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834B1 -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 Google Patents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834B1
KR101024834B1 KR1020097009310A KR20097009310A KR101024834B1 KR 101024834 B1 KR101024834 B1 KR 101024834B1 KR 1020097009310 A KR1020097009310 A KR 1020097009310A KR 20097009310 A KR20097009310 A KR 20097009310A KR 101024834 B1 KR101024834 B1 KR 10102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ing agent
valve
agent injection
amount
injec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229A (ko
Inventor
에이치 키타자와
Original Assignee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Adding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substances to exhaust gases for promoting purification, e.g. catalytic material in liquid form, NOx reduc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50/00Monitoring 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exhaust systems
    • F01N2550/05Systems for adding substances in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의 개체차까지 고려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막힘 판정방법을 제공한다.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소정시간에 저하된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연산하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소정시간에 저하된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연산하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막힘 판정수단을 구비한다.
펌프, 환원제 분사 밸브, 공급 경로, 압력 검지수단, 막힘 판정장치,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막힘 판정수단

Description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Reducing agent injection valve clogging judgment device and reducing agent injection valve clogging judgment method}
본 발명은, 배기 정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시스템의 개체차의 격차를 고려한 막힘 판정이 가능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젤엔진 등의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는, 환경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흑연 미립자(이하, PM이라고 함)나 질소 산화물(이하, NOx라고 함)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NOx를 정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배기 정화 시스템으로서, 배기가스 중에 요소 용액이나 미연연료(HC) 등의 환원제를 분사 혼합하여, 촉매로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 정화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SCR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 SCR 시스템에 있어서의 환원제 공급장치의 1형태로서, 액체 환원제를 환원제 분사 밸브를 개재하여 직접적으로 배기 통로 중에 분무하는 인젝션 타입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환원제 중, 요소 용액은, 소정의 온도역에 있어서 요소가 결정화되기 쉽고,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환원제의 종류를 막론하고, 배기가스 중에는 PM 등의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들의 이물이 노즐이나 환원제 분사 밸브 내부에 진입하여 눌러 붙는 등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인젝션 타입의 환원제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환원제의 공급 경로의 압력을 검지함으로써 판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젝션 타입의 환원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배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환원제 공급 통로(321)에 배치한 압력 센서(324)에 의해서, 환원제의 분사에 따른 압력 저하량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 압력 저하량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환원제 첨가 밸브(320; 환원제 분사 밸브)가 막혀 있다고 판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그 구체적인 예로서, 정상시의 압력 저하량과 분사량의 상관을 미리 실험적으로 구한 맵(map)을 참조하여, 이 맵으로부터 얻은 압력 저하량의 정상치와 압력 센서로부터 얻은 값을 비교하여, 압력 저하량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74856호(특허청구의 범위 단락 [0016])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막힘을 판단하는 방법은, 시스템 전체의 개체차에 의한 격차를 고려하지 않고, 실험적으로 구한 정상시의 압력 저하량과 압력 센서로부터 얻은 값을 일률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환원제 첨가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하는 기준이 되는 압력 저하값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막힘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히 막힘 판정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즉, 환원제 공급장치는, 구성하는 부품의 치수 정밀도나 센서 등의 응답 상태 등에 기인하고, 각각의 환원제 공급장치마다 분사 제어에 격차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력 저하량에 차가 생겼다고 해도,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정도에 기인하는 것인지, 시스템 전체의 개체차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기 어려워, 정확한 막힘 판정을 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예의 노력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할 때에,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의 의심이 있는 시스템의 압력 저하량과, 굳이 환원제 분사 밸브를 전체 폐쇄로 하였을 때의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개체차까지 고려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한 환원제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펌프로부터 압송된 환원제를 배기 통로에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분사 밸브와, 펌프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사이에 배치된 공급 경로와,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수단을 포함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로서,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압송의 정지시,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에 저하된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연산하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압송의 정지시,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에 저하된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연산하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막힘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가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를 구성할 때,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및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은, 공급 경로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로 유지되도록 펌프를 구동시킨 상태로부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의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또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를 구성할 때, 배기 정화 시스템은 환원제 분사 밸브로부터 분사해야 하는 환원제의 분사량을 지시하는 분사량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및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에 의해서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및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할 때의 소정시간은 분사량 지시수단으로부터 지시된 환원제의 분사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를 구성할 때, 막힘 판정수단은,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의 차를 소정의 막힘 판정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한 환원제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펌프로부터 압송된 환원제를 배기 통로에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분사 밸브와, 펌프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사이에 배치된 공급 경로와,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수단을 포함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으로서,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압송의 정지시,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에 저하된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압송의 정지시,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에 저하된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을 실시할 때, 공급 경로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로 유지되도록, 펌프에 의해 환원제를 압송하는 공정과,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고,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공정과, 펌프에 의한 압송을 재개하여, 공급 경로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에 도달한 후, 환원제 분사 밸브를 전체 폐쇄 모드로 한 상태에서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고,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공정과,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의 차를 막힘 판정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을 실시할 때,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내연기관의 통상 운전 상태에서 정기적으로 구하고,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소정의 테스트 개시 기준치와 비교하여,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이 테스트 개시 기준치보다도 작은 경우에,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을 실시할 때,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동시에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테스트 개시 기준치를 비교하는 공정을 복수회 행하고, 소정 회수 연속하여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이 테스트 개시 기준치보다도 작은 경우에,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소정의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이것들을 비교하여 막힘 판정을 하는 막힘 판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환원제 공급장치의 시스템 자체의 개체차에 의한 압력 변화분을 상쇄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에만 기인하는 압력 변화의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환원제 분사 밸브의 관리(maintenance)를 적절히 행하거나, 또는, 환원제의 분사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에 있어서, 펌프 하류측의 환원제의 압력치가 소정치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펌프의 압송을 정지하고, 각각의 압력 저하량을 구함으로써, 환원제의 공급 경로 내의 압력 변화의 추이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에 있어서, 비교하는 밸브 개방시 및 밸브 폐쇄시의 압력 저하량의 기준시간을,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구할 때의 환원제 분사 밸브로부터의 분사량에 따라서 결정함으로써, 공급 경로 내의 환원제의 잔량이 저하되는 것에 의한 오차의 발생이 저감되어, 막힘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에 있어서,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의 차를 소정의 막힘 판정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정도에 따른 막힘 판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의하면, 환원제 분사 밸브의 분사 모드에서의 압력 저하량과 전체 폐쇄 모드에서의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환원제 공급장치의 시스템 자체의 개체차에 의한 압력 변화분을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에만 기인하는 압력 변화의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산출한 후 비교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에만 기인한 압력 변화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막힘 판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있어서, 통상 운전 상태에 있어서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정기적으로 구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의심되는 경우에만 테스트 모드로 이행시켜 밸브 폐쇄시의 압력 저하량을 구함으로써, 막힘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밸브 폐쇄 동작을 따른 압력 저하량을 구할 필요가 없어져, 통상의 NOx의 정화를 중단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있어서, 미리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소정의 테스트 개시 기준치의 비교를 복수회 행함으로써, 막힘의 우려가 있는 것을 더욱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고, 또 효율적으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배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압력 변화와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그 1).
도 4는 압력 변화와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그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그 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그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그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그 4).
도 9는 종래의 배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막힘 판정방법에 관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1형태를 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각의 도면 중,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것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있고, 적절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
1.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1) 배기 정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를 구비한 배기 정화 시스템(이하, 단순히 「시스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구성예에 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10)은, 요소 수용액을 환원제로서 사용하여, 배기가스를 환원제와 함께 NOx 촉매(13)를 통과시켜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10)이다. 이 배기 정화 시스템(10)은, 내연기관에 접속된 배기 통로(11)의 도중에 배치되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하기 위한 NOx 촉매(13)와, NOx 촉매(13)의 상류측에서 배기 통로(11) 중에 환원제를 분사하기 위한 환원제 분사 밸브(31)를 포함하는 환원제 공급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기 통로(11)의 NOx 촉매(1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각각 온도 센서(15, 16)가 배치되는 동시에, NOx 촉매(13)의 하류측에는 NOx 센서(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 NOx 촉매(13)나 온도 센서(15, 16), NOx 센서(17)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의 배기 정화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NOx 센서(17)는 센서 자체의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상 상태가 검지되면 후술하는 CAN(65; Controller Aria Network)에 대하여 에러 정보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환원제 공급장치(20)는, 환원제 분사 밸브(31)를 포함하는 분사 모듈(30)과, 환원제가 저장된 저장탱크(50)와, 저장탱크(50) 내의 환원제를 환원제 분사 밸브(31)에 대하여 압송하는 펌프(41)를 포함하는 펌프 모듈(40)과, 환원제 분사 밸브(31)로부터 분사하는 환원제의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분사 모듈(30)이나 펌프 모듈(40)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60; 이하, 「DCU : Dosing Control Unit」이라고 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저장탱크(50)와 펌프 모듈(40)은 제 1 공급 경로(57)에 의해서 접속되고, 펌프 모듈(40)과 분사 모듈(30)은 제 2 공급 경로(58)에 의해서 접속되고, 또, 분사 모듈(30)과 저장탱크(50)는 순환 경로(59)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10)의 예에서는, DCU(60)는, CAN(65)에 접속되어 있다. 이 CAN(65)에는, 내연기관의 운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70; 이하, 「ECU : Engine Control Unit」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이 접속되어 있고, 연료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 회전수 등을 비롯하는 내연기관의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 정화 시스템(10)에 구비된 모든 센서 등의 정보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CAN(65)에서는 입력되는 신호치가 CAN(65)의 규격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CAN(65)에 접속된 DCU(60)는, CAN(65)상의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CAN(65)상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ECU(70)와 DCU(60)가 다른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CAN(65)를 개재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들의 ECU(70)와 DCU(60)를 하나의 컨트롤 유닛으로서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저장탱크(50)에는, 탱크 내의 환원제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1) 나 환원제의 잔량을 검지하기 위한 레벨 센서(55), 환원제의 점도나 농도 등의 품질을 검지하기 위한 품질 센서(53)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의 센서에 의해서 검지된 값은 신호로서 출력되어 CAN(60)상에 기록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에 관해서는, 공지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 저장되는 환원제로서는, 주로 요소 수용액이나 미연연료(HC)를 들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배기 정화 시스템의 예는, 요소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의 구성예이다.
또한, 펌프 모듈(40)은, 펌프(41)와, 펌프(41)의 하류측의 제 2 공급 경로(58) 내의 압력(이하, 「환원제의 압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43)와, 압송되는 환원제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45)와, 펌프(41)의 하류측의 제 2 공급 경로(58)의 도중에 배치된 이물 포집 필터(47)와, 펌프(41)의 하류측의 환원제의 압력이 소정치를 초과하였을 때에, 환원제의 일부를 펌프(41)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되돌려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압력 제어밸브(49)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41)는, 예를 들면 전동펌프로 이루어지고, DCU(60)로부터 보내지는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력 센서(43)나 온도 센서(45)에 관해서도 공지의 것을 적절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값에 관해서도 신호로서 출력되어, CAN(60)상에 기록되어 있다. 또, 압력 제어밸브(49)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체크 밸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모듈(30)은, 펌프 모듈(40)측으로부터 압송되는 환원제가 저류되 는 저류실(33)과, 저류실(33)에 접속된 환원제 분사 밸브(31)와, 저류실(33)로부터 순환 경로(59)에 통하는 경로의 도중에 배치된 오리피스(35)와, 오리피스(35)의 직전에 배치된 온도 센서(37)를 구비하고 있다.
환원제 분사 밸브(31)는, 예를 들면, 듀티 제어에 의해 밸브 개방의 ON-OFF를 제어하는 ON-OFF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저류실(33)에서는 펌프 모듈(40)로부터 압송된 환원제가 소정의 압력으로 축적되도록 되어 있고, DCU(60)로부터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환원제 분사 밸브(31)가 열렸을 때에 환원제가 배기 통로(11) 중에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저류실(33)의 하류측의 경로에 오리피스(35)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오리피스(35)보다도 상류측의 저류실(33), 제 2 공급 경로(58)의 내압이 저하되기 어렵게 되어 있고, 펌프 모듈(40)의 출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 오리피스(45)를 설치하는 대신에, 순환 경로(59)의 도중에 환원제의 순환 제어를 하는 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분사 모듈(30)과 저장탱크(50)의 사이에 배치된 순환 경로(59)는, 펌프 모듈(40)에 의해서 압송되는 환원제 중 분사 모듈(30)의 환원제 분사 밸브(31)로부터 분사되는 환원제 이외의 환원제가 배기열 등의 영향을 받아 고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저장탱크(50)에 환류시키기 위해서 구비되어 있다.
또한, DCU(60)는, 적절한 양의 환원제가 배기 통로(11) 중에 분사되도록, CAN(65)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환원제 분사 밸브(31)의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CU(60) 는, 또 환원제 분사 밸브(31)의 막힘 판정장치(이하, 단순히 「막힘 판정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DCU(60)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1에서는, 환원제 분사 밸브(31)의 동작 제어 및 펌프(41)의 구동 제어, 또, 환원제 분사 밸브(31)의 막힘 판정에 관한 부분에 관해서, 기능적인 블록으로 나타내진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CU(60)는, CAN 정보 추출 생성부(도 1에서는 「CAN 정보 추출 생성」이라고 표기)와, 환원제 분사 밸브 막힘 판정부(도 1에서는 「Udv 막힘 판정」이라고 표기)와, 펌프 구동 제어부(도 1에서는 「펌프 구동 제어」라고 표기)와, 환원제 분사 밸브 동작 제어부(도 1에서는 「Udv 동작 제어」라고 표기)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 부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다.
CAN 정보 추출 생성부는, 제 2 공급 경로 내의 환원제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비롯하여, CAN(65)상에 존재하는 정보를 판독하여, 각 부에 대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펌프 구동 제어부는, CAN 정보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2 공급 경로(58) 내의 환원제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판독하고, 이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펌프(41)를 피드백 제어하고, 제 2 공급 경로(58) 및 저류실(33) 내의 환원제의 압력이 거의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펌프(41)가 전동펌프인 경우에는, 출력되는 압력치가 목표치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전동펌프(41)의 듀티비가 커지도록 제어되고, 반대로, 출력되는 압력치가 목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전동펌프(41)의 듀티비가 작아지도록 제어된다.
환원제 분사 밸브 동작 제어부는, CAN 정보 추출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저장탱크(50) 내의 환원제에 관한 정보나 배기가스 온도, NOx 촉매 온도, NOx 촉매 하류측에서의 NOx 농도에 관한 정보, 또는 내연기관의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판독하여, 배기가스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양의 환원제를 환원제 분사 밸브(31)로부터 분사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31)를 조작하기 위한 환원제 분사 밸브 조작장치(67)에 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환원제 분사 밸브 동작 제어부에서는, 환원제 분사 밸브 조작장치(67)에 지시한 환원제의 분사 지시량(이하, 단순히 「환원제 분사 지시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적산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환원제 분사 밸브 동작 제어부는, 환원제 분사 밸브(31)의 통상의 분사 모드 외에, 전체 폐쇄 모드로도 바뀌도록 되어 있지만, 전체 폐쇄 모드로, 환원제가 실제로 분사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배기 정화 시스템(10)에 의한 배기가스의 정화는 아래와 같이 행하여진다.
내연기관의 운전시에 있어서, 저장탱크(50) 내의 환원제는, 펌프(41)에 의해 서 퍼 올려지고, 분사 모듈(30)측으로 압송된다. 이 때, 펌프 모듈(40)에 구비된 펌프(41)의 하류측의 압력 센서(43)에 의한 검출치를 피드백하여, 검출치가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펌프(41)의 출력을 높이는 한편, 압력치가 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력 제어밸브(49)에 의해서 감압된다. 이것에 의해서, 분사 모듈(30)측에 압송되는 환원제의 압력이 거의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펌프 모듈(40)로부터 분사 모듈(30)에 압송된 환원제는, 환원제의 저류실(33)에 유입하여 거의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어, 환원제 분사 밸브(31)가 열렸을 때에 항상 배기 통로(11) 내에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환원제는 순환 경로(59)를 개재하여 저장탱크(50)에 환류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 통로(11) 중에 분사되지 않은 환원제가 저류실(33)에 체류하여, 배기열에 의해서 고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환원제가, 거의 일정한 압력치로 저류실(33) 중에 저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DCU(60)는, 내연기관의 운전 상태나 배기 온도, NOx 촉매(13)의 온도, 또는 NOx 촉매(13)의 하류측에서 측정되는, 환원되지 않고 NOx 촉매(13)를 통과한 NOx량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분사해야 하는 환원제량을 결정하고, 이것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 조작장치(67)에 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환원제 분사 밸브 조작장치(67)에 의해서 환원제 분사 밸브(31)의 듀티 제어가 행하여지고, 적절히 양의 환원제가 배기 통로(11) 중에 분사된다. 배기 통로(11) 중에 분사된 환원제는, 배기가스에 혼합된 상태에서 NOx 촉매(13)에 유입하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NOx의 환원 반응에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배기가스의 정화가 행하여지는 것이다.
(2) 막힘 판정장치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DCU(60)에서는, 환원제 분사 밸브 막힘 판정부(이하, 단순히 「막힘 판정부」라고 함)가 구비되어 있다. 환원제 분사 밸브 막힘 판정부는, CAN 정보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후술하는 소정의 연산을 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31)가 막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환원제 분사 밸브 막힘 판정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도 2에서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이라고 표기)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도 2에서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이라고 표기)과, 막힘 판정수단(도 2에서는 「막힘 판정」이라고 표기)과, 타이머 카운터부(도 2에서는 「타이머 카운터」이라고 표기)와, 에러 카운터부(도 2에서는 「에러 카운터」라고 표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DCU(60)에 있어서의, 막힘 판정부에 구비된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은,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가 정지되어, 후술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압력의 개시치(이하, 「StrtX」 또는 「StrtY」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와 소정시간 경과시에 검출되는 압력치 P의 차(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 이하, 「Udvopn」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연산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DCU(60)에 있어서의, 막힘 판정부에 구비된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은,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펌프가 정지되고, 후술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압력의 개시치(이하, 「StrtZ」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와 소정시간 경과시에 검출되는 압력치 P의 차(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 이하, 「Udvclo」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연산을 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DCU(60)에 있어서의, 막힘 판정부에 구비된 막힘 판정수단은, Udvopn과 Udvclo를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의 막힘 판정 기준치 D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막힘 판정부에는 RAM이 구비되어 있고, CAN 정보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 정보가, 소정의 시기에 기록되어,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였을 때의 압력치가 초기치(이하, 「Init」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서 기억되고, 그 후, Init와 검출되는 압력치 P의 차가 소정치 N 이상이 되었을 때에 검출된 압력치가 개시치(StrtX, StrtY, StrtZ)로서 기억되는 것이다. 또,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및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Udvopn이나 Udvclo에 관해서도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RAM에 Udvopn을 기억시켰을 때에는, Udvopn 기록 플래그 UdvopnF가 세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러 카운터부는, 환원제 분사 밸브 동작 제어부로부터의 환원제 분사 지시량이 일정 이상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이것에 알맞은 저하를 나타내지 않은 경우에, 장치 내의 어느 하나의 동작 에러가 추정되기 때문에, 에러 카운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이머 카운터부는, 환원제의 압력 저하량을 구할 때의 시간의 계측에 사용되고, 본 실시형태의 DCU(60)의 예에서는, 타이머 1 내지 타이머 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타이밍 차트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막힘 판정장치에 있어서,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하는 점에 관해서, 도 3 및 도 4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환원제 분사 밸브에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는지, 즉, 판정 모드로 이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도 4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또, 이하의 타이밍 차트는, 펌프의 정지 후, 소정시간 경과시부터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을 때까지의 사이에 저하된 압력의 값인,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하여 막힘 판정을 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판정 모드로 이행하는지의 여부의 판별은, 우선, 환원제 분사 밸브가 통상의 분사 모드에 있고, 펌프가 통상의 구동 상태에 있는 t1의 시점에서 타이머 1을 작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펌프의 하류측에서의 환원제의 압력치를 펌프의 구동 제어에 피드백하여, 상기 압력치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타이머 1이 타임아웃이 된 t2의 시점에서,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 2를 작동시킨다. 이 때 동시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를 InitA로서 기억하는 동시에, 펌프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 테스트 환경 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는, 시스템이 분사 실시 모드에 있는지, 환원제의 분사 지시치가 0이 되지 않았는지, 펌프 모듈에 구비된 온도 센서의 값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펌프, 환원제 분사 밸브 및 펌프 모듈에 구비된 압력 센서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등을 기준으로 판별된다.
t2 이후 타이머 2의 작동 중에는, CAN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A를 계속적으로 비교한다. 그리고, 그 차가 소정치 N1 이상이 되는 t3의 시점에서, 타이머 2가 정지하고, 그 때의 환원제의 압력치 P가 StrtX로서 기억되는 동시에, 타이머 3을 작동시킨다. 이 때 동시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분이 개시된다. StrtX의 기억을, 환원제의 압력치 P가 소정치 N1 이상 저하된 상태로 하는 것은, 압력 변화 상태가 안정된 후에 있어서의 압력 저하량을 측정하여, 막힘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CAN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A의 차가 소정치 N1 미만인 경우에도,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한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A의 차를 계속 비교한다. 그 결과, 타이머 2가 타임아웃이 된 경우에 관해서도, 역시 타이머 3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분이 개시된다.
t3 이후 타이머 3의 작동 중에는, CAN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 를, 기억된 StrtX와 계속적으로 비교한다. 그 후 t4의 시점에서, 그 차가 소정의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이상이 되기 때문에,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된다(도면 중 실선 A의 패턴). 이 경우에는, 타이머 3을 리셋하는 동시에 에러 카운터를 리셋한다. 이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펌프를 다시 풀(full) 구동시켜 환원제 분사 밸브를 통상의 분사 모드로 되돌린다.
한편, t3 이후 CAN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기억된 StrtX의 차가 소정의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미만인 경우에, t4'의 시점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한 경우(도면 중 파선 B의 패턴)에는, 환원제 분사 지시량에 알맞은 압력 저하가 나타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타이머 3을 리셋하는 동시에, 에러 카운터를 카운트한다.
또, t3 이후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t4"의 시점에서 타이머 3이 타임아웃이 된 경우(도면 중 일점쇄선 C의 패턴)에는,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되어, 에러 카운터를 카운트한다.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별된 경우(도면 중 파선 B의 패턴)에는, 도 4의 막힘 판정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한편,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별된 경우(도 3 중 실선 A의 패턴)나,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전체 폐쇄 모드로의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의 산출을 하지 않고, 환원 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별될 때까지, 지금까지의 공정이 반복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막힘 판정은, 우선, t5의 시점에서, 펌프의 하류측의 환원제의 압력치 P가 소정의 값에 도달하고, 다시 펌프가 통상의 구동 상태가 되어, 환원제 분사 밸브가 통상의 분사 모드가 된 후, 타이머 4를 작동시킨다. 그 후, t6의 시점에서 타이머 4가 타임아웃이 되면, 타이머 2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InitB로서 기억한다. t6 이후 타이머 2의 작동 중에는, CAN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B를 계속적으로 비교한다. 이 상태에서는, 환원제 공급장치는 분사 모드 상태이다. 그 후 t7의 시점에서 그 차가 소정치 N2 이상이 되면, 타이머 2가 정지하고,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StrtY로서 기억한다. 이 때 동시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분을 개시하는 동시에 타이머 3을 작동시킨다. StrtY의 기억을, 환원제의 압력치 P가 소정치 N2 이상 저하된 상태로 하는 것은, StrtX의 경우와 같이 압력 변화 상태가 안정화된 후에 있어서의 압력 저하량을 측정하여, 막힘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B의 차가 소정치 N2 미만인 경우에도, 테스트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한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B를 계속 비교한다. 그 결과, t7'의 시점에서 타이머 2가 타임아웃이 된 경우에 관해서도, 역시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StrtY로서 기억하여, 타이머 3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분을 개시한다.
t7 이후 타이머 3의 작동 중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한 t8의 시점에서,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와 StrtY의 차를 Udvopn으로서 기억한다. Udvopn을, 환원제 분사 지시량이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하였을 때를 기준으로서 산출하는 것은, Udvopn이나 후술하는 Udvclo의 산출을 할 때, 가정되는 감압 상태를 같은 조건하에 있어서 각각의 압력 저하량을 산출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하면, Udvopn을 복수회 산출하거나, Udvopn 및 Udvclo의 산출 시기에 간격이 있는 경우에도, 동 조건에서의 압력 저하량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 기억되는 Udvopn은,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정도는 물론, 환원제 공급장치 개개가 갖는 개체차도 반영된 값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번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를 닫은 후에, 상기와 같은 공정을 행한다. 즉, t9의 시점에서는 환원제 분사 밸브를 통상의 분사 모드로 되돌려, 펌프를 통상의 구동 상태로 한 후, 타이머 4를 작동시킨다. 그 후 t10의 시점에서 타이머 4가 타임아웃이 되면, 타이머 2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환원제 분사 밸브를 전체 폐쇄하고,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InitC로서 기억한다. t10 이후 타이머 2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 t11의 시점에서 CAN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C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치 N3 이상이 되면, 타이머 2를 정지하고,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StrtZ로서 기억한다. 이 때 동시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분을 개시하는 동시에, 타이머 3을 작동시킨다.
환원제의 압력치 P와 InitC의 차가 소정치 N3 미만인 경우에도, t11'의 시점에서 타이머 2가 타임아웃이 되면, 역시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StrtZ로서 기억하여, 타이머 3이 작동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분을 개시한다.
그리고, t11 이후 타이머 3의 작동 중에,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한 t12의 시점에서, 그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압력치 P와 StrtZ의 차를 Udvclo로서 기억한다.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도, 타이머 3이 타임아웃이 되었을 때에 CAN으로부터 출력된 압력치 P와 StrtZ의 차를 Udvclo로서 기억한다.
이렇게 하여 기억된 Udvclo는,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의 측정치이다. 즉, 이 Udvclo는, 환원제 공급장치 전체의 개개의 특성에 따라서 얻어지는 값이고, 개체차를 반영한 값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Udvopn과 Udvclo를 비교하여,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의 압력 저하량이,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의 압력 저하량에 근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기간 내에서의 Udvopn과 Udvclo의 차가 소정의 막힘 판정 기준치 D 이하인 경우에는, 분사 모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폐쇄 모드와 같은 압력 저하량이 나타내져 있기 때문에, 환원제 분사 밸브가 막혔다고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dvopn과 Udvclo의 차가 실질적으로 제로인 경 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분사 구멍은 완전히 막혀 있다고 추정된다. 또는, 막힘 판정부에, Udvopn 및 Udvclo의 차와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맵을 구비함으로써,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정도를 더욱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예에서는, Udvopn을 산출하여, 일회라도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미만이 된 경우에 Udvclo를 산출하여, Udvopn과 Udvclo의 비교를 하였지만, Udvopn의 산출 및 테스트 개시 기준치 T와의 비교를 복수회 실시한 후에 Udvclo의 산출을 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측정 오차에 의해서 환원제 분사 밸브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것에 기인하는, 환원제의 분사를 행하지 않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2. 막힘 판정방법
다음에, 도 3 및 도 4의 타이밍 차트의 예에 의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의 루틴의 일례에 관해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제어플로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 루틴은, 상시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일정시간마다의 인터럽트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다.
우선, 스타트 후의 스텝 S100에 있어서, 타이머 1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1이 종료한 경우에는 스텝 S101로 진행하는 한편, 타이머 1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타이머 1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스텝 S114에서는, 타이머 1이 작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1이 작동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대로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진다. 한편, 타이머 1 이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15로 진행하여, 타이머 1을 작동시킨 다음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져, 스텝 S100에서 타이머 1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될 때까지 반복된다.
타이머 1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S101에서는,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진행한다. 한편,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지고,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할 때까지 스텝 S100 내지 스텝 S101이 반복된다.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스텝 S102에서는, 타이머 2를 작동시키고, 이어서, 스텝 S103에서는 압력 센서로 검출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InitA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104에서 펌프를 정지하는 동시에 환원제 분사 밸브를 개방한 후, 스텝 S105에서는 압력 센서로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를, 스텝 S103에서 기억된 InitA와 비교하여, 양자의 차가 소정치 N1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검출되는 압력치 P와 InitA의 차가 소정치 N1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한편, 소정치 N1 미만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16으로 진행하여, 타이머 2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2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5에서 검출된 압력치 P와 InitA의 차가 소정치 N1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와 같이, 스텝 S106으로 진행하는 한편, 타이머 2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17로 진행한다. 스텝 S117에서는, 시스템이 환원제를 분사 가능한 상태에 있고, 또한,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모두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5로 되돌려지는 한편,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진다.
스텝 S105에서 압력치 P의 차가 소정치 N1 이상이라고 판별되거나, 또는, 스텝 S116에서 타이머 2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S106에서는, 검출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StrtX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107에서 타이머 3을 작동시킨 후, 스텝 S108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을 개시하여,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스텝 S109에서는,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를, 스텝 106에서 기억한 StrtX와 비교하여, 양자의 차가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타이머 3을 리셋하는 동시에, 스텝 S111에서 에러 카운터를 리셋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가 막혔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스텝 S112에서 TestOK라고 판정되어, 스텝 S113에서 TestOK 플래그가 세워지고 스텝 S123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09에 있어서,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기억한 StrtX의 차가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미만이라고 판별된 스텝 S118에서는,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지시량이 큼에도 불구하고 압력 저하량이 작기 때문에, 환원제 분사 밸브가 막혔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스텝 S119로 진행 하여 타이머 3을 리셋하고, 이어서, 스텝 S120에서 에러 카운터를 카운트하여, 스텝 S1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8에 있어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스텝 S121에서는, 타이머 3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3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시간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압력 저하량이 작기 때문에, 환원제 분사 밸브가 막혔을 가능성이 남겨지기 때문에, 스텝 S120으로 진행하여 에러 카운터를 카운트하여 스텝 S123으로 진행한다.
한편, 타이머 3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2로 진행하여, 시스템이 환원제를 분사 가능한 상태에 있고, 또한,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들을 모두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8로 되돌려지는 한편,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져 다시 스텝 S100부터 행하여진다.
스텝 S109에서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 기억한 StrtX의 차가 테스트 개시 기준치 T 이상이라고 판별되거나, 또는, 스텝 S118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되거나, 또는, 스텝 S121에서 타이머 3이 타임아웃이 되었다고 판별된 스텝 S123에서는, 타이머 4를 작동시킨다. 이어서, 스텝 S124에서 펌프를 풀 가동시킨 후, 스텝 S125에 있어서 환원제의 압력치 P가 소정의 임계치 P0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환원제의 압력치 P가 임계치 P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6에서 펌프를 통상의 피드백 제어 상태로 되돌려, 스텝 S127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25에서 환원제의 압력치 P가 임계치 P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압력치 P가 임계치 P0을 초과할 때까지 펌프를 풀 구동시킨다.
스텝 S127에서는, 타이머 4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8로 진행하는 한편,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5로 되돌려진다. 타이머 4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S128에서는,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9로 진행하는 한편,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할 때까지 판별이 반복된다.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스텝 S129에서는, Udvopn의 값이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UdvopnF가 세워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UdvopnF가 서 있는 경우, 즉, 이미 Udvopn의 값이 기억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47로 진행한다. 한편, UdvopnF가 서 있지 않은 경우, 즉, Udvopn의 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0에서는, 에러 카운터의 값이 규정치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규정치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하기 위해서 Udvopn을 기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Udvopn을 기억하기 위한 스텝 S133으로 진행한다. 한편, 에러 카운터의 값이 규정치 미만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31로 진행하여, TestOK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130에 있어서의 에러 카운터의 규정치는 1 또는 2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2 이상의 값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생겼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만 스텝 S147 이후의 막힘 판정 프로세스에 이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가 필요 이상으로 전체 폐쇄 모드가 되어, NOx의 환원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에러 카운터의 값이 규정치 미만일 때에 진행한 스텝 S131에서 TestOK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을 할 필요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텝 S132에서 TestOK 플래그를 리셋한 후,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진다. 한편, TestOK 플래그이 서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02로 되돌려지고, 다시 같은 스텝을 반복한다.
Udvopn을 기억하기 위한 스텝은, 우선, 스텝 S133에서 타이머 2를 작동시키고, 이어서, 스텝 S134에서는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을 InitB로서 기억한 후, 스텝 S135에서 펌프를 정지하고, 스텝 S1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6에서는, 스텝 S134에서 기억된 InitB라고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와의 차가 소정치 N2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소정치 N2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37로 진행하는 한편, 소정치 N2 미만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43으로 진행하여, 타이머 2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2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36에서 검출된 압력치 P와 InitB의 차가 소정치 N2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와 같이, 스텝 S137로 진행하는 한편, 타이머 2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44로 진행한다. 스텝 S144에서는,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36으로 되돌려지는 한편,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다.
스텝 S136에서 검출된 압력치 P와 InitB의 차가 소정치 N2 이상이라고 판별되거나, 또는, 스텝 S143에서 타이머 2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137에서는, 그 때에 검출된 압력치 P를 StrtY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138에서 타이머 3이 작동하기 시작하여, 스텝 S139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을 개시한 후,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40에서는,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41로 진행하여, 스텝 S137에서 기억한 StrtY와 검출된 압력치 P의 차를 Udvopn으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142에서 플래그 UdvopnF를 세운 후,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다. Udvopn을, 환원제 분사 지시량이 소정의 임계치 S0을 초과하였을 때를 기준으로서 산출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되는 감압 상태를 같은 조건하에 있어서 각각의 압력 저하량을 산출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S145에서는, 타이머 3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3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40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와 같이 스텝 S141로 진행한다. 한편, 타이머 3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46으로 진행하여,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39로 되돌려지고,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다. Udvopn의 값이 기억되는 스텝 S141을 거쳐서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 경우에는, 스텝 S129에 있어서 플래그 UdvopnF가 서 있다고 판별되게 되어, 스텝 S147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147에서는 타이머 2를 작동시키고, 이어서, 스텝 S148로 환원제 분사 밸브를 전체 폐쇄 모드로 한다. 이 때,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은 계속된 상태이다. 이어서, 스텝 S149에 있어서, 검출된 환원제의 압력을 InitC로서 기억한 후, 스텝 S150에서 펌프를 정지하여 스텝 S151로 진행한다.
스텝 S151에서는, 펌프가 정지한 상태에서,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를 스텝 S149에서 기억한 InitC와 비교하여, 양자의 차가 소정치 N3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검출되는 압력치 P와 InitC의 차가 소정치 N3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2로 진행한다. 한편, 소정치 N3 미만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9로 진행하여, 타이머 2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2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1에서 검출된 압력치 P와 InitC의 차가 소정치 N3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와 같이 스텝 S152로 진행한다. 한편, 타이머 2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6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0에서는,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1로 되돌려지는 한편,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다.
스텝 S151에서 검출되는 압력치 P와 InitC의 차가 소정치 N3 이상이라고 판별되거나, 또는, 스텝 S159에서 타이머 2가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S152에서는, 그 때에 검출된 환원제의 압력치 P를 StrtZ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153에서 타이머 3을 작동시킨 후, 스텝 S154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를 산출하고, 스텝 S155로 진행한다.
스텝 S155에서는,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6으로 진행한다. 한편,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61로 진행하여, 타이머 3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타이머 3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5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와 같이 스텝 S156으로 진행한다. 한편, 타이머 3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62로 진행한다. 스텝 S162에서는, 시스템이 테스트 환경 조건 TE를 만족시켰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만족시켰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54로 되돌려지는 한편,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다.
스텝 S155에서 환원제 분사 지시량의 적산량 S가 임계치 S0을 초과하였다고 판별되거나, 또는, 스텝 S161에서 타이머 3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스텝 S156에서는, 스텝 S152에서 기억한 StrtZ와 검출되는 환원제의 압력치 P의 차를 Udvclo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157에서 플래그 UdvopnF를 리셋한 후, 스텝 S158에서, Udvclo의 값과 Udvopn의 값의 차가 막힘 판정 기준치 D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 다. 두개의 값의 차가 막힘 판정 기준치 D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있다고 판정되어, Test Error가 된다. 한편, Udvclo의 값과 Udvopn의 값의 차가 막힘 판정 기준치 D를 초과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없다고 판정되어, 스텝 S163에서 에러 카운터를 리셋하고, 스텝 S164에서 TestOK가 된다.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이 없다고 판정되면, 스텝 S165에서 TestOK 플래그가 세워진 후, 스텝 S123으로 되돌려진다. 이 상태에서 스텝 S123으로 되돌리면, 일단 펌프를 풀 구동시킨 후, 시스템은 통상의 분사 모드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스텝 S129, 스텝 S130, 스텝 S131, 스텝 S132를 경유하여, 스타트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상 설명한 플로 차트에 의한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서는, 각각 환원제 공급장치의 개개의 특성을 반영한 값인 Udvopn과 Udvclo를 비교하고 있기 때문에, 환원제 공급장치의 개개의 특성에 기인한 압력 변화분이 상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정도에만 기인한 압력 저하량의 비교가 행하여지고 있고, 막힘 판정 결과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높여져 있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본 발명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배기 정화 시스템은, 이러한 구성의 배기 정화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CAN을 생략하거나, DCU를 엔진 ECU와 일체화하여 구성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환원제의 온도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구비된 순환 경로가 생략된 구성의 배기 정화 시스템이어도 상관없다.

Claims (8)

  1.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한 환원제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상기 환원제를 배기 통로에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분사 밸브와, 상기 펌프 및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사이에 배치된 공급 경로와,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수단을 포함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로서,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압송의 정지시, 상기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에 저하된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연산하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압송의 정지시, 상기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소정시간에 저하된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연산하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과,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막힘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및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은,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펌프를 구동시킨 상태로부터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의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또는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로부터 분사해야 하는 상기 환원제의 분사량을 지시하는 분사량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 및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 연산수단에 의해서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 및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할 때의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분사량 지시수단으로부터 지시된 상기 환원제의 분사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판정수단은,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의 차를 소정의 막힘 판정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5.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한 환원제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상기 환원제를 배기 통로에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분사 밸브와, 상기 펌프 및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사이에 배치된 공급 경로와,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수단을 포함하는 배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압송의 정지시, 상기 압송의 정지시부터 소정 기간 경과시 또는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이 소정치가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에 저하된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가 전체 폐쇄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소정시간에 저하된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 저하량을 나타내는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환원제를 압송하는 공정과,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가 분사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고,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공정과,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재개하여, 상기 공급 경로 내의 압력치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 후,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를 전체 폐쇄 모드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한 압송을 정지하고,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공정과,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의 차를 상기 막힘 판정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을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상기 내연기관의 통상 운전 상태에서 정기적으로 구하고,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소정의 테스트 개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이 상기 테스트 개시 기준치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과 상기 테스트 개시 기준치를 비교하는 공정을 복수회 행하여, 소정 회수 연속하여 상기 밸브 개방시 압력 저하량이 상기 테스트 개시 기준치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밸브 폐쇄시 압력 저하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KR1020097009310A 2007-01-26 2008-01-17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KR101024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5942A JP4906525B2 (ja) 2007-01-26 2007-01-26 還元剤噴射弁の詰まり判定装置及び還元剤噴射弁の詰まり判定方法
JPJP-P-2007-015942 2007-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229A KR20090074229A (ko) 2009-07-06
KR101024834B1 true KR101024834B1 (ko) 2011-03-25

Family

ID=3964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310A KR101024834B1 (ko) 2007-01-26 2008-01-17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76437B2 (ko)
EP (1) EP2128395B1 (ko)
JP (1) JP4906525B2 (ko)
KR (1) KR101024834B1 (ko)
CN (1) CN101688454B (ko)
AT (1) ATE486202T1 (ko)
DE (1) DE602008003203D1 (ko)
WO (1) WO2008090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5988B4 (de) * 2008-01-24 2017-05-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iagnose einer Abgasnachbehandlungs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8005989B4 (de) * 2008-01-24 2017-05-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iagnose eines Dosierventils einer Abgasbehandlungs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2010029792A1 (ja) * 2008-09-12 2010-03-18 ボッシュ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25850B2 (ja) * 2009-10-30 2013-10-23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噴射弁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並びに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5534602B2 (ja) * 2009-11-06 2014-07-02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噴射弁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SE536318C2 (sv) * 2010-06-21 2013-08-20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avlägsna reduktionsmedel ur en doseringsenhet vid ett SCR-system
FR2961854A1 (fr) 2010-06-23 2011-12-30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Methode pour controler un systeme scr
BR112012032551A2 (pt) 2010-06-23 2016-11-2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método para monitorar um sistema scr"
JP5547815B2 (ja) * 2010-11-08 2014-07-16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噴射弁の異常判定装置及び還元剤供給装置
JP5592759B2 (ja) * 2010-11-08 2014-09-17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噴射弁の異常判定装置及び異常判定方法並びに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CN103261612B (zh) * 2010-12-28 2015-10-07 博世株式会社 还原剂供给装置的异常诊断装置及还原剂供给装置
DE102011078870A1 (de) * 2011-01-20 2012-07-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von Funktionen eines Dosiersystems
DE102011110056B4 (de) * 2011-08-12 2022-08-11 Vitesco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Dosierung eines Reduktionsmittels
KR101294067B1 (ko) * 2011-08-30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cr 시스템의 우레아 분사 노즐의 막힘 방지 방법
SE537849C2 (sv) * 2011-09-22 2015-11-03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bestämma behov av översyn av en doseringsenhet i ett SCR-system
DE102012200917B4 (de) * 2012-01-23 2023-06-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Verstopfung eines Dosierventils eines SCR-Katalysatorsystems
DE102012002059A1 (de) * 2012-02-03 2013-08-0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osiervorrichtung
DE102012204385B4 (de) * 2012-03-20 2024-05-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Dosierung von Kraftstoff in einen Abgaskanal
BR102014005521B1 (pt) * 2013-03-14 2022-11-16 Cummins Ip, Inc Aparelhos e método para diagnosticar sistema de fornecimento de agente de redução e sistema de motor de combustão interna
KR101438630B1 (ko) * 2013-04-15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scr) 시스템의 우레아 분사 노즐의 막힘 방지 방법
JP2015017523A (ja) * 2013-07-10 2015-01-2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燃料添加弁の故障検出装置
JP6161197B2 (ja) * 2013-07-18 2017-07-12 ボッシュ株式会社 排気管燃料噴射装置及び排気管燃料噴射方法
CN103511038B (zh) * 2013-09-18 2016-01-1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监控尿素喷嘴电磁阀卡死的方法和系统
JP5962631B2 (ja) * 2013-11-14 2016-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CN104005824B (zh) * 2014-05-27 2016-09-0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scr排放控制系统及方法
US11585253B2 (en) 2015-08-07 2023-02-21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Converging liquid reductant injector nozzle i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s
GB2528202A (en) * 2015-10-06 2016-01-13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A method of testing a proper functioning of a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GB201521599D0 (en) * 2015-12-08 2016-01-20 Delphi Internat Operations Luxembourg S À R L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of an SCR reductant doser
US9938876B2 (en) 2016-02-19 2018-04-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7210250A1 (de) * 2016-06-27 2017-12-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Fehldosierung
US10060323B1 (en) * 2017-02-28 2018-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ductant delivery performance for an SCR catalyst
GB2561549B (en) * 2017-04-06 2019-05-29 Delphi Tech Ip Ltd Method of detecting a doser valve opening or closing event
CN109869217B (zh) * 2017-12-05 2022-04-15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尿素水溶液喷射系统的喷嘴阻塞诊断系统和方法
JP2019105259A (ja) * 2017-12-14 2019-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還元剤添加装置の異常診断装置
JP6988433B2 (ja) * 2017-12-18 2022-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異常判定装置
CN110242387B (zh) * 2018-03-08 2022-07-0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碳氢喷射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894714A (zh) * 2020-08-10 2020-11-06 上海星融汽车科技有限公司 Scr系统的进液口滤清器的堵塞检测方法、系统及车辆
CN112031903B (zh) * 2020-09-10 2021-04-02 上海星融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scr尿素喷射装置的故障诊断方法
US11873751B2 (en) * 2020-11-13 2024-01-16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ocation of diesel exhaust fluid in a dosing system
CN113217941B (zh) * 2021-04-19 2022-07-29 华能铜川照金煤电有限公司 空预器堵塞预测与喷水喷氨优化防堵方法
US11781464B1 (en) * 2022-03-31 2023-10-10 Caterpillar Inc. Detecting reductant quality using a virtual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08A (ko) * 1999-09-30 2001-10-18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환원제를 함유하는 유동 가스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장치
JP2002147223A (ja) 2000-11-15 2002-05-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0626563B1 (ko) 1998-12-01 2006-09-2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연 기관의 배기관 섹션 내로 환원제를 도입하기 위한 장치
JP2008038728A (ja) 2006-08-04 2008-02-21 Bosch Corp 還元剤供給装置及び還元剤供給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954B2 (ja) * 1995-03-28 1998-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NOx 吸収剤の劣化検出装置
US6470673B1 (en) * 2000-02-22 2002-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ntrol of a NOX reductant delivery system
JP3473583B2 (ja) * 2000-07-24 2003-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3514230B2 (ja) * 2000-10-25 2004-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3800016B2 (ja) * 2001-02-15 2006-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3041929A (ja) * 2001-08-01 2003-02-1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EP1561919B1 (en) * 2004-02-05 2007-03-14 Haldor Topsoe A/S Injection nozzle and method for uniformly injecting a fluid stream into a gas stream at elevated temperature by means of an injection nozzle
DE102004022115A1 (de) * 2004-05-05 2005-11-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Reagenzmittels in einen Abgaskanal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4050989B4 (de) * 2004-10-20 2015-06-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gasbehandlungs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438662B2 (ja) * 2005-03-28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799289B2 (ja) * 2006-06-26 2011-10-26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4165896B2 (ja) * 2007-02-19 2008-10-15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経路の詰まり判定装置及び還元剤経路の詰まり判定方法
US7971426B2 (en) * 2007-11-01 2011-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ductant injection system diagnostics
JP5475243B2 (ja) * 2008-03-07 2014-04-16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供給装置の制御装置及び還元剤の回収方法並びに排気浄化装置
JP5325850B2 (ja) * 2009-10-30 2013-10-23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噴射弁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並びに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5534602B2 (ja) * 2009-11-06 2014-07-02 ボッシュ株式会社 還元剤噴射弁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563B1 (ko) 1998-12-01 2006-09-2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연 기관의 배기관 섹션 내로 환원제를 도입하기 위한 장치
KR20010090608A (ko) * 1999-09-30 2001-10-18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환원제를 함유하는 유동 가스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장치
JP2002147223A (ja) 2000-11-15 2002-05-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8038728A (ja) 2006-08-04 2008-02-21 Bosch Corp 還元剤供給装置及び還元剤供給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8395A1 (en) 2009-12-02
JP2008180193A (ja) 2008-08-07
DE602008003203D1 (de) 2010-12-09
EP2128395A4 (en) 2010-01-20
CN101688454A (zh) 2010-03-31
US8276437B2 (en) 2012-10-02
WO2008090798A1 (ja) 2008-07-31
EP2128395B1 (en) 2010-10-27
KR20090074229A (ko) 2009-07-06
JP4906525B2 (ja) 2012-03-28
US20100005871A1 (en) 2010-01-14
ATE486202T1 (de) 2010-11-15
CN101688454B (zh)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834B1 (ko)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장치 및 환원제 분사 밸브의 막힘 판정방법
KR101081766B1 (ko) 배기 정화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배기 정화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KR101088316B1 (ko) NOx 센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고장 진단 방법
JP4165896B2 (ja) 還元剤経路の詰まり判定装置及び還元剤経路の詰まり判定方法
US8387366B2 (en) Reducing agent injection valv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US67221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a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JP4728371B2 (ja) 流体給送システム
JP4428445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6127510B2 (ja) 尿素scr用尿素水消費量診断装置
JP6142530B2 (ja) 尿素scr用尿素水消費量診断装置
CN103388519A (zh) 选择禁用NOx还原效率诊断的排气诊断控制系统和方法
JP6570444B2 (ja) 燃料噴射装置の制御装置
JP2008223770A (ja) 還元剤経路の詰まり判定装置及び還元剤経路の詰まり判定方法
KR20180104569A (ko) Scr 촉매 컨버터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