U (ja) * 1995-07-18 1996-02-06 京子 古矢 二重収納袋および二重収納袋付おむつ
US5760694A (en) * 1996-05-07 1998-06-02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oration Moisture detecting devices such as for diapers and diapers having such devices
US6254583B1 (en) * 1997-01-31 2001-07-03 Tailored Technologies, Inc. Reusable and protective underwear having improved containment properties and improved fit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of
US6932800B2 (en) * 1997-03-27 2005-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a high vertical wicking capacity
US6617488B1 (en) * 1997-10-14 2003-09-09 Indicato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nditions in an absorbent article
US6454748B1 (en) * 1999-02-17 2002-09-24 Shari Ives Diaper with a pocket
US6558499B1 (en) * 2000-01-21 2003-05-06 Paragon Trade Brands,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graphics and process for making
US6475204B1 (en) * 2000-04-10 2002-11-05 Doris A. Walker Diaper construction
JP2002119528A (ja) * 2000-10-13 2002-04-23 Koichi Hamada 尿取りパッド及び尿取りパッド用ずれ止めシート
US6911022B2 (en) * 2001-04-20 2005-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wipe article associated therewith
JP4178042B2 (ja) * 2001-05-22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US6953451B2 (en) * 2002-09-30 2005-10-11 Mcneil-Ppc, Inc. Thin comfortable sanitary napkin having reduced bunc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852A (ja) * 1989-10-30 1991-08-16 Procter & Gamble Co:The 使い捨ておむつ
EP0496716A1 (fr) 1991-01-24 1992-07-29 Jean Clément Edouard Ghislain Malak Couche-culotte, ou similaire, à jeter
JP2000042033A (ja) * 1998-05-29 2000-02-15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11685A1 (en) 2002-09-30 2006-05-25 Hikari Kawata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64124A1 (en) 2004-04-01
EP1402866B1 (en) 2006-03-01
DE60303754D1 (de) 2006-04-27
US7294121B2 (en) 2007-11-13
ATE318567T1 (de) 2006-03-15
CN1500451A (zh) 2004-06-02
ES2254875T3 (es) 2006-06-16
JP2004174209A (ja) 2004-06-24
KR20040029271A (ko) 2004-04-06
TWI272092B (en) 2007-02-01
TW200406180A (en) 2004-05-01
EP1402866A1 (en) 2004-03-31
US20060111685A1 (en) 2006-05-25
DE60303754T2 (de)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931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US6540729B1 (en) Men&#39;s disposable urine holding bag
KR10102585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JP459909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86404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EP1864635A1 (en) Absorbent article
JP478653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669129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04089269A (ja) 吸収性パッド
KR20030051356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10082687A (ko) 일회용 기저귀
KR20020089176A (ko) 일회용 흡액성 패드
JP2006181024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4112673A1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77904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20210062592A (ko) 남성용 흡수성 물품
JP2012157596A (ja) 排泄物収容物品
JP2019146630A (ja) 吸収性物品
KR19980081545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JP445129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953346B2 (ja) 吸収性物品
JP3920819B2 (ja) 使い捨て尿処理物品
JP4035070B2 (ja) 透液性表面シート
JP3920820B2 (ja) 使い捨て尿処理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