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36Y1 - 환자 이송용 들것 - Google Patents

환자 이송용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36Y1
KR200468836Y1 KR2020110005952U KR20110005952U KR200468836Y1 KR 200468836 Y1 KR200468836 Y1 KR 200468836Y1 KR 2020110005952 U KR2020110005952 U KR 2020110005952U KR 20110005952 U KR20110005952 U KR 20110005952U KR 200468836 Y1 KR200468836 Y1 KR 200468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tretcher
support frame
coupled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444U (ko
Inventor
최용희
Original Assignee
최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희 filed Critical 최용희
Priority to KR2020110005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3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 이송용 들것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된 환자나 부상자를 실은 상태에서 안전한 장소나 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한 환자 이송용 들것을 구조자가 힘들이지 않고 보다 편안하면서도 안정된 자세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환자가 실어지는 들부와, 상기 들부의 전후면 및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환자 이송용 들것에 있어서, 상기 들부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측부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환자 이송용 들것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람의 어깨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굴곡 형성된 어깨 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이송용 들것{stretcher for patient transportation}
본 고안은 환자 이송용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된 환자나 부상자를 실은 상태에서 안전한 장소 등으로 이송하기 위한 환자 이송용 들것을 구조자가 힘들이지 않고 보다 편안하면서도 안정된 자세로 들고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이송용 들것은, 도로나 건물 등의 재난사고 현장 및 각종 운동 경기장 이외에 차량이나 헬기 등의 교통수단이 접근하기 어려운 깊은 계곡이나 산악지역, 오지 등과 같은 고립된 장소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환자나 부상자를 진료 및 치료하기 위한 의료실이나 병원후송차량, 병원 등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이다.
종래의 환자 이송용 들것(10)은 도 1에서와 같이, 환자나 구조자(이하, '환자'로 함.)를 싣기 위한 들부(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들부(11)의 외측에는 들부(11)에 환자가 실어진 상태에서 환자 이송용 들것(10)을 들 수 있도록 상기 구조자가 손으로 잡는 지지프레임(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들부(11)의 상부에는 들부(11)에 실어진 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끈(1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들부(11)는 환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인 천이나 그물, 매트리스 또는, 합성수지나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은 들부(11)의 각 면 즉, 들부(11)의 전, 후면 및 양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프레임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측부 지지프레임(12') 사이에 전, 후면 지지프레임(12'')이 직교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 후면 지지프레임(12'')의 양단부가 양측부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부 지지프레임(12')의 각 단부는 구조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들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양측부 지지프레임(12')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환자 이송용 들것(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조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프레임(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양측부 지지프레임(12')과 전, 후면 지지프레임(12'')은 중공의 원형봉이나 각형봉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환자 이송용 들것(10)은,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의 들부(11) 상부에 환자를 앉거나 눕힌 후 이송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끈(13)로 고정한 다음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의 전, 후방에 구조자 2인이 위치하거나 또는, 환자 이송용 들것(10)의 각 모서리 부분 즉, 지지프레임(12)의 양측부 지지프레임(12') 양단부에 구조자 4인이 위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구조자는 지지프레임(12)의 양측부 지지프레임(12') 각 단부 또는, 손잡이프레임(14)을 각각 잡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을 들어올려서 진료 및 치료하기 위한 해당장소 즉, 의료실이나 병원 및 병원후송차량, 병원 등으로 옮기거나 이송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환자 이송용 들것은,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의 들부 상부에 환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의 양측부 지지프레임 양단부를 구조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올린 후 이송하여야 함으로써,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의 자체 무게와 더불어 환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힘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구조자는 자리를 자주 교체하거나 구조자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등 환자를 이송하는 구조자가 매우 힘들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악이나 험한 지형에서는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을 수평상태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 이송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구조자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환자를 이송함에 따라 상기 환자 이송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제2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환자 이송시간이 오래 걸려 급박한 상황에서 인명구조가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환자 이송용 들것의 전, 후방에 구조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 걸이부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환자를 실은 상태에서 환자 이송용 들것의 각 어깨 걸이부재를 구조자의 어깨에 각각 걸쳐놓고 이송함에 따라 상기 구조자는 적은 힘으로도 환자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구조자는 보다 편안하면서 안정된 자세로 환자 이송용 들것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환자가 실어지는 들부와, 상기 들부의 전후면 및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환자 이송용 들것에 있어서, 상기 들부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측부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환자 이송용 들것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람의 어깨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굴곡 형성된 어깨 걸이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어깨 걸이부재는 환자 이송용 들것의 전방인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전방 어깨 걸이부재와,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의 후방인 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후방 어깨 걸이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는, 측부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사람의 어깨에 걸쳐지도록 굴곡부를 갖는 지지고정부와, 상기 지지고정부의 굴곡부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일정 쿠션을 갖는 쿠션부와,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 측인 상기 지지고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측부 지지프레임에 지지고정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전, 후면 지지프레임에 매어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에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어깨 걸이부재의 지지고정부 단부에는 렌턴이 고정 결합되고, 후방 어깨 걸이부재의 지지고정부 소정위치에는 렌턴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환자 이송용 들것의 전, 후방에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로 이루어진 어깨 걸이부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의 들부 상부에 환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환자 이송용 들것의 전, 후방에 구조자가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각 구조자의 어깨에 상기 어깨 걸이부재의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를 걸쳐 놓고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의 각 구조자는 적은 힘만으로도 환자를 실은 환자 이송용 들것을 힘들이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함은 물론 구조자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악이나 험한 지형에서도 환자 이송용 들것의 수평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환자 이송 시 환자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상기 환자 이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2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급박한 상황에서도 상기의 환자를 진료 및 치료할 수 있는 장소로 보다 빠른 시간에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어깨 걸이부재의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에는 렌턴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렌턴에서 발하는 빛을 보면서 구조자가 안전하게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환자 이송용 들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환자 이송용 들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환자 이송용 들것의 어깨 걸이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환자 이송용 들것에서 지지프레임에 어깨 걸이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 환자 이송용 들것에서 지지프레임에 어깨 걸이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환자 이송용 들것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환자 이송용 들것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로나 건물 등의 재난사고 현장 및 각종 운동 경기장 이외에 차량이나 헬기 등의 교통수단이 접근하기 어려운 깊은 계곡이나 산악지역, 오지 등과 같은 고립된 장소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환자(부상자)를 진료 및 치료하기 위한 의료실이나 병원후송차량, 병원 등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환자 이송용 들것(1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환자 이송용 들것(10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진료 및 치료를 요하는 환자를 싣기 위한 들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들부(110)는 환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인 천이나 그물, 매트리스 또는, 합성수지나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들부(110)의 외측부에는 상기 들부(110)에 환자가 실어진 상태에서 환자 이송용 들것(100)을 들 수 있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들부(110)의 전,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전, 후면 지지프레임(121,122))과, 상기 들부(110)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측부 지지프레임(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123) 사이에 전, 후면 지지프레임(121,122)이 직교되도록 각각 위치됨은 물론 상기 전, 후면 지지프레임(121,122)의 양단부는 측부 지지프레임(123)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123)의 각 단부는 들부(11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전,후면 지지프레임(121,122) 및 측부 지지프레임(123)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 또는, 양단부에 삽입홈을 갖는 봉 등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프레임(120)의 형상은 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전, 후방에 구비되는 즉, 상기 들부(110) 양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3) 양단부에는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을 들어올려 이송하기 위하여 사람의 어깨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기 사람의 어깨가 위치하는 부분이 굴곡 형성된 어깨 걸이부재(200)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어깨 걸이부재(200)는 도 2에서와 같이 환자 이송용 들것(2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각 측부 지지프레임(123)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와,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200)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각 측부 지지프레임(120)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어깨 걸이부재(200)의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는 도 3 내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123)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람의 어깨에 걸쳐지는 지지고정부(211,2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고정부(211,221)의 중앙부에는 지지고정부(211,221)가 사람의 어깨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굴곡부(211a,221a)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의 지지고정부(211,221) 형상이나 크기, 길이 및 굴곡된 정도 등을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전,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자에 따라 형상이나 크기, 길이 및 굴곡된 정도 등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는 전,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자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즉, 상기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의 지지고정부(211) 타단부 즉, 들부(110)의 반대 측에는 후술할 쿠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의 지지고정부(221) 타단부 즉, 들부(110)의 반대 측에는 후술할 쿠션부의 외측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약간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들부(110) 측인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의 지지고정부(211,221) 즉, 후술할 쿠션부를 중심으로 하여 지지고정부(211,221)의 일단부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의 지지고정부(221) 일단부 길이가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의 지지고정부(211)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의 지지고정부(211) 단부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길을 밝히기 위하여 빛을 발하는 전방 렌턴(400)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의 지지고정부(221) 소정위치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길을 밝힘은 물론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후방 렌턴(41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의 지지고정부(211)에는 전방 렌턴(400)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4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의 지지고정부(221) 또는, 후방 렌턴(410)의 측면에는 상기 후방 렌턴(410)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4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220)의 지지고정부(211,221) 일단부와 타단부의 길이 및 형상은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과 어깨 걸이부재(2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고정부(211,221)의 굴곡부(211a,221a) 소정위치에는 사람의 어깨에 걸쳐지는 지지고정부(211,221)에 의해 어깨가 아픈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쿠션을 갖는 쿠션부(212,2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쿠션부(212,222)는 지지고정부(211,221)를 감싸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123) 측인 상기 지지고정부(211,221)의 일단부에는 측부 지지프레임(123)에 지지고정부(211,221)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결합부(213,2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13,223)는 도 4a와 도 4b에서와 같이, 지지고정부(211,221)의 일단부에 결합편부(215,225)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편부(215,225)의 일면에는 측부 지지프레임(123)의 단부 내로 삽입 및 탈거되는 삽탈부(216,226)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삽탈부(216,226)의 측방인 결합편부(215,225) 일면에는 전, 후면 프레임(121,122)의 외면이 끼워지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 후면 프레임(121,122)의 외면이 끼워지는 걸림홈(217a,227a)을 갖는 걸림부(217,22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부(215,225)는 지지고정부(211,221)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거나 직교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삽탈부(216,226)는 측부 지지프레임(123)에 어깨 걸이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의 결합부(213,223)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전, 후면 지지프레임(121,122)에 매어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123)에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를 고정하는 고정벨트(214,2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벨트(214,224)는 상기 고정벨트(214,224)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버클(214a,224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15,225)에 결합되는 측의 고정벨트(214,224) 일면에는 암 벨크로(214b,224b)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215,225)의 반대측인 고정벨트(214,224)의 타면 단부면에는 상기 암 벨크로(214b,224b)에 붙었다 떼어졌다 하는 수 벨크로(214c,214c)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암 벨크로(214b,224b)와 상기 수 벨크로(214c,214c)는 상기와 반대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어깨 걸이부재(200)의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 구성 중 지지고정부(211,221)의 중앙부에 형성된 굴곡부(211a,221a)에 결합된 쿠션부(212,222)의 외면에는 상기 쿠션부(212,221)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어깨 걸이부재(200)의 미관을 미려하도록 상기 쿠션부(212,222)의 외면을 감싸는 커버(300)가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커버(300)는 상기 쿠션부(212,22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외면부(301)와, 상기 커버외면부(301)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커버 외면부(301)의 양측부를 각각 조였다 풀었다 하는 조임줄(302)과, 상기 각 조임줄(302)에 결합되어 조임줄(302)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조임부(30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고정부(211,221)에서 상기 쿠션부(212,2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고정부(211,221)의 외면에는 지지고정부(211,221)의 외면을 보호함은 물론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고정부(211,221)의 외면을 감싸는 천이나 고무 및 후렉시블한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인 보호부재(21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지지프레임(120) 중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123) 양단부에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로 이루어진 어깨 걸이부재(200)가 각각 결합된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들부(110)에 환자를 실는다.
그리고 나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전, 후방에 구조자를 각각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각 구조자의 어깨에 어깨 걸이부재(200) 즉,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조자의 어깨에는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가 걸쳐지도록 하고,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자의 어깨에는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가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환자 이송용 들것(100)의 전,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자의 어깨에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210,220)를 각각 걸쳐 놓은 다음 상기의 구조자가 일어서면서 환자 이송용 들것(100)을 들어올린 다음 상기 구조자는 환자의 진료 및 치료 가능한 장소로 환자를 이송한다.
한편,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환자를 이송할 때에는 상기 전방 어깨 걸이부재(210)의 지지고정부(211) 단부에 고정 결합된 전방 렌턴(400)과 상기 후방 어깨 걸이부재(220)의 지지고정부(221) 소정위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렌턴(410)을 스위치(401,411)를 각각 조작하여 온(ON)시키게 되면 상기의 각 렌턴(400,410)에서는 빛이 발하게 되고, 상기 각 렌턴(400,410)에서 발하는 빛에 의해 구조자는 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환자를 완전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을 구조자가 어깨에 걸려놓고 환자를 이송시킴에 따라 상기 구조자는 적은 힘으로 환자 이송용 들것(100)을 들어올림은 물론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100)을 수평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상기 구조자가 편안하면서도 안정된 자세로 환자를 보다 빠른 시간에 안전하게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환자 이송용 들것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0: 환자 이송용 들것 110: 들부
120: 지지프레임 121: 전면 지지프레임
122: 후면 지지프레임 123: 측부 지지프레임
130: 고정끈 200: 어깨 걸이부재
210: 전방 어깨 걸이부재 220: 후방 어깨 걸이부재
211,221: 지지고정부 211a,221a: 굴곡부
212,222: 쿠션부 213,223: 결합부
214,224: 고정벨트 214a,224a: 버클
214b,224b: 암 벨크로 214c, 214c: 수 벨크로
215,225: 결합편부 216,226: 삽탈부
217,227: 걸림부 217a,227a: 걸림홈
300: 커버 301: 커버외면부
302: 조임줄 303: 조임부
400: 전방 렌턴 410: 후방 렌턴
401,411: 스위치

Claims (5)

  1. 환자가 실어지는 들부와, 상기 들부의 전면과 후면 및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 지지프레임과 후면 지지프레임 및 측부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측부 지지프레임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환자 이송용 들것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람의 어깨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굴곡 형성된 어깨 걸이부재가 구비된 환자 이송용 들것에 있어서,
    상기 어깨 걸이부재는 환자 이송용 들것의 전방인 지지프레임의 각 측부 지지프레임 일단부에 결합되는 전방 어깨 걸이부재와, 상기 환자 이송용 들것의 후방인 지지프레임의 각 측부 지지프레임 타단부에 결합되는 후방 어깨 걸이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는,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사람의 어깨에 걸쳐지도록 굴곡부를 갖는 지지고정부와,
    상기 지지고정부의 굴곡부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일정 쿠션을 갖는 쿠션부와,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 측인 상기 지지고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측부 지지프레임에 지지고정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전, 후면 지지프레임에 매어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에 전, 후방 어깨 걸이부재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어깨 걸이부재의 지지고정부 단부에는 렌턴이 고정 결합되고, 후방 어깨 걸이부재의 지지고정부 소정위치에는 렌턴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
  4. 제 1 항에 있어서,
    어깨 걸이부재의 쿠션부 외면에는 상기 쿠션부를 보호하도록 쿠션부의 외면을 감싸는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의 커버는, 쿠션부를 감싸도록 하는 커버외면부와, 상기 커버외면부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커버 외면부의 양측부를 각각 조였다 풀었다 하는 조임줄과, 상기 각 조임줄에 결합되어 조임줄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조임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
  5.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지지고정부의 일단부에 직교되도록 결합되는 결합편부와, 상기 결합편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측부 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 및 탈거되는 삽탈부와, 상기 삽탈부의 측방인 결합편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전, 후면 프레임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을 갖는 걸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들것.
KR2020110005952U 2011-06-30 2011-06-30 환자 이송용 들것 KR200468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52U KR200468836Y1 (ko) 2011-06-30 2011-06-30 환자 이송용 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52U KR200468836Y1 (ko) 2011-06-30 2011-06-30 환자 이송용 들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44U KR20130000444U (ko) 2013-01-18
KR200468836Y1 true KR200468836Y1 (ko) 2013-09-11

Family

ID=5139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52U KR200468836Y1 (ko) 2011-06-30 2011-06-30 환자 이송용 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29B1 (ko) * 2019-06-28 2022-0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기 운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66Y2 (ja) * 1991-11-11 1994-06-08 キャピ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担 架
JP2002345894A (ja) * 2001-05-28 2002-12-03 Itochu Corp 担 架
JP2004107049A (ja) * 2002-09-19 2004-04-08 Kenji Tanaka 荷物運搬具
KR20080000083U (ko) * 2007-12-31 2008-01-22 김무정 간이 들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66Y2 (ja) * 1991-11-11 1994-06-08 キャピ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担 架
JP2002345894A (ja) * 2001-05-28 2002-12-03 Itochu Corp 担 架
JP2004107049A (ja) * 2002-09-19 2004-04-08 Kenji Tanaka 荷物運搬具
KR20080000083U (ko) * 2007-12-31 2008-01-22 김무정 간이 들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44U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72B1 (ko) 구조 운반 장치
US7610641B2 (en) Rescue device
US9827152B1 (en) Rescue harness with protective drag sheet
US20090236380A1 (en) Infant carrier component for emergency evacuation sled
KR200468836Y1 (ko) 환자 이송용 들것
KR101635847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용 들것
US10961741B2 (en) Portable confinement apparatus
GB2083351A (en) Seat for invalid walker
JP2007082996A (ja) 車輪付き担架
US20040226095A1 (en) Sling for emergency transport of a person
WO2017128948A1 (zh) 一种适用运送不同卧姿患者的担架车
JP2009268661A (ja) 救助用バッグ
JP6529047B2 (ja) 雨除け付き担架
JP3091690U (ja) 肩掛け式担架
JP2000176037A (ja) 緊急用具収納箱
KR101023238B1 (ko) 운구용 결관 부재
CA2488288C (en) Rescue device
JP3218456U (ja) 安全バンドを備えた椅座位担架
JP3124647U (ja) 介助用具
KR102283042B1 (ko) 사다리 고정 안전 장치
JP2009101101A (ja) 平地傾斜地両用担架
JPH04189355A (ja) ガス充填式救命担架
CN219070997U (zh) 一种急诊护理用转运装置
US10758443B1 (en) Patient lifting apparatus
JP2011024860A (ja) 救助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