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96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961B1
KR100598961B1 KR1020040081509A KR20040081509A KR100598961B1 KR 100598961 B1 KR100598961 B1 KR 100598961B1 KR 1020040081509 A KR1020040081509 A KR 1020040081509A KR 20040081509 A KR20040081509 A KR 20040081509A KR 100598961 B1 KR100598961 B1 KR 10059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utting
housing
dewatering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063A (ko
Inventor
박봉수
Original Assignee
박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수 filed Critical 박봉수
Priority to KR102004008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9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내설된 절단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잘게 파쇄 절단시킬 수 있으며,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탈수 시키는 동안 건조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압축 탈수에 의해 발생되는 오수를 증발 및 냉각시스템에 의해 정화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호퍼의 하단 일측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쇄 절단 수단과, 상기 파쇄 절단수단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됨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 압축시켜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는 동안 건조시키도록 상기 압축스크류의 일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건조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정화정수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콘트롤부의 제어에 따른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수단과, 파쇄 절단수단 및 탈수 수단의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 구비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ISPOSAL APPARATUS FOR FOOD AND DRINK WAS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수단과 파쇄절단수단 및 탈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파쇄절단수단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수단과 건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정화정수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처리장치 12 ; 콘트롤부
14 ; 프레임 및 하우징 16 ; 호퍼
20 ; 이송수단 30 ; 파쇄절단수단
40 ; 탈수수단 50 ; 건조수단
60 ; 정화정수수단 70 ; 구동모터
80 ; 동력전달수단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킨 후, 탈수 압축시키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압축 탈수에 의해 발생되는 오수를 자동 정화시켜 정수처리 가능하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는 쓰레기의 하나로, 그 많은 량을 무공해로 신속히 처리하는 문제와 수분함량이 비교적 높아서 부패시 심한 악취와 함께 발생된 오수 처리문제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방안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므로 이를 위해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출시되고 방법을 찾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호퍼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단부 호퍼의 하단에 구비된 한쌍의 절단용롤러가 구동모터로부터 벨트를 통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용롤러에 의해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외주면에 이송용날을 갖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 이송되면서 절다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시키게 된다.
그러나, 쓰레기 자동공급장치가 없는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해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쌍의 절단롤러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절단하게 수평배열되었으므로 절단롤러에 무인연속공급이 불가능하고 호퍼에 많은 량의 급수를 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선별 공급하는 문제와 일시에 많은 량의 쓰레기 처리가 불가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고르게 절단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처리수단이 없어 하수구로 배출시 주방 하수구의 막힘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펀칭망 스트레나(필터) 등 기타의 간이식 방법이 있다하더라도 별도로 구비하여 설치된 정화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추가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절단롤러 구성방식과 방법 및 단순압축탈수의 기존방식과 방법에 따라 탈수가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는 완전한 탈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게 됨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가 쉽게 부패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내설된 절단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잘게 파쇄 절단시킬 수 있으며, 파쇄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탈수시키는 동안 건조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써 압축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압축 탈수에 의해 발생되는 오수를 증발 및 냉각시스템에 의해 정화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 일측에 복수개의 조작버튼을 갖는 콘트롤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가능하도록 장,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렉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용 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단 일측에 일부가 내측에 수용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쓰레기 자동공급장치에 의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방향과 속도에 의해 2회 파쇄 절단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쇄 절단수단과, 상기 파쇄 절단수단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일측으로 압축시켜 탈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는 동안 건조시키도록 상기 탁수수단의 일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건조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정화정수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콘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수단과, 파쇄절단수단 및 탈수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탈수수단에 일단이 연통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되, 일면이 소정량 더 연장된 중공의 고정용 기둥부재 일면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용 회전축과, 상기 이송용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 구비되는 이송용 스프로킷 휠과, 상기이송용 회전축의 타단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그 일면에는 상기 호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에 의한 하향이동 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버킷부를 갖는 이송용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파쇄절단수단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됨에 따라 절단 시키도록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에 베어링을 각각 양단에 끼움시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하여 삼각형상으로 배설되되, 대략 30°내지 60°각도를 갖도록 상향 경사진 제1,2,3 파쇄절단용 축과, 상기 제1,2,3 파쇄절단용 축 상에 각각 그 양단이 고정용 파쇄절단하우징 기둥부재에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 구비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파쇄절단용축의 그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키기 위한 제1,2,3절단용 날이 형성된 제1,2,3 파쇄절단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절단용 축은 일단에 절단용 스프로킷 휠이 갖추어지고, 타단은 다단형의 제1,2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절단용 축은 축의 상단에 구비되고, 일단에는 상기 제2기어부와 기어물림되어 회전되도록 대기어부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용 스프로킷 휠측으로 체인을 매개로 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 휠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3절단용 축은 제1절단용 축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단에는 제1기어부와 기어물림되어 회전되도록 소기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절단부재는 그 외주면에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회전 반대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된 제1절단용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절단부재는 외주면에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절단용날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된 제2절단용날이 형성되며, 상기 제3절단부재는 외주면에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절단용날과 동일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된 제3절단용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쇄절단수단의 제1,2,3 파쇄절단용 축은 제2 파쇄절단용 축에 대해 제1,3파쇄절단용 축은 1 : 2.5 : 6의 회전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에는 상기 절단수단으로부터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의 일단을 삽입 안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부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배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플랜지부를 갖는 원통형의 제1탈수용 하우징과,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의 플랜지부에 볼트를 매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압축 탈수에 의한 오수를 배출하기우한 제2배출구를 갖는 제2탈수용 하우징으로 이분할 형성된 탈수용 하우징과,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의내측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으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탈수용 스프로킷 휠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이 비접촉되게 내설됨과 아울러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나산형으로 1차 이송용 스크류날을 갖는 중공의 1차 탈수부재와,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 그리고 상기 1차 탈수부재의 후단부와 일단이 비접촉되게 내설되고, 외주면에는 나산형으로 2차 이송용 스크류날을 갖는 중공의 2차 탈수부재와, 상기 1,2차 탈수부재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1차 탈수부재의 알단보다 더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되, 상기 2차 탈수부재와는 연결키를 매개로 연결됨과 아울러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2탈수용 스프로킷 휠을 갖는 탈수용 회전축과, 상기 제1,2탈수용 하우징의 제1,2배출구를 막음하여 오수만 배출시키기 위한 다공의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는 다수의 홀이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대응되는 부위만 천공되되, 상기 홀은 음식물 쓰레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그 직경이 1~1.5㎜로 형성되고, 상기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1,2차탈수부재의 1,2차 이송용 스크류날 끝단과의 간극은 0.5~1㎜로 이격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탈수수단의 일부를 오수가 배출가능하게 고정 감싸며, 내부에는 열전달용 매체를 누유방지가능하게 충진시켜 구비되는 건조용 하우징과, 상기 건조용 하우징에 충진된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하기 위해 일단이 건조용 하우징에 누유방지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트롤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정수수단은, 상기 탈수수단의 구동에 의해 배출된 오수를 저장하도록 상부에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필터링시키기 위한 다공의 필터부재가 장,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 수용된 오수를 호스를 통하여 내부로 저장하되, 내부에는 오수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한 수위레벨용 센서를 갖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출구측에 상기 수위레벨용 센서의 센싱된 값에 의해 콘트롤수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오수펌프와, 상기 오수펌프의 구동에 대응되게 압송되는 오수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이분할 형성되되, 하부에는 열전달용 매체가 충진됨과 아울러 이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하기 위해 콘트롤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재가 내설된 가열조와, 상기 가열조의 상부에 오수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조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오수가 기화됨에 따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기화조를 갖는 분할체와, 상기 기화조의 상부에는 배출구와 그 저면이 연통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정수배출구를 갖추어 기화조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보다 신속하게 응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냉각시스템으로부터 연결된 냉각파이프를 도관시켜 구비되는 응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갖추어진 복수개의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휠과,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휠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절단수단과 탈수수단측으로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공급장치가 파쇄절단수단부로 연속 공급하여 파쇄절단하고,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시키며, 압축 탈수되는 동안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압축 탈수에 의해 발생된 오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전면 일측에 복수개의 조작버튼을 갖는 콘트롤부(12)가 구비된 프레임 및 하우징(14)과,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상부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 가능하도록 장,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호퍼(16)와, 상기 호퍼(16)의 하단 일측에 일부가 내측으로 수용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병목현상 방지 가능하게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수단(2)과, 상기 이송수단(20)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방향과 속도에 의해 2회 파쇄 절단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쇄절단수단(30)과, 상기 파쇄절단수단(30)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 압축시켜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수단(40)과, 상기 탈수수단(4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는 동안 건조시키도록 상기 이송 압축스크류의 일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건조수단(50)과, 상기 탈수수단(4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정화정수수단(60)과,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따른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7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수단(20)과, 파쇄절단수단(30)과, 탈수수단(40)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에는 상기 탈수수단(40)을 고정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닥면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부재(15)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16)는 상부에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간으하게 구비되는 도어(16a)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는 개구되되, 내부 일측면은 상기 이송수단(20)측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축적되도록 경사면 (16b)이 형성된다.
상기한 이송수단(20)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6)측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에 다른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파쇄절단수단(30)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탈수수단(40)에 일단이 연통가능하게 삽입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일면은 더 연장된 고정용 기둥부재(202)의 연장면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용 회전축(204)과, 상기 이송용 회전축(204)의 일단에 고정 구비되는 이송용 스프로킷 휠(206)과, 상기 이송용 회전축(204)의 타단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그 일면에는 상기 호퍼(16)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에 의한 하향이동 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버킷부(208)를 갖는 이송용 고정판(21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의 상부에는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 후에 물을 분사시켜 구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파쇄절단수단(30)과 탈수수단(40)에 부착된 잔여 음식물을 제거하도록 콘트롤부(12)의 제어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미도시된 분사노즐을 갖는 세척수저장부(90)가 구비된다.
상기한 파쇄절단수단(30)은 버킷부(208)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됨에 따라 파쇄절단시키도록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 202a)에 베어링을 각각 양단에 끼움시켜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대하여 삼각형상으로 배설되되, 대략 30°내지 60°각도를 갖도록 경사진 제1,2,3 파쇄 절단용 축(310, 320, 330)과, 상기 제1,2,3 파쇄절단용 축(310, 320, 330)상에 교체가능하도록 각각 그 양단이 고정용 볼트, 너트를 매개로 고정 구비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그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키기 위한 제1,2,3 파쇄절단용 날(314a, 323a, 332a)이 형성된 제1,2,3 파쇄절단부재(314, 323, 33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절단용 축(310)은 일단에 동력전달수단(80)으로부터 동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절단용 스프로킷 휠(311)이 갖추어지고, 타단은 다단형의 제1,2기어부(312,313)가 구비되며, 제1절단부재(314)의 외주면에는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하는 동안 부하방지를 위해 회전 반대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된 제1절단용 날(31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절단용 축(320)은 제1절단용 축(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일단에는 제2기어부(313)와 기어물림되어 회전되도록 대기어부(3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이송수단(20)의 이송용 스프로킷 휠(206)측으로 체인(322a)을 매개로 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 휠(322)이 구비되며, 제2절단부재(323)의 외주면에는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절단용 날(314a)에 반대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 된 제2절단용 날(323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절단용 축(330)은 제1절단용 축(3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단에는 제1기어부(312)와 기어물림되어 회전되도록 소기어부(331)가 구비되고, 제3절단부재(332)의 외주면에는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절단용 날(323a)과 동일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 된 제3절단용 날(3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파쇄절단수단(30)의 제1,2,3절단용 축(310,320,330)은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파쇄 절단시키기 위해 제2절단용 축(320)에 대해 제1,3절단용축(310,330)은 1 : 2.5 : 6의 회전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절단부재(314)의 일단으로부터 대략 1/3되는 제1절단용 날 (314a)의 일측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일측으로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분할되어 결합됨에 따른 환형상의 분리판(315)이 용접등과 같은 방법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315)의 구비됨에 따른 다른 제1절단용날(314)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되, 상기 제1절단용 날(314a)의 끝단보다 소정량 더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3절단부재(323,332)의 외주면에는 분리판(315)에 대응되는 홈이 요설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제1,2,3절단용 날(314a,323a,332a)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 물림되어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2,3절단용 날 (314a,323a,332a)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스크레이퍼(399,399')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절단수단(30)은 대략 30°내지 60°각도로 설치 가능하나, 장치의 부하 등을 고려하여 대략 45°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탈수수단(40)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에는 상기 파쇄절단수단(30)으로부터 파쇄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11a)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배출구(411b)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플랜지부(411c)를 갖는 원통형의 제1탈수용 하우징(411)과,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플랜지부에 볼트를 매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플랜지부(412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압축탈수에 의한 오수를 배출하기위한 제2배출구(412b)를 갖는 제2탈수용 하우징(412)으로 이분할 형성된 탈수용 하우징(410)과,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내측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동력전달수단(8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탈수용 스프로킷 휠(421)을 갖는 회전부재(420)와,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이 비접촉되게 내설됨과 아울러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420)에 고정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나산형으로 1차 이송용 스크류날(430a)을 갖는 중공의 1차 탈수부재(430)와,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 그리고 상기 1차 탈수부재(430)의 후단부와 일단이 비접촉되게 내설되고, 외주면에는 나산형으로 2차 이송용 스크류날 (440a)을 갖는 중공의 2차 탈수부재(440)와, 상기 1,2차탈수부재(430,440)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1차 탈수부재(430)의 일단보다 더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되, 상기 2차 탈수부재(440)와는 연결키(451)을 매개로 연결되과 아울러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8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2탈수용 스프로킷 휠(452)을 갖는 탈수용 회전축(450)과, 상기 제1,2탈수용 하우징(411,412)의 제1,2배출구(411b,412b)를 막음하여 오수만 배출시키기 위한 다공의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가 구비된다.
상기 1,2차 탈수부재(430,44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1,2차 이송용 스크류날(430a, 440a)의 끝단부, 즉, 뿌리부는 1,2차 탈수부재(430,4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나선되어 진다.
상기 2차 이송요 스크류날(440a)은 후단으로 갈수록 날의 간격이 근접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2차 이송용 스크류날(440a)의 후단 일부는 축경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는 다수의 홀이 상기 제1,2배출구(411b,412b)에 대응되는 부위만 천공되되, 상기 홀은 음식물 쓰레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그 직격이 1~1.5㎜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의 내주면과 상기 1,2차 탈수부재(430,440)의 1,2차 이송용 스크류날(430a, 440a) 끝단과의 간극은 0.5~1㎜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오수배출용 망부재(460)는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내주면과 동일한 내주면을 갖도록 브라켓(461)을 매개로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오수배출용 망부재(470)는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원기둥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내경은 제2오수배출용 망부재(470)가 삽입됨에 따른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일단 내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오수배출용 망부재(470)가 제2탈수용 하우징(412)에 삽입시 전방 즉,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내측으로 밀림됨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용 단턱부(411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후단 즉, 제1탈수용 하우징(411)과 결합되는 타단 내측으로는 상기 제2오수용 망부재(4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제2오수용 망부재(470)를 가압시키기 위한 절취된 가압면(480a)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2차 이송용 스크류날(440a)의 축경된 날과의 간극을 보정하도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 (480b)을 갖는 이탈방지편(480)이 구비된다.
또한, 제1,2탈수용 하우징(411,412)의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출탈수에 따른 오수를 상기한 정화정수수단(60)측으로 가이드시키기 위한 배출용 홈통(49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탈수용 회전축(450)의 끝단면에는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2차 탈수부재(440)를 통하여 압축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 체측으로 절단된 채 저장되도록 절단용 부재(495)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절단용 부재(495)의 후단부에 근접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프레임 및 하우징(14)에 고정되는 모터(9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팬(94)이 구비된다.
상기한 건조수단(5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도니 바와 같이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플랜지부(412a)와 접촉되는 플랜지부(510a)를 갖추어 외주면을 오수가 배출가능하게 고정 감싸며, 내부에는 열전달용 매체, 예컨대 오일 등을 누유방지가능하게 충전시켜 구비되는 건조용 하우징(510)과, 상기 건조용 하우징(510)에 충전된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하기위해 일단이 건조용 하우징(510)에 누유방지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트롤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건조용 하우징(510)은 길이 방향 이분할 형성되어 열전달용 매체의 충전시 누출되지 않도록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용 하우징(510)의 외주면에는 열전달용 매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유입부(510a)가 형성되고, 이 유입부(510a)에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열전달용 매체의 교환을 위한 개폐밸브를 갖는 배출부(510b)가 갖추어진다.
상기한 정화정수수단(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수단(40)의 구동에 의해 배출된 오수를 저장하도록 배출용 홈통(490) 하부에 구비되되, 상부에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필터링시키기 위한 다공의 필터부재(611)가 장,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집부(610)와, 상기 포집부(610)에 수용된 오수를 호스를 통하여 내부로 저장하되, 내부에는 오수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한 수위레벨용 센서(621)를 갖는 저장부(620)와, 상기 저장부(620)의 출구측에 상기 수위레벨용 센서(621)의 센싱값에 따른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오수펌프(630)와, 상기 오수펌프(630)의 구동에 대응되게 압송되는 오수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이분할 형성되되, 하부에는 열전달용 매체가 충전됨과 아울러 이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하기위해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재(641a)가 내설된 가열조(641)와, 상기 가열조(641)의 상부에 오수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조(64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오수가 기화됨에 따른 배출시키도록 배출구(642a)가 상부에 형성된 기화조(642)를 갖는 분할체(6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기화조(642)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642a)와 연통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정수배출구(650a)를 갖추어 기화조(642)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보다 신속하게 응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외부 일측에 부설된 공지의 냉각시스템(660)으로부터 연결된 냉각파이프(650b)를 도관시킨 응축부(6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할체(640)의 가열조(641)와, 건조장치(50)의 건조용 하우징(510)은 그 외주에 외기와의 열교환을 방지하기위해 외주면에 단열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동력전달수단(8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축(70a)에 갖추어진 복수개의 동력전달용 스프로킷휠(70b,70c,70d)과,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휠(70b,70c,70d)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절단수단(30)과 탈수수단(40)측으로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체인(810,820,8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80)에는 상기 체인(810,820,830)에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복수개의 오토텐셔너(8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80)은 스프로킷 휠과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예컨대, 벨트 또는 기어로도 구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사용하게 되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전면에 구비된 콘트롤부(12)의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구비된 구동모터(70)가 구동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70)의 구동으로 탈수수단(40)과, 파쇄절단수단(30) 그리고 호퍼(16)의 하단부에 구비된 이송수단(20)이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축(70a)에 구비된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휠(70b,70c,70d)에 체인(820,830,810) 연결된 파쇄절단수단(30)의 제1절단용 축(310)의 일단에 구비된 절단용 스프로킷 휠(311)과, 탈수수단(40)의 제1,2탈수용 스프로킷 휠(421,452)로 전달됨에 따른 파쇄절단수단(30)의 제1,2,3절단용 축(310,320,330)이 구동하게 되고, 탈수수단(40)의 1,2차 탈수부재(430,440)가 구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파쇄절단수단(30)의 제2절단용 축(320)에 구비된 스프로킷 휠(322)과 체인(322a) 연결에 따른 이송수단(20)이 구동되어 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16a)를 개방하여 호퍼(16)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키게 되면, 구동축(204)은 스프로킷(206)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이송수단(20)의 버킷부(208)가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절단수단(30)측으로 하향 이송시키게 된다.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고정용 기둥부재(202)에 베어링을 그 양단에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쇄절단수단(30)의 제1절단부재(314)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판(315)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면서 제1절단용 축(310)의 후단에 갖추어진 제1,2기어부(312,313)와 기어 물림됨에 따른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함과 동시에 외주면에 제2,3절단용 날(323a, 332a)과 반대방향으로 비틀림 형성된 제1절단용 날 (314a)을 갖는 파쇄절단수단(30)의 제1,2,3절단부재(314,323,332)에 의해 2회 파쇄 및 절단되어 진다.
즉, 파쇄절단수단(30)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1절단용 축(310)의 전단부로부터 대략 1/3되는 외주면에 구비된 분리판(315)에 의해 일측, 즉 하부측으로 포집되지 않고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상기 제1,2절단부재(314,3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2절단용 날(314a, 323a)에 의해 1차로 잘게 파쇄 절단되고,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다시 제1,3전달부재(314,332)의 제1,3절단용 날(314a, 332a)에 의해 재파쇄 절단되어 완전한 파쇄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3절단부재의 제1,2,3절단용 날에 의해 파쇄 절단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레이퍼(399,399')에 의해 상기 날에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상기 제1,3전달부재(314,332)의 제1,3절단용 날(314a,332a)에 의해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파쇄절단수단(30)과 동일하게 평행으로 하부에 병설되어 그 수용부(411a)가 고정용 기둥부재(202,202a)파쇄절단수단 하우징의 일단을 삽입시켜 볼트로 고정된 탈수수단(40)의 제1탈수용 하우징(411)에 형성된 수용부(411a)로 수용되어 진다.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수용부(411a)로 수용된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하는 회전부재(420)에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는 1차 탈수부재(430)의 외주면에 형성된 1차 이송용 날(430a)에 의해 2차 탈수부재(440)측으로 탈수 이송되고,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2차 탈수부재(440)의 외주면에 형성된 2차 이송용 날(440a)에 의해 더욱 압축되면서 완전 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후단부로 갈수록 2차 탈수부재(440)의 외주면에 형성된 2차 이송용 날 (440a)의 간격이 근접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축경되어 형성되고, 이탈방지편(480)에 의한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내경 또는 축경됨으로 인해 압축 이송되는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더욱 압축되면서 완전한 탈수가 이루어져 탈수용 회전축(450)에 구비된 절단용 부재(495)에 의해 절단 된 채 수용체에 수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탈수용 하우징(412)을 압축 통과하는 동안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을 열전달용 매체를 충전시켜 감싸며 내부로 가열부재(520)가 내설된 건조수단(50)에 의해 건조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탈수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는 동안 발생된 오수는 탈수용 하우징(410)에 제1,2탈수용 하우징(411,412)에 형성된 제1,2배출구(411b, 412b)를 막음하고 있는 제 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를 통하여 정화정수수단(50)의 포집부(610)에 포집되어 진다.
이때, 오수는 포집부(610)의 상부에 구비된 다공의 필터부재(611)에 필터링 되면서 포집되어 이의 포집부(610)와 호스 연결된 저장부(62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저장부(620)로 오수가 저장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용 센서(621)가 센싱하게 되고, 센싱된 값에 대응되게 콘트롤부(12)의 제어에 의한 오수펌프(630)가 동하게 된다.
상기 오수펌프(630)의 구동으로 오수는 분할체(640)의 기화조(641)로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는 열전달용 매체가 충전되고, 이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641a)가 내설된 가열조(64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며, 증발된 증기는 냉각파이프(650b)가 도관된 응축부(650)내에서 응축되어 정수배출구(650a)를 통하여 배출되어 진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는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일측면상부에 모터(92)에 의해 구동하는 팬(94)이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자동공급장치 이송수단에 의해 파쇄절단수단에 연속 공급되고 그 내용물은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내설된 파쇄절단수단에 의해 보다 잘게 절단되고,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다시 탈수수단에 의해 탈수됨과 동시에 건조수단을 통하여 건조되므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보다 잘게 절단시킬 수 있고, 시간경과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가 쉽게 부패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처리장치의 탈수수단에 의해 발생된 오수는 정화정수수단을 통하여 정화시켜 배출시키게 되므로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오수를 정화시켜 처리하는 정화정수수단과 건조수단에 의해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뿐만 아니라 농, 수, 축산물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 비용의 작은 기계시설로 편하고 완벽하게 많은량의 식생활 쓰레기들을 짧은 시간에 처리하는 저비용 고효율의 소비자 만족과 환경친화적 기계설비 장치로서 쓰레기 환경오염 방지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전면 일측에 복수개의 조작버튼을 갖는 콘트롤부(12)가 구비된 프레임 및 하우징(14)과, 하우징(14)의 상부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 가능하도록 장,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호퍼(16)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호퍼(16)의 하단 일측에 일부가 내측에 수용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산(20)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방향과 속도에 의해 2회 파쇄 절단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쇄 절단수단(30)과;
    상기 파쇄절단수단(30)과 평행되게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일측으로 압축시켜 탈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탈수수단(40)과;
    상기 탈수수단(4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는 동안 건조시키도록 상기 탈수수단(40)의 일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건조수단(50)과;
    상기 탈수수단(4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정화정수수단(60)과;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따라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7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수단(20)과, 파쇄절단수단(30) 및 탈수수단(40)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에는 상기 탈수수단(40)을 고정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닥면에 고정되게 고정부재(15)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일측면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하우징(14)에 고정되는 모터(92)에 의해 회전가능한 팬(9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탈수수단(40)에 일단이 연통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되, 일면이 소정량 더 연장된 중공의 고정용 기둥부재(202) 일면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용 회전축(204)과, 상기 이송용 회전축(204)의 일단에 고정 구비되는 이송용 스프로킷 휠(206)과, 상기 이송용 회전축(204)의 타단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그 일면에는 상기 호퍼(16)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에 의한 하향 이동 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버킷부(208)를 갖는 이송용 고정판(2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의 일측면 중간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절단에 따른 잔여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도록 세척수의 분사 가능한 분사노즐을 갖는 세척수 저장부(9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절단수단(30)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됨에 따른 절단시키도록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와(202a)에 베어링을 각각 양단에 끼움시켜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대하여 삼각형상으로 배설되되, 대략 30°내지 60°각도를 갖도록 상향경사진 제1,2,3절단용 축(310,320,330)과, 상기 제1,2,3절단용 축(310,320,330) 상에 각각 그 양단이 고정용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 구비되도록 중공을 형성되되, 그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키기 위한 제1,2,3절단용 날 (314a,323a,332a)이 형성된 제1,2,3절단부재(314,323,3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용 축(310)은 일단에 절단용 스프로킷 휠(311)이 갖추어지고, 타단은 다단형의 제1,2기어부(312,31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절단용 축(320)은 제1절단용 축(3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일단에는 상기 제2기어부(313)와 기어물림되어 회전되도록 대기어부(32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이송수단(20)의 이송용 스프로킷 휠(206)측으로 체인(322a)을 매개로 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 휠(322)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3절단용 축(330)은 제1절단용 축(3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단에는 제1기어부(312)와 기어물림 되어 회전되도록 소기어부(3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부재(314)는 그 외주면에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회전 반대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 된 제1절단용날(3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절단부재(323)는 외주면에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절단용날(314a)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 된 제2절단용날(3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3절단부재(332)는 외주면에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절단용날(323a)과 동일방향으로 대략 12°각도로 비틀림 된 제3절단용날(33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제1,2,3절단용날(314a,323a,332a)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시 물림되어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399,399')가 상기 제1,2,3절단용날(314a,323a,332a)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비접촉 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절단수단(30)의 제1,2,3파쇄절단용 축(310,320,330)은 제2파쇄절단용 축(320)에 대해 제 1,3파쇄절단용 축(310,330)은 1 : 2.5 : 6의 회전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부재(314)의 일단으로부터 대략1/3되는 제1절단용 날(314a)의 일측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일측으로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분할 되어 결합됨에 따른 환형상의 분리판(31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40)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에는 상기 파쇄절단수단(30)으로부터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용 기둥부재(202)의 일단을 삽입 안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부(411a)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배출구(411b)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플랜지부(411c)를 갖는 원통형의 제1탈수용 하우징(411)과,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플랜지부에 볼트를 매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플랜지부(412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압축 탈수에 의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412b)를 갖는 제2탈수용 하우징(412)으로 이분할 형성된 탈수용 하우징(410)과,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내측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8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탈수용 스프로킷 휠(421)을 갖는 회전부재(420)와,
    상기 제1탈수용 하우징(411)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이 비접촉되게 내설됨과 아울러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420)에 고정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나산형으로 1차 이송용 스크류날(430a)을 갖는 중공의 1차 탈수부재(430)와,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내주면과 그 외주면 그리고 상기 1차 탈수부재(430)의 후단부와 일단이 비접촉되게 내설되고, 외주면에는 나산형으로 2차 이송용 스크류날(440a)을 갖는 중공의 2차 탈수부재(440)와,
    상기 1,2차 탈수부재(430,440)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1차 탈수부재(430)의 일단보다 더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되, 상기 2차 탈수부재(440)와는 축에 연결키(451)를 매개로 연결됨과 아울러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8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2탈수용 스프로킷 휠(452)을 갖는 탈수용 회전축(450)과,
    상기 제1,2탈수용 하우징(411,412)의 제1,2배출구(411b,412b)를 막음하여 오수만 배출시키기 위한 다공의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이송용 스크류날(430a,440a)의 끝단부(뿌리부)는 1,2차 탈수부재(430,4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어 나선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이송스크류날(430a)은 후단으로 갈수록 날과 날의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2차 이송용 스크류날(440a)은 후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근접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접차 축경된 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는 다수의 홀이 제1배출구(411b)와 제2배출구(412b)에 대응되는 부위만 천공되되, 상기 홀은 음식물 쓰레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그 직경이 1~1.5㎜로 형성되고, 상기 제1,2오수배출용 망부재(460,470)의 내주면과 상기 1,2차탈수부재(430,440)의 1,2차 이송용 스크류날(430a,440a) 끝단과의 간극은 0.5~1㎜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1오수용 망부재(460)는 스크류 하우징 파이프 하면에 고정되고, 제2오수용 망부재(470)는 이탈방지편(480)과 고정 연결되어 분리 독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편(480)은, 상기 제2탈수용 하우징(412)의 후단 내측으로 상기 제2오수용 망부재(4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단 외주면에 제2오수용 망부재(470)를 가압시키기 위한 절취된 가압면(480a)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2차 이송용 스크류날(440a)의 축경된 날과의 간격을 보정하도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480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용 회전축(450)의 끝단면에는 상기 2차 탈수부재(440)를 통하여 압축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체측으로 절단된 채 저장되도록 절단용부재(49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조수단(50)은,
    상기 탈수수단(40)의 일부를 오수가 배출가능하게 고정 감싸며, 내부에는 열전달용 매체를 누유방지가능하게 충전시켜 구비되는 건조용 하우징(510)과, 상기 건조용 하우징(510)에 충전된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하기 위해 일단이 건조용 하우징(510)에 누유방지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재(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 하우징(510)의 외주면에는 열전달용 매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유입부(510a)가 형성되고, 이 유입부(510a)에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열전달용 매체의 교환을 위한 개폐밸브를 갖는 배출부(510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정수수단(60)은,
    상기 탈수수단(40)의 구동에 의해 배출된 오수를 저장하도록 상부에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필터링시키기 위한 다공의 필터부재(611)가 장,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집부(610)와, 상기 포집부(610)에 수용된 오수를 호스를 통하여 내부로 저장하되, 내부에는 오수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한 수위레벨용 센서(621)를 갖는 저장부(620)와, 상기 저장부(620)의 출구측에 상기 수위레벨용 센서(621)의 센상값에 따른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오수펌프(630)와, 상기 오수펌프(630)의 구동에 대응되게 압송되는 오수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이분할 형성되되, 하부에는 열전달용 매체가 충전됨과 아울러 이 열전달용 매체를 가열하기 위해 콘트롤부(12)의 제어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재(641a)가 내설된 가열조(641)와, 상기 가열조(641)의 상부에 오수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조(641)로 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오수가 기화됨에 따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642a)가 상부에 형성된 기화조(642)를 갖는 분할체(640)와, 상기 기화조(642)의 상부에는 배출구(642a)와 그 저면이 연통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정수배출구(650a)를 갖추어 기화조(642)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보다 신속하게 응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냉각시스템(660)으로부터 연결된 냉각파이프(650b)를 도관시켜 수비되는 응축부(6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80)은,
    상기 프레임 및 하우징(14)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70)의 구동축(70a)에 갖추어진 복수개의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휠(70b,70c,70d)과,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휠(70b,70c,70d)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절단수단(30)과 탈수수단(40)측으로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체인(810,820,830)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40081509A 2004-10-12 2004-10-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9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09A KR100598961B1 (ko) 2004-10-12 2004-10-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09A KR100598961B1 (ko) 2004-10-12 2004-10-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79U Division KR200331348Y1 (ko) 2003-08-01 2003-08-0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063A KR20050019063A (ko) 2005-02-28
KR100598961B1 true KR100598961B1 (ko) 2006-07-13

Family

ID=3722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509A KR100598961B1 (ko) 2004-10-12 2004-10-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9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27B1 (ko) * 2007-04-05 2008-11-04 홍창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021423B1 (ko) * 2010-07-06 2011-03-14 (주) 영창테크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188338B1 (ko) 2012-03-12 2012-10-09 이동언 음식물처리기의 압축탈수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36B1 (ko) * 2006-10-31 2007-08-28 (주)황토가좋은사람들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2510B1 (ko) * 2006-11-02 2008-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3322B1 (ko) *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GB201018150D0 (en) 2010-10-27 2010-12-08 Cathcart Jeremy J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KR101020458B1 (ko) * 2010-12-15 2011-03-08 장성산업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61864B1 (ko) * 2018-08-17 2019-03-26 남윤종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CN110723993B (zh) * 2019-09-26 2022-05-06 广州市凯卫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湿垃圾制取有机肥系统
KR102387985B1 (ko) * 2021-06-20 2022-04-18 강광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5634903B (zh) * 2022-12-23 2023-03-31 新乡市中天星火机械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均匀理料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27B1 (ko) * 2007-04-05 2008-11-04 홍창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021423B1 (ko) * 2010-07-06 2011-03-14 (주) 영창테크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188338B1 (ko) 2012-03-12 2012-10-09 이동언 음식물처리기의 압축탈수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063A (ko)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9896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6494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3134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00265B1 (ko) 음식물쓰레기의처리장치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99424A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20090033575A (ko)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137934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234880B1 (ko) 수분제거기능을 갖는 식품처리장치
JP4693274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745458B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
KR20050099423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18250B1 (ko) 슬러지의 탈수 및 배출장치
KR200211904Y1 (ko) 슬러지 처리장치
KR1002799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700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0115012Y1 (ko) 오물처리장치
KR20090073392A (ko)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269851Y1 (ko) 음식잔재물 처리용 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