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739B1 - 운구용 결관 장치 - Google Patents

운구용 결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739B1
KR101712739B1 KR1020150119994A KR20150119994A KR101712739B1 KR 101712739 B1 KR101712739 B1 KR 101712739B1 KR 1020150119994 A KR1020150119994 A KR 1020150119994A KR 20150119994 A KR20150119994 A KR 20150119994A KR 101712739 B1 KR101712739 B1 KR 10171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ail
bar
bind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장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준 filed Critical 장영준
Priority to KR102015011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는 상기 관을 세로로 결관하는 2~4개의 결관바로 구성되며, 상기 결관바는 상기 관을 세로로 감싸며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관과의 일정 마찰력이 있어 운구 시 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결속띠와; 암수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체되며, 상기 결속띠의 양단에 암수가 각각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암수를 결합 후에도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암수를 해체하여 상기 관에서 상기 결속바를 풀기 쉽게 하는 결속래더락부와; 운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결관 시 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게 상기 결속띠의 일정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띠는 운구 시 파단되지 않도록 일정 인장응력을 가지는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띠부와; 상기 부직포띠부의 상기 관과 접촉되는 일면에 라미네이팅 또는 접착되어 상기 결속띠가 완전 결속 후 운구 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난슬립필름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띠부의 타면에는 운구 시 관의 품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 패턴의 장식문형이 인쇄된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르면 결관 및 해체가 간편하고 편리하여 결관시간과 결관해체시간이 빠르고 힘이 들지 않고, 난슬립필림이 코팅되어 결속끈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맞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운구 시 손이 아프지 않고 힘을 쉽게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운구용 결관 장치{Fastening Apparatus for Carrying Coffin}
본 발명은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례식 중 운구에 사용되는 관을 쉽게 결관할 수 있고 쉽게 풀 수 있으며, 관의 운구도 쉽고 손이 아프지도 않게 운구할 수 있는 운구용 결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구는 장례 과정중 시신을 장지로 옮기기 위한 절차로서 6~8인이 관의 양측에 서서 들어올린 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은 운구하는 과정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으로 잡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양쪽면에 끈으로 결속된다.
이와 같이 운구를 위해 사용되던 종래 끈은 긴 천을 말아서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끈을 사용하여 관을 결속 시 매듭을 이용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관을 결속하는 방법이 어려워 일반인이 간편하게 결속하기 어렵고, 결속된 끈을 잡아서 관을 들어올릴 경우 손의 파지가 불편하여 장시간 운구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더구나, 관을 결속한 끈의 손잡이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운구하는 사람의 신장 차에 따라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게 되기도 한다.
즉, 기존의 결관장치는 관을 결속하는데 있어서 복작하고, 많은 시간과 힘이 들며, 또한 따로 손잡이가 없거나 있어도 손이 불편하여 관을 운구하는데 힘들 들고, 또한 단단하게 묶어지지 않아 끊이 느슨한 현상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935549로 게시된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는 가로 결관끈과 세로 결관끈으로 구성되며,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가로 결속끈; 상기 가로 결속끈의 끝단을 서로 고정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결속편; 상기 가로 결속끈을 끼울 수 있도록 좌우측면에 형성된 결합구와 상하부에 세로 결속끈을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상하부결속편과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이 겹쳐지는 부분에 구성한 손잡이로 이루어진 결속끈고정부; 상기 상하부결속편에 연결되는 세로결속끈;으로 구성하여 관의 좌우측면에 배열하여 가로결속끈과 세로결속끈이 십자형으로 결속끈 고정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세로결속끈만 있고 가로결속끈은 없어 상이하며, 결속끈고정부도 본 발명의 손잡이부와 상이하고, 결속끈을 끝까지 당기기 힘들며 결속끈을 풀 때도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044247로 게시된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는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일정길이의 끈; 상기 끈의 일단은 바느질로 꿰매어 고정하고, 타단은 끼워 조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끈을 당겨서 빠지지 않도록 결속된 끈조임부; 상기 끈을 끼울 수 있도록 측면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경첩을 형성하고, 끈이 삽입된 후에 열리지 않도록 고정판과 회전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판은 상측 또는 하측에 손잡이가 결합 되고,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열리고 닫히도록 걸림홈에 경첩으로 결합되고, 내면에는 상기 끈을 물어 고정하기 위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은 걸림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여 고정할 수 있도록 나비너트가 체결된 T볼트로 구성되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공개특허 10-2010-0005166로 게시된 운구용 결관 부재는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일정길이의 끈; 상기 끈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을 끼워 조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끼움 구멍과 스톱돌기가 형성된 결속 편; 및 상기 끈으로부터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축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35549(등록일 : 2009년 12월 29일)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4247(등록일 : 2011년 06월 20일)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5166(공개일 : 2010년 01월 14일) 운구용 결관 부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결속버클이 있어 결관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마지막 마무리로 쉽게 팽팽하게 당길 수 있고, 운구할 때 편하게 운구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있는 운구용 결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결관 장치는 장례식 중 운구를 위해 관을 세로로 감아 결속하는 것으로, 상기 관을 세로로 결관하는 2~4개의 결관바로 구성되며, 상기 결관바는 상기 관을 세로로 감싸며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관과의 일정 마찰력이 있어 운구 시 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결속띠와; 암수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체되며, 상기 결속띠의 양단에 암수가 각각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암수를 결합 후에도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암수를 해체하여 상기 관에서 상기 결관바를 풀기 쉽게 하는 결속래더락부와; 운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결관 시 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게 상기 결속띠의 일정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띠는 운구 시 파단되지 않도록 일정 인장응력을 가지는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띠부와; 상기 부직포띠부의 상기 관과 접촉되는 일면에 라미네이팅 또는 접착되어 상기 결속띠가 완전 결속 후 운구 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난슬립필름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띠부의 타면에는 운구 시 관의 품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 패턴의 장식문형이 인쇄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운구자의 손으로 직접 잡으며, 손바닥이 아프지 않도록 쿠션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가 반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의 양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손잡이의 양단을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숨겨놓는 손잡이봉과; 상기 손잡이봉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결속띠에 박음질로 결합되며, 상기 결속띠와 동일한 폭, 재질 및 장식문형이 인쇄된 손잡이패드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봉은 상기 손잡이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며, 중앙부에 상기 손잡이의 양단을 빼내어 결합시킨 후 다시 내부로 넣을 수 있게 하는 모서리가 둥근 형상인 사각형홀이 형성된 손잡이파이프와; 반구 형상의 노출캡부와, 상기 노출캡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파이프에 삽입되는 원통부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파이프의 양단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파이프와 단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패드가 상기 손잡이파이프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2개의 손잡이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출캡부와 원통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캡홀과 중공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봉의 양단에서 반원 형태을 이룰 수 있게 플랙시블하며 일정 길이를 가지고, 운구 시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손이 아프지 않게 일정 밀도와 탄성 및 일정 직경을 가진 둥근폼바와; 상기 둥근폼바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둥근폼바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이고, 양단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는 상기 손잡이봉의 내부에 숨겨지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마찰력을 주고 상기 둥근폼바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부피를 줄일 수 있게, 직물로 짠 둥근스트링면끈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래더락부는 상기 결속띠의 일단이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는 메일래더락(Male Ladder-Lock)과; 상기 결속띠의 타단에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의 타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상기 메일래더락이 원터치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정 각도로 힘을 가할 때 상기 메일래더락이 원터치로 해체 가능한 피메일래더락(Female Ladder-Lock)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래더락과 피메일래더락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결속띠의 양단을 당겨 상기 결관바가 상기 관을 완전히 결관하고 운구 후에 상기 결관바를 해체 시에는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상기 메일래더락과 피메일래더락를 원터치로 해체되는 구조이다.
상기 메일래더락는 ㄷ 형상의 메일락본체와; 상기 메일락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피메일래더락과 원터치로 결합되는 원형바 형상의 피메일락연결바와; 상기 메일락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띠를 아래에서 삽입하여 위로 올려 다시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상기 결속띠의 일단을 당기거나 풀 수 있게 하게 하는 메일락띠끼움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락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메일래더락이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메일락띠끼움바와 같이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를 눌러주는 메일락톱니부가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래더락은 ㄷ 형상의 피메일락본체와; 상기 피메일락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락연결바가 원터치로 내부로 끼워져 상기 메일래더락과 피메일래더락을 결합시키는 연결바끼움구와; 상기 피메일락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띠를 아래에서 삽입하여 위로 올려 다시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상기 결속띠의 일단을 당기거나 풀 수 있게 하게 하는 피메일락띠끼움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메일락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피메일래더락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와 같이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를 눌러주는 피메일락톱니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일락띠끼움바는 상기 메일락톱니부와 같이 상기 메일래더락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를 눌러줄 수 있게 단면이 역직각삼각형이며,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는 상기 피메일락톱니부와 같이 상기 피메일래더락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를 눌러줄 수 있게 단면이 역직각삼각형인 구조이다.
상술한 결관 장치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르면 결관 및 해체가 간편하고 편리하여 결관시간과 결관해체시간이 빠르고 힘이 들지 않고, 난슬립필림이 코팅되어 결속끈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맞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운구 시 손이 아프지 않고 힘을 쉽게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를 관에 설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관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띠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래더락부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메일래더락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메일래더락 개락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피메일래더락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피메일래더락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띠와 결속래더락부 결합 제1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띠와 결속래더락부 결합 제2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부 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 결합 및 분해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봉 사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운구용 결관 장치"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구용 결관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를 관에 설치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관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띠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래더락부 상면 및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메일래더락 상면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메일래더락 개락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피메일래더락 상면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피메일래더락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띠와 결속래더락부 결합 제1실시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결속띠와 결속래더락부 결합 제2실시예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부 분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 결합 및 분해 사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에 따른 손잡이봉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장치(A)는 장례식 중 운구를 위해 관(B)을 세로로 감아 결속하는 장치로서, 상기 관(B)을 세로로 결관하는 2~4개의 결관바(A1)로 구성되나, 일반적으로 6명이 운구하므로 상기 결관바(A1)가 3개 구성된다.
상기 결관바(A1)는 상기 관(B)을 세로로 감싸며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관(B)과의 일정 마찰력이 있어 운구 시 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결속띠(1)와; 암수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체되며, 상기 결속띠(1)의 양단에 암수가 각각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암수를 결합 후에도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암수를 해체하여 상기 관에서 상기 결관바(A1)를 풀기 쉽게 하는 결속래더락부(2)와; 운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결관 시 상기 관(B)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게 상기 결속띠(1)의 일정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손잡이부(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는 결관 및 해체가 간편하고 편리하여 결관시간과 결관해체시간이 빠르고 힘이 들지 않고, 상기 결관띠(1)에 난슬립필림부(12)가 코팅되어 상기 결속끈(1)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맞는 상기 손잡이부(3)가 형성되어 운구 시 손이 아프지 않고 힘을 쉽게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결관바(A1)는 상기 관(B)을 세로로 감싸며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관(B)과의 일정 마찰력이 있어 운구 시 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결속띠(1)와; 암수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체되며, 상기 결속띠(1)의 양단에 암수가 각각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암수를 결합 후에도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암수를 해체하여 상기 관에서 상기 결속바(A1)를 풀기 쉽게 하는 결속래더락부(2)와; 운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결관 시 상기 관(B)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게 상기 결속띠(1)의 일정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손잡이부(3)로 구성된다.
상기 관(B)에 상기 결관바(A1)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결관바(A1)의 결관띠(1)이 느슨한 상태에서 상기 결관바(A1)를 관에 끼운 후, 상기 손잡이부(3)가 상기 관(B)의 양사이드 같은 높이에 있게 하고 꼬이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하부 중앙이 놓고, 상기 결속래더락부(2)의 암수를 원터치로 결합한 후, 상기 결속띠(1)의 우측단부(13)과 좌측단부(14)를 양쪽에서 당겨 타이트하게 만들면 설치가 완료되며, 도 10과 같이 상기 우측단부(13)과 좌측단부(14)를 상기 결속래더락부(2)의 암수에 끼워넣어 장식문형(111)이 위로 보이게 하여 미려하게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관(B)에서 상기 결관바(A1)를 해체하는 방법은 상기 우측단부(13)과 좌측단부(14)를 위로 몇번 들어 올려 상기 결속띠(A1)를 느슨하게 한 후 상기 결속래더락부(2)의 암수를 원터치로 분리한 후 상기 관(B)의 단부를 들어 상기 결관바(A1)를 빼내면 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결속띠(A1)는 상기 관(B)을 세로로 감싸며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관(B)과의 일정 마찰력이 있어 운구 시 관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며, 운구 시 파단되지 않도록 일정 인장응력을 가지는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띠부(11)와; 상기 부직포띠부(11)의 상기 관(B)과 접촉되는 일면에 라미네이팅 또는 접착되어 상기 결속띠(1)가 완전 결속 후 운구 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난슬립필름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부직포띠부(11)의 타면에는 운구 시 상기 관(B)의 품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 패턴을 가지고 너무 튀지 않으면서도 미려한 장식문형(111)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띠부(11)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화학적 또는 기계적 방법(접착, 융착, 포락 등)으로 박층상 섬유 집합체(웨브)의 섬유끼리를 결합시킨 포상(布狀)의 것으로, 부언하면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섬유로는 나일론이나 합성섬유가 사용된다.
상기 난슬립필름부(12)는 너무 딱딱하면 미끄러지고 너무 연질이면 강도가 약하므로 고밀도과 저밀도의 중간인 일정 밀도와 강도를 가진 PE(Polyetyl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결속래더락부(2)는 암수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체되며, 상기 결속띠(1)의 양단에 암수가 각각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암수를 결합 후에도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암수를 해체하여 상기 관에서 상기 결관바(A1)를 풀기 쉽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속래더락부(2)는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이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는 메일래더락(Male Ladder-Lock)(21)과; 상기 결속띠(1)의 타단에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타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원터치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정 각도로 힘을 가할 때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원터치로 해체되는 피메일래더락(Female Ladder-Lock)(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결속띠(1)의 양단을 당겨 상기 결관바(A1)가 상기 관(B)을 완전히 결관하고 운구 후에 상기 결관바(A1)를 해체 시에는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를 원터치로 해체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메일래더락(21)은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이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게 한다.
상기 메일래더락(21)은 ㄷ 형상의 메일락본체(211)와; 상기 메일락본체(211)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피메일래더락(22)과 원터치로 결합되는 원형바 형상의 피메일락연결바(212)와; 상기 메일락본체(2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띠(1)를 아래에서 삽입하여 위로 올려 다시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기거나 풀 수 있게 하게 하는 메일락띠끼움바(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일락본체(211)의 하부에는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메일락띠끼움바(213)와 같이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주는 메일락톱니부(2111)가 형성된다.
상기 메일락띠끼움바(213)는 도 6의 C-C부분 단면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메일락톱니부(2111)와 같이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줄 수 있게 단면이 역직각삼각형 구조이다.
상기 메일락띠끼움바(213)의 상부의 단부는 상기 결속띠(1)와 마찰을 적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곡면부(2131)를 가진다.
상기 메일락띠끼움바(213)의 하부의 단부는 상기 결속띠(1)와 마찰을 크게 하기 위하여 뽀족한 뽀족부(2132)가 형성된다.
도 7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은 상기 결속띠(1)의 타단에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타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원터치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정 각도로 힘을 가할 때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원터치로 해체된다.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은 ㄷ 형상의 피메일락본체(221)와; 상기 피메일락본체(221)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락연결바(212)가 원터치로 내부로 끼워져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을 결합시키는 연결바끼움구(222)와; 상기 피메일락본체(2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띠(1)를 아래에서 삽입하여 위로 올려 다시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기거나 풀 수 있게 하게 하는 피메일락띠끼움바(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메일락본체(221)의 하부에는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이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223)와 같이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주는 피메일락톱니부(2211)가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223)는 도 8의 D-D부분 단면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피메일락톱니부(2211)와 같이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줄 수 있게 단면이 역직각삼각형 구조이다.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223)의 상부의 단부는 상기 결속띠(1)와 마찰을 적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곡면부(2231)를 가진다.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223)의 하부의 단부는 상기 결속띠(1)와 마찰을 크게 하기 위하여 뽀족한 뽀족부(2232)가 형성된다.
도 9와 도 10는 상기 결속띠(1)과 결속래더락부(2)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며 상기 결속띠(1)를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의 아래에서 위로 끼운 후, 위에서 다시 아래로 끼우고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을 원터치로 체결하고,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당기면 타이트하게 조여진다.
도 10은 상기 결속띠(1)를 타이트하게 조인 후 우측단부(13)와 좌측단부(14)를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에 다시 끼워 상기 장식문형(111)이 보이게 하여 마감을 좋게 하여 고급스럽게 보이게 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손잡이부(3)는 운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결관 시 상기 관(B)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게 상기 결속띠(1)의 일정 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관(B)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므로 2개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는 운구자의 손으로 직접 잡으며, 손바닥이 아프지 않도록 쿠션이 있는 손잡이(31)와; 상기 손잡이(31)가 반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을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시켜 숨겨놓는 손잡이봉(32)과; 상기 손잡이봉(32)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결속띠(1)에 박음질로 결합되며, 상기 결속띠(1)와 동일한 폭, 재질 및 장식문형이 인쇄된 손잡이패드(3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1)의 단부는 서로 결합시켜 끈양단결합부(3121)를 형성시키며, 상기 끈양단결합부(3121)는 상기 손잡이봉(32)의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손잡이패드(33)의 일면에는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장식문형이 인쇄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손잡이(31)는 운구자의 손으로 직접 잡으며, 손바닥이 아프지 않도록 쿠션이 있으며, 상기 손잡이봉(32)의 양단에서 반원 형태을 이룰 수 있게 플랙시블하며 일정 길이를 가지고, 운구 시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손이 아프지 않게 일정 밀도와 탄성 및 일정 직경을 가진 둥근폼바(311)와; 상기 둥근폼바(31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둥근폼바(311)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이고, 양단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는 상기 손잡이봉(32)의 내부에 숨겨지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마찰력을 주고 상기 둥근폼바(311)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부피를 줄일 수 있게, 직물로 짠 둥근스트링면끈(3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둥근폼바(311)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발포한 것이 바람직하며, 손으로 잡고 하중이 걸려도 파괴되지 않고 손이 아프지 않게 일정 밀도와 탄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둥근스트링면끈(312)의 단부는 서로 결합시켜 상기 끈양단결합부(3121)를 형성시키며, 상기 손잡이봉(32)의 내부에 수납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손잡이봉(32)은 상기 손잡이(31)가 반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을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시키며, 일정 강도를 가진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봉(32)은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에 중공(3211)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을 빼내어 결합시킨 후 다시 내부로 넣을 수 있게 하는 모서리가 둥근 형상인 사각형홀(3212)이 형성된 손잡이파이프(321)와; 반구 형상의 노출캡부(3221)와, 상기 노출캡부(32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파이프(321)에 삽입되는 원통부(3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파이프(321)의 양단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파이프(321)와 단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패드(33)가 상기 손잡이파이프(321)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2개의 손잡이캡(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출캡부(3221)와 원통부(3222)에는 상기 손잡이(31)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캡홀(32211)과 중공(32221)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장치는 결관 및 해체가 간편하고 편리하여 결관시간과 결관해체시간이 빠르고 힘이 들지 않고, 상기 결관띠(1)에 난슬립필림부(12)가 코팅되어 상기 결속끈(1)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맞는 상기 손잡이부(3)가 형성되어 운구 시 손이 아프지 않고 힘을 쉽게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 결관 장치 A1 : 결관바
B : 관
1 : 결속띠
11 : 부직포띠부 111 : 장식문형
12 : 난슬립필름부 13 : 우측단부
14 : 좌측단부
2 : 결속래더락부
21 : 메일래더락 211 : 메일락본체
2111 : 메일락톱니부 212 : 피메일락연결바
213 : 메일락띠끼움바 2131 : 곡면부
2132 : 뽀족부 22 : 피메일래더락
221 : 피메일락본체 2211 : 피메일락톱니부
222 : 연결바끼움구 223 : 피메일락띠끼움바
2231 : 곡면부 2232 : 뽀족부
3 : 손잡이부
31 : 손잡이 311 : 둥근폼바
312 : 둥근스트링면끈 3121 : 끈양단결합부
32 : 손잡이봉
321 : 손잡이파이프 3211 : 중공
3212 : 사각형홀 322 : 손잡이캡
3221 : 노출캡부 32211 : 캡홀
3222 : 원통부 32221 : 중공
33 : 손잡이패드

Claims (5)

  1. 장례식 중 운구를 위해 관(B)을 세로로 감아 결속하는 결관 장치(A)에 있어서,
    상기 결관 장치(A)는 상기 관(B)을 세로로 결관하는 2~4개의 결관바(A1)로 구성되며,
    상기 결관바(A1)는 상기 관(B)을 세로로 감싸며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관(B)과의 일정 마찰력이 있어 운구 시 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결속띠(1)와;
    암수로 구성되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체되며, 상기 결속띠(1)의 양단에 암수가 각각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암수를 결합 후에도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암수를 해체하여 상기 관에서 상기 결관바(A1)를 풀기 쉽게 하는 결속래더락부(2)와;
    결관 시 상기 관(B)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게 상기 결속띠(1)의 일정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손잡이부(3)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3)는 운구자의 손으로 직접 잡으며, 손바닥이 아프지 않도록 쿠션이 있는 손잡이(31)와;
    상기 손잡이(31)가 반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을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해 놓는 손잡이봉(32)과;
    상기 손잡이봉(32)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결속띠(1)에 박음질로 결합되며, 상기 결속띠(1)와 동일한 폭, 재질 및 장식문형이 인쇄된 손잡이패드(33)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봉(32)은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에 중공(3211)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손잡이(31)의 양단을 빼내어 결합시킨 후 다시 내부로 넣을 수 있게 하는 모서리가 둥근 형상인 사각형홀(3212)이 형성된 손잡이파이프(321)와;
    반구 형상의 노출캡부(3221)와, 상기 노출캡부(32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파이프(321)에 삽입되는 원통부(3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파이프(321)의 양단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파이프(321)와 단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패드(33)가 상기 손잡이파이프(321)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2개의 손잡이캡(3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출캡부(3221)와 원통부(3222)에는 상기 손잡이(31)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캡홀(32211)과 중공(322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는 상기 손잡이봉(32)의 양단에서 반원 형태을 이룰 수 있게 플랙시블하며 일정 길이를 가지고, 운구 시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손이 아프지 않게 일정 밀도와 탄성 및 일정 직경을 가진 둥근폼바(311)와;
    상기 둥근폼바(31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둥근폼바(311)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이고, 양단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는 상기 손잡이봉(32)의 내부에 숨겨지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마찰력을 주고 상기 둥근폼바(311)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부피를 줄일 수 있게, 직물로 짠 둥근스트링면끈(3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띠(1)는 운구 시 파단되지 않도록 일정 인장응력을 가지는 부직포 재질의 부직포띠부(11)와;
    상기 부직포띠부(11)의 상기 관(B)과 접촉되는 일면에 라미네이팅 또는 접착되어 상기 결속띠(1)가 완전 결속 후 운구 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난슬립필름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띠부(11)의 타면에는 운구 시 상기 관(B)의 품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 패턴의 장식문형(111)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래더락부(2)는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이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는 메일래더락(Male Ladder-Lock)(21)과;
    상기 결속띠(1)의 타단에 결합되어 결속 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띠(1)의 타단을 당길 수 있고 당긴 후에는 풀리지 않으며,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원터치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정 각도로 힘을 가할 때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원터치로 해체되는 피메일래더락(Female Ladder-Lock)(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결속띠(1)의 양단을 당겨 상기 결관바(A1)가 상기 관(B)을 완전히 결관하고 운구 후에 상기 결관바(A1)를 해체 시에는 일정 힘을 가하여 서로 상하로 움직여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를 원터치로 해체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장치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래더락(21)은 ㄷ 형상의 메일락본체(211)와;
    상기 메일락본체(211)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피메일래더락(22)과 원터치로 결합되는 원형바 형상의 피메일락연결바(212)와;
    상기 메일락본체(2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띠(1)를 아래에서 삽입하여 위로 올려 다시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기거나 풀 수 있게 하게 하는 메일락띠끼움바(2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락본체(211)의 하부에는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메일락띠끼움바(213)와 같이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주는 메일락톱니부(2111)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은 ㄷ 형상의 피메일락본체(221)와;
    상기 피메일락본체(221)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락연결바(212)가 원터치로 내부로 끼워져 상기 메일래더락(21)과 피메일래더락(22)을 결합시키는 연결바끼움구(222)와;
    상기 피메일락본체(2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띠(1)를 아래에서 삽입하여 위로 올려 다시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상기 결속띠(1)의 일단을 당기거나 풀 수 있게 하게 하는 피메일락띠끼움바(2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메일락본체(221)의 하부에는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이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223)와 같이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주는 피메일락톱니부(2211)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락띠끼움바(213)는 상기 메일락톱니부(2111)와 같이 상기 메일래더락(21)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줄 수 있게 단면이 역직각삼각형 구조이며,
    상기 피메일락띠끼움바(223)는 상기 피메일락톱니부(2211)와 같이 상기 피메일래더락(22)이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결속띠(1)의 결속 상태가 풀리지 않게 상기 결속띠(1)를 눌러줄 수 있게 단면이 역직각삼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 장치
KR1020150119994A 2015-08-26 2015-08-26 운구용 결관 장치 KR10171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994A KR101712739B1 (ko) 2015-08-26 2015-08-26 운구용 결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994A KR101712739B1 (ko) 2015-08-26 2015-08-26 운구용 결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39B1 true KR101712739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994A KR101712739B1 (ko) 2015-08-26 2015-08-26 운구용 결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7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549B1 (ko) 2008-12-18 2010-01-07 김종원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KR20100005166A (ko) 2008-07-05 2010-01-14 김종원 운구용 결관 부재
KR20100019672A (ko) * 2008-08-11 2010-02-19 김종원 운구용 결관 부재
KR20110008746A (ko) * 2009-07-21 2011-01-27 김종원 체결이 편리한 운구용 결관 부재
KR101044247B1 (ko) 2008-07-09 2011-06-28 김종원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166A (ko) 2008-07-05 2010-01-14 김종원 운구용 결관 부재
KR101044247B1 (ko) 2008-07-09 2011-06-28 김종원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
KR20100019672A (ko) * 2008-08-11 2010-02-19 김종원 운구용 결관 부재
KR100935549B1 (ko) 2008-12-18 2010-01-07 김종원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KR20110008746A (ko) * 2009-07-21 2011-01-27 김종원 체결이 편리한 운구용 결관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278B2 (en) Method of storing a sleeping bag with a clinching mechanism
US8348970B2 (en) Military emergency tourniquet
JP5963279B2 (ja) 2者間で用いるストラップリフター
US9282829B2 (en) Bed-mountable exercise apparatus
US20040065666A1 (en) Garbage can lid securing system
US5435273A (en) Animal leash
US8496149B1 (en) Hunting blind carrying assembly
KR101712739B1 (ko) 운구용 결관 장치
US20100293754A1 (en) Self-affixing handle
US5394579A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a flexible covering
CN113491857A (zh) 具有竖向支撑的平行织带的摆荡和攀爬装置
KR100935549B1 (ko)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US20140245572A1 (en) Adjustable securing device and buckle
US5735234A (en) Extensible tether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57056A1 (en) Object lifting device that converts opposing angled lifting forces to girthing forces
US20110069909A1 (en) Dry Bag Harness System
JP3001712U (ja) 動物の引き紐とこれに用いるループ止め具
KR101023238B1 (ko) 운구용 결관 부재
KR101044247B1 (ko)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
JP3713269B2 (ja) 消防用ホース結束具
CN205456530U (zh) 用于携带及收纳瑜伽运动休闲垫的新型锁扣带
RU2804042C1 (ru) Способ отстегивания застежки фастекс
JP3101684U (ja) 帯結び用帯板
KR102554139B1 (ko)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CN210131320U (zh) 一种多功能矫正带及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