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423B1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423B1
KR101021423B1 KR1020100064580A KR20100064580A KR101021423B1 KR 101021423 B1 KR101021423 B1 KR 101021423B1 KR 1020100064580 A KR1020100064580 A KR 1020100064580A KR 20100064580 A KR20100064580 A KR 20100064580A KR 101021423 B1 KR101021423 B1 KR 10102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waste
incineration
air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동해
전이식
이진혁
Original Assignee
(주) 영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창테크 filed Critical (주) 영창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된 음식쓰레기에서 폐수를 배출시킨 후에 소각하여 음식쓰레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된 음식쓰레기에서 폐수를 배출시킨 후에 고온으로 소각하여 음식쓰레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임과 동시에 다이옥신의 배출을 억제하여서 음식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처리장치{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된 음식쓰레기에서 폐수를 배출시킨 후에 소각하여 음식쓰레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음식쓰레기는 공해 유발로 인해서 환경의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고, 이러한 음식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동원되기는 하지만 그 처리가 용이하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음식쓰레기는 배출자가 그 비용을 부담하는 공식적인 비닐봉투를 사용하고 있고, 종래에는 발효방식과 더불어 압축방식 등을 이용하여 공해와 그 처리비용을 최소화 하려 노력하지만 실효성이 미비한 상황이다.
그리고 종래에 음식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압축방식과 발효방식이 있는데, 압축방식은 미탈수에 의한 악취로 인해 처리가 온전치 못하고, 발효방식은 면적이 광범위하며 전기 소모가 많고 염기성 및 협잡물로 인해 비료를 생산하여도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단위로 지방자치단체마다 매립을 하려 하지만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어 행정력을 도모하기가 어려우며, 매립을 한다 해도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폐수에 의해 지반이 약화되는 문제도 있고,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은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을 초래하여 결국은 우리들의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주범이 되는 것이다.
정부의 음식물쓰레기 감축을 1997년도 13,063톤/일에서 2002년 12,020톤/일로 즉, 1인당 발생중량을 ‘0.29kg/일’에서 ‘0.25kg/일’로 정하였고, 또 재활용율을 1997년도 9.8%(1,257톤/일)에서 2002년까지 50%(6,000톤/일)로 정하였으며, 시설 투자비도(누계) 589억원에서 3,340억원으로 엄청난 돈을 투자 하지만 경제난까지 겪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계속적으로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정부의 목표계획은 1)음식물쓰레기를 생산, 소비, 배출단계에서 최소화 2)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스템 개선 3)음식물쓰레기 자원화 기반 시설 확충 4)자원화 제품의 생산 및 이용체계 확립 등이 있다.
그러나, 매립과 같은 2차 환경오염이 없이, 쓰레기 배출자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된 음식쓰레기에서 폐수를 배출시킨 후에 소각하여 음식쓰레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쓰레기를 빠른 속도로 파쇄하여 음식쓰레기의 처리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폐수를 배출시킨 음식쓰레기를 서서히 건조시키면서 폐수를 제거하고, 고온으로 소각하여 다이옥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폐수가 배출된 음식쓰레기를 예열하여 남아있는 잔여폐수를 증발시켜서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쓰레기의 예열시 발생되는 압력상승을 조절하여 구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쓰레기의 소각시 음식쓰레기를 교반하여 음식쓰레기의 건조 및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각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음식쓰레기를 파쇄하는 구조를 살균할 수 있고, 음식쓰레기의 파쇄에서 소각까지 전과정을 마친 후에 세척과정이 이루질 수 있으며, 음식쓰레기의 소각시 발생되는 악취를 흡착하고 살균하여 정화하고, 물을 이용하여 여과시킬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구동파쇄날(11)을 회전시키는 파쇄구동부(13)와, 파쇄구동부(11)의 동력을 피동파쇄날(1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로 구성되되,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이 서로 마주되어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수단(10)과, 상기 파쇄수단(10)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다지도록 파쇄수단(10)의 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복수개의 연결기어(110), 복수개의 연결기어(110)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개의 다짐기어(130), 복수개의 다짐기어(130) 각각의 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다짐부재(150)를 포함하는 다짐부(100)와, 상기 파쇄수단(10)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부(31), 가압부(31)에서 가압된 음식쓰레기를 소각수단(50)으로 전송하는 전송부(33), 가압부(31)에서 가압된 음식쓰레기에서 탈수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폐수배출부(35), 상기 폐수배출부(35)에서 배출되는 폐수이 모여지는 트랩(32), 상기 트랩(32)에 모여진 폐수를 가열하는 폐수히터(34), 트랩(32)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열된 폐수이 배출되는 폐수관(39), 상기 트랩(32)에 모여진 폐수를 감지하여 상기 폐수히터(34)를 동작시키는 수위센서(WS)를 포함하는 탈수수단(30)과, 상기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1)이 형성되는 소각실린더(53), 상기 소각실린더(53)의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55), 를 포함하는 소각수단(50)과,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파쇄수단(10)을 살균하도록 상기 소각실린더(53)에 형성되는 배기홀(57a) 및 상기 배기홀(57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파쇄수단(10)에 연결되는 배기관(57b)으로 구성되는 살균부(57)와, 상기 소각실린더(53)에서 소각되는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60)와, 상기 탈수수단(30)을 동작시키는 탈수구동부(20)의 동력을 교반부(60)에 연결하도록 탈수구동부(20)에 구비되는 동력구동기어(42), 교반부(60)에 구비되는 동력피동기어(44), 동력구동기어(42)와 동력피동기어(44)에 개재되는 체인(46)을 포함는 동력연결부(40)와,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탈수수단(30)이나 상기 전송부(33)를 예열하도록 탈수수단(30)이나 전송부(33)를 감싸면서 양단이 소각수단(50)에 연결되는 예열관으로 구성되는 예열부(90)와, 상기 파쇄수단(10), 상기 탈수수단(30) 및 소각수단(50)을 동작시키는 동작버튼(81) 및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8)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38)에서 음식쓰레기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을 정구동 및 역구동을 반복시키는 제어부(80)와,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소각수단(50)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예열시키는 공기예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예열부(20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1),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213), 폐열이 유입되는 폐열유입구(215), 유입된 폐열이 배출되는 폐열배출구(217)가 형성되는 공기탱크(210) 및 상기 폐열유입구(215)로 유입된 폐열을 폐열배출구(217)로 안내하는 안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23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폐열유입구(215) 및 폐열배출구(217)가 공기탱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폐열유입구(215) 및 폐열배출구(217)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공기탱크(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판(231), 상판(231)과 공기탱크(210)의 상부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233), 상판(231)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공기탱크(210)의 저면과 이격되는 하판(235) 및 상판(231)과 하판(235)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안내관(23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각수단(50)에서 소각시 발생되는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정화수단(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수단(500)은 폐열이 입출되는 입구(511) 및 출구(513)가 형성되는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흡착하는 악취흡착부(530) 및 상기 악취흡착부(530)에 흡착된 악취를 분해하는 악취정화부(550)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흡착부(530)는 회전부재(531), 회전부재(53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흡착케이스(533), 흡착케이스(533)에 착탈되는 흡착부재(535) 및 흡착케이스(533)에서 흡착부재(535)를 고정 및 해체하는 고정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재(535)는 제올라이트로 제조되어 다공채로 되는 광촉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540)는 상기 흡착케이스(533)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홈(541)에 마련된 탄성부재(543)에 지지되는 걸쇠(545)가 걸림힌지(547)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흡착부재(535)의 외측에 형성되는 해제홈(542)에 걸쇠(545)를 해제시키는 해제부재(544)가 해제힌지(546)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정화수단(500)은 상기 교반부(60)의 동력을 악취흡착부(5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각수단(50)은 내부압력이 소정압력이상으로 상승되면,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부(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송부(33)는 음식쓰레기가 이동되면 소각수단(50)의 내부를 개방하고, 음식쓰레기가 이동되지 않으면 소각수단(50)의 내부를 폐쇄하는 개폐부(DR)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DR)는 개폐판(DR1)과, 개폐판(DR1)의 일단 및 소각수단(50)의 내부 일측에 각각의 양단이 고정되는 핀스프링(DR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38)에서 음식쓰레기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파쇄수단(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7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소각수단(50)을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00)는 개폐부재(310)와, 개폐부재(310)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가이드돌기(320)와, 개폐부재(3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돌기(330)와, 전방가이드돌기(320)와 후방가이드돌기(33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50)와, 전방가이드돌기(320)를 왕복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540)는 흡착케이스(533)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홈(541)에 탄성부재(543)에 지지되는 걸쇠(545)가 걸림힌지(547)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흡착부재(535)의 외측에 형성되는 해제홈(542)에 걸쇠(545)를 해제시키는 해제부재(544)가 해제힌지(546)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교반부(6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610)와, 악취흡착부(530)에 형성되는 피동베벨기어(630)와, 구동베벨기어(610)의 동력을 피동베벨기어(630)에 연결하는 연결베벨기어(650)와, 연결베벨기어(650)를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구동부(670)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동부(670)는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의 사이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연결실린더(671)와, 연결실린더(671)에 삽입된 연결베벨기어(65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조인트(673)를 지지하면서 일단이 연결실린더(671)의 상단 일측에 걸쳐지는 후크부재(675)와, 후크부재(675)의 중앙부분을 회전지지 하면서 연결실린더(671)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는 연결힌지(677)와, 후크부재(675)의 타단을 연결실린더(671)의 일측에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부(679)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여과수단(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여과수단(700)은 공기입구(711) 및 공기출구(713)가 형성되고 여과수가 충전되는 여과케이스(710)와, 여과케이스(7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여과수가 이동되게 하부에 하부홀(731) 및 중부에 중부홀(733)이 형성되고, 공기입구(711)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부에 상부홀(735)이 형성되는 수직벽(730)과, 중부홀(733)의 상부 및 여과케이스(710)의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여과수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평막(750)과, 공기입구(711)에서 수평막(750)의 하부까지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연장관(712)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된 음식쓰레기에서 폐수를 배출시킨 후에 소각하여 음식쓰레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쓰레기를 빠른 속도로 파쇄하여 음식쓰레기의 처리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폐수를 배출시킨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면서 고온으로 소각하여 다이옥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폐수를 배출된 음식쓰레기를 예열하여 남아있는 잔여폐수를 증발시켜서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쓰레기의 예열시 발생되는 압력상승을 조절하여 구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쓰레기의 소각시 음식쓰레기를 교반하여 음식쓰레기의 건조 및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각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음식쓰레기를 파쇄하는 구조를 살균할 수 있고, 음식쓰레기의 파쇄에서 소각까지 전과정을 마친 후에 세척과정이 이루질 수 있으며, 음식쓰레기의 소각시 발생되는 악취를 흡착하고 살균하여 정화하고, 물을 이용하여 여과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정면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우측면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짐부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예열부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공기예열부를 적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각실린더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보인 도면.
도 17은 도 16의 개폐부를 측면에서 보인 도면.
도 18은 도 17의 부분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공기정화부의 적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0은 도 19에 적용된 공기정화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 적용된 공기정화부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부분확대도.
도 24는 도 23의 동작순서를 보인 도면.
도 25는 도 19에 적용된 동력연결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6은 도 25의 동작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7은 도 25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여과수단의 적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9는 도 28의 공기여과수단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식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수단(10)과, 파쇄수단(10)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수단(30)과,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소각하는 소각수단(50)을 포함한다.
파쇄수단(10)은 구동파쇄날(11)을 회전시키는 파쇄구동부(13)와, 파쇄구동부(11)의 동력을 피동파쇄날(1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로 구성되되,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이 서로 마주되어 회전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파쇄수단(10)의 상부에 음식쓰레기를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로 안내하는 호퍼(H)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호퍼(H)는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이 수용된 상태로 작동되게 파쇄케이스(10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쇄케이스(10a)는 사각의 함체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쇄케이스(10a)는 양측에 배치되는 프레임(10b)에 소정높이로 설치되고, 탈수수단(30) 및 소각수단(50)도 상하로 배치되게 프레임(10b)들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파쇄구동부(13)는 파쇄구동모터(13a)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3b)와, 구동파쇄날(11)에 연결되는 파쇄기어(13c)와, 구동기어(13b) 및 파쇄기어(13c)에 개재되는 체인(13d)으로 구성되되, 파쇄기어(13c)의 직경이 구동기어(13b)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쇄구동모터(13a)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구동기어(13b)가 회전되어 구동기어(13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쇄기어(13c)가 회전되므로, 파쇄기어(13c)는 빠르고 강하게 회전되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13b)는 파쇄구동모터(13a)에 연결되고, 파쇄기어(13c)에는 구동파쇄날(11)이 연결된다.
동력전달부(15)는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의 축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복수개의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호퍼(H)에 투입된 음식쓰레기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에 의해 파쇄된다.
탈수수단(30)은 파쇄수단(10)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부(31)와, 가압부(31)에서 가압된 음식쓰레기를 소각수단(50)으로 전송하는 전송부(33)와, 가압부(31)에서 가압된 음식쓰레기에서 탈수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폐수배출부(35)를 포함한다.
가압부(31)는 상기 파쇄된 음식쓰레기가 낙하되어 수용되도록 상부에 상부홀이 형성되는 가압실린더(31a)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크류(31b)와, 가압실린더(31a)의 끝단에 형성되어 스크류(31b)에 의해 가압되는 음식쓰레기가 탈수되면서 전송부(33)로 배출되는 배출부(31c)를 포함한다.
먼저, 폐수배출부(35)는 가압실린더(31a)의 하부에 형성된 폐수홀에 연결되는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폐수홀에는 파쇄된 음식쓰레기가 배출되지 않으면서 폐수만 배출될 수 있는 미세망(3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부(31c)는 스크류(31b)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쓰레기가 압착되면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강성의 타공판 또는 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크류(31b)는 가압실린더(31a)의 일단에서 삽입되어 마련되고, 배출부(31c)는 가압실린더(31a)의 타단에 형성되며, 폐수배출부(35)는 가압실린더(31a)의 하부에 형성되되, 배출부(31c)에 근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크류(31b)는 후술되는 탈수구동부(20)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이때, 탈수구동부(20)는 탈수모터(21)와, 탈수모터(21)에 연결되는 탈수구동기어(23)와, 탈수구동기어(23)와 대응되며 스크류(31b)가 연결되는 스크류기어(25) 및 탈수구동기어(23)와 스크류기어(25)에 개재되는 체인(27)으로 구성된다.
탈수수단(30)은 폐수배출부(35)에서 배출되는 폐수이 모여지는 트랩(32)과, 트랩(32)에 모여진 폐수를 가열하는 폐수히터(34)와, 트랩(32)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열된 폐수이 배출되는 폐수관(3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폐수배출부(35)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트랩(32)에 모여지면 폐수히터(34)에 의해 가열된 후에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폐수는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세균이 살균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게 된다. 그리고, 폐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트랩(32)에 남겨진 잔여 폐수는 폐수히터(34)에 의해 가열되면서 증발되게 된다.
이때, 폐수히터(34)는 트랩(32)에 모여진 폐수를 감지하는 수위센서(WS)의 감지에 따라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폐수가 남아있으면 폐수히터(34)가 동작되고 폐수가 가열되어 증발되면 폐수히터(34)의 동작이 중지되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부(33)는 음식쓰레기가 이동되면 소각수단(50)의 내부를 개방하고, 음식쓰레기가 이동되지 않으면 소각수단(50)의 내부를 폐쇄하는 개폐부(DR)를 포함하며, 개폐부(DR)는 개폐판(DR1)과, 개폐판(DR1)의 일단 및 소각수단(50)의 내부 일측에 각각의 양단이 고정되는 핀스프링(DR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되는 음식쓰레기의 무게에 따라 개폐판(DR1)이 개폐되므로, 음식쓰레기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소각수단(50)의 소각시 발생되는 열이 전송부(33)로 방출되지 않으면서 소각수단(50)내부의 음식쓰레기에 집중되므로 음식쓰레기의 소각은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탈수수단(30) 또는 전송부(33)를 예열하는 예열부(90)를 더 포함한다. 예열부(90)는 탈수수단(30)의 가압실린더(31a) 또는 전송부(33)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양단이 소각수단(50)에 연결되는 예열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열부(90)인 예열관을 통해 소각수단(50)의 폐열이 이동되므로, 가압실린더(31a)와 전송부(33)로 이동되는 음식쓰레기는 폐수가 증발되게 된다. 따라서, 음식쓰레기는 소각수단(50)에서 소각되기 전에 폐수가 줄어들게 되어 반 건조 상태가 되므로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소각수단(50)는 내부압력이 소정압력이상으로 상승되면,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부(3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압력조절부(37)는 릴리프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각수단(50)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각수단(5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 압력에 의한소각수단(5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전송부(33)에 감지부(38)가 설치된다. 여기서 감지부(38)는 전송부(33)에 구비되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지부(38)는 전송부(33)에 이송되는 음식쓰레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전송부(3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포켓(38a)에 설치되어, 전송부(33)에 이송되는 음식쓰레기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이송되는 음식쓰레기가 감지부(38)의 감지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포켓(38a)의 전방에서 상부에 경사판(38b)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수단(50)은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1)이 형성되는 소각실린더(53)와, 소각실린더(53)의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입홀(51)에 전송부(33)의 하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히팅부(55)는 약500~1200도의 고온을 발생시키는 히터(55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팅부(55)인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소각실린더(53)의 내부에 공급하는 팬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히팅부(55)는 최초에 소정시간동안 낮은 온도의 열을 가하면서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킨 후에 고온의 열을 가하면 음식쓰레기의 소각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쓰레기를 건조만 시킬 수도 있다.
한편, 소각실린더(53)의 저면에는 소각된 재가 배출되는 하부홀(53d)이 형성되고, 후술되는 개폐부재(310)에 의해 개폐되도록 제조되고, 개폐부재(310)의 하부에는 재받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각이 완료된 후에는 개폐부재(310)를 개방하여 재를 배출시키면서 소각실린더(53)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실린더(53)에서 소각되는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60)와, 탈수수단(30)을 동작시키는 탈수구동부(20)의 동력을 교반부(60)에 연결하는 동력연결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교반부(60)는 소각실린더(53)에서 회전되는 교반날개(61)와, 교반날개(61)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교반축(63)으로 구성된다.
동력연결부(40)는 탈수구동부(20)에 구비되는 동력구동기어(42)와, 교반부(60)에 구비되는 동력피동기어(44)와, 동력구동기어(42)와 동력피동기어(44)에 개재되는 체인(46)을 포함한다. 즉, 동력피동기어(44)가 교반축(63)이 연결되어, 탈수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교반축(63)이 회전되게 되므로, 음식쓰레기들이 교반되어서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동력구동기어(42)는 스크류기어(25)와 서로 간섭되지 않는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스크류(31b)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체인(46)을 대신하여 동력구동기어(42)와 동력피동기어(44)에 동시에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동력연결기어(41)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실린더(53)의 폐열을 이용하여 파쇄수단(10)을 살균하는 살균부(57)를 더 포함하며, 살균부(57)는 소각실린더(53)에 형성되는 배기홀(57a)과, 배기홀(57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파쇄수단(10)에 연결되는 배기관(57b)로 구성된다.
즉, 배기관(57b)은 파쇄케이스(10a)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에 연결되므로, 배기관(57b)에서 제공되는 고온에 의해 파쇄케이스(10a)의 내부는 살균되게 된다. 따라서, 소각수단(50)의 히팅부(55)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파쇄케이스(10a)의 내부를 수시로 살균하게 된다.
이때, 배기관(57b)은 파쇄케이스(10a)의 홀 및 배기홀(57a)에 양단이 삽입되어서 연결된 후에, 별도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배기관(57b)과 파쇄케이스(10a)의 홀 및 배기홀(57a) 사이를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마감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쇄수단(10), 탈수수단(30) 및 소각수단(50)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80)는 파쇄수단(10), 탈수수단(30) 및 소각수단(50)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동작버튼(81)이 연결되고, 파쇄수단(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70)이 연결되며,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8)(도 5 참조)가 연결된다.
먼저, 동작버튼(81)이 온되면 파쇄수단(10), 탈수수단(30) 및 소각수단(50)가 동작된다. 이때, 감지부(38)가 동작되어 음식쓰레기의 이동을 감지다가 음식쓰레기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80)가 이를 인식하여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을 정구동 및 역구동을 반복시킨다.
여기서, 제어부(80)는 동작버튼(81)이 동작된 상태에서 감지부(38)의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83)와,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8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작버튼(81)이 동작된 상태에서 음식쓰레기의 파쇄가 완료되어 감지부(38)에서 음식쓰레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시간설정부(83)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부(85)가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때 설정된 시간만큼 카운트가 완료되면, 파쇄된 음식쓰레기의 이송이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제어부(80)가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을 정구동 및 역구동을 반복시킨다. 그리고 다시 소정시간동안 정구동 한 후에 정지되도록 제어부(80)가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80)가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을 정구동 및 역구동을 반복적으로 구동시키면서, 물공급수단(70)을 구동시켜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을 청소하게 된다. 그러면,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의 잔여 찌꺼기는 폐수배출부(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물공급수단(70)은 파쇄수단(10)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71) 및 노즐(71)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73)로 구성된다. 즉, 노즐(71)은 호퍼(H)에 설치되어 펌프(73)의 펌핑에 의해 노즐(71)을 통해 물이 호퍼(H)에 공급되게 되고, 공급된 물은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물과 함께 음식찌꺼기가 폐수배출부(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동작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를 호퍼(H)에 투입한 후에, 동작버튼(81)을 온시키면, 파쇄구동부(11) 및 피동파쇄날(12)에 의해 파쇄되면서 아래로 낙하된다. 낙하되는 음식쓰레기는 탈수수단(30)의 스크류(31b)에 의해 이송되면서 가압실린더(31a)의 끝단의 배출부(31c)에 의해 압착되고, 이에 의해 압착되는 음식쓰레기에서 폐수이 가압실린더(31a)의 폐수배출부(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폐수가 배출된 음식쓰레기는 전송부(3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는 전송부(33)를 감싸면서 설치된 예열부(90)에 의해 예열되면서 남아있는 폐수이 증발되게 되면서 배출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이 증발되면서 소각실린더(53)의 내부로 투입되게 되는 음식쓰레기는 히팅부(55)에 의해 소각되게 된다. 이때, 교반기(60)가 작동되면서 소각되는 음식쓰레기를 교반하여 소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소각실린더(53)에서 음식쓰레기를 소각하면서 발생되는 폐열은 살균부(57)인 배기관(57b)을 통해 파쇄케이스(10a)의 내측에 제공되므로, 파쇄구동부(11) 및 피동파쇄날(12)에 고온이 제공되어 남아 있는 음식찌꺼기가 부패되기 전에 살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쓰레기가 파쇄되고 있는 중이라 해도 고온이 제공되어 뼈다귀와 같은 딱딱한 음식쓰레기를 제외한 비교적 부드러운 음식쓰레기의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파쇄구동부(13)에 의해 파쇄수단(1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탈수수단(30)은 탈수구동부(20)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소각수단(50)에 설치된 교반기(60)는 동력연결부(40)에 의해 탈수구동부(20)의 동력을 이용하여 동작되게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연결부(40)의 구성을 간략히 하기 위해 동력연결기어(41)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수단(10)은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다지는 다짐부(100)를 더 포함한다. 다짐부(100)는 파쇄수단(10)의 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복수개의 연결기어(110)와, 복수개의 연결기어(110)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개의 다짐기어(130)와, 복수개의 다짐기어(130) 각각의 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다짐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복수개의 연결기어(11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동력전달부(15)인 기어에 맞물려서 파쇄케이스(10a)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연결기어(110)는 각각 복수개의 다짐기어(130)가 맞물린 상태로 파쇄케이스(10a)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15)인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기어들의 내측으로 회전되면 각각의 연결기어(110)는 외측으로 회전되고, 복수개의 연결기어(110)에 맞물린 복수개의 다짐부재(150)는 내측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다짐기어(130)에 연결된 복수개의 다짐부재(15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면서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에 의해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으깨면서 다지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소각수단(50)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예열시키는 공기예열부(200)를 포함한다.
공기예열부(20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1),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213), 폐열이 유입되는 폐열유입구(215), 유입된 폐열이 배출되는 폐열배출구(217)가 형성되는 공기탱크(210)와, 폐열유입구(215)로 유입된 폐열을 폐열배출구(217)로 안내하는 안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기배출구(213)는 공기유입구(211)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소각수단(50)에 공급되도록 히팅부(55)에 연결된다.
따라서, 히팅부(55)의 팬에 의해 공기유입구(21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공기탱크(210)를 통과하면서 안내부(230)에 접촉되게 되므로, 안내부(230)에 접촉되는 외부공기는 열교환되면서 예열된 후에 히팅부(55)로 공급된다. 이때, 폐열유입구(215)로 유입된 폐열은 안내부(230)를 통해서 폐열배출구(217)로 배출되므로, 안내부(230)에서는 계속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안내부(23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폐열유입구(215) 및 폐열배출구(217)가 공기탱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폐열유입구(215) 및 폐열배출구(217)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공기탱크(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판(231)과, 상판(231)과 공기탱크(210)의 상부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233)과, 상판(231)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공기탱크(210)의 저면과 이격되는 하판(235)과, 상판(231)과 하판(235)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안내관(23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폐열유입구(215)로 유입된 폐열은 격벽(233)에 의해 폐열배출구(217)쪽으로 이동되지 못하면서, 폐열유입구(215)의 하부에 위치된 안내관(237)들을 통하면서 하판(235)과 공기탱크(210)의 저면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폐열은 다른 안내관(237)들을 통하면서 폐열배출구(2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공기유입구(21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안내관(237)들의 사이를 지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지게 되므로, 예열된 외부공기가 히팅부(55)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폐열유입구(215)는 소각수단(50)에 폐열을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관에 연결된다. 또한, 배기관(57b)이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각수단(50)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폐열유입구(215)로 유입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수단(50)을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더 포함하며, 개폐부(300)는 개폐부재(310)와, 개폐부재(310)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가이드돌기(320)와, 개폐부재(3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돌기(330)와, 전방가이드돌기(320)와 후방가이드돌기(33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50)와, 전방가이드돌기(320)를 왕복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재(350)는 전방가이드돌기(320)의 및 후방가이드돌기(330)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직선이동홈(351)과, 후방가이드돌기(330)가 승강되도록 직선이동홈(351)의 후방에 연장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이동홈(353)으로 구성된다.
먼저, 개폐구동부(370)는 실린더(371)와 로드(373)로 구성되며, 로드(373)의 끝단이 전방가이드돌기(320)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드(373)의 직선이동에 따라 전방가이드돌기(320)를 직선이동 시키게 된다.
여기서, 소각실린더(53)의 하부에 하부홀(53d)을 형성하고, 형성된 하부홀(53d)의 크기만큼 개폐부재(310)를 형성한 후에, 개폐부재(310)를 이용하여 소각실린더(53)의 하부홀(53d)을 개폐하게 된다.
즉, 전방가이드돌기(320)의 및 후방가이드돌기(330)가 직선이동홈(35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여 개폐부재(310)는 소각실린더(53)의 하부에 하부홀(53d)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소각실린더(53)에서 소각된 재는 하부홀(53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후방가이드돌기(330)가 경사이동홈(353)을 따라 이동되는 개폐부재(310)는 경사지게 되므로, 개폐부재(310)에 남아 있는 재는 경사진 개폐부재(310)에서 낙하되게 된다.
그리고, 개폐구동부(370)와 가이드부재(350)는 개폐부재(310)의 양측에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개폐부재(310)의 좌우측이 동시에 당겨지거나 밀려지게 되므로, 개폐부재(310)의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재를 배출시킨 개폐부재(310)는 로드(373)의 이동에 의해 다시 소각실린더(53)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홀(53d)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개폐부재(310)의 일단에 돌출부재(311)가 형성되고, 돌출부재(311)가 결속되는 결속턱(313)이 소각실린더(53)의 하부홀(53d)의 외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부재(310)가 하부홀(53d)을 폐쇄할 때 결속턱(313)에 돌출부재(311)가 결속되므로, 개폐부재(310)가 하부홀(53d)의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각수단(50)에서 소각시 발생되는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정화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정화수단(500)은 폐열이 입출되는 입구(511) 및 출구(513)가 형성되는 케이스(510)와,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흡착하는 악취흡착부(530)와, 악취흡착부(530)에 흡착된 악취를 분해하는 악취정화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510)는 일측에서 상부에 입구(511)가 형성되고, 타측에서 하부에 출구(5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입구(511)에는 소각실린더(53)에서 배출되는 폐열이 유입되도록 배기관(57b)이 연결되거나, 별도의 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악취흡착부(530)는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양측에 회전되게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악취정화부(550)는 UV램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스(510)는 내측에서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악취정화부(550)인 UV램프는 케이스(510)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512)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술되는 흡착케이스(533)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되는 흡착케이스(533)들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흡착케이스(533)들에 흡착된 악취를 정화시킨다. 특히,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는 따뜻한 폐열과 함께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상승되게 되므로, 케이스(510)의 상부에 배치되는 UV램프에 의해 용이하게 정화되게 된다.
즉, 폐열은 뜨거운 상태이므로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상부에 머물게 되므로, 케이스(510)는 내측에서 상부에 설치되는 악취정화부(550)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되게 된다. 그리고, 악취가 정화되어 케이스(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구(5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악취흡착부(530)는 회전부재(531)와, 회전부재(53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흡착케이스(533)와, 흡착케이스(533)에 착탈되는 흡착부재(535)와, 흡착케이스(533)에서 흡착부재(535)를 고정 및 해체하는 고정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부재(531)의 양단에는 케이스(51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이 회전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부재(535)는 제올라이트로 제조되되 다공채로 되는 광촉매 필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출구(513)에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착케이스(533)는 흡착부재(535)가 삽입되도록 흡착케이스(533)의 상부에 개구부(534)가 형성되고, 삽입된 흡착부재(535)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흡착케이스(533)의 중앙의 양측에 관통홀(536)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흡착케이스(533)의 하부에는 탄성부(538)가 흡착부재(535)의 하부를 탄력지지 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부(538)는 판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과 압축스프링에 지지되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540)는 흡착케이스(533)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홈(541)에 마련된 탄성부재(543)에 지지되는 걸쇠(545)가 걸림힌지(547)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흡착부재(535)의 외측에 형성되는 해제홈(542)에 걸쇠(545)를 해제시키는 해제부재(544)가 해제힌지(546)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쇠(545)는 전방에 형성되는 돌기(549)에 의해 흡착케이스(533)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회전각이 결정되게 된다. 또한, 고정부(540)에 의해 고정되는 흡착부재(535)는 탄성부(538)를 가압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해제부재(544)에 의해 해제된 흡착부재(535)는 탄성부(538)의 탄력에 의해 개구부(53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540)는 흡착케이스(533) 및 흡착부재(535)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해제부재(544)는 엘보우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일단이 해제홈(542)을 커버하고, 타단은 해제힌지(546)에 회전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540)는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케이스(533)에 흡착부재(535)를 삽입시키면서 가압하게 되면, 흡착부재(535)는 그 측면이 걸쇠(545)를 걸림홈(541)의 내측으로 밀게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해제홈(542)이 걸쇠(545)에 위치되면 해제홈(542)의 하단이 걸쇠(54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흡착부재(535)의 해제홈(542)이 걸쇠(545)에 걸리게 되어 흡착부재(535)는 흡착케이스(533)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흡착부재(535)를 흡착케이스(533)에서 이탈 시킬 때는 도 24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재(535)의 상부를 가압하면 해제부재(544)가 걸쇠(545)를 지나게 되고, 이어서 흡착부재(535)의 가압을 중지하면 흡착부재(535)가 탄성부(538)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흡착부재(535)의 상승에 의해 해제부재(544)가 아래로 회전하면서 해제홈(542)에 아래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계속해서 흡착부재(535)의 상승에 의해 아래로 경사지게 위치된 해제부재(544)에 걸쇠(545)의 일단이 접촉되지만, 경사면에 의해 걸쇠(545)는 미끄러지게 된다. 따라서, 걸쇠(545)가 해제홈(542)에 걸리게 되지 않으므로, 흡착부재(535)는 흡착케이스(533)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540)에 의하면 원터치형식의 동작으로 흡착부재(535)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9, 도 25 내지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수단(500)은 상기 교반부(60)의 동력을 악취흡착부(5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력전달부(600)는 교반부(6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610)와, 악취흡착부(530)에 형성되는 피동베벨기어(630)와, 구동베벨기어(610)의 동력을 피동베벨기어(630)에 연결하는 연결베벨기어(650)와, 연결베벨기어(650)를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구동부(67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동부(670)는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의 사이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연결실린더(671)와, 연결실린더(671)에 삽입된 연결베벨기어(65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조인트(673)를 지지하면서 일단이 연결실린더(671)의 상단 일측에 걸쳐지는 후크부재(675)와, 후크부재(675)의 중앙부분을 회전지지 하면서 연결실린더(671)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는 연결힌지(677)와, 후크부재(675)의 타단을 연결실린더(671)의 일측에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부(6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연결베벨기어(650)의 축이 연결실린더(671)에 삽입되고, 축의 상단에는 볼조인트(673)가 형성된 상태이다. 그리고, 축의 하단과 연결베벨기어(650)의 사이에는 웨이트(6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웨이트(620)는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에 맞물려서 연결되는 연결베벨기어(65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웨이트(620)의 무게는 적절하게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이때, 잠금부(672)는 후크부재(675)의 타단에 자재되게 연결되는 걸고리(674)와, 걸고리(674)가 걸리도록 연결실린더(671)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676)으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베벨기어(610)는 교반부(60)의 교반축(63)에 연결되고, 피동베벨기어(630)는 회전부재(531)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베벨기어(610)는 별도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구동부(670)는 교반축(63)이 회전되기 전 또는 회전되는 상태에서 걸고리(674)를 걸림턱(676)에서 해제시킨다. 이어서, 후크부재(675)를 아래로 회전시키면 연결베벨기어(650)가 하강하면서,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에 맞물려지게 된다. 그러면, 구동베벨기어(610)의 회전에 의해 피동베벨기어(630)가 회전되게 되므로, 회전부재(531)가 회전되게 된다.
이때, 후크부재(675)의 일단이 연결실린더(671)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이므로, 볼조인트(673)는 후크부재(675)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볼조인트(673)에 별도의 베어링을 설치하면 볼조인트(673)는 후크부재(675)에 걸린 상태로 더욱 용이하게 회전되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531)의 회전을 중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크부재(675)를 상부로 회전시켜서,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에 맞물려진 연결베벨기어(650)가 상부로 상승되면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걸고리(674)를 걸림턱(676)에 걸어서 고정시키면 연결베벨기어(650)는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에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여과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공기여과수단(700)은 공기정화수단(500)의 입구(511) 또는 출구(51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공기정화수단(500)의 입구(511)에 공기여과수단(700)을 연결하면 폐열과 함께 배기가스의 재가 여과되고, 여과된 공기가 공기정화수단(500)에 공급되어 정화되된다. 그리고, 출구(513)에 공기여과수단(700)을 연결하면 공기정화수단(500)에서 악취가 정화된 공기에서 재가 여과 되므로, 악취 및 재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공기여과수단(700)은 공기입구(711) 및 공기출구(713)가 형성되고 여과수가 충전되는 여과케이스(710)와, 여과케이스(7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여과수가 이동되게 하부에 하부홀(731) 및 중부에 중부홀(733)이 형성되고, 공기입구(711)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부에 상부홀(735)이 형성되는 수직벽(730)과, 중부홀(733)의 상부 및 여과케이스(710)의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여과수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평막(750)과, 공기입구(711)에서 수평막(750)의 하부까지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연장관(7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여과케이스(710)의 상부에는 마개(715)가 구비되어 여과수를 충전할 수 있고, 여과케이스(710)의 하부에는 드레인(717)이 형성되어 여과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정기간동안 사용된 여과수는 드레인(717)으로 배출되고 마개(715)를 제거하여 여과수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충전되는 여과수는 하부홀(731) 및 중부홀(733)에 이동되면서 여과케이스(710)에 충전되게 된다.
즉, 배기관(57b)이 공기입구(711)에 연결된 상태에서 폐열이 배출되면, 폐열에 포함된 배기가스가 연장관(712)을 통해 수평막(750)의 하부에 충전된 여과수에 공급되게 된다. 이어서, 배기가스는 여과수에서 여과되면서 상승되어 중부홀(733)을 통해 수직벽(730)을 통과하여 다시 수직벽(7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여과수에 여과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승되는 배기가스는 상부홀(735)을 통과하면서 공기출구(713)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공기출구(713)에는 여과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탄소섬유로 되는 필터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악취물질을 흡착하도록 흡착부재(535)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배기가스가 강제이동 되도록 공기입구(711) 또는 공기출구(713)에 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여과수단(700)을 통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재 등이 여과되어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파쇄한 후에 폐수를 제거하여서 소각하여 음식쓰레기의 배출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음식쓰레기가 많이 발생되는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파쇄수단
30 : 탈수수단
50 : 소각수단

Claims (27)

  1. 구동파쇄날(11)을 회전시키는 파쇄구동부(13)와, 파쇄구동부(11)의 동력을 피동파쇄날(1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로 구성되되, 구동파쇄날(11) 및 피동파쇄날(12)이 서로 마주되어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수단(10)과,
    상기 파쇄수단(10)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다지도록 파쇄수단(10)의 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복수개의 연결기어(110), 복수개의 연결기어(110)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개의 다짐기어(130), 복수개의 다짐기어(130) 각각의 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다짐부재(150)를 포함하는 다짐부(100)와,
    상기 파쇄수단(10)에서 파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부(31), 가압부(31)에서 가압된 음식쓰레기를 소각수단(50)으로 전송하는 전송부(33), 가압부(31)에서 가압된 음식쓰레기에서 탈수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폐수배출부(35), 상기 폐수배출부(35)에서 배출되는 폐수이 모여지는 트랩(32), 상기 트랩(32)에 모여진 폐수를 가열하는 폐수히터(34), 트랩(32)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열된 폐수이 배출되는 폐수관(39), 상기 트랩(32)에 모여진 폐수를 감지하여 상기 폐수히터(34)를 동작시키는 수위센서(WS)를 포함하는 탈수수단(30)과,
    상기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1)이 형성되는 소각실린더(53), 상기 소각실린더(53)의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55), 를 포함하는 소각수단(50)과,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파쇄수단(10)을 살균하도록 상기 소각실린더(53)에 형성되는 배기홀(57a) 및 상기 배기홀(57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파쇄수단(10)에 연결되는 배기관(57b)으로 구성되는 살균부(57)와,
    상기 소각실린더(53)에서 소각되는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60)와,
    상기 탈수수단(30)을 동작시키는 탈수구동부(20)의 동력을 교반부(60)에 연결하도록 탈수구동부(20)에 구비되는 동력구동기어(42), 교반부(60)에 구비되는 동력피동기어(44), 동력구동기어(42)와 동력피동기어(44)에 개재되는 체인(46)을 포함는 동력연결부(40)와,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탈수수단(30)이나 상기 전송부(33)를 예열하도록 탈수수단(30)이나 전송부(33)를 감싸면서 양단이 소각수단(50)에 연결되는 예열관으로 구성되는 예열부(90)와,
    상기 파쇄수단(10), 상기 탈수수단(30) 및 소각수단(50)을 동작시키는 동작버튼(81) 및 탈수수단(3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8)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38)에서 음식쓰레기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파쇄수단(10) 및 탈수수단(30)을 정구동 및 역구동을 반복시키는 제어부(80)와,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소각수단(50)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예열시키는 공기예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예열부(20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1),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213), 폐열이 유입되는 폐열유입구(215), 유입된 폐열이 배출되는 폐열배출구(217)가 형성되는 공기탱크(210) 및 상기 폐열유입구(215)로 유입된 폐열을 폐열배출구(217)로 안내하는 안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23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폐열유입구(215) 및 폐열배출구(217)가 공기탱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폐열유입구(215) 및 폐열배출구(217)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공기탱크(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판(231), 상판(231)과 공기탱크(210)의 상부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233), 상판(231)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공기탱크(210)의 저면과 이격되는 하판(235) 및 상판(231)과 하판(235)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안내관(23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각수단(50)에서 소각시 발생되는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정화수단(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수단(500)은 폐열이 입출되는 입구(511) 및 출구(513)가 형성되는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폐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흡착하는 악취흡착부(530) 및 상기 악취흡착부(530)에 흡착된 악취를 분해하는 악취정화부(550)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흡착부(530)는 회전부재(531), 회전부재(53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흡착케이스(533), 흡착케이스(533)에 착탈되는 흡착부재(535) 및 흡착케이스(533)에서 흡착부재(535)를 고정 및 해체하는 고정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재(535)는 제올라이트로 제조되어 다공채로 되는 광촉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540)는 상기 흡착케이스(533)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홈(541)에 마련된 탄성부재(543)에 지지되는 걸쇠(545)가 걸림힌지(547)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흡착부재(535)의 외측에 형성되는 해제홈(542)에 걸쇠(545)를 해제시키는 해제부재(544)가 해제힌지(546)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정화수단(500)은 상기 교반부(60)의 동력을 악취흡착부(5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를 더 포함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수단(50)은 내부압력이 소정압력이상으로 상승되면,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부(37)를 더 포함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33)는
    음식쓰레기가 이동되면 소각수단(50)의 내부를 개방하고, 음식쓰레기가 이동되지 않으면 소각수단(50)의 내부를 폐쇄하는 개폐부(DR)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DR)는
    개폐판(DR1)과,
    개폐판(DR1)의 일단 및 소각수단(50)의 내부 일측에 각각의 양단이 고정되는 핀스프링(DR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8)에서 음식쓰레기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파쇄수단(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70)을 더 포함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수단(50)을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00)는
    개폐부재(310)와,
    개폐부재(310)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가이드돌기(320)와,
    개폐부재(3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돌기(330)와,
    전방가이드돌기(320)와 후방가이드돌기(33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50)와,
    전방가이드돌기(320)를 왕복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교반부(6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610)와,
    악취흡착부(530)에 형성되는 피동베벨기어(630)와,
    구동베벨기어(610)의 동력을 피동베벨기어(630)에 연결하는 연결베벨기어(650)와,
    연결베벨기어(650)를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구동부(670)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동부(670)는
    구동베벨기어(610) 및 피동베벨기어(630)의 사이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연결실린더(671)와,
    연결실린더(671)에 삽입된 연결베벨기어(65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조인트(673)를 지지하면서 일단이 연결실린더(671)의 상단 일측에 걸쳐지는 후크부재(675)와,
    후크부재(675)의 중앙부분을 회전지지 하면서 연결실린더(671)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는 연결힌지(677)와,
    후크부재(675)의 타단을 연결실린더(671)의 일측에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부(679)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수단(50)의 폐열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여과수단(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여과수단(700)은
    공기입구(711) 및 공기출구(713)가 형성되고 여과수가 충전되는 여과케이스(710)와,
    여과케이스(7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여과수가 이동되게 하부에 하부홀(731) 및 중부에 중부홀(733)이 형성되고, 공기입구(711)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부에 상부홀(735)이 형성되는 수직벽(730)과,
    중부홀(733)의 상부 및 여과케이스(710)의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여과수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평막(750)과,
    공기입구(711)에서 수평막(750)의 하부까지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연장관(712)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00064580A 2010-07-06 2010-07-06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021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580A KR101021423B1 (ko) 2010-07-06 2010-07-06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580A KR101021423B1 (ko) 2010-07-06 2010-07-06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423B1 true KR101021423B1 (ko) 2011-03-14

Family

ID=4393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580A KR101021423B1 (ko) 2010-07-06 2010-07-06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4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628A2 (ko) * 2011-10-21 2013-04-25 Kim Du Hwan 식품분쇄장치
WO2013129767A1 (ko) * 2012-02-28 2013-09-06 코웨이 주식회사 도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형 가압장치
CN108144732A (zh) * 2016-12-05 2018-06-12 郑州狮虎磨料磨具有限公司 一种剩流粉碎装置
CN109335185A (zh) * 2018-12-04 2019-02-15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划包机
CN112337609A (zh) * 2020-11-09 2021-02-09 中海国弘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垃圾热解净化处理设备
CN116293705A (zh) * 2023-02-02 2023-06-23 江苏大鸿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多室蓄热式有机废气焚烧炉及其使用方法
CN117046211A (zh) * 2023-10-12 2023-11-14 广州飞特天源环境技术有限公司 基于多介质结合的复合式污水过滤装置及过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141B1 (ko) * 1998-03-17 2000-11-01 원혜영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598961B1 (ko) * 2004-10-12 2006-07-13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08903B1 (ko) * 2005-10-21 2007-04-18 장경애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141B1 (ko) * 1998-03-17 2000-11-01 원혜영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598961B1 (ko) * 2004-10-12 2006-07-13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08903B1 (ko) * 2005-10-21 2007-04-18 장경애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628A2 (ko) * 2011-10-21 2013-04-25 Kim Du Hwan 식품분쇄장치
WO2013058628A3 (ko) * 2011-10-21 2013-06-20 Kim Du Hwan 식품분쇄장치
WO2013129767A1 (ko) * 2012-02-28 2013-09-06 코웨이 주식회사 도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형 가압장치
CN104039469A (zh) * 2012-02-28 2014-09-10 豪威株式会社 门组合体以及包括门组合体的密闭型加压装置
CN108144732A (zh) * 2016-12-05 2018-06-12 郑州狮虎磨料磨具有限公司 一种剩流粉碎装置
CN109335185A (zh) * 2018-12-04 2019-02-15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划包机
CN112337609A (zh) * 2020-11-09 2021-02-09 中海国弘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垃圾热解净化处理设备
CN116293705A (zh) * 2023-02-02 2023-06-23 江苏大鸿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多室蓄热式有机废气焚烧炉及其使用方法
CN116293705B (zh) * 2023-02-02 2024-02-02 江苏大鸿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多室蓄热式有机废气焚烧炉及其使用方法
CN117046211A (zh) * 2023-10-12 2023-11-14 广州飞特天源环境技术有限公司 基于多介质结合的复合式污水过滤装置及过滤方法
CN117046211B (zh) * 2023-10-12 2024-01-30 广州飞特天源环境技术有限公司 基于多介质结合的复合式污水过滤装置及过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423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N109203545B (zh) 一种有机固废垃圾的无害化处理装置
US8927266B2 (en) Garbage separating apparatus and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WO2005073136A1 (en) Night-soil treatment apparatus
KR101211106B1 (ko) 가열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137095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5007282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20134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및 잔존하는 고형물 처리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CN217628075U (zh) 一种城市污泥处理系统
CN112495996A (zh) 一种具有干湿分类处理机构的垃圾处理装置
KR10113684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및 잔존물 처리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CN114849340A (zh) 一种用于生活垃圾处理的固液气分离装置
KR101169711B1 (ko) 살균 건조장치
CN214840841U (zh) 一种用于医疗垃圾的处理装置
KR2009012257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09752999U (zh) 一种具有防止异味扩散功能的垃圾粉碎机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2520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1019970A (ja) 炭化装置
KR101079253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생 및 소각시스템
KR1010674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CN216584639U (zh) 处理农村生活污水的人工湿地装置
JP2000334419A (ja) し尿と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