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74Y1 - 결관끈 - Google Patents
결관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7374Y1 KR200447374Y1 KR2020090011061U KR20090011061U KR200447374Y1 KR 200447374 Y1 KR200447374 Y1 KR 200447374Y1 KR 2020090011061 U KR2020090011061 U KR 2020090011061U KR 20090011061 U KR20090011061 U KR 20090011061U KR 200447374 Y1 KR200447374 Y1 KR 2004473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string
- coupled
- binding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1—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더욱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더욱 깔끔한 외관을 가지는 결관끈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관(棺,C)을 횡(橫)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일측단부에 결속구(120)가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절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120)가 상기 절개부(130)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가로끈(100);
상기 가로끈(10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관(C)을 종(縱)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양측단부에 결속구(220)가 결합되고, 일측부에 절개부(230)가 형성되며, 타측의 결속구(220b)가 상기 절개부(230)를 통과하여 양측 결속구(220a,220b)가 교차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240)를 포함하는 세로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 결관, 운구, 장례, 결관끈
Description
본 고안은 장례시에 관을 묶어 운구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관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더욱 깔끔한 외관을 가지는 결관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례는 관혼상제 중에서도 가장 엄숙하고 경건하게 이루어지는 예식이다. 이러한 장례의 절차 중 하나로 운구절차가 있는데, 이때에는 보통 6인에서 8인으로 구성된 운구자들에 의해 관이 옮겨지게 된다.
이러한 운구절차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관끈으로 관을 단단히 묶되 결관끈의 고정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면가제, 부직포 등을 일정한 매듭형태로 관을 묶으며, 관을 가리고 외관을 경건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관보를 덮어씌운다.
그 다음 결관끈을 파지하여 운구를 하게 되는데, 이때에 결관끈이 관에 밀착되어 묶여있기 때문에 파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428713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50)의 측면부위를 빙 둘러서 감싸는 측면결관끈(30)과, 상기 측면결관끈(30)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관(50)의 상면길이방향과 직교로 결착하는 상면결관끈(10)과, 상기 상면결관끈(10)의 일측단부는 측면결관끈(30) 하부로 연장설치되며 관(50)의 저면 길이방향과 직교로 결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끝단에 체결부(24)가 구비된 저면결관끈(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저면 결관끈(10)(20)과 측면결관끈(30)이 교차되는 부분에 운구손잡이(4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결관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운구용 결관부재는 저면결관끈(20) 끝단의 체결부(24)를 운구손잡이(40) 부분에 끼워 체결하기 위하여 일일이 관(50)을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운구용 결관부재는 길이조절구(22)(32)를 사용하여 저면결관끈(20)과 측면결관끈(3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관(5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저면결관끈(20)과 측면결관끈(30)의 끝단(20a)(30a)이 길게 남아 거치적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더욱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관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끈의 끝단이 길게 돌출되지 않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결관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관(棺)을 횡(橫)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일측단부에 결속구가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가 상기 절개부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로끈;
상기 가로끈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관을 종(縱)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양측단부에 결속구가 결합되고, 일측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결속구가 상기 절개부를 통과하여 양측 결속구가 교차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세로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에 의해 달성된다.
또는, 관(棺)을 횡(橫)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일측단부에 결속구가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연결고리가 결합되며, 상기 결속구가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로끈;
상기 가로끈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관을 종(縱)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양측단부에 결속구가 결합되고, 양측부를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며, 양측의 결속구가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세로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에 의해 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가로끈과 세로끈이 되돌아나가거나 교차하여 길이가 조절되되, 그 끝단이 고정됨으로써 끝단이 거치적거리지 않으며 더욱 깔끔한 외관을 가지는 결관끈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은 가로끈(100)과 세로끈(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끈(100)은 관(棺,C)을 횡(橫) 방향으로 감싸는 것이다. 상기 가로끈(100)은 띠 형상의 몸체(110)를 가지며, 몸체(110)의 재질은 잘 썩을 수 있도록 삼베나 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일측단부에는 결속구(120)가 결합된다. 상기 결속구(120)는 가로끈(100)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디귿(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단부를 접어 결속구(120)의 일측부를 끼운 다음 접힌 부분을 꿰매어 결합한다. 상기 결속구(120)의 재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몸체(110)와 같이 잘 썩을 수 있도록 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타측단부에는 절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30)는 가로끈(100)이 관(C)을 감쌀 때에 상기 결속구(120)가 통과하여 되돌아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관(C)의 크기에 따라 가로끈(100)의 길이를 자연스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결합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30)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기 결속구(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일부를 접어 꿰매는 것으로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120)가 관(C)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세로끈(200)은 관(C)을 종(縱) 방향으로 감싸는 것이다. 상기 세로끈(200)은 여러 개가 상기 가로끈(10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3~4개가 결합된다. 상기 세로끈(200)은 상기 가로끈(100)과 마찬가지로 띠 형상의 몸체(210)를 가지며, 몸체(210)의 재질은 잘 썩을 수 있도록 삼베나 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10)의 양측단부에는 결속구(220)와 손잡이(250)가 결합된다. 상기 결속구(220)는 세로끈(200)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로끈(100)의 결속구(120)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250)는 상기 결속구(220)의 하부에 근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250)는 상기 몸체(210)와 같은 재질의 띠가 사용되며 몸체(210)에 꿰매어져 결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파지(把持)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펄프나 목재로 된 관체(251)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일측부에는 절개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30)는 일측의 결속구(220a)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30)는 세로끈(200)이 관(C)을 감쌀 때에 타측의 결속구(220b)가 통과하여 양측 결속구(220a,220b)가 교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관(C)의 크기에 맞추어 세로끈(200)을 조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210) 중 관(C)의 양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는 결합부(240)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230)에 의해 교차한 양측 결속구(220a,220b)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결합부(240)는 상기 몸체(210)의 일부를 접어 꿰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형성되어 양측 결속구(220a,220b)가 관(C)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세로끈(200)에는 커버부재(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세로끈(200)에 형성된 절개부(230)를 감싸 세로끈(200)이 더욱 잘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몸체(210)와 같은 재질을 파이프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세로끈(200)에 미리 끼워넣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끈(100)과 상기 세로끈(200)에는 관(C)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심(4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심(400)은 양복저고리 어깨나 깃 같은 데를 빳빳하게 하기 위해 넣는 헝겊 따위를 일컫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가로끈(100)과 상기 세로끈(200)의 몸체(110,210)에 결합되어 본 고안의 결관끈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결관끈이 관(C)을 더욱 용이하게 감쌀 수 있게 되며, 결속작업 또한 더욱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로끈(100)의 절개부(130)와 상기 세로끈(200)의 절개부(230)를 대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결고리(500)가 사용된다.
상기 연결고리(500)는 상기 가로끈(100)의 타측단부와 상기 세로끈(200)의 양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500)로 인해 상기 세로끈(200)의 경우 양측 결속구(260)가 교차하지 않고 양측으로 다시 되돌아나가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세로끈(200)의 결속구(260)에는 손잡이(2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는 금속재의 환봉을 이용하되, 결합부에 끼워지는 끼움부(261)와 상기 손잡이(250)가 함께 형성되도록 여러 번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용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가로끈(100)의 결속구(120)와 세로끈(200)의 결속구(220,260)가 절개부(130,230) 또는 연결고리(500)를 통과한 상태를 유지하되, 가로끈(100)의 결속구(120) 부분을 하측으로 늘어뜨려 관(C)을 넣을 수 있는 공간(S)을 마련한다.(도 5a)
그 다음, 선단에 위치한 세로끈(200')과 가로끈(100) 사이의 공간(S)으로 관(C)을 밀어 넣는다.(도 5b)
그 다음, 가로끈(100)의 결속구(120)를 당겨 적절한 위치의 결합부(140)에 고정한다.(도 5c)
그 다음, 세로끈(200)의 양측 결속구(220,260)를 당겨 적절한 위치의 결합부(240)에 고정한다.(도 5d)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결관끈에 관(C)을 삽입한 다음 각각의 결속구(120)(220,260)를 당겨 결합부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관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후 손잡이(250)를 파지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운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구용 결관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관끈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가로끈,세로끈 110,210 ; 몸체
120,220,260 ; 결속구 130,230 ; 절개부
140,240 ; 결합부 250 ; 손잡이
300 ; 커버부재 400 ; 심
500 ; 연결고리
Claims (7)
- 관(棺,C)을 횡(橫)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일측단부에 결속구(120)가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절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120)가 상기 절개부(130)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가로끈(100);상기 가로끈(10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관(C)을 종(縱)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양측단부에 결속구(220)가 결합되고, 일측부에 절개부(230)가 형성되며, 타측의 결속구(220b)가 상기 절개부(230)를 통과하여 양측 결속구(220a,220b)가 교차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240)를 포함하는 세로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 관(棺,C)을 횡(橫)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일측단부에 결속구(120)가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연결고리(500)가 결합되며, 상기 결속구(120)가 상기 연결고리(500)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가로끈(100);상기 가로끈(10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관(C)을 종(縱)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양측단부에 결속구(220)가 결합되고, 양측부를 연결하는 연결고리(500)가 구비되며, 양측의 결속구(220a,220b)가 상기 연결고리(500)를 통과하여 되돌아나온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부(240)를 포함하는 세로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가로끈(100)과 상기 세로끈(200)에는 관(C)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심(4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140,240)는 상기 가로끈(100) 및 상기 세로끈(200)의 일부가 접혀 꿰매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세로끈(200)에는 상기 절개부(230)를 감싸는 커버부재(3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세로끈(200)의 양측단부에는 손잡이(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250)는 상기 세로끈(200)에 결합된 결속구(26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1061U KR200447374Y1 (ko) | 2009-08-25 | 2009-08-25 | 결관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1061U KR200447374Y1 (ko) | 2009-08-25 | 2009-08-25 | 결관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7374Y1 true KR200447374Y1 (ko) | 2010-01-21 |
Family
ID=4421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1061U KR200447374Y1 (ko) | 2009-08-25 | 2009-08-25 | 결관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737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8827B1 (ko) * | 2021-02-22 | 2022-02-14 | 김종원 |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 브라켓 |
KR20230016447A (ko) * | 2021-07-26 | 2023-02-02 | 김종원 |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브라켓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0013Y1 (ko) * | 1984-11-21 | 1987-01-28 | 김기종 | F.r.p제조관 |
KR200428713Y1 (ko) | 2006-07-10 | 2006-10-16 | 정해식 | 운구용 결관부재 |
KR100652495B1 (ko) | 2006-04-28 | 2006-12-01 | 정해식 | 결관끈이 구비된 관보 |
-
2009
- 2009-08-25 KR KR2020090011061U patent/KR2004473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0013Y1 (ko) * | 1984-11-21 | 1987-01-28 | 김기종 | F.r.p제조관 |
KR100652495B1 (ko) | 2006-04-28 | 2006-12-01 | 정해식 | 결관끈이 구비된 관보 |
KR200428713Y1 (ko) | 2006-07-10 | 2006-10-16 | 정해식 | 운구용 결관부재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8827B1 (ko) * | 2021-02-22 | 2022-02-14 | 김종원 |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 브라켓 |
KR20230016447A (ko) * | 2021-07-26 | 2023-02-02 | 김종원 |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브라켓 |
KR102527943B1 (ko) | 2021-07-26 | 2023-05-03 | 김종원 |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브라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28713Y1 (ko) | 운구용 결관부재 | |
US11412869B2 (en) | Flat-fold fitted sheet | |
KR200447374Y1 (ko) | 결관끈 | |
KR100652495B1 (ko) | 결관끈이 구비된 관보 | |
US6120068A (en) | Necktie knot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 |
US7530333B2 (en) | Children's walking harness | |
US4972660A (en) | Pouch for horse's tail | |
KR100935549B1 (ko) | 손잡이가 형성된 운구용 결관장치 | |
CA3074177A1 (en) | Two-piece duvet cover | |
US9526318B2 (en) | Hammock with quadrecline geometry | |
US10786410B2 (en) | Bag for pet burial or cremation or for holding cremation ashes | |
KR101023238B1 (ko) | 운구용 결관 부재 | |
JP2010207294A (ja) | 上肢固定具 | |
KR20110008746A (ko) | 체결이 편리한 운구용 결관 부재 | |
KR200415069Y1 (ko) | 장례용품 | |
JP5728661B2 (ja) | 環状の引き締め具 | |
JP3135206U (ja) | 紐付き骨壷箱 | |
JP4224475B2 (ja) | エプロン | |
KR200436132Y1 (ko) | 이불카바 | |
JP3001712U (ja) | 動物の引き紐とこれに用いるループ止め具 | |
KR200334883Y1 (ko) | 베개피 | |
JPH0124114Y2 (ko) | ||
KR20190000301U (ko) | 결관끈이 일체로 부설된 관보 | |
KR101191656B1 (ko) | 지지구조 일체형 해먹 | |
JP4717146B1 (ja) | 超小型犬用衣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