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83Y1 - 베개피 - Google Patents

베개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83Y1
KR200334883Y1 KR20-2003-0023929U KR20030023929U KR200334883Y1 KR 200334883 Y1 KR200334883 Y1 KR 200334883Y1 KR 20030023929 U KR20030023929 U KR 20030023929U KR 200334883 Y1 KR200334883 Y1 KR 200334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over
fabric
string
pillow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20-2003-0023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재단하여 장방형의 베개피를 형성하되, 베개피의 일단부및 타단 소정위치에 베개피 결착수단을 구비하여 베개피의 분리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베개피 결착수단으로는 베개피의 일단부에 일정간격으로 2~5개의 연결끈을 연결봉재하고, 베개피 타단의 외부면 소정위치에도 2~5개의 연결끈을 연결봉재하여 통상의 베개에 씌울 때 연결끈과 연결끈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게 하거나, 베개피 일단에는 상기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2~5부분에 2줄이 한쌍으로 구성된 연결끈을 연결고정시키고 타단의 외부면 소정위치에는 직물 또는 금속, 또는 수지로 된 고리를 봉재연결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베개피의 일단부에는 금속 또는 직물제로 된 고리를 연결봉재하고 타단 외부면 소정위치에는 직물을 역어서 된 매듭형 단추를 봉재고정시키는 등등의 구성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함으로서 베게피의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또, 상기 베개피와 연결끈의 연결봉재부위에 수를 놓아 연결봉재부위를 더욱 더 미려 단정하게 형성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연결끈을 비롯하여 고리, 매듭형 단추등등을 이용하여 묶거나 걸어주는 수단에 의해 베개피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베개피의 교환 세탁이 용이하고, 결착부위에 매듭이 형성되어 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등의 이점이 따르는 베개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베개피{a pillow cover}
본 고안은 베개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에 씌우거나 벗기기 편한 구성으로 형성하여 베개피의 교환및 세탁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베개에 베게피를 씌웠을 때 외관이 미려 단정하면서 자연스러움을 더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베개피는 베개표면에 씌워 베개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통상 베개에 씌울때는 베개피의 양 단부를 중첩시켜 실로 꿰메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베개피를 베개에 씌워 실로 꿰메어 고정시키게 되면, 꿰메는 과정뿐 아니라 베게피를 벗겨내려 할 때도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실로 꿰멘 자국이 남게 되어 베개피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며, 또, 외관상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주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개피의 일측단내측면과 타측단 외측면에 각각 암수 메직테이프를 봉재 고정시키거나 또는 지퍼를 봉재고정시켜 구성한 베개피도 선보이고 있으나, 이는 베개에 씌우거나 분리하기 쉽고, 또, 베개와 베개피의 크기와 부피가 거의 규격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깔끔한 이점은 있으나, 베개를 오래 사용하는 과정에서 베개속에 들어있는 내장재 또는 쿠션재가 변형되어 압축되어 부피가 적어지게 되면, 베개피 역시 헐겁게 결합될 수 밖에 없는 결점이 따르게 되며, 더불어 베개피의 결착부위가 자연스럽다기 보다는 상당히 인위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베게에는 적합하지 못한 폐단이 따르게 된다.
또한, 베개피의 결착부위가 메직테이프나 지퍼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단정한 이점은 있지만 장식성이 떨어지는 폐단도 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베개피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끈 또는 연결고리나 매듭 등의 결착수단을 베개피의 양 끝단 소정위치에 설치구성하여 베개피의 분해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결착부위가 매우 자연스럽고 미려단정하게 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베개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베개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베개피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베개(3)의 표면을 감쌈으로서 베개(3)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베개피(2)에 있어서,
베개피(1)의 양 끝단 소정위치에 결착수단(2)을 구성하여 베개(3)에 베개피(1)를 씌워 묶어 고정시킬 때 외관이 자연스러우면서도 미려 단정하게 하고, 또, 베개피의 분해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결착수단(2)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를 들면,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개피(1)의 일단(1a)에 연결끈(21)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2~다수개 봉재 연결고정하고, 베개피(1)의 타단(1b) 외부면 소정위치에도 베개피(1) 일단에 봉재 연결된 연결끈(2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2~다수개의 연결끈(21')을 봉재 연결시킴으로서 베개(3)에 씌워 고정시킬 때 베개피(1)의 일단(1a) 밑에 타단(1b)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연결끈(21)과 (21')를 묶어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결착수단(2)은 도3과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개피(1)의 일단(1a)에 두줄이 한 조로 구성된 연결끈(21a)을 봉재연결하고, 타단(1b)의 외부면 소정위치에는 직물 또는 금속이나 수지로 형성한 연결고리(21a')를 봉재연결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착수단(2)은 도5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개피(1)의 일단(1a)에 직물로 형성된 연결고리(21b)를 연결봉재시키고, 타단(1b)에는 연결끈등을 엮거나 꼬아서 형성된 매듭(21b')을 연결봉재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착수단(2)을 구성하는 연결끈이나 연결고리 등을 베개피(1)에 봉재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봉재 연결부위에 자수 등을 놓아 한층 더 미려 단정하게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베개피(1)의 일단(1a)과 타단(1b)에 소정의 결착수단(2)을 구비하되, 상기 결착수단(2)은 메직테이프나 지퍼등과 같은 인위적 수단이 아닌 연결끈이나 매듭, 연결고리 등등의 우리나라 전통복식문화에서 활용하는 결합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베개피(1)를 베개(3)에 씌웠을 때 외관이 매우 미려단정하고, 또, 베개피의 분해 결합이 매우 원활하여 교환 및 세탁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결착수단(2)으로는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개피(1)의 일단(1a)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연결끈(21)을 봉재 연결하고, 타단(1b) 외부면 소정위치에도 연결끈(21')을 연결봉재하여 이를 베개(3)에 씌울 때 베개피(1)의 타단(1b)과 일단(1a)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연결끈 (21)과(21')를 묶어 고정시키면 되며, 이 때 묶음부의 매듭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묶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결착수단으로 도3과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게피의 일단에 두줄이 한쌍으로 구비된 연결끈(21a)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 구비하고, 타단에는 직물, 또는 금속이나 수지로 된 고리(21a')를 연결고정시켜 베개(3)에 베개피(2)를 씌워 고정시킬 때 두 줄의 연결끈(21a) 중 하나를 고리(21a')에 끼워 통과시킨 뒤 다른 하나의 연결끈(21a)과 함께 묶어 고정시켜도되며, 이 또한 묶음부 즉, 매듭의 형태는 사용자의 취향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결착수단으로 도5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개피의 일단(1a)에 직물로 형성한 고리(21b)를 봉재 연결시키고, 타단(1b)에는 직물을 엮어서 형성한 매듭(21b')을 연결 봉재한 것으로 이는 베개(3)에 베개피(1)를 씌울 때 일단의 고리(21b)를 타단의 매듭(21b)에 걸어 사용하면된다.
위와 같은 결착방법은 메직테이프나 지퍼 등과 같은 인위적 수단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우리나라 전통 복식문화에서 볼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베개피의 분리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다분히 한국적이고, 전통적인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매우 미려단정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개피의 양 단부 소정위치에 결착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연결끈이나 매듭, 연결고리 등을 활용하여 구성함으로서, 분해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외관이 미려 단정한 효과가 따르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베개의 표면을 감쌈으로서 베개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베개피에 있어서,
    베개피(1)의 양 끝단 소정위치에 결착수단(2)을 구비하여 분해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피.
  2. 제1항에 있어서,
    결착수단(2)은 베개피(1)의 일단(1a)에 연결끈(21)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2~다수개 봉재연결고정하고, 베개피(1)의 타단(1b) 외부면 소정위치에도 베개피(1) 일단에 봉재 연결된 연결끈(2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2~다수개의 연결끈(21')을 봉재연결시킴으로서 베개(3)에 씌워 고정시킬 때 베개피(1)의 일단(1a) 밑에 타단(1b)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연결끈(21)과 (21')를 묶어 고정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피.
  3. 제1항에 있어서,
    결착수단(2)은 베개피(1)의 일단(1a)에 두줄이 한 조로 구성된 연결끈(21a)을 봉재연결하고, 타단(1b)의 외부면 소정위치에는 직물 또는 금속이나 수지로 형성한 연결고리(21a')를 봉재연결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피.
  4. 제 1항에 있어서,
    베개피(1)의 일단(1a)에 직물로 형성된 연결고리(21b')를 연결봉재시키고, 타단(1b)에는 연결끈 등을 엮거나 꼬아서 형성된 매듭(21b')을 연결봉재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피.
KR20-2003-0023929U 2003-07-24 2003-07-24 베개피 KR200334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29U KR200334883Y1 (ko) 2003-07-24 2003-07-24 베개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29U KR200334883Y1 (ko) 2003-07-24 2003-07-24 베개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883Y1 true KR200334883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29U KR200334883Y1 (ko) 2003-07-24 2003-07-24 베개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639B2 (en) Decorative bracele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90172881A1 (en) Mattress Wrap Bedding System
US11412869B2 (en) Flat-fold fitted sheet
US20130326795A1 (en) Convertible Garment
KR200334883Y1 (ko) 베개피
US20200275790A1 (en) Two-piece duvet cover
JP2009275307A (ja) リュックサック兼用ジャンパーおよびジャンパーを転用したリュックサック
JP2009191409A (ja) 帽子兼用マフラー
JP2003135259A (ja) デザインカーテンやノレン等の吊下げ体
JP2011250908A (ja) ハンガーカバー及び組立ハンガー
KR200363413Y1 (ko) 딱단추를 이용한 베개피
JP3079997U (ja) 和装用帯
JP3173844U (ja) 枕カバー
JP2926401B1 (ja) 布団の襟カバー着脱構造
KR200263948Y1 (ko) 베갯잇의 교환이 용이한 베개
KR960003600B1 (ko) 코어를 이용하여 매듭을 짓도록 한 넥타이
KR200343619Y1 (ko) 베개 몸체와 배갯잇의 결속구조
KR200341809Y1 (ko) 머리끈
JPH0426410Y2 (ko)
JP2001286378A (ja) 布団カバーおよび布団カバーを利用したベッド用掛け具ずり落ち防止装置
JP3175804U (ja) 掛布団カバー
JP3055886U (ja) タオル類の結束バンド
JP3059417U (ja) 襟飾り
JP3043357U (ja)
JP3115537U (ja) 和洋装用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