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062A -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062A
KR20200131062A KR1020190055814A KR20190055814A KR20200131062A KR 20200131062 A KR20200131062 A KR 20200131062A KR 1020190055814 A KR1020190055814 A KR 1020190055814A KR 20190055814 A KR20190055814 A KR 20190055814A KR 20200131062 A KR20200131062 A KR 20200131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food waste
steam
feed
liqu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550B1 (ko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Priority to KR102019005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shaping by moulding, extrusion, pressing, e.g. pellet-mi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 분쇄 또는 교반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의 중앙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처리조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에 연통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는 탈리액 배출관; 상기 탈리액 배출관에 위치되어 상기 탈리액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탈리액 배출구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 중 고형물질을 걸러내고 탈리액을 통과시키는 타공판; 상기 처리조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 및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단미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for feedstuff made with food waste}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동물의 사료로 사료화되는 단미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하나의 처리조에서 탈리액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미사료화되는 습식 또는 건식 고영양가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탈리액이 배출된 상태에서 단미사료화되는 습식 또는 건식 저영양가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하기 위하여 많은 장치를 구비시켜야만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장치를 단순화하고, 나아가 에너지 절감 및 악취저감 효과까지 발휘하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악취가 심하고 그 처리가 곤란하여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욱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각종 성분의 영양소를 그대로 낭비손실시킴에 따라 폐자원을 재활용하는 측면에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고려한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 방안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동물의 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사료화된 단미사료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장치나 방법 등이 다수 출현되고 있으나,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하는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74651을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음식물찌꺼기를 수거하여 음식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물 등에게 먹일 수 있는 건식단미사료는 물론 액상의 습식단미사료를 연속적으로 자동화 설비시스템에 의해 생산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함과 동시에 환경보전사업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함에 있어서 다수의 공정을 거쳐야 하며, 나아가 습식단미사료와 건식단미사료는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설투자가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돼지 등의 가축뿐만 아니라, 염분에 강한 동애등에의 단미사료로써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하는 방법이 널리 대두고 있다. 즉, 음식물쓰레기에서 염분의 정도를 낮추기 위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을 탈수로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는 종래기술과 달리, 탈리액을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각종 성분의 영양소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염분에 강한 동애등에의 단미사료로 제조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단미사료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가 다양한 형태로 단미사료화되어 다양한 동물의 단미사료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효율적이고 에너지 절약적인, 그리고 단미사료화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나 제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2019-0024381 A
(특허문허 2) KR10-1074651 B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나의 처리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탈리액이 분리된 상태로 단미사료화되는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로 제조되는 단미사료, 탈리액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단미사료화되는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로 제조되는 단미사료, 나아가 이러한 단미사료가 하나의 공정에서 습식이나 건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에너지 절약적이고 효율적인, 그리고 단미사료화하는 과정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건조, 분쇄 또는 교반되는 처리조(200); 상기 처리조(200)의 바닥면의 중앙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220); 상기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는 탈리액 배출관(300); 상기 탈리액 배출관(300)에 위치되어 상기 탈리액 배출관(300)을 개폐하는 배출밸브(320); 상기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 중 고형물질을 걸러내고 탈리액을 통과시키는 타공판(250);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 및 상기 처리조(200)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4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기 스팀파이프(230)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스팀파이프(230)에는 개폐조절이 가능한 스팀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방법은, (a)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b) 상기 처리조(20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400)가 작동되어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가 감압되는 단계; 및 (c)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열이 공급되어 분쇄된 상기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되, 상기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위치된 타공판(250)을 통과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e) 상기 처리조(20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400)가 작동되어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가 감압되는 단계; 및 (f)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열이 공급되어 분쇄된 상기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g)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타공판(25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탈리액 배출관(300)에 위치된 배출밸브(320)가 개방되는 단계; (h)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및 (i)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상기 스팀파이프(230)에 형성된 개폐조절이 가능한 스팀홀로 상기 스팀이 유출되어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로 상기 스팀이 유입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나의 처리조에서 탈리액이 분리된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습식단미사료 또는 건식단미사료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리액이 분리되지 않은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습식단미사료 또는 건식단미사료로 제조될 수 있어, 단미사료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그 효율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건식단미사료 제조시 감압 상태에서 가열되어 제조하는 바,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하며, 나아가 탈리액에 포함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어 단미사료로써의 가치가 증대되며, 제조시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미사료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미사료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미사료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미사료 제조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유입관(100), 처리조(200), 탈리액 배출관(300) 및 진공펌프(400)를 포함한다.
음식물쓰레기 유입관(100)을 둘러싼 상태로 자력선별기(140)가 위치되어,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금속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자력선별기(140)를 거친 음식물쓰레기는 유입밸브(120)를 거쳐 처리조(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과정 중에 유입밸브(120)는 개방된 상태이나. 처리조(200)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고 감압된 상태에서 가열되어 건조되는 과정에서는 유입밸브(120)가 폐쇄된다.
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 교반 또는 건조된다. 분쇄, 교반 또는 건조가 하나의 처리조(2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기(220)에 의해 분쇄된다. 이러한 분쇄기(220)는 처리조(200)의 바닥면 중앙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처리조(200)의 바닥면은 중앙 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더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음식물쓰레기로부터 탈리액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탈리액이 자연스럽게 가장자리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처리조(20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 즉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는 탈리액 배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분쇄기(220)는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도 하지만, 저속으로 회전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제조되는 단미사료의 형태에 따라 분쇄기(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거나 교반할 수 있다.
분쇄기(220)의 칼날은 분쇄기(220)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각도를 달리하는 한 쌍의 칼날이 상하로 위치되되, 칼날의 굵기 정도를 달리하여 위치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식물쓰레기의 회전에 따라 분쇄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나아가 음식물쓰레기 교반시 활발한 혼합이 일어나도록 다양한 형태의 칼날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처리조(200)의 하부에는 탈리액 배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리액 배출구(240)는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연통된다. 탈리액 배출관(300)에는 배출밸브(320)가 위치되며, 배출밸브(3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탈리액 배출구(240)를 거쳐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된다.
탈리액 배출구(240) 위에는 타공판(250)이 위치될 수 있다. 타공판(240)에 형성된 다수의 홀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통과되고, 음식물쓰레기 중 고형물질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타공판(240)은 배출밸브(320)가 개방된 경우에는 반드시 타공판(240)이 위치될 필요가 있지만, 배출밸브(320)가 폐쇄된 경우에는 타공판(240)이 선택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공판(240)은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음식물쓰레기에는 액체 상태의 탈리액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탈리액에는 많은 염분과 더불어 중요 각종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탈리액을 탈리액 배출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는,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함에 있어서 염분의 정도를 낮추기 위함이나, 동시에 탈리액에 포함된 많은 각종 영양소도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동애등에의 사료로써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하는 방법 이전에,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함에 있어서 염분을 낮추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한 다음, 경우에 따라서는 세척수를 공급하여 염분을 낮추면서, 단미사료화하였다. 이에 따라, 탈리액에 포함된 영양소가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고염분에 강한 동애등에의 사료로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로써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탈리액을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탈리액에 포함된 영양소를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단미사료화하는 방법 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로써 사용되는 경우, 고염분 및 고영양가로 단미사료화할 것인가 또는 저염분 및 저영양가로 단미사료화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는 실정이다. 즉, 탈리액을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시키는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화되는 경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저염분 및 저영양가 단미사료로 단미사료화된다. 탈리액을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화되는 경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고염분 및 고영양가 단미사료로 단미사료화된다.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고염분 및 고영양가 단미사료로 제조할 것인지 아니면 저염분 및 저영양가로 단미사료로 제조할 것인지는 처리조(200)의 하부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를 통해 탈리액을 배출시킬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탈리액을 배출시키지 않고 단미사료화되는 경우에는 고염분 및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로 되는 경우이고, 탈리액을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하나의 처리조(200)로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 또는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를 단미사료화할 수 있어, 단미사료 제조공정이 단순화된다.
저염분 및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화되는 경우, 탈리액이 분리된 음식물쓰레기가 세척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은 처리조(200) 상부에 장착된 세척수 공급관(26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거나, 또는 처리조(200)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유동되는 스팀이 스팀파이프(230)에 형성된 스팀홀(미도시)로 유출되어 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되면서, 스팀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세척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스팀홀(미도시)은 개폐조절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음식물쓰레기가 단미사료화됨에 따라 습식단미사료 또는 건식단미사료로 구분될 수 있다. 돼지 등 가축뿐만 아니라 동애등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성장에 따라 어느 성장 시기에는 습식단미사료가 적정할 때가 있고, 다른 성장 시기에는 건식단미사료가 적정할 때가 있다. 즉, 성장 시기에 따라 단미사료를 습식으로 또는 건식으로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처리조(200)에서 습식단미사료로 제조할 수 있고, 또는 건식단미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습식단미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처리조(200)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고 교반됨에 따라 습식단미사료가 제조되되,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는 그대로 분쇄되고 교반되어 습식단미사료로 제조되며,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는 탈리액을 배출시키면서 처리조(200) 상부에 장착된 세척수 공급관(260)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어 염분이 최소화되면서 습식단미사료로 제조된다.
건식단미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처리조(200)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고 교반된 이후,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처리조(200)의 내부로 열이 공급됨에 따라, 처리조(200) 내부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된다. 이러한 스팀파이프(230)는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는 그대로 분쇄되고 교반된 후 건조되어 건식단미사료로 제조되며,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는 탈리액을 배출시킨 후 건조되어 건식단미사료로 제조된다.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됨에 있어서, 처리조(200) 내부가 감압된 상태에서 열이 공급되어 건조될 수 있다. 감압된 상태에서 40℃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감압된 상태에서 40℃에서도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처리조(200)에 연통된 감압펌프(400)로 빨려들어 가면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유입밸브(120) 및 배출밸브(32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감압펌프(400)가 작동되어 처리조(200) 내부가 감압된다. 감압된 상태의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낮은 온도로 인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영양소의 파괴가 최소화된다. 두 번째로 대기압 하의 물의 끓는점까지 온도까지 올릴 필요가 없어 에너지 사용이 절감된다. 나아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악취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악취유발 물질의 움직임이 최소화되고, 악취유발 물질의 움직임이 최소화됨에 따라 수분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유발 물질의 양이 최소화되어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탈리액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의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습식단미사료로 단미사료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처리조(200)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쇄기(220)로 분쇄되고 또는 교반되어 습식단미사료가 제조된다.
탈리액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의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식단미사료로 단미사료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고, 이후 처리조(200) 내부가 밀폐된다. 즉, 유입밸브(120) 및 배출밸브(320)가 폐쇄된다.
이후, 감압펌프(400)의 작동으로 처리조(200) 내부가 감압된다. 처리조(200) 내부가 감압된 상태에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열이 처리조(200) 내부로 공급된다. 분쇄기(220)가 저속 회전으로 회전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교반되는 상태에서 열이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될 수 있다.
탈리액이 배출된 상태의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습식단미사료로 단미사료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처리조(200)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타공판(250)을 거쳐 탈리액 배출구(240)로 유동되고, 배출밸브(320)가 개방됨에 따라 탈리액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된다. 이후, 세척수 공급관(260)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처리조(200) 내부로 공급되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염분의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세척수가 처리조(200) 내부로 공급되면서 동시에 배출밸브(300)가 개방될 수 있다. 처음에는 탈리액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되지만, 이후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한 물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됨은 물론이다.
일정한 양의 수분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상태에서 분쇄기(220)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 또는 교반되면서 습식단미사료가 제조된다.
탈리액이 배출된 상태의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식단미사료로 단미사료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처리조(200)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타공판(250)을 거쳐 탈리액 배출구(240)로 유동되고, 배출밸브(320)가 개방됨에 따라 탈리액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된다. 이후, 곧바로 건조될 수 있으나, 음식물쓰레기의 염분을 낮추기 위해 세척수 공급관(260)을 통해 세척수가 처리조(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척수가 처리조(200) 내부로 공급되면서 동시에 배출밸브(300)가 개방될 수 있다. 처음에는 탈리액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되지만, 이후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한 물이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배출됨은 물론이다.
세척수 공급관(26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지 않고, 스팀파이프(230)로 유동되는 스팀이 스팀파이프(230)에 형성된 스팀홀(미도시)로 유출되어 처리조(200) 내부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홀(미도시)는 개폐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할 경우에는 스팀홀(미도시)을 개방하여 스팀을 처리조(200) 내부로 유입시키고,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스팀홀(미도시)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스팀을 유동시켜 처리조(200)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가 세척되면서 분쇄기(220)에 의해 분쇄되거나 또는 저속 회전으로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가 교반된다. 분쇄되거나 교반되면서 세척될 수 있거나, 분쇄된 이후 세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식물쓰레기가 일정한 정도로 세척된 다음 건조과정이 진행된다. 분쇄기(220)에 의한 분쇄 또는 교반 과정 중에 또는 그 이후에 건조과정이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처리조(200) 내부가 밀폐된다. 즉, 유입밸브(120) 및 배출밸브(320)가 폐쇄된다. 이후, 감압펌프(400)의 작동으로 처리조(200) 내부가 감압된다. 처리조(200) 내부가 감압된 상태에서, 스팀홀(미도시)이 폐쇄된 상태에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열이 처리조(200) 내부로 공급된다. 분쇄기(220)가 저속 회전으로 회전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교반되는 상태에서 열이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음식물쓰레기 유입관
120: 유입밸브
140: 자력선별기
200: 처리조
220: 분쇄기
230: 스팀파이프
240: 탈리액 배출구
250: 타공판
260: 세척수 공급관
300: 탈리액 배출관
320: 배출밸브
400: 진공펌프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가 건조, 분쇄 또는 교반되는 처리조(200);
    상기 처리조(200)의 바닥면의 중앙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220);
    상기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는 탈리액 배출관(300);
    상기 탈리액 배출관(300)에 위치되어 상기 탈리액 배출관(300)을 개폐하는 배출밸브(320);
    상기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 중 고형물질을 걸러내고 탈리액을 통과시키는 타공판(250);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 및
    상기 처리조(200)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400)를 포함하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스팀파이프(230)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스팀파이프(230)에는 개폐조절이 가능한 스팀홀이 형성되어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3. (a)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b) 상기 처리조(20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400)가 작동되어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가 감압되는 단계; 및
    (c)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열이 공급되어 분쇄된 상기 고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미사료 제조방법.
  4. (d)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되, 상기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위치된 타공판(250)을 통과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e) 상기 처리조(20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200)의 일측에 연통된 진공펌프(400)가 작동되어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가 감압되는 단계; 및
    (f)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열이 공급되어 분쇄된 상기 저영양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미사료 제조방법.
  5. (g) 처리조(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탈리액 배출구(240)에 연통된 탈리액 배출관(300)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탈리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탈리액 배출구(240) 상에 타공판(25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탈리액 배출관(300)에 위치된 배출밸브(320)가 개방되는 단계;
    (h)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및
    (i) 상기 처리조(200)의 내측면에 장착된 스팀파이프(230)로 스팀이 유동되면서, 상기 스팀파이프(230)에 형성된 개폐조절이 가능한 스팀홀로 상기 스팀이 유출되어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로 상기 스팀이 유입되는 단미사료 제조방법.
KR1020190055814A 2019-05-13 2019-05-13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14A KR102259550B1 (ko) 2019-05-13 2019-05-13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14A KR102259550B1 (ko) 2019-05-13 2019-05-13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062A true KR20200131062A (ko) 2020-11-23
KR102259550B1 KR102259550B1 (ko) 2021-06-02

Family

ID=7368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14A KR102259550B1 (ko) 2019-05-13 2019-05-13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85B1 (ko) * 2021-06-20 2022-04-18 강광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52A (ko) * 1993-07-16 1995-02-16 이당현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90014B1 (ko) * 2008-06-19 2009-03-25 이동완 잔반을 가공하여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사료제조 시스템
KR101446180B1 (ko) * 2013-11-08 2014-10-01 김태영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KR101655065B1 (ko) * 2015-09-21 2016-09-07 대한민국 파쇄ㆍ건조식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52A (ko) * 1993-07-16 1995-02-16 이당현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90014B1 (ko) * 2008-06-19 2009-03-25 이동완 잔반을 가공하여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사료제조 시스템
KR101446180B1 (ko) * 2013-11-08 2014-10-01 김태영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KR101655065B1 (ko) * 2015-09-21 2016-09-07 대한민국 파쇄ㆍ건조식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85B1 (ko) * 2021-06-20 2022-04-18 강광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50B1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07370A (ja) パーム油の生産加工工程から最終的に排出される排出水とパーム副産物とを利用した処理設備及び処理方法
CN106733010B (zh) 一种多功能一体式水生植物堆肥预处理系统及方法
WO2019128023A1 (zh) 一种农田地膜回收处理工艺
KR101210869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혐기소화 처리장치
KR102375043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 및 사료 생산 시스템
KR20200131062A (ko) 여러 종류의 단미사료가 제조될 수 있는 단미사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834457B2 (en) Method for solidifying floating oil in food waste water
JP2007021413A (ja) 汚泥処理設備および汚泥処理方法
CN212609592U (zh) 降低碳酸镁中氯化物含量的节水高效的洗涤装置
KR100663994B1 (ko)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과정의 폐수 처리장치
CN211430931U (zh) 一种制作豌豆组织蛋白的装置
KR2001000287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6305418A (ja) 生ゴミの脱塩脱水方法
KR101751489B1 (ko)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1006845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928598A (zh) 基于空气介质循环的污泥深度干化方法及系统
CN107188972A (zh) 一种玉米淀粉生产工艺
CN215855589U (zh) 氧化铝生产用去除含盐废水的装置
KR10076302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제거 및 건조발효장치
KR20100124865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84410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JP2003080218A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及び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CN211255651U (zh) 一种废弃油泥干化脱水系统
KR200375449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210112895U (zh) 一种脱硫熔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