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98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985B1
KR102387985B1 KR1020210079680A KR20210079680A KR102387985B1 KR 102387985 B1 KR102387985 B1 KR 102387985B1 KR 1020210079680 A KR1020210079680 A KR 1020210079680A KR 20210079680 A KR20210079680 A KR 20210079680A KR 102387985 B1 KR102387985 B1 KR 10238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hamber
space
water purification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광호
Original Assignee
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광호 filed Critical 강광호
Priority to KR102021007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05Mixers using radiation, e.g.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to mix the material
    • B01F33/054Mixers using radiation, e.g.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to mix the material the energy being in the form of a laser to modify the characteristics or conditions of the products, e.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05Mixers using radiation, e.g.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to mix the material
    • B01F33/055Mixers using radiation, e.g.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to mix the material the energy being particle radiation working on the ingredients or compositions for or during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개구된 상방으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부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교반공간을 가지며, 하측면에 상기 부산물을 걸러주는 거름망이 설치된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교반실; 상기 교반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건조공간을 가지는 건조실;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정수공간을 가지는 정수실;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교반축; 상기 교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축과 결합되어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부산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봉; 상기 교반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봉을 기준으로 상기 교반축의 양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분쇄하는 복수의 교반날개; 상기 건조공간에 배치되며 일측면과 반대측면이 개방된 가열공간을 가지며 열을 제공하는 히터;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촉매기; 일단이 상기 교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촉매기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실의 유체 상기 촉매기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연결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촉매기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정수실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기를 경유한 유체가 상기 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악취, 오수 등 함유)를 연결관을 통해 히터, 촉매기 및 정수실을 경유하도록 하여 상기 수증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점 등에서 조리 과정 중에 식재료로부터 발생하는 쓰레기와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말하며, 생활 폐기물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처리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가 실시되고 있다.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80~85%의 높은 수분 함량을 함유하고 있어 처리장으로 운반하는 도중에 음식물 폐수가 발생되어 악취를 풍기고 쓰레기 매립장에 매립하는 경우에도 음식물 폐수로 인해 토지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탈수 방식, 건조 방식, 건조 파쇄 방식, 발효 건조 방식 등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탈수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가 소량 배출되는 가정에서는 이용 가능하나 음식물 쓰레기가 대량으로 배출되는 식당이나 급식소에서는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탈수된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기에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정에서는 배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수도로 무단 방류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 파쇄 방식, 발효 건조 방식은 가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기체화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며, 수증기는 탱크 상부에 잔존한다. 이때,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돼야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시키며 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에 가열을 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환경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9773호(2020.02.1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탈수된 음식물 폐수가 하수도로 무단 방류되어 발생하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탱크 상부에 잔존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하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개구된 상방으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부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교반공간을 가지며, 하측면에 상기 부산물을 걸러주는 거름망이 설치된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교반실; 상기 교반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건조공간을 가지는 건조실; 상기 교반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정수공간을 가지는 정수실;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교반축; 상기 교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축과 결합되어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부산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봉; 상기 교반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봉을 기준으로 상기 교반축의 양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분쇄하는 복수의 교반날개; 상기 건조공간에 배치되며 일측면과 반대측면이 개방된 가열공간을 가지며 열을 제공하는 히터;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촉매기; 일단이 상기 교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촉매기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실의 유체 상기 촉매기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연결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촉매기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정수실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기를 경유한 유체가 상기 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기 정수실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실의 오수가 상기 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관의 타단은 상기 가열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촉매기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을 향해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에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발생기; 그리고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의 내부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실은, 상기 제2연결관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관이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버블펌프가 설치되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제1정수실; 내부에 자갈 및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워지는 제2정수실; 내부에 활성탄이 채워지며 하부에 배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제3정수실; 일단이 상기 제1정수실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정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수실의 유체가 상기 제2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4연결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제2정수실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정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정수실의 유체가 상기 제3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5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반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악취, 오수 등 함유)를 연결관을 통해 히터, 촉매기 및 정수실을 경유하도록 하여 수증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수증기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감압기를 이용하여 교반실의 내부압력을 낮추어 오수의 끓는 점을 낮춤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 플라즈마 및 레이저빔을 음식물 쓰레기에 조사함으로써 단시간에 유해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다만, 이러한 도 1 내지 도 3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음식물 쓰레기(A)를 교반, 건조 및 정수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A)를 완전히 소멸시키기 위한 것으로, 교반실(100), 건조실(200), 저장실(300) 및 정수실(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실(100)에는 물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A)가 교반될 수 있는 교반공간이 형성된다. 교반실(100)은 개구된 상방으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50)가 형성되고, 처리된 음식물쓰레기(A)의 부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60)가 하부에 형성된다. 투입구(150) 및 배수구(160)는 상기 교반공간과 연통된다.
교반실(100)의 하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180)이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배수홀(180)에는 거름망(170)이 설치되어 상기 부산물을 걸러주게 된다. 따라서, 오수(O)만이 외부로 배출되며, 이렇게 배출되는 오수(O)는 저장실(300)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교반실(100)에는 구동모터(120)에 연결되어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교반축(110)이 설치된다. 교반축(110)은 자신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배출봉(140)은 교반공간에 배치되며 교반축(110)과 결합되어 교반축(110)과 함께 회전된다. 배출봉(140)은 회전에 의해 거름망(170)에 의해 걸러진 부산물을 배출구(160)로 밀어낸다.
한 쌍의 교반날개(130)가 교반공간에 배치된다. 교반날개(130)는 배출봉(140)을 기준으로 교반축(100)의 양측에 대칭으로 결합된다. 교반날개(130)는 교반축(100)과 함께 회전하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A)를 교반하고 분쇄할 수 있다.
교반실(100)의 교반공간 상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500)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을 향해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를 조사할 수 있다.
교반실(100)의 교반공간 상부에는 플라즈마발생기(600)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에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다. 플라즈마발생기(600)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서 악취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교반실(100)의 교반공간 상부에는 레이저발생기(700)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할 수 있다.
감압기(800)는 교반실(10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의 내부압력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교반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A)의 건조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건조실(200)은 교반실(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건조공간을 가진다. 건조실(200)의 건조공간에는 일측면과 반대측면이 개방된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의 가열공간을 가지는 히터(210)가 설치되어 열을 교반실(100) 및 제1연결관(11)에 제공한다. 촉매기(220)는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촉매에 의해서 정화할 수 있다.
제1연결관(11)은 교반실(100)의 상부에 생성되는 수증기(악취, 오수 등 함유)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1연결관(11)은 일단이 교반실(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공간과 연통된다. 제1연결관(11)의 타단은 상기 가열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촉매기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즉, 제1연결관(11)은 교반실(100)의 수증기를 촉매기(220)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2연결관(12)은 일단이 촉매기(22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정수실(400)에 연결된다. 촉매기(220)를 경유한 수증기는 제2연결관(12)을 통해 정수실(400)로 이동하게 된다.
제3연결관(13)은 일단이 저장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정수실(400)에 연결된다. 제3연결관(13)에는 제1구동펌프(310)가 설치되어 펌핑에 의해 저장실(300)의 오수(O)가 제3연결관(13)을 통해 정수실(400)로 이동된다.
따라서, 교반실(100)의 수증기(악취 및 오수) 뿐만 아니라 저장실(300)의 오수도 정수실(400)을 거쳐 정화작용을 하게 되므로 보다 완벽하게 환경오염 없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저장실(300)은 건조실(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배수홀(180)로부터 배출되는 오수(O)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진다.
정수실(400)은 저장실(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정수공간을 가진다. 제2연결관(12)을 촉매기(220)를 통과한 상기 교반공간 상부의 수증기가 정수실(400)로 유입된다. 제3연결관(13)을 통해 저장실(300)의 오수가 정수실(400)로 유입된다.
정수실(400)은 상기 수증기 및 오수(O)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정수실(410), 제2정수실(420) 및 제3정수실(430)을 포함한다.
제1정수실(410)은 제2연결관(12)이 상부에 연결되고 제3연결관(13)이 하부에 연결된다. 제1정수실(410)의 내부에는 버블펌프(412)가 설치되어 버블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층 버블속에는 오염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수는 제4연결관(14)을 통해 제2정수실(420)로 이동하게 된다.
제2정수실(420)은 내부에 자갈 및 모래(42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워진다. 제4연결관을 통해 제2정수실(420)로 유입된 오수는 자갈 및 모래(422)를 통과하여 제5연결관(15)을 통해 제3정수실(430)로 이동하게 된다.
제3정수실(430)은 내부에 활성탄(432)이 채워지며 하부에 배수관(440)이 관통 형성된다. 제5연결관(15)을 통해 유입된 오수는 활성탄(432)을 통과하여 배수관(440)을 통해 외부(하수구)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관(440)에는 오존발생기(435)기가 설치되어 배수관(440)에 오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배수관(440)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를 한층 더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제4연결관(14)은 일단이 제1정수실(4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정수실(420)의 상부에 연결된다. 제4연결관(14)은 제1정수실(410)의 유체가 제2정수실(420)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5연결관(15)은 일단이 제2정수실(4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정수실(430)의 상부에 연결된다. 제5연결관(15)은 제2정수실(420)의 유체가 제3정수실(430)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렇게 버블펌프(412), 자갈 및 모래(422), 활성탄(432)의 3단계의 정화작용을 거치면서 상기 수증기 및 오수는 완벽하게 정화되어 배출되므로 폐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900)는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500), 플라즈마발생기(600), 레이저발생기(700), 히터(210), 구동모터(120), 감압기(800) 및 오존발생기(435)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제어부(900)는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500), 플라즈마발생기(600), 레이저발생기(700), 히터(210), 구동모터(120), 감압기(800) 및 오존발생기(435)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량, 플라즈마파량, 레이저빔 광량, 열량, 회전량, 감압률 및 오존가스량을 제어할 수 있다. 감압기(800)는 상기 교반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교반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악취, 오수 등 함유)를 연결관을 통해 히터, 촉매기 및 정수실을 경유하도록 하여 수증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수증기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감압기를 이용하여 교반실의 내부압력을 낮추어 오수의 끓는 점을 낮춤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 플라즈마 및 레이저빔를 음식물 쓰레기에 조사함으로써 단시간에 유해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1연결관
12: 제2연결관 13: 제3연결관
14: 제4연결관 15: 제5연결관
100: 교반실 110: 교반축
120: 구동모터 130: 교반날개
140: 배출봉 150: 투입구
160: 배출구 170: 거름망
180: 배수홀 200: 건조실
210: 히터 220: 촉매기
300: 저장실 400: 정수실
410: 제1정수실 420: 제2정수실
430: 제3정수실 440: 배수관
310: 제1구동펌프 412: 버블펌프
422: 자갈, 모래 432: 활성탄
425: 제2구동펌프 435: 오존발생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개구된 상방으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부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교반공간을 가지며, 하측면에 상기 부산물을 걸러주는 거름망이 설치된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교반실;
    상기 교반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교반공간과 연통되는 건조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건조실;
    상기 교반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정수공간을 가지는 정수실;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교반축;
    상기 교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축과 결합되어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부산물이 상기 건조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출봉;
    상기 교반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봉을 기준으로 상기 교반축의 양측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분쇄하는 복수의 교반날개;
    상기 건조공간에 배치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이 개방된 가열공간을 내부에 가지며, 상기 가열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히터;
    상기 가열공간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촉매를 내부에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촉매기;
    일단이 상기 교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촉매기의 상단면과 상기 히터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가열공간의 우측면을 통해 상기 가열공간의 좌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촉매기의 좌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실의 유체가 상기 촉매기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연결관;
    일단이 상기 촉매기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정수실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기를 경유한 유체가 상기 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연결관;
    상기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일단이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기 정수실에 연결되며, 구동펌프가 설치되어 펌핑에 의해 상기 저장실의 오수가 상기 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연결관;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을 향해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에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발생기;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발생기;
    상기 교반실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공간의 내부압력을 감소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건조 온도를 낮추는 감압기;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 상기 레이저발생기, 상기 히터, 상기 구동모터, 상기 감압기 및 오존발생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 상기 레이저발생기, 상기 히터, 상기 구동모터, 상기 감압기 및 상기 오존발생기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 전자파량, 플라즈마파량, 레이저빔 광량, 열량, 회전량, 감압률 및 오존가스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실은,
    상기 제2연결관이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관이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버블펌프가 설치되어 버블을 발생시키는 제1정수실;
    내부에 자갈 및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워지는 제2정수실;
    내부에 활성탄이 채워지며 하부에 배수관이 관통 형성되는 제3정수실;
    일단이 상기 제1정수실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정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수실의 유체가 상기 제2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4연결관;
    일단이 상기 제2정수실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정수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정수실의 유체가 상기 제3정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5연결관; 및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에 오존가스를 공급하는 상기 오존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10079680A 2021-06-20 2021-06-2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8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80A KR102387985B1 (ko) 2021-06-20 2021-06-2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80A KR102387985B1 (ko) 2021-06-20 2021-06-2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985B1 true KR102387985B1 (ko) 2022-04-18

Family

ID=8139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80A KR102387985B1 (ko) 2021-06-20 2021-06-2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985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47A (ko) * 2002-04-03 2003-10-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재성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050019063A (ko) * 2004-10-12 2005-02-28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86957B1 (ko) * 2005-02-03 2007-02-27 이명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7111603A (ja) * 2005-10-19 2007-05-10 Toshiba Corp 廃棄物熱分解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00007391A (ko) * 2008-07-14 2010-01-22 김종석 공장폐수의 용수처리 시스템
KR20100107794A (ko) * 2009-03-26 2010-10-06 김승수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20110027290A (ko) * 2009-09-10 2011-03-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촉매연소식 탈취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
KR101065721B1 (ko) * 2011-03-03 2011-09-19 (주)아이엔탑 음식물 및 가축분뇨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6074B1 (ko) * 2014-05-14 2014-10-31 주식회사 크린라이프 음식물쓰레기 압착기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80093512A (ko) *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20200002508A (ko) * 2018-06-29 2020-01-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102059773B1 (ko) 2019-06-11 2020-02-11 홍덕남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KR20200131062A (ko) * 2019-05-13 2020-11-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47A (ko) * 2002-04-03 2003-10-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재성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050019063A (ko) * 2004-10-12 2005-02-28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86957B1 (ko) * 2005-02-03 2007-02-27 이명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7111603A (ja) * 2005-10-19 2007-05-10 Toshiba Corp 廃棄物熱分解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20100007391A (ko) * 2008-07-14 2010-01-22 김종석 공장폐수의 용수처리 시스템
KR20100107794A (ko) * 2009-03-26 2010-10-06 김승수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27290A (ko) * 2009-09-10 2011-03-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촉매연소식 탈취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
KR101065721B1 (ko) * 2011-03-03 2011-09-19 (주)아이엔탑 음식물 및 가축분뇨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6074B1 (ko) * 2014-05-14 2014-10-31 주식회사 크린라이프 음식물쓰레기 압착기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80093512A (ko) *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20200002508A (ko) * 2018-06-29 2020-01-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20200131062A (ko) * 2019-05-13 2020-11-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9773B1 (ko) 2019-06-11 2020-02-11 홍덕남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246B1 (ko) 폐기물 처리장치
JP3983282B2 (ja) ガス注入と電気放電を用いた液体汚染物除去装置
KR101354840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슬러지를 반복순환시키는 발효소멸식 음식물 처리장치
KR1023879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90820A (ko) 처리조를 이중으로 가지는 필터형 상향류식 여과기
KR20090008960U (ko) 마이크로웨이브와 고온발열체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복원 및 중금속 제거 장치
KR950003170A (ko) 전자가속기의 전자빔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KR101174252B1 (ko) 액상발효소멸식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49735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스템
JP2004122131A (ja) 生ごみ処理装置
US5958252A (en) Wast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020147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4654134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汚染土壌の浄化システム、及びその浄化方法
KR20160146236A (ko) 저수지 수질개선용 플라즈마 반응처리장치
KR101174251B1 (ko) 음식물의 침출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장치
RU267697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ерекачиваемого потока и применение системы
KR102013032B1 (ko) 하폐수 처리설비용 슬러지 저감장치
CN105800845A (zh) 紫外条件下的混合催化剂超声雾化有机污水净化系统
RU2693783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сточных вод и их осад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1206905B1 (ko) 플라즈마 방전 반응 장치와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029850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2532652U (zh) 一种医疗污水处理系统
KR100912071B1 (ko) 오폐수 소각 정화장치
RU2103230C1 (ru) Установка водоснаб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