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49B1 -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549B1
KR100935549B1 KR1020090020287A KR20090020287A KR100935549B1 KR 100935549 B1 KR100935549 B1 KR 100935549B1 KR 1020090020287 A KR1020090020287 A KR 1020090020287A KR 20090020287 A KR20090020287 A KR 20090020287A KR 100935549 B1 KR100935549 B1 KR 10093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handle
strap
strap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례식중 운구에 사용되는 관을 안전하게 결속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들어올여 운구할 수 있는 운구용 결관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가로 결속끈; 상기 가로 결속끈의 끝단을 서로 고정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결속편;
상기 가로 결속끈을 끼울 수 있도록 좌우측면에 형성된 결합구와 상하부에 세로 결속끈을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상하부결속편과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이 겹쳐지는 부분에 구성한 손잡이로 이루어진 결속끈 고정부;
상기 상하부결속편에 연결되는 세로결속끈;
으로 구성하여 관의 좌우측면에 배열하여 가로결속끈과 세로결속끈이 십자형으로 결속끈 고정부에 고정하도록하여 편리하게 운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며인 것이다.
운구, 결관장치, 편리성, 안전성

Description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Fastening apparatus for carrying coffin}
본 발명은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례식중 운구에 사용되는 관을 안전하게 결속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들어올려 이동이 편리한 운구용 결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구는 장례 과정중 시신을 장지로 옮기기 위한 절차로서 6~8인이 관의 양측에 서서 들어올린 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은 운구하는 과정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으로 잡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양쪽면에 끈으로 결속된다.
이와 같이 운구를 위해 사용되던 종래 끈은 긴 천을 말아서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끈을 사용하여 관을 결속 시 매듭을 이용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관을 결속하는 방법이 어려워 일반인이 간편하게 결 속하기 어렵고, 결속된 끈을 잡아서 관을 들어올릴 경우 손의 파지가 불편하여 장시간 운구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더구나, 관을 결속한 끈의 손잡이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운구하는 사람의 신장 차에 따라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게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운구하기 위해 관을 결속하는 방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속된 끈을 잡고 이동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운구한 결속끈을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의 위치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는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가로결속끈과, 상기 가로결속끈에 끈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을 끼워 조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속편과, 상기 가로결속끈에 끼워지면 끼워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결합구와 상/하부에 세로결속끈을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상/하부결속편과 연결끈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한 결속고정수단부;
상기 상/하부결속편에 연결되는 세로결속끈;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운구용 결관 부재에 의하면 끈과 결속 편을 이용하여 관을 간편하 게 결속 한 후, 손잡이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결관할 수 있으며, 운구시 인원에 따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장례문화 발전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속끈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시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장치의 손잡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결속끈고정부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은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관에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는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가로 결속끈; 상기 가로 결속끈의 끝단을 서로 고정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결속편과, 상기 가로 결속끈을 끼울 수 있도록 좌우측면에 형성된 결합구와 상하부에 세로 결속끈을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상하부결속편과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이 겹쳐지는 부분에 손잡이로 이루어진 결속끈 고정부와, 상기 상하부결속편에 연결되는 세로 결속끈으로 구성하여 관의 좌우측면에 배열하여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이 십자형으로 결속끈 고정부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는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결속끈으로 가로 결속끈(210)과 세로 결속끈(220)을 구성되어 가로면과 세로면을 고정하였다.
상기 결속끈의 상부면에는 근조글자, 십자가 마크, 절 마크 등을 인쇄하여 결속끈의 역할뿐만 안니라 장례식장에 맞게 디자인된 마크를 인쇄하여 엄숙하고 애도할 수 있는 결속끈으로 이미지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결속끈(210)은 관(400)을 가로방향으로 감는 끈으로서 두 개의 끈으로 나누어 결속편(310)으로 고정하거나 한 개의 결속끈으로 관 전체를 감은 후에 결속편으로 끼워서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결속편(310)은 착탈이 편리한 결합구조로 결속끈의 고정구와 결합돌기(130)가 형성된 결착수부(150)와, 결속끈의 고정구와 결착구(140)가 형성된 결착암부(160)를 구성하여 서로 끼워서 고정하도록 하였다.
결착수부(150)는 결속끈을 끼울 수 있도록 고정구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탄성력이 있는 결합돌기(130)를 형성하였다. 가로 결속끈(210)을 고정구에 장착시 결속끈을 엇갈려 끼워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즉 가로 결속끈의 한쪽 끝단은 결착수부(150)의 고정구에 끼워서 고정되고, 가로 결속끈의 다른쪽 끝단은 결착암부(160)의 고정구에 끼워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는 끈을 엇갈리게 끼워서 타이트 하게 당겨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착암부(160)는 측면에 체결구(140)와 전면에는 삽입구(230)가 형성되어 결착수부와 결착암부가 서로 끼워져 체결된다. 결착암부(160)의 후방에는 가로 결속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가 형성되어 결속끈을 끼워서 결합하였다. 결속끈을 당겨서 타이트하게 걸 수 있도록 하였다.(고정구는 결속끈이 끼워져 부호를 미도시함)
결속끈 고정부(300)는 가로 결속끈(210)과 세로 결속끈(220)의 겹치는 부분에 십자형 결합구조를 갖는 결속끈 고정부를 구성하였다.
상기 결속끈 고정부(300)는 가로 결속끈을 결합구(170)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락부라켓의 구성이 가능하다.
손잡이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손잡이를 고정하는 끈이 빠지지 않도록 동여맨 끈뭉치(180)의 안착홈(120)을 구성하고, 상기 끈뭉치에 연결된 끈에는 손잡이(100)가 결합 구성된다. 결속끈 고정부의 상하부면에는 세로 결속끈(220)을 고정하도록 상하부결속편(190,200)이 구성되고, 상기 가로 결속끈(210)과 세로 결속끈(220)이 서로 십자형태로 고정하도록 결속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 고정부의 십자형태의 중앙에는 손잡이를 구성하여 관(400)의 무게를 안전하게 고정 및 운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결속끈 고정부(300)는 좌우측방향에는 가로 결속끈(210)을 끼워서 결합 하고, 상부와 하부의 방향에는 세로 결속끈을 결속편에 각각 고정하여 결합하였다.
결속끈 고정부의 결합구(170)에 끼워진 가로 결속끈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가로 결속끈의 락부라켓을 별도로 설치하거나 결속 고정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이 가능하다.(이동을 방지하도록 락부라켓을 설치함 미도시됨)
상기와 같이 가로 결속끈은 관의 가로방향으로 감은 상태에서 끝부분을 체결하도록 결속편(230)으로 구성하여 결합하도록 하였다.
세로 결속끈은 관의 세로면을 감은 상태로 3~5개 배열되어 결속끈 고정부의 상부결속편과 하부결속편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을 겹치는 부분에 결속끈 고정부를 구성하여 결고하게 체결과 동시에 운구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가로 결속끈을 견고하게 체결하도록 결속편은 결속끈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를 형성하여 고정구에 끼워 결속끈이 엇갈려 끼워져 풀리지 않도록 형성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면에도 고정구(250)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즉 결속편(310)은 가로 결속끈을 끼워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구(250)를 형성하여 결속끈을 엇갈려(꿰매듯) 끼워서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결속끈의 일측끝부분을 고정구에 끼워 빠지지 않도록 재봉질하여 구성하고 다른 끝부분은 고정구에 꿰매듯 끼운 후에 결속끈을 당겨서 타이트하게 고정하였다.
다음 결속끈 고정부(300)의 상하부결속편(190-1,200-1)은 세로 결속끈을 끼워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구(250)를 형성하여 결속끈을 엇갈려(꿰매듯) 끼워서 결합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결속끈의 일측 끝부분을 고정구에 끼워 빠지지 않도록 재봉질하여 구성하고 다른 끝부분은 고정구에 꿰매듯 끼운 후에 결속끈을 당겨서 타이트하게 고정하였다. 또한 상하부 결속편은 결속끈 고정부의 상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고정구(250)에 형성되어 여러번 꿰매드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좌우측에 구성한 결속끈 고정부의 하부결속편 끼리 서로 세로 결속끈을 고정하여 세팅하거나 하부결속편과 상부결속편 끼리 서로 엇갈려 고정한 후에 한쪽만 고정구에 재봉질하고 다른 한쪽은 끼워서 고정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 결속끈(210)과 세로 결속끈(220)을 결속끈 고정부(300)에 결합하여 관을 고정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운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관(400)에 배열시 3~4개의 결속끈 고정부(300)를 구성하여 가로 결속끈(210)을 고정구에 끼워서 가로 결속끈을 결속편(310)으로 고정한다. 이때 결속편(310)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다른 일측면의 결속끈은 결속편의 고정구(250)에 끼워 타이트하게 당겨서 고정하도록 하였다. 결속편의 하부면에는 결속끈이 미끄러져서 풀리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돌기(270)들이 형성되어 있다.
결속끈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벨크로테이프(280)를 부착하여 결속끈이 휘날리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조마크를 형성한 집게(290)를 구성하여 결속끈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하였다.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끈 고정부는 세로 결속끈의 한쪽면은 상하부 결속편(190-1,200-1)의 고정구(250)에 끼워서 재봉질하여 고정하고 다른한쪽 끝만 고정구에 끼워서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하면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운구장치를 완성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속끈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시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구용 결관장치의 손잡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결속끈고정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를 관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손잡이 110 : 연결끈
120 : 안착홈 130 : 결합돌기
140 : 결합구 150 : 결착수부
160 : 결착암부 170 : 결합구
180 : 끈뭉치 190 : 상부결속편
200 : 하부결속편 210 : 가로 연결끈
220 : 세로 연결끈 230 : 결속편
250 : 결속구 300 : 결속끈 고정부

Claims (6)

  1. 가로 결관끈과 세로 결관끈으로 구성한 운구용 결관 장치에 있어서,
    관을 감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가로 결속끈; 상기 가로 결속끈의 끝단을 서로 고정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결속편;
    상기 가로 결속끈을 끼울 수 있도록 좌우측면에 형성된 결합구와 상하부에 세로 결속끈을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상하부결속편과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이 겹쳐지는 부분에 구성한 손잡이로 이루어진 결속끈 고정부;
    상기 상하부결속편에 연결되는 세로결속끈;
    으로 구성하여 관의 좌우측면에 배열하여 가로결속끈과 세로결속끈이 십자형으로 결속끈 고정부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끈 고정부는
    가로 결속끈을 결합구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방면에는 손잡이가 구성되고, 상하부면에는 세로 결속끈을 고정하도록 상하부결속편이 구성되고,
    상기 가로 결속끈과 세로 결속끈이 서로 십자형태로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십자형태의 중앙에는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성하여 관을 안전하게 고정 및 운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와 세로 결속끈은
    결속끈의 끝단을 고정하도록 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고, 상부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고정띠를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와 세로 결속끈은
    결속끈의 끈단이 휘날리지 않도록 근조마크가 형성된 집게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KR1020090020287A 2008-12-18 2009-03-10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KR100935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9400 2008-12-18
KR1020080129400 2008-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549B1 true KR100935549B1 (ko) 2010-01-07

Family

ID=4180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287A KR100935549B1 (ko) 2008-12-18 2009-03-10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5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63Y1 (ko) 2009-06-15 2011-11-07 김종원 운구용 손잡이 고정구
KR101712739B1 (ko) 2015-08-26 2017-03-22 장영준 운구용 결관 장치
KR102358827B1 (ko) * 2021-02-22 2022-02-14 김종원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 브라켓
KR20220108357A (ko) * 2021-01-27 2022-08-03 윤재순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713Y1 (ko) * 2006-07-10 2006-10-16 정해식 운구용 결관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713Y1 (ko) * 2006-07-10 2006-10-16 정해식 운구용 결관부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63Y1 (ko) 2009-06-15 2011-11-07 김종원 운구용 손잡이 고정구
KR101712739B1 (ko) 2015-08-26 2017-03-22 장영준 운구용 결관 장치
KR20220108357A (ko) * 2021-01-27 2022-08-03 윤재순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KR102554139B1 (ko) 2021-01-27 2023-07-17 윤재순 기능 통합 구조의 운구용 손잡이가 구비된 결관 밴드 체결장치
KR102358827B1 (ko) * 2021-02-22 2022-02-14 김종원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549B1 (ko)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JP2005253960A (ja) シンチ機構付き寝袋
KR200428713Y1 (ko) 운구용 결관부재
KR100652495B1 (ko) 결관끈이 구비된 관보
KR101147644B1 (ko) 체결이 편리한 운구용 결관 부재
KR20180003611U (ko)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
KR101023238B1 (ko) 운구용 결관 부재
US20230201648A1 (en) Body stretch pose assisting strap and related method
KR20180003612U (ko) 운구용 결관 원터치 손잡이 고정구
EP1555383A3 (en) Self-equalizing corded window covering and breakaway coupling member for same
KR200447374Y1 (ko) 결관끈
KR101044247B1 (ko) 운구를 결속하기 편리한 결관 장치
KR200456563Y1 (ko) 운구용 손잡이 고정구
CN108786025B (zh) 防脱落脚扣
CN204815533U (zh) 带有拉力器的仰卧板
KR20110048089A (ko) 운구용 관의 끈 고정구
CN104606855A (zh) 一种爬绳器
KR101712739B1 (ko) 운구용 결관 장치
CN211675034U (zh) 一种多用骨科康复支撑装置
CN204395353U (zh) 一种爬绳器
KR102527943B1 (ko)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브라켓
US9603771B1 (en) Chest compression device and linen attachment assembly for chest compression device
JP3093876U (ja) ギャッジベッドのピロケース
KR100982695B1 (ko) 손잡이봉이 장착된 운구용 결관장치
US20210282896A1 (en) Extraction devic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