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578B1 -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578B1
KR101023578B1 KR20057012722A KR20057012722A KR101023578B1 KR 101023578 B1 KR101023578 B1 KR 101023578B1 KR 20057012722 A KR20057012722 A KR 20057012722A KR 20057012722 A KR20057012722 A KR 20057012722A KR 101023578 B1 KR101023578 B1 KR 10102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est piece
immunochromatography test
photodiode
immunochromat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1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604A (ko
Inventor
다카시 코이케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38Diffuse reflection, e.g. also for testing fluids, fibrous materials
    • G01N21/474Details of optical heads therefor, e.g. usin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을 측정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측정 장치(1)에 있어서, 면역 크로파토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3a)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과 포토다이오드(3a)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포토다이오드(3a)에 인도하는 복수의 광통로(3b, 3b, 3b, 3b)를 갖는 측정 헤드(4)를 구비하고 있다. 측정 헤드(4)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 반사되는 불필요한 광을 차광하는 차광 부재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광통로(3b, 3b, 3b, 3b)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8)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다.
Figure R1020057012722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 장치, 항원, 항체, 포토다이오드, 정색

Description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RING IMMUNOCHROMATOGRAPHY TEST PIECE}
본 발명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식 분석에 대하여 설명한다.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서는 검체(시료) 중의 항원(또는 항체)과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또는 항원)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특정 위치에 미리 띠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그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검체(檢體)를 적용한 후, 전개액(展開液)에 의해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을 용출시켜 시험편에 침투시켜 가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도포되어 있는 항체(또는 항원) 부분에서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이 트랩(trap)된다. 이 트랩된 양이 검체 중의 그 항원(또는 항체)의 총량이므로,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을 색소로 표지(mark)해 두면 흡광도 등의 광학적 측정에 의해 항원(또는 항체)의 총량을 측정할 수 있다.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분석법은 통상의 정색(coloration) 시험법에 비해 극미량까지 정량이 가능한 방법이다.
검체가 전개하여 정색한 후의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 검체 중의 특정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LED로부터 조사된 측정광을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서 반사시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안내하는 1개의 구멍을 통해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로 측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11-83745호 공보(제4페이지)
(발명의 개시)
그런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서의 라인 형상의 정색은 그 위치에 의해 농담 차가 크게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정색부 중의 색이 얇은(정색의 정도가 작음) 개소로부터의 반사광이 측정될 경우에는 정색의 정도가 실제보다도 작게 평가되어 버린다. 또한, 정색부 중의 색이 진한(정색의 정도가 큼) 개소로부터의 반사광 측정될 경우에는 정색의 정도가 실제보다도 크게 평가되어 버린다.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 구멍의 지름을 크게 하면, 이번에는 정색한 부분 이외로부터의 반사광까지도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측정되어 버려, 측정 결과에 큰 오차가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정색의 정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을 측정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에 있어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과 포토다이오드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포토다이오드에 인도하는 복수의 광통로를 갖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광통로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포토다이오드 1개에 대해 상기 복수의 광통로를 통해 광을 인도하며, 상기 복수의 광통로가 배치된 영역의 이 복수의 광통로의 병설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정색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광통로 모두에 상기 정색부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에서는 차광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광통로에 의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이 포토다이오드에 안내된다. 이에 의해 가령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정색부에 농담이 있었다고 해도, 정색부의 복수의 다른 부위로부터 광통로에 의해 안내된 광이 포토다이오드에서 측정되게 된다. 이 결과, 농담이 평균화되므로 정색부의 정색의 정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통로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라인 형상의 정색부를 따라 병설되어 있으므로 확실히 정색부의 정색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광통로의 폭은 라인 형상의 정색부의 폭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광통로는 정색부로부터의 광을 포토다이오드에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색부 이외의 불필요한 광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정색부의 정색 정도를 보다 한층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각 광통로는 차광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광 부재에 구멍부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을 포토다이오드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각 구멍부의 내경이 라인 형상(line shape)의 정색부의 폭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구멍부는 정색부로부터의 광을 적절히 포토다이오드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의 수는 1 이상 또한 광통로의 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인 형상의 정색부의 지점에 의한 농담의 변동을 포토다이오드의 수를 늘리지 않고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조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정광을 조사하는 조사 광학계와 반사광을 측정하는 검출 광학계를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한쪽면 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조사된 측정광의 투과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정광을 조사하는 조사 광학계와 투과광을 측정하는 검출 광학계를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을, 포토다이오드 및 광통로를 포함하는 검출 광학계에 대하여,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서의 항원 또는 항체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정색부와의 비교에 의해 정색부의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와 광통로를 포함하는 검출 광학계가 복수 병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 이상의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관하여 정색 부의 정색의 정도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판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을 탑재하는 받침대와, 받침대 측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받침대 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와, 받침대와 포토다이오드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발광 다이오드 및 포토다이오드는 받침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차광 부재에는 받침대 측으로부터 포토다이오드 측으로 관통하는 광통로가 소정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토다이오드 1개에 대해 복수의 상기 광통로를 통해 광을 인도하며, 복수의 상기 광통로가 배치된 영역의 이 복수의 광통로의 병설방향으로의 길이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의 길이보다 작고, 복수의 상기 광통로 모두에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반사광의 흡광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광안내 구멍의 내경의 설정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광안내 구멍의 배치 개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인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 도 1에서는 설명을 위해, 후술하는 측정 헤드(4) 등을 일부 노치(notch)하여 나타내고 있다.
측정 장치(1)는 조사 광학계(2)와 검출 광학계(3)가 설치된 측정 헤드(4)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을 고정하기 위한 시료대(6)와, 이동대(7)를 구비한다. 조사 광학계(2)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 측정광을 조사한다. 검출 광학계(3)는 측정광의 조사에 의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 의 광을 검출한다. 시료대(6)는 측정 헤드(4)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이동대(7)는 시료대(6)를 지지함과 동시에, 시료대(6)를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의 항원 또는 항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대(7)는 시료대(6)와의 접촉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기구나, 모터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조사 광학계(2)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표면에 측정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인 LED(2a)와, 측정 헤드(4)에 형성된 구멍(2b)을 포함하고 있다. 구멍(2b)은 LED(2a)로부터 발생된 측정광을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표면에 안내한다.
검출 광학계(3)는 1개의 포토다이오드(3a)와, 측정 헤드(4)에 형성된 4개의 광안내 구멍(3b, 3b, 3b, 3b)(도 2 참조)과, 보호판(3c)을 포함하고 있다. 각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은 측정 헤드(4)를 시료대(6) 측으로부터 포토다이오드(3a) 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포토다이오드(3a)에 안내하기 위한 광통로로서 기능한다. 보호판(3c)은 광안내 구멍(3b, 3b, 3b, 3b)에 이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의 광입사구를 덮는 투광성을 갖는 판형 부재이다. 이들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은 측정 헤드(4)에,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의 라인 상의 정색부(8)에 대하여 평행으로, 또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정색부 (8)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포토다이오드(3a)에 안내할 수 있으면, 특히 형상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가늘은 파이프(pipe)나, 광파이버이어도 상관없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다각형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측정 헤드(4)는 광을 투과하지 않는 차광성의 재료(예를 들면, 금속 등)로 형성되어 있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 반사되는 불필요한 광을 차광하는 차광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 헤드(4)가 차광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차광 부재를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측정 헤드(4)와 차광 부재는 별체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의 광로를 차단하도록, 판형의 차광판을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5)은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이나 여과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인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을 구비하고 있다. 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싱(casing)(5b) 내에 보유되어 있다. 케이싱(5b)에는 그 장변 방향을 따라, 검체 점착 윈도우(5c)와, 관측용 윈도우(5d)와, 컨트롤 윈도우(control window)(5e)가 설치되어 있다.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은 검체 점착 윈도우(5c)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검체 점착부(5f)와 관측용 윈도우(5d) 및 컨트롤 윈도우(5e)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검출부(5g, 5h)를 가지고 있다.
검출부(5g)는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과 반응하는 각각의 항체(또는 항 원)가 도포되어 고정화되어 있고, 라인 형상(line shape)(또는 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5)은 시료대(6)에 설치된 케이싱(casing)(5b)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오목부(6a)에 감합됨으로써 보유되어 있다.
검체는 검체 점착 윈도우(5c)로부터 검체 점착부(5f)에 적하된다.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은 표지 색소와 결합하고,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과 표지 색소와의 결합체나 미반응의 표지 색소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장변 방향으로 이동한다.
지금 만일 검체 중에 항원이 포함되어 있고, 항원이 검출부(5g)와 항원 항체 반응하는 것으로 한다. 검체가 이동함에 따라, 검체 중의 항원과 검출부(5g)에 고정되어 있는 항체가 특이적으로 반응하고, 반응한 검출부(5g)에는 표지 색소에 의해 정색한 라인 형상의 정색부(8)가 형성된다. 이 정색부(8)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의 검체 중의 항원(또는 항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관측용 윈도우(5d)로부터 관측할 수 있다.
시료대(6)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5)을 오목부(6a)에 보유하는 역할의 판형의 부재이다.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을 시료대(6)에 세팅(setting)함으로써,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은 시료대(6)에 탑재되게 된다. 또한, 시료대(6)와 측정 헤드(4)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시료대(6)와 이동대(7)와의 접촉면에는 슬라이드 기구 등의 이동 기구가 조립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이동 수단을 가동함으로써, 시료대(6)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5)을 보유한 채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의 항원 또는 항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속도로 평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목부(6a)에 보유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5)의 검체 점착부(5f)에 검체가 적하되면, 소정의 반응 시간을 경과한 후에, 시료대(6)는 이동대(7) 상에서 소정 속도로 슬라이드(slide) 이동을 시작하고 측정이 개시된다. 즉, LED(2a)로부터 측정광이 이동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 대하여 조사되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4개의 광안내 구멍(3b, 3b, 3b, 3b)에 안내되어 포토다이오드(3a)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 같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을 이동시키면서 포토다이오드(3a)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의 흡광 프로파일(profile)을 얻는다. 얻어진 흡광 프로파일의 비정색부에서의 출력 신호 강도 T0과, 정색부(8)에서의 출력 신호 강도 T1(정색의 정도)과의 비율로부터 정법에 따라 흡광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흡광도를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검량선에 적용시킴으로써 검체 중의 항원 또는 항체의 농도를 구한다.
이어서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의 형상에 대하여 도 2, 도 4, 도 5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서, 광안내 구멍(3b)의 내경을 R1, 광안내 구멍(3b)의 길이를 L1, 광안내 구멍(3b)의 광입사구로부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까지의 거리를 L2, 라인 형상의 정색부(8)의 폭을 R2로 한다.
이때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이 만족하지 않으면 안 되는 조건에 대하여 고찰한다. 광안내 구멍(3b)에는 정색부(8)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포토다이오드(3a)까지 안내하는 역할이 있다. 정색부(8)에서의 정색의 정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광안내 구멍(3b)에 입사하는 광으로는 비정색부에서 반사된 광이 혼입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의 조건으로서 하기와 같은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요구된다.
R2≥R1+2×R1×L2/L1…(1)
여기서, 상기 식 (1)에서의 우변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 중의 광안내 구멍(3b)에 입사 가능한 광의 폭에 대응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안내 구멍(3b)에 입사하는 광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영역 A로부터의 광이다. 영역 A2의 폭은 도 5에서 R1이고, 영역 A1 및 A3의 폭은 L2×tanθ, 요컨대, L2×R1/L1로 구해진다. 따라서, 영역 A의 폭은 R1+2×R1×L2/L1로 된다. 비정색부로부터의 광이 광안내 구멍(3b)에 입사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영역 A의 폭을 정색부(8)의 폭 R2 이하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술한 식 (1)이 구해진다.
또, 식 (1)에서, 보호판(3c)은 충분히 얇게 형성되므로, 보호판(3c)에 의한 광의 굴절을 무시하고 있다.
식 (1)과 같이,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을 설정함으로써,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1)는 정색부(8)로부터의 광만을 광안내 구멍(3b)에 도입할 수 있어 정색부(8)의 정색 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은 식 (1)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정색부(8)로부터의 광의 수광량을 크게 할 수 있어 검출 감도가 향상한다.
이어서 L1과 L2와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한다. L1과 L2와의 비율에는 특히 제한은 없고, 식 (1)을 만족하도록 R1과 함께 결정하면 좋다. 단, L1<L2인 경우, 라인 형상의 정색부(8)의 폭 R2가 1mm 정도로서 식 (1)을 풀면,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은 약 O.3mm 이하가 된다. 이 때문에, 광안내 구멍(3b)을 가공할 때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L1<L2인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L1≥L2이고, 또한, L1/L2을 크게 하면 할수록, 식 (1)보다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을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런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과 광안내 구멍(3b)의 광입사구까지의 거리 L2는 측정광을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 조사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 등에 의해 현실적으로는 수mm 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L1/L2을 크게 하면(예를 들면 L1/L2=5), 광안내 구멍(3b)의 길이 L1이 너무 길어져 버려, 광안내 구멍(3b)을 가공할 때의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L1과 L2와의 관계는 L1/L2이 2∼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L1 및 L2는 L1/L2가 2∼3 정도로서, 식 (1)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포토다이오드(3a)에서 측정되는 광의 광량은 거리의 2승에 반비례하여 작아지기 때문이다. L1 및 L2를 짧게 함으로써, 포토다이오드(3a)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거리가 짧아지고, 정색부(8)로부터의 광의 수광량을 크게 할 수 있어 검출 감도가 향상한다.
이어서 광안내 구멍(3b)의 설치 개수에 대하여 도 2,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광안내 구멍(3b)의 피치를 P1, 광안내 구멍(3b)을 이격하고 있는 벽의 두께를 α, 라인 상의 정색부(8)의 길이를 W1로 한다.
측정 헤드(4)에 설치할 수 있는 광안내 구멍(3b)의 개수 N에 대하여 고찰한다. 광안내 구멍(3b)에는 정색부(8)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포토다이오드(3a)까지 안내하는 역할이 있다. 정색부(8)에서의 정색의 정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광안내 구멍(3b)에 입사하는 광으로는 비정색부에서 반사된 광이 혼입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측정 헤드(4)에 설치되는 광안내 구멍(3b)의 개수 N의 조건으로서 아래와 같은식 (2)을 만족하는 것이 요구된다.
N≤(W1-2×R1×L2/L1)/(R1+α)…(2)
여기서, 상기 식 (2)에서의 우변의 분모인 “R1+α”는 광안내 구멍(3b)의 피치(pitch) P1이다. 식 (2)에서의 우변의 분자 “W1-2×R1×L2/L1”은 길이 W1을 갖는 정색부(8)로부터의 광이 모두 광안내 구멍(3b)에 입사한다고 하는 경우에, 광안내 구멍(3b)을 배치 가능한 길이(도 6에서, 역 B2의 길이에 해당)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광안내 구멍(3b)에 입사하는 광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영역 B로부터의 광이다. 영역 B의 길이와 정색부(8)의 길이 W1이 동일하다고 하면, 각 광안내 구멍(3b)을 배치 가능한 영역 B2의 길이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영역 B1 및 영역 B3의 길이만큼만 영역 B의 길이보다도 짧아진다. 그런데, 영역 B1 및 영역 B3의 길이는 L2×tanθ(=L2×R1/L1)이므로, 광안내 구멍(3b)을 배치 가능한 영역 B2의 길이는 “W1-2×R1×L2/L1”로 된다.
이 영역 B2의 길이를 광안내 구멍(3b)을 배치하는 피치 P1로 나눔으로써, 식 (2)에 나타낸 것처럼 측정 헤드(4)에 설치할 수 있는 광안내 구멍(3b)의 개수 N을 구할 수 있다.
또, 식 (2)에서 보호판(3c)은 충분히 얇게 형성되므로, 보호판(3c)에 의한 광의 굴절을 무시하고 있다.
측정 헤드(4)에 설치하는 광안내 구멍(3b)의 개수 N은 식 (2)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많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정색부(8)로부터의 광의 수광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검출 감도가 향상한다.
또한, 피치 P1은 광안내 구멍(3b)을 이격하고 있는 벽의 두께 α를 작게 함으로써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안내 구멍(3b)의 설치 개수 N이 증가하므로 정색부(8)로부터의 광의 수광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검출 감도가 향상한다.
여기서, 보호판(3c)으로서 마이크로 블라인드(micro blind) 구조의 시트(sheet)를 사용하면,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안내 구멍(3b)의 내경 R1을 크 고, 혹은 광안내 구멍(3b)의 길이 L1을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제1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서는 광안내 구멍(3b, 3b, 3b, 3b)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에서의 라인 형상의 정색부(8)를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정색부(8)에 색의 농담이 있었다고 해도 정색부(8)가 다른 부위로부터 안내된 광을 평균화할 수 있으므로, 정색부(8)의 정색의 정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서는 검출 광학계(3)에 결상 렌즈 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검출 광학계(3)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7에 나타내듯이, 조사 광학계(20)를 시료대(6)의 하측, 요컨대,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이면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LED(20a)로부터 조사되는 측정광은 기둥 형상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믹싱 로드(mixing rod)(20b) 등으로 균일화되고,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이면 측으로부터 조사되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을 투과한 투과광이 검출 광학계(3)에서 측정되게 된다. 또, 도 7에서는 설명을 위해 측정 헤드(4) 등을 일부 노치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및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포토다이오드(3a)의 수의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에서는, 도 8a에 나타나듯이, 포토다이오드의 수가2개로 설정되어 있다. 광안내 구멍(3b1, 3b2)에 의해 안내되는 광이 포토다이오드(3a1)에서 측정되고, 광안내 구멍(3b3, 3b4)에 의해 안내되는 광이 포토다이오드(3a2)에서 측정된다. 각각의 포토다이오드(3a1, 3a2)에 입사한 광은 포토다이오드(3a1, 3a2)에 의해 전기적인 출력 신호로 변환된다. 각각의 출력 신호는 연산 수단(9)에 의해 평균화되어 정색부(8)의 정색의 정도가 산출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에서는, 도 8b에 나타나듯이, 포토다이오드의 수가 4개로 설정되어 있다. 광안내 구멍(3b1, 3b2, 3b3, 3b4)에 의해 안내되는 광이 각각 다른 포토다이오드(3a1, 3a2, 3a3, 3a4)에서 측정된다. 각각의 포토다이오드(3a1, 3a2, 3a3, 3a4)에 입사한 광은 포토다이오드(3a1, 3a2, 3a3, 3a4)에 의해 전기적인 출력 신호로 변환된다. 각각의 출력 신호는 연산 수단(9)에 의해 평균화되고, 정색부(8)의 정색의 정도가 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포토다이오드(3a1, 3a2, 3a3, 3a4)에 의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으로부터의 광을 측정하므로, 정색부(8)의 정색 정도의 지점에 의한 변동이라는 새로운 지표에 의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5a)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 편의 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인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제3 실시 형태는 검출 광학계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제3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에서는 측정 헤드(4)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 2개)의 검출 광학계(31, 32)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검출 광학계(31, 32)는 제1 실시 형태의 검출 광학계(3)와 동등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는 2개의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유닛(51, 52)의 평가를 동시에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처리 속도가 향상한다. 또, 측정 헤드(4)에 설치되는 검출 광학계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망에 따라 3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임신 검사, 변잠혈(便潛血) 검사 등에 사용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을 측정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과 상기 포토다이오드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상기 포토다이오드에 인도하는 복수의 광통로를 갖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광통로는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포토다이오드 1개에 대해 상기 복수의 광통로를 통해 광을 인도하며,
    상기 복수의 광통로가 배치된 영역의 이 복수의 광통로의 병설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정색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광통로 모두에 상기 정색부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로의 폭은 상기 라인 형상의 정색부의 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로는 상기 차광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의 내경이 상기 라인 형상의 정색부의 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로의 길이를 L1, 상기 광통로의 광입사단(光入射端)으로부터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까지의 거리를 L2, 상기 광통로의 지름을 R1, 상기 정색부의 길이를 W1로 할 때, 상기 복수의 광통로가 배치된 상기 영역의 이 복수의 광통로의 병설방향으로의 상기 길이는,
    W1-2×R1×L2/L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조사된 상기 측정광의 반사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조사된 상기 측정광의 투과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을 상기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광통로를 포함하는 검출 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서의 항원 또는 항체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광통로를 포함하는 검출 광학계가 복수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10.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을 탑재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측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받침대 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포토다이오드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차광 부재에는 상기 받침대 측으로부터 상기 포토다이오드 측으로 관통하는 광통로가 상기 소정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토다이오드 1개에 대해 복수의 상기 광통로를 통해 광을 인도하며,
    복수의 상기 광통로가 배치된 영역의 이 복수의 광통로의 병설방향으로의 길이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의 길이보다 작고, 복수의 상기 광통로 모두에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정색부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KR20057012722A 2003-02-26 2004-02-19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KR101023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9861 2003-02-26
JP2003049861A JP4005929B2 (ja) 2003-02-26 2003-02-26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604A KR20050113604A (ko) 2005-12-02
KR101023578B1 true KR101023578B1 (ko) 2011-03-21

Family

ID=3292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2722A KR101023578B1 (ko) 2003-02-26 2004-02-19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62857B2 (ko)
EP (1) EP1605248A4 (ko)
JP (1) JP4005929B2 (ko)
KR (1) KR101023578B1 (ko)
CN (1) CN100487424C (ko)
TW (1) TW200500600A (ko)
WO (1) WO2004077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2420A1 (en) * 2004-03-30 2008-02-07 Lambert James L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and Multiplexed Diagnostic Assays
US20050250141A1 (en) * 2004-03-30 2005-11-10 Lambert James L Diagnostic assays including multiplexed lateral flow immunoassays with quantum dots
US7763454B2 (en) * 2004-07-09 2010-07-27 Church & Dwight Co., Inc. Electronic analyte assaying device
KR100724597B1 (ko) 2005-11-04 2007-06-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질환 진단용 면역스트립 판독기
US8632730B2 (en) * 2005-11-22 2014-01-21 Alverix, Inc. Assaying test strips having different capture reagents
CN101285762B (zh) * 2007-04-11 2011-08-03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多参数免疫层析试条定量检测仪
GB2450351B (en) 2007-06-20 2012-01-18 Cozart Bioscience Ltd Monitoring an Immunoassay
US8422740B2 (en) * 2009-01-15 2013-04-16 Scott Dylewski Methods for determining a liquid front position on a test strip
US8281428B1 (en) 2009-10-30 2012-10-09 Shrewsbury William R Disability shower
CN201615880U (zh) * 2009-12-22 2010-10-27 王继华 免疫层析试纸条的智能化识别分析装置
US10295472B2 (en) 2010-05-05 2019-05-21 Alverix, Inc. Assay reader operable to scan a test strip
KR101228046B1 (ko) * 2012-07-23 2013-02-15 송인국 평행이동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생체물질의 정밀 분석방법
CN109923421B (zh) * 2016-09-02 2022-11-11 艾克雷泽私人有限公司 物质测试系统和方法
JP7158977B2 (ja) * 2018-09-28 2022-10-24 デンカ株式会社 検査判定機および検査判定方法
KR102102988B1 (ko) * 2019-03-28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면역 검사 장치 및 면역 검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83A (ko) * 1973-05-12 1975-01-16
JPS59120939A (ja) * 1982-12-22 1984-07-12 メルク・パテン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薄層クロマトグラムの定量的評価装置
JPH1183745A (ja) * 1997-09-10 1999-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泄物成分検査装置
KR20020070447A (ko) * 2000-09-25 2002-09-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크로마토그래피 정량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4803A (en) 1996-05-09 1997-08-05 Bay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non-hemolyzed levels of occult blood in urine
JP4188538B2 (ja) * 2000-04-12 2008-11-2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JP4797233B2 (ja) * 2000-09-25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小型試料濃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83A (ko) * 1973-05-12 1975-01-16
JPS59120939A (ja) * 1982-12-22 1984-07-12 メルク・パテン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薄層クロマトグラムの定量的評価装置
JPH1183745A (ja) * 1997-09-10 1999-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泄物成分検査装置
KR20020070447A (ko) * 2000-09-25 2002-09-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크로마토그래피 정량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5248A4 (en) 2012-03-14
JP4005929B2 (ja) 2007-11-14
JP2004264065A (ja) 2004-09-24
CN1754091A (zh) 2006-03-29
EP1605248A1 (en) 2005-12-14
TW200500600A (en) 2005-01-01
US7262857B2 (en) 2007-08-28
US20060197955A1 (en) 2006-09-07
WO2004077028A1 (ja) 2004-09-10
CN100487424C (zh) 2009-05-13
KR20050113604A (ko) 200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578B1 (ko)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US20030098976A1 (en) Measuring method for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JP2013019907A (ja) ポリマー試料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式分析試験装置
JP4860489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方法
US6879399B2 (en) Measuring method for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JP5026090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EP2737298B1 (en) An optical device for performing an assay
CA22057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hemiluminescent light
EP3759470B1 (en) System for use in the detection of binding affinities
KR101033392B1 (ko)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및 광원 장치
KR101004458B1 (ko)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US8541760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deflection unit in a TIRF microscope, TIRF microscop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7225400A (ja) 光学検出装置
US20210148829A1 (en) Reading device for a lateral flow test strip
WO2024033027A1 (en) Reader system for a lateral flow test and according method
JP2018105693A (ja) 測定装置
WO2016150577A1 (en) Detect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