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864B1 -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864B1
KR101961864B1 KR1020180143944A KR20180143944A KR101961864B1 KR 101961864 B1 KR101961864 B1 KR 101961864B1 KR 1020180143944 A KR1020180143944 A KR 1020180143944A KR 20180143944 A KR20180143944 A KR 20180143944A KR 101961864 B1 KR101961864 B1 KR 10196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pening
waste
heating rod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종
Original Assignee
남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종 filed Critical 남윤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대량의 폐엘이디 칩에서 폐엘이디를 분리하여 폐엘이디의 분리 수거 시간을 최소화하며 저 비용으로 제작하는데 있다.
일례로, 다수의 폐엘이디 칩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통;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가 상기 수용통으로부터 선별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거름망;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통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봉; 상기 수용통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통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부; 및 상기 가열봉의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APPARATUS FOR WASTE LIGHT EMITTING DIODE CHIP}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 조명은 저 전력 에너지 소모, 긴 수명, 친환경, 고품질 및 고부가 가치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차세대 조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엘이디 조명의 출고량과 폐기 물량은 정확히 파악되고 있지 않으며, 엘이디 조명의 환경성 및 재활용 측면의 연구 및 기술 개발도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가 엘이디 조명 폐기물 재활용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환경부는 엘이디 조명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 대상(EPR)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EPR 제도는 제품 생산자가 폐기물 중 일정량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한 것으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부과금을 납부해야 한다.
일례로, 2004년 EPR 대상이 된 형광등의 경우, 그 부품들은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며 수은은 회수해야 한다. 엘이디 조명은 아직 EPR 대상이 아니며, 재활용하는 기술 또한 열악하여 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하거나 소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생산, 사용, 배출, 수거, 처리 전 과정에 걸쳐 단계별 물질 흐름 분석을 통한 적정처리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47426호(공개일자: 1998년09월25일) 등록특허공보 제10-1336974호(등록일자: 2013년11월28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4436호(공개일자: 2018년02월08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193호(공개일자: 2011년09월2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량의 폐엘이디 칩에서 폐엘이디를 분리하여 폐엘이디의 분리 수거 시간을 최소화하며, 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는, 다수의 폐엘이디 칩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통;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가 상기 수용통으로부터 선별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거름망;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통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봉; 상기 수용통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통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부; 및 상기 가열봉의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통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로 배치되며, 곡면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몸체; 상기 개구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상기 거름망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 방지턱; 상기 개구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상기 거름망이 걸쳐지는 망 지지턱; 상기 수용몸체의 곡면 중 상기 망 지지턱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거름망이 상기 개구부에 장착될 경우 회동을 통해 상기 거름망을 가로 막아 상기 거름망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고,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의 망이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수용몸체의 일측에 결합된 몸체 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상기 몸체 회전축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몸체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박스로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 체인; 및 상기 수용몸체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몸체의 회전을 돕기 위한 보조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통은, 상기 수용몸체의 타측면으로부터 롤러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돌기롤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봉은, 상기 수용몸체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면에 다수의 열 배출홀이 형성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히터봉; 및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일정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봉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기 위한 히터 수동 제어부; 상기 구동모터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기 위한 모터 수동 제어부; 상기 가열봉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설정부; 상기 수용통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의 자동운전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자동운전모드 설정 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값이 상기 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제1 온도 값 이상이 되면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의 동작을 강제 중지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값이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일정치 낮은 제2 온도 값 이하가 되면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를 재가동시키는 자동 설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몸체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 설정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변환한 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 값과 비교하여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의 동작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폐엘이디 칩에서 폐엘이디를 분리하여 폐엘이디의 분리 수거 시간을 최소화하며, 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커버를 오픈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거름망을 분리한 상태를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구동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를 통해 폐엘이디 칩과 그로부터 분리된 기판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커버를 오픈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거름망을 분리한 상태를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구동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를 통해 폐엘이디 칩과 그로부터 분리된 기판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1000)는 수용통(100), 거름망(200), 가열봉(300), 구동 장치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1000)는 커버(10), 지지 프레임(20) 및 배출 가이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는 수용통(10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1000)의 작동 시 수용통(100)으로부터 나오는 열기를 막고, 엘이디 소자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0)의 상부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기구(11)를 통해 연소물질이나 열기 등이 환기구 등 원하는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1000)를 거치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배출 가이드(30)는 수용통(100) 아래에 위치하며, 수용통(100)을 통해 배출되는 폐엘이디 소자를 받아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20)에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100)은 다수의 폐엘이디 칩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개구부(111)를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용통(100)은 수용몸체(110), 이탈 방지턱(120), 망 지지턱(130), 이탈방지레버(140) 및 돌기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로 누운 상태로 설치되며, 곡면 일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몸체(110)는 대략 드럼통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곡면 중 일부에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턱(120)은 개구부(111)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개구부(111)에 장착된 거름망(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턱(120)은 대략 'ㄱ'자 또는 'ㄴ'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부(111)의 좌측 두 모서리 부분이 개구부(111)의 두 모서리 부분의 일부분을 가로 막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턱(120)은 개구부(111)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거름망(200)의 모서리 부분이 이탈 방지턱(120)과 개구부(111)의 외주면 사이에 껴지는 형태로 거름망(200)의 개구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망 지지턱(130)은 개구부(111)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개구부(111)에 거름망(200)이 걸쳐질 수 있다. 이러한 망 지지턱(130)은 대략 'ㄱ'자 또는 'ㄴ'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부(111)의 우측 두 모서리 부분이 개구부(111)의 두 모서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망 지지턱(130)은 거름망(200)의 타측이 개구부(111) 상에 흔들리지 않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레버(140)는 수용몸체(110)의 곡면 중 망 지지턱(13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거름망(200)이 개구부(111)에 장착될 경우 회동을 통해 거름망(200)을 가로 막아 거름망(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레버(140)는 좌우로 대략 180도 정도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름망(200)의 일측은 이탈 방지턱(12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망 지지턱(130)과 이탈방지레버(140)에 의해 고정되어 수용몸체(11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을 반복하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개구부(11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기롤러(150)는 수용몸체(110)의 타측면으로부터 롤러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몸체(110)의 타측면은 수용몸체(110)의 일측면의 반대쪽 면이며, 수용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수용통(1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200)은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가 수용몸체(110)으로부터 선별적으로 배출되도록 개구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200)은 개구부(111)와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고,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의 망이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망의 사이즈에 따라 각기 다른 거름망(200)이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거름망(200)에 구비된 각각의 망들을 사이즈에 따라 개별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름망(200)에서 망의 크기는 엘이디 소자에 따라 결정되는데, 가령 엘이디 소자의 크기가 큰 폐엘이디 칩의 경우 망의 크기가 큰 거름망(200)을 이용할 수 있고, 엘이디 소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폐엘이디 칩의 경우 망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거름망(200)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봉(300)은 수용통(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통(100)의 내부를 다양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봉(300)은 지지봉(310), 히터봉(320) 및 가이드 플레이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10)은 수용몸체(110)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수용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면에 다수의 열 배출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몸체(110)의 타측면은 돌기롤러(150)가 형성된 부분으로 이 부분을 관통하여 소용몸체(110)의 중심축을 가로질러 수용몸체(110)의 일측 내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봉(320)은 지지봉(3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히터봉(320)은 전원을 공급 받아 열을 발생시켜 수용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30)는 지지봉(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일정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봉(310)과 히터봉(320)은 수용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봉(310)에 형성된 열 배출홀(311)은 가로로 누워 있는 원통형 드럼 형상의 수용몸체(110) 내부 중 아래 부분을 향해 형성되어 있어, 해당 부분으로 열기가 배출되는데, 가이드 플레이트(330)는 열 배출홀(311)에서 배출되는 열기를 특정 위치에 좀 더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동일 온도 공급 대비 폐엘이디의 보다 빠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장치부(400)는 수용통(10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과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용통(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장치부(400)는 구동모터(410), 몸체 회전축(420), 기어박스(430), 타이밍 체인(440) 및 보조롤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설계 사양에 따라 기어박스(430)는 생략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박스(430)가 적용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모터(41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수용통(100)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 회전축(420)은 수용몸체(110)의 일측과 기어박스(430) 사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430)는 구동모터(410)의 회전 방향을 몸체 회전축(420)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몸체 회전축(4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박스(430)는 베벨 기어(bevel gear)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41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어이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타이밍 체인(440)은 구동모터(410)와 기어박스(430)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모터(410)의 회전력을 기어박스(4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체인(440)을 대신하여 타이밍 벨트(고무재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롤러(450)는 수용몸체(110)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수용몸체(110)를 지지하며 수용몸체(11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다. 수용몸체(110)의 타측면에는 돌기롤러(150)가 고정되어 있는데, 보조롤러(450)는 이러한 돌기롤러(15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수용몸체(110)의 타측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수용몸체(110)의 회전에 의한 돌기롤러(150)가 좀 더 잘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가열봉(300)의 온도를 설정하고, 구동 장치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0)는 히터 수동 제어부(510), 모터 수동 제어부(520), 온도 설정부(530), 온도센서(540) 및 자동 설정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동 제어부(510)는 가열봉(300)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터 수동 제어부(510)는 히터 온/오프 스위치 버튼과 해당 버튼에 따른 장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전기 부품 및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동 제어부(520)는 구동모터(410)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 수동 제어부(520)는 모터 온/오프 스위치 버튼과 해당 버튼에 따른 장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전기 부품이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설정부(530)는 가열봉(30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설정부(530)는 다이얼 버튼과 해당 버튼에 따른 장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전기 부품 및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40)는 수용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몸체 회전축(4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폐엘이디 칩에서 엘이디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수 백도의 고온 환경이 요구됨에 따라 수용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직접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온도 측정 장치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온도 측정 장치는 상당히 고가 장비로 본 장치의 제작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근접 위치 즉 몸체 회전축(420)에 설치되어 수용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설정 제어부(550)는,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의 자동운전모드를 설정하고, 자동운전모드 설정 시 온도센서(540)를 통해 측정된 온도 값이 온도 설정부(530)를 통해 설정된 제1 온도 값 이상이 되면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의 동작을 강제 중지시키고, 온도센서(540)를 통해 측정된 온도 값이 제1 온도 값보다 일정치 낮은 제2 온도 값 이하가 되면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를 재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설정 제어부(550)는, 제1 온도 값과 제2 온도 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변환한 후 온도센서(540)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 값과 비교하여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의 동작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온도 설정부(530)를 통해 수용통(100)의 내부 온도를 200℃로 설정한 경우, 온도센서(540)의 측정 값과 비교할 온도 값은 실제 200℃가 아니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대략 80℃로 변환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540)에서 실제 측정된 값이 80℃를 넘어가는 경우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의 동작을 강제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수용통(100)의 내부 온도가 80℃ 보다 대략 20℃ 낮은 60℃ 이하로 측정되면,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를 재가동시킬 수 있으며, 이후 또 80℃를 넘어가는 경우 가열봉(300)과 구동 장치부(400)의 동작을 강제 중지시켜 자동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100: 수용통
110: 수용몸체 111: 개구부
120: 이탈 방지턱 130: 망 지지턱
140: 이탈방지레버 150: 돌기롤러
200: 거름망 300: 가열봉
310: 지지봉 311: 열 배출홀
320: 히터봉 330: 가이드 플레이트
400: 구동 장치부 410: 구동모터
420: 몸체 회전축 430: 기어박스
440: 타이밍 체인 450: 보조롤러
500: 제어부 510: 히터 수동 제어부
520: 모터 수동 제어부 530: 온도 설정부
540: 온도센서 550: 자동 설정 제어부
10: 커버 11: 배기구
20: 지지 프레임 30: 배출 가이드

Claims (7)

  1. 다수의 폐엘이디 칩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통;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가 상기 수용통으로부터 선별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거름망;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통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봉;
    상기 수용통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통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부; 및
    상기 가열봉의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통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로 배치되며, 곡면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몸체; 및
    상기 수용몸체의 타측면으로부터 롤러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수용몸체의 일측에 결합된 몸체 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상기 몸체 회전축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몸체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박스로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 체인; 및
    상기 수용몸체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몸체의 회전을 돕기 위한 보조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돌기롤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열봉은,
    상기 수용몸체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면에 다수의 열 배출홀이 형성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히터봉; 및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일정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봉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기 위한 히터 수동 제어부;
    상기 구동모터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기 위한 모터 수동 제어부;
    상기 가열봉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설정부;
    상기 수용통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의 자동운전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자동운전모드 설정 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값이 상기 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제1 온도 값 이상이 되면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의 동작을 강제 중지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값이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일정치 낮은 제2 온도 값 이하가 되면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를 재가동시키는 자동 설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몸체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 설정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변환한 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 값과 비교하여 상기 가열봉과 상기 구동 장치부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상기 거름망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 방지턱;
    상기 개구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상기 거름망이 걸쳐지는 망 지지턱; 및
    상기 수용몸체의 곡면 중 상기 망 지지턱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거름망이 상기 개구부에 장착될 경우 회동을 통해 상기 거름망을 가로 막아 상기 거름망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고, 폐엘이디 칩에서 분리된 폐엘이디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의 망이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3944A 2018-08-17 2018-11-20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KR101961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5993 2018-08-17
KR1020180095993 2018-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864B1 true KR101961864B1 (ko) 2019-03-26

Family

ID=6594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944A KR101961864B1 (ko) 2018-08-17 2018-11-20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8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426U (ko) 1996-12-28 1998-09-25 김영환 액정표시패널의 티씨피 분리용 가열장치
KR20050019063A (ko) * 2004-10-12 2005-02-28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03193A (ko)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프로텍 Led 웨이퍼 디본더 및 led 웨이퍼 디본딩 방법
KR101336974B1 (ko) 2013-05-14 2013-12-04 김용출 폐 직관형 led 램프의 자동 분리 수거 방법
KR101430527B1 (ko) * 2014-03-26 2014-09-23 한국조명재활용공사 주식회사 폐led조명등의 베이스 분쇄물 분류장치
KR20180014436A (ko) 2015-06-29 2018-02-08 베리안 세미콘덕터 이큅먼트 어소시에이츠, 인크. 진공 호환 led 기판 가열기
KR20180083781A (ko) *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이알메탈 인쇄회로기판의 부품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426U (ko) 1996-12-28 1998-09-25 김영환 액정표시패널의 티씨피 분리용 가열장치
KR20050019063A (ko) * 2004-10-12 2005-02-28 박봉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03193A (ko)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프로텍 Led 웨이퍼 디본더 및 led 웨이퍼 디본딩 방법
KR101336974B1 (ko) 2013-05-14 2013-12-04 김용출 폐 직관형 led 램프의 자동 분리 수거 방법
KR101430527B1 (ko) * 2014-03-26 2014-09-23 한국조명재활용공사 주식회사 폐led조명등의 베이스 분쇄물 분류장치
KR20180014436A (ko) 2015-06-29 2018-02-08 베리안 세미콘덕터 이큅먼트 어소시에이츠, 인크. 진공 호환 led 기판 가열기
KR20180083781A (ko) *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이알메탈 인쇄회로기판의 부품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385B1 (ko) 폐기물처리방법 및 장치
US86967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battery pack
KR101194776B1 (ko) 3단 색채 선별장치
KR101961864B1 (ko) 폐엘이디 칩 분리 장치
CN101034248A (zh) 显示装置
KR20130008393A (ko) 풀 컬러 엘이디를 이용한 곡물 색채선별장치
CN105981481A (zh) 测试调光照明系统的方法
CN111389323A (zh) 分区确认的机器视觉视镜分液识别控制装置和方法
US2826168A (en) Means for making electrostatic prints
CN1455296A (zh) 装有镜头的摄影胶卷单元、闪光装置和装有镜头的摄影胶卷系统
CN1077178C (zh) 衣服干燥机
JP2008220286A (ja) 監視機能付き車両
CN217185712U (zh) 烹饪设备
CN212310051U (zh) 一种黑水虻幼虫分离设备
US99649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surface provided on surface that defines recessed portion
CN216217053U (zh) 面料扫描装置
KR101336974B1 (ko) 폐 직관형 led 램프의 자동 분리 수거 방법
CN209415199U (zh) 一种一体式定时植物灯
KR101280320B1 (ko) 폐 전구형 led 램프 처리시스템의 자동 분할 절단 장치
CN208588902U (zh) 一种基于激光墨盒检测技术的新型硒鼓
CN213762355U (zh) 一种非制冷离心机
CN218412272U (zh) 一种生物阅读器
JPS5863977A (ja) 電子複写機
JP2020060518A (ja) 検査装置遠隔対応システム
CN104902219A (zh) 一种道路监控用摄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