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238B1 - 운구용 결관 부재 - Google Patents

운구용 결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238B1
KR101023238B1 KR1020080078356A KR20080078356A KR101023238B1 KR 101023238 B1 KR101023238 B1 KR 101023238B1 KR 1020080078356 A KR1020080078356 A KR 1020080078356A KR 20080078356 A KR20080078356 A KR 20080078356A KR 101023238 B1 KR101023238 B1 KR 10102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inding
sides
present
cross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672A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08007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2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9/00Hoisting or lowering device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1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례식 중 운구에 사용되는 관을 안전하게 결속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운구용 결관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관의 상부 중심과 좌우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결속구; 상기 좌우 결속구와 상부 결속구를 연결하는 조임 끈; 상기 좌우 결속구를 통해 관의 바닥을 받쳐주는 받침 끈; 및 상기 받침 끈의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관을 간편하게 결속한 후, 손잡이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운구할 수 있는 운구용 결관 부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운구용 결관 부재{Fastening apparatus for carrying coffin}
본 발명은 장례식 중 운구에 사용되는 관을 안전하게 결속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운구용 결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구는 장례 과정 중 시신을 장지로 옮기기 위한 절차로서 6~8인이 관의 양측에 서서 들어올린 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은 운구하는 과정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으로 잡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끈으로 결속된다.
이와 같이 운구를 위해 사용되던 종래 끈은 긴 천을 말아서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끈을 사용하여 관을 결속 시 매듭을 이용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관을 결속하는 방법이 어려워 일반인이 간편하게 결속하기 어렵고, 결속된 끈을 잡아서 관을 들어올릴 경우 손의 파지가 불편하여 장시간 운구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운구하기 위한 관을 결속하는 방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속된 끈을 잡고 이동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운구용 결관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부재는 양측 날개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양측에 가로대가 형성된 상태로 관의 상부 중심과 좌우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결속구; 일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좌우 결속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대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상부 결속구의 양측 가로대에 끼운 상태로 관의 상부와 양 측면을 조이도록 형성된 조임 끈; 양 끝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 결속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대와 날개 사이에 끼운 상태로 관의 바닥을 받쳐주도록 형성된 받침 끈; 및 상기 받침 끈의 양측 고리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좌우 결속구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받침 끈은 좌우에 연결된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관의 좌우에 밀착된 결속구 사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속구의 날개 하부에는 밀착된 조임 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 형태의 눌림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부재에 의하면 관을 간편하게 결속한 후, 손잡이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운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요부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일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다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의 상부 중심과 좌우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결속구(120a, 120b), 상기 좌우 결속구(120b)와 상부 결속구(120a)를 연결하는 조임 끈(140), 상기 좌우 결속구(120b)를 통해 관(10)의 바닥을 받쳐주는 받침 끈(160) 및 상기 받침 끈(160)의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180)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구(120a, 120b))는 양측 날개(122)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양측에 가로대(124)가 형성된 상태로 관(10)의 상부 중심과 좌우 하측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상기 날개(122)는 그 끝단이 조임 끈(140)을 밀착하여 풀리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조임 끈(14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손끝으로 걸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속구(120)의 날개(122) 하부에는 밀착된 조임 끈(14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 형태의 눌림 돌기(126)가 형성되어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임 끈(140)은 일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좌우 결속구(120b)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대(124)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상부 결속구(120a)의 양측 가로대(124)에 끼운 상태로 관(10)의 상부와 양 측면을 조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좌우 결속구(120b)는 양 날개(122)가 위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관(10)의 측면에 밀착되는바, 그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대(124)에 조임 끈(140)의 고리를 걸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임 끈(140)의 고리는 끝단을 접은 상태로 봉제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조임 끈(140)의 다른 일단은 상부 결속구(120)의 하부로부터 가로대(124)를 감아 날개(122)와 가로대(124) 사이로 다시 빼냄으로써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받침 끈(160)은 양 끝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 결속구(120b)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대(124)와 날개(122) 사이에 끼운 상태로 관(10)의 바닥을 받쳐주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 끈(160)은 좌우에 연결된 손잡이(18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관(10)의 좌우에 밀착된 결속구(120) 사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 끈(160)은 손잡이(180)를 걸어서 고정하는 고리가 가로대(124)와 날개(122) 사이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 끈(160)의 고리는 끝단을 접은 상태로 봉제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80)는 상기 받침 끈(160)의 양측 고리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좌우 결속구(120)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18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 끈(160)의 고리로부터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운구용 결관 부재(100)에 의하면 관(10)을 간편하게 결속한 후, 손잡이(180)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운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요부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일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 부재의 다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관
100: 결관 부재 120a, 120b, 120c: 결속구
122: 날개 124: 가로대
126: 눌림 돌기
140: 조절 끈 160: 받침 끈
180: 손잡이

Claims (3)

  1. 양측 날개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양측에 가로대가 형성된 상태로 관의 상부 중심과 좌우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결속구;
    일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좌우 결속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대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상부 결속구의 양측 가로대에 끼운 상태로 관의 상부와 양 측면을 조이도록 형성된 조임 끈;
    양 끝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 결속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대와 날개 사이에 끼운 상태로 관의 바닥을 받쳐주도록 형성된 받침 끈; 및
    상기 받침 끈의 양측 고리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좌우 결속구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끈은 좌우에 연결된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관의 좌우에 밀착된 결속구 사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의 날개 하부에는 밀착된 조임 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 형태의 눌림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부재.
KR1020080078356A 2008-08-11 2008-08-11 운구용 결관 부재 KR10102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356A KR101023238B1 (ko) 2008-08-11 2008-08-11 운구용 결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356A KR101023238B1 (ko) 2008-08-11 2008-08-11 운구용 결관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672A KR20100019672A (ko) 2010-02-19
KR101023238B1 true KR101023238B1 (ko) 2011-03-21

Family

ID=4208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356A KR101023238B1 (ko) 2008-08-11 2008-08-11 운구용 결관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357A (ko) * 2021-01-27 2022-08-03 윤재순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39B1 (ko) * 2015-08-26 2017-03-22 장영준 운구용 결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713Y1 (ko) 2006-07-10 2006-10-16 정해식 운구용 결관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713Y1 (ko) 2006-07-10 2006-10-16 정해식 운구용 결관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357A (ko) * 2021-01-27 2022-08-03 윤재순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KR102554139B1 (ko) * 2021-01-27 2023-07-17 윤재순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672A (ko) 201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1690B2 (en) Shad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5253960A (ja) シンチ機構付き寝袋
ES2736606T3 (es) Elevador de cinta para uso entre dos personas con múltiples opciones de elevación
KR200428713Y1 (ko) 운구용 결관부재
KR101023238B1 (ko) 운구용 결관 부재
KR100935549B1 (ko)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JP4498147B2 (ja) 転倒防止機能付梯子
KR101044247B1 (ko)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
KR200447374Y1 (ko) 결관끈
US8752564B1 (en) System for covering a camper
KR20110008746A (ko) 체결이 편리한 운구용 결관 부재
KR20100005166A (ko) 운구용 결관 부재
KR101814454B1 (ko) 환자 수송용 들것
KR100982695B1 (ko) 손잡이봉이 장착된 운구용 결관장치
JP2002325516A (ja) 雪吊り具
US11850207B1 (en) Rollator with lashing assembly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468836Y1 (ko) 환자 이송용 들것
KR200456563Y1 (ko) 운구용 손잡이 고정구
US7896415B2 (en) Easy package lifting device
CN209933214U (zh) 一种心内科用急救装置
KR101094156B1 (ko) 운구용 관의 끈 고정구
JP3887642B2 (ja) 荷物運搬補助具
JP3090641U (ja) 布団保持ひも
US20140008400A1 (en) Device and system for assisting hosiery donning
US9067734B1 (en) Mattress mov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