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43B1 -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43B1
KR101021143B1 KR1020100032098A KR20100032098A KR101021143B1 KR 101021143 B1 KR101021143 B1 KR 101021143B1 KR 1020100032098 A KR1020100032098 A KR 1020100032098A KR 20100032098 A KR20100032098 A KR 20100032098A KR 101021143 B1 KR101021143 B1 KR 10102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rontation
product
competition
sal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62A (ko
Inventor
이정갑
Original Assignee
이정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갑 filed Critical 이정갑
Publication of KR2011000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43B1/ko
Priority to JP201350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3527953A/ja
Priority to PCT/KR2011/002452 priority patent/WO20111263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부, 상품판매처 추출부, 대결공간 제공부, 대결순위 결정부 및 혜택 제공부를 구비하는 상품 대결 시스템의 상품 대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특정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가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가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처 각각의 매출액 및 상품 링크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혜택 제공부가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Matching of Product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상품 대결 방법에 있어서, 특히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 판매처(혹은 판매자)의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인터넷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의 보조 도구가 아닌, 영리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적 활동 무대의 하나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통신 및 전자상거래 발전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또한, TV 등을 이용하여 집안에서 간단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는 홈쇼핑 형태의 쇼핑몰 등이 등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 판매처 간의 대결을 제공하는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부, 상품판매처 추출부, 대결공간 제공부, 대결순위 결정부 및 혜택 제공부를 구비하는 상품 대결 시스템의 상품 대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특정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가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가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처 각각의 매출액 및 상품 링크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혜택 제공부가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를 추출하는 상품판매처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에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대결공간 제공부,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판매처 각각의 매출액 및 상품 링크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대결순위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하는 혜택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품 대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는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 판매처(혹은 판매자)별로 각각 상이한 판매조건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상기 판매처별로 제공되는 판매조건을 참조하여 보다 쉽고 편리하게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제공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별 상품 판매 대결 구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장 형식의 상품 판매 대결 신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자에 의한 상품 판매 대결 신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1 상품 판매 대결 구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상품의 상세보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승부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의 전적을 관리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전적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홈쇼핑에서의 1:1 상품 판매 대결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TV 홈쇼핑에서의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처 간 상품 대결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벌 상품 간의 1:1 상품 대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기 검색 순위에 따른 다자간 상품 대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의 상품 대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표 결과를 이용한 구매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휴사이트와의 상호 간 링크를 통해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구도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기 검색 상품의 대결 구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유형별 특징을 비교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 대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사이트(광고공간)에서 특정 상품 선택 시, 링크된 대결공간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쇼핑몰이란, 무점포 방식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상가를 뜻한다. 상기 쇼핑몰은 컴퓨터 통신망의 가상세계에서 구현되는 인터넷 쇼핑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은 방송 케이블 혹은 전화선 등을 통해 구현되는 홈쇼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품 판매 대결이란, 상기 상품 판매자들 간의 판매 대결을 의미한다.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은 상기 상품 판매자들 간의 상품 판매량, 판매액 등을 대상으로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판매자들은 대결결과로 상기 판매 대결 승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정된 승부결과에 따라 승자를 선정하고,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의 승자로 선정된 판매자로부터 특정 상품 혹은 서비스를 구매한 구매자에게 별도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혜택은 마일리지 적립, 추가 할인, 적립금 지급 및 게임 머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품 대결이란, 특정 상품 간의 대결을 의미한다. 상기 상품 대결은 특정 상품들 간의 상품 판매량, 판매액 등을 대상으로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는 동일인이거나 동일인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품 대결에서의 행위 주체는 상품 자체가 될 수 있으므로, 혜택 또한 상기 상품 대결에서 승리한 상품을 판매한 판매자 혹은 해당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고객 평가단이란, 특정 상품을 평가하는 평가단을 의미한다. 상기 고객 평가단은 구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평가단은 별도의 고객 즉, 잠재된 고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평가단은 상품평 등을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판매 대결 시스템 제공 서버는 상기 고객 평가단으로부터 평가된 상품평 등을 참고로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대결의 승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시스템 제공 서버는 '서버' 혹은 '쇼핑몰 제공 서버'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혜택이란, 상품 판매 대결에서 승리한 승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별도의 보너스를 의미한다. 상기 혜택은 적립금 지급, 할인 쿠폰 제공, 마일리지 적립, 사은품 제공 및 게임 머니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혜택은 상기 승리 판매자의 판매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한 구매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시스템은 제 1 판매자(110), 제 2 판매자(120), 추천자(130), 서버(140), 구매자(150) 및 매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제 2 판매자(120)는 쇼핑몰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은 인터넷 쇼핑몰 및 TV 홈쇼핑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제 2 판매자(120)는 상기 서버(140)에 각각 판매하고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대결 신청을 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판매자(110)가 상기 서버(140)에 판매 대결 신청을 대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판매자(110)는 상기 서버(140)에 판매 대결을 진행하고자하는 상대방의 판매 상품 종류 혹은 브랜드명을 통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140)는 상기 제 1 판매자(110)로부터 통보된 판매 상품 종류 혹은 브랜드명을 근거로 상기 제 1 판매자(110)로부터 신청된 판매 대결을 위한 상대방 판매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 대결을 위한 상대방 판매자로 상기 제 2 판매자(120)가 검색되면, 상기 서버(140)는 상기 검색된 제 2 판매자(120)에게 상기 제 1 판매자(110)로부터 신청된 상품 판매 대결을 제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2 판매자(120)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이 승낙되면,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판매자는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낙된 상품 판매 대결은 즉시 진행되거나, 혹은 관심 대결로 설정되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된 관심 대결은 상기 판매자의 요청에 의해 추후에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대결의 경우, 상기 관심 대결 진행 시간을 임의로 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심 대결이 예약된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은 상기 판매자들뿐만 아니라, 상기 추천자(130)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천자(130)는 상기 서버(140), 상기 구매자(150) 및 일반 고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매자(150)가 상기 서버(140)에 상기 제 1 판매자(110)와 상기 제 2 판매자(120)의 상품 판매 대결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제 2 판매자(120)는 비슷한 사양의 상품 혹은 경쟁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140)가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제 2 판매자(120) 각각에게 상기 추천자(130)로부터 추천된 상품 판매 대결을 제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제 2 판매자(120)로부터 상기 추천된 상품 판매 대결의 진행이 수락되면, 상기 서버(140)는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제 2 판매자(120)의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시킨다. 이때, 상기 서버(140)는 상기 진행중인 상품 판매 대결에 대한 찬/반 투표를 더 실시하고, 상기 투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140)는 상기 제 1 판매자(110)와 상기 제 2 판매자(120)의 판매 대결을 진행 및 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40)는 상기 매체(160)를 통해 상기 판매 대결 상황을 실시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40)는 상기 판매 대결 결과를 특정 매체(160)로 전송하여 광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매체(160)는 TV 홈쇼핑,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UCC(User Created Contents), 언론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매체(160)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로는 상기 제 1 판매자(110)가 상품 판매 대결을 원하는 상기 제 2 판매자(120)의 브랜드 및 상품을 상기 서버(140)에 제안하고, 상기 서버(140)를 통해 상기 제 2 판매자(120)의 수락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 1 판매자(110)와 상기 제 2 판매자(120)의 의견이 모두 반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는 상기 서버(140), 구매자(150), 일반 고객(네티즌) 등에 의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판매자(예를 들어, 특정 업체) 혹은 브랜드가 추천되어 상기 서버(140)가 투표를 통해 상품 판매 대결을 성사시킬 수 있으므로, 고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판매자(110) 및 상기 제 2 판매자(120)는 상기 판매 대결 결과에 따라 상기 각종 매체(160)들을 통한 광고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매자(150)는 상기 매체(160)를 통해 상기 인기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제공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서버 시스템은 통신부(210), 제어부(220), 데이터베이스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쇼핑몰 서버와 판매자 및 구매자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품 판매 대결이 종료된 후, 상품 판매 승부 결과를 광고하는 특정 매체에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연결되는 특정 매체는 TV 홈쇼핑, IPTV, 인터넷 UCC 및 언론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매체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사용되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을 접수받는다. 그리고 상기 접수된 상품 판매 대결 신청에 따라 상품 판매 대결 구도가 성립되어 상기 판매자 및 구매자 간의 상품 판매가 진행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의 승부 결과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승부 결과는 판매 실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실적은 총 상품 판매액 또는 총 상품 주문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분석된 승부 결과를 근거로 승리 판매자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정된 승리 판매자에게 소정의 승리 보너스를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상황을 실시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TV 홈쇼핑, IPTV, 인터넷 UCC 등의 특정 매체에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상황을 실시간 중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승부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된 승부 결과를 이용해 판매자의 전적 및 구매자의 배팅 실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상황을 실시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상황을 실시간 중계할 수 있다.
이하,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제공 서버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 시스템의 제어부(220)가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을 접수한다[S310].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 시스템의 제어부(220)는 제 1 판매자 및 제 2 판매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을 직접 접수받을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등의 추천자 제안에 의해 접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수된 상품 판매 대결은 즉시 진행되거나, 혹은 관심 대결로 설정되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된 관심 대결은 추후 요청에 따라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대결의 경우, 상기 관심 대결 진행 시간을 임의로 예약하여 예약된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접수에 따라 판매 대결 구도가 성립되면, 상기 제어부(220) 상기 판매 대결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S320, S330].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판매자 간의 판매 방식,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구매, 입금, 배송, AS 등을 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1:1 대결 구도로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1:1 대항전을 연속으로 실시한 서바이벌 연승 방식 및 토너먼트 방식 등으로 상기 대결 구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판매 대결 구도는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신청시 신청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 대결 구도는 상기 제어부(22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쇼핑몰 제공 서버의 포맷에 의해 성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대결구도는 브랜드, 가격, 종류, 용도 등의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성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대결 현황을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통신부(210)에 자동 연결된 특정 매체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상황을 실시간 중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매체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 TV 홈쇼핑, IPTV, 인터넷 UC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매 대결 진행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대결 결과를 분석한다[S340, S350]. 이때, 상기 대결 결과는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을 근거로 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분석된 대결 결과에 따라, 승리 판매자를 선정하고, 상기 승리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혜택을 부여한다[S360, S370]. 이때, 상기 제어부(220)가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하는 혜택은 마일리지 및 적립금 적립, 할인(Discount), 쿠폰 제공, 게임 머니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승리 판매자에게 승리 보너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리 보너스는 판매 수수료 인하 및 광고 우선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1 대항전, 서바이벌 연승전에서의 승부 판정은 KO승, 판정승, 무승부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토너먼트전에서의 승부 판정은 승점, 승률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대결 결과 및 보너스 지급 현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업데이트한다[S380].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업데이트된 상기 대결결과 및 보너스 지급 현황은 전적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결과를 자동 연결된 특정 매체를 통해 광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연결되는 특정 매체는 TV 홈쇼핑, IPTV, 인터넷 UCC 및 언론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매체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사용되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초고속 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구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1 대결 구도로 상품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제 1 판매자 및 상기 제 2 판매자 이외에, 제 3 판매자 및 제 4 판매자를 더 추가하여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이 일정시간 진행되면, 상기 제어부(220)가 상기 상품 판매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한 복수 판매자들의 판매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복수 판매자들의 판매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선정된 복수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 순위에 대응되게 차등적으로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구도는 카테고리별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고리별 상품 판매 대결 구도는 아이디어별, 국가 브랜드별, 지역 연고별, 가격대별, 기능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카테고리는 상품 판매 대결 신청시 신청자에 의해 신청되는 내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판매 카테고리는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 시스템의 기본 포맷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장 형식의 상품 판매 대결 신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은 판매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매자는 도전장 형식의 신청서를 통해 상품 판매 대결을 신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장 형식의 상품 판매 대결 신청서는 판매자에 작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결 방식을 상품을 판매하고자하는 제 1 판매자가 상기 도전장에 자신의 이름, 상품명, 연락처 등을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판매자는 상품 판매 대결을 원하는 브랜드 혹은 카테고리의 상품을 더 기재한다. 그러면,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을 관리 및 중재하는 쇼핑몰 제공 서버가 상기 기재된 대결을 원하는 브랜드 혹은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품을 판매하는 제 2 판매자에게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을 제안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판매자의 도전 승낙 여부에 따라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구도가 성립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판매자가 상기 도전장에 자신의 이름, 상품명, 연락처만 기재한 경우,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판매자의 상품명에 따른 카테고리 및 브랜드를 직접 분석하여 상기 제 2 판매자를 검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자에 의한 상품 판매 대결 신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은 추천자의 추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천자는 상품 판매 대결을 원하는 제 1 판매자 자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자는 쇼핑몰 제공 서버 혹은 고객(구매자 및 일반고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는 정기적으로 상품 판매 대결 구도에 대한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표를 통해 결정된 상품 판매 구도로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구도는 브랜드 대항전, 스타상품 대항전 또는 제품 종류별 대항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는 추천자에 의한 상품 판매 대결 추천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쇼핑몰 제공 서버는 상기 고객에 의해 요청되는 복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을 접수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1 상품 판매 대결 구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구도는 1:1 대결 구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1 상품 판매 대결 구도는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성립될 수 있다. 상기 1:1 상품 판매 대결 구도의 승부 결과는 판정승, 상품의 조기 매진시에 적용되는 KO승, 무승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부 결과는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총 주문액 또는 상기 총 판매액이 차이날 경우는 판정승, 하나의 상품이 조기 매진된 경우는 KO승,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이 동일할 경우는 무승부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1 상품 판매 대결 구도에서 승리한 승리 판매자에게는 승리 보너스를 지급할 수 있다. 상기 승리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승리 보너스는 상품 판매 수수료 인하 및 광고 우선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판정 결과, 판정승의 경우에는 가격대비 평균 1%, KO 승의 경우에는 3% 등으로 적립금 지급률 또는 수수료 인하율을 차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KO 패한 판매자의 경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상품 판매 대결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패널티(Penalty)를 부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리 판매자 외에도 상기 승리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도 혜택을 주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자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은 마일리지 및 적립금 적립, 할인(Discount) 적용, 쿠폰 제공, 게임 머니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1:1 대항전을 여러 차례 실시하여 주간별 혹은 월별 최종 승리 판매자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정된 최종 승리 판매자에게는 소정의 추가 보너스를 더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종 승리 판매자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승 승부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연승 승부 방식은 토너먼트전, 서바이벌 연승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부 방식에 패자부활전, 복수전 세부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상품의 상세보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상품 상세보기는 아이콘을 클릭함에 따라 바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로 진행되고 있는 상품 판매 대결의 경우, '홍코너 상품보기'를 클릭하면, 제 1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표시된다. 그리고 '청코너 상품보기'를 클릭하면, 제 2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아이콘의 구성은 쇼핑몰 제공 서버의 포맷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쇼핑몰 제공 서버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하는 구매자들은 간단한 버튼 클릭만으로 상기 제품에 관련된 상세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티는 상품 판매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뮤니티는 상품 판매에 대한 문의 사항 또는 추가 요청 사항 등을 기입할 수 있는 게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판에 작성된 글에 댓글 등을 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심판 등의 아이콘을 두어 상기 상품 판매에 대한 부정행위 등을 단속하고, 악의적인 글에 대한 경고장 부여 등의 액션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뮤니티를 통해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의견 및 상품 판매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심판의 중재에 의해 공정한 상품 판매 대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결과는 한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결과는 승패 여부, 승부 결과, 전적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원하면 언제든지 이전에 진행되었던 상품 판매 대결 결과를 참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의 전적을 관리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전적 관리는 고객별, 브랜드별, 날짜별 카테고리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적관리는 상품 판매 대결 결과 및 보너스 지급 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적을 근거로 판매자별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적 관리를 이용하여 다승왕, KO왕, 승률왕 등을 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순위에 따라 광고 및 홍보 순서, 수수료 절감 등의 혜택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대결 상황은 특정 매체를 통해 실시간 중계될 수 있다. 이때, 특정 매체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 TV 홈쇼핑, IPTV 및 인터넷 UC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 및 구매자가 TV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을 파악하고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매체들을 통해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결과를 광고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전적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적관리 화면은 개인별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 혹은 구매자가 자신의 전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해당 웹페이지에 자신의 ID로 로그인하여 해당 전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전적은 판매일자별 혹은 주문일자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홈쇼핑에서의 1:1 상품 판매 대결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V 홈쇼핑을 통한 상품 판매 대결은 1:1 대결 구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TV 홈쇼핑은 생방송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진행 시간은 홈쇼핑 업체와의 제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은 상품 판매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판매자가 상품 판매 대결 신청시, 판매 대결을 원하는 제 2 판매자의 브랜드 혹은 상품을 홈쇼핑 운영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홈쇼핑 운영자가 상기 접수된 상품 판매 대결 신청 내용을 상기 제 2 판매자에게 전달한다. 이후, 상기 제 2 판매자로부터 상기 상품 대결 신청이 수락됨에 따라, 1:1 상품 판매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1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은 홈쇼핑 운영자 혹은 구매자(시청자 포함)의 추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쇼핑 운영자 혹은 구매자가 두 개의 브랜드 혹은 상품에 대하여 상품 판매 대결을 추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홈쇼핑 운영자가 상기 추천된 브랜드 혹은 상품의 판매자들에게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을 제안하고, 상기 대결을 제안받은 판매자들로부터 1:1상품 판매 대결이 수락되면,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V 홈쇼핑을 통해 구현되는 상품 판매 대결은 상기 1:1 판매 대결 구도로 대항전을 연속으로 실시하여 서바이벌 연승 방식 및 토너먼트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결과는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결과는 상기 총 판매액이 차이날 경우는 판정승, 하나의 상품이 조기 매진된 경우는 KO승,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이 동일할 경우는 무승부로 판정될 수 있다. 패자부활전, 복수전 등의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1:1 상품 판매 대결에서 승리한 승리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해당 구매자에게 부여되는 혜택은 마일리지 및 적립금 적립, 구매 금액 할인, 쿠폰 제공, 게임 머니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승리 판매자에게도 승리 보너스를 지급할 수 있다. 상기 승리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승리 보너스는 상품 판매 수수료 인하 및 광고 우선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판매 대결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의 적립금 적립률, 상기 판매자의 수수료 인하율 등을 차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V 홈쇼핑을 통한 상품 판매 대결의 경우, 쇼 호스트가 상기 상품 판매 대결의 진행 및 중재를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판매자들이 게스트로 참여하여 홈쇼핑 진행시, 판매 제품에 대한 상세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TV 홈쇼핑을 통한 상품 판매 대결은 구매자가 실시간으로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판매 대결 상황을 파악하고,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쇼핑에서의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은 인터넷 쇼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위한 신청이 접수됨에 따라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구도가 성립되면,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구도를 성립한 복수 판매자들이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를 진행한다.
그러면, 중재자가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의 일정시간 경과 후, 판매 실적을 고려하여 판매 결과를 분석한다. 상기 중재자는 상기 IPTV 방송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재자는 상기 IPTV를 통해 방송되는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하는 별도의 쇼호스트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재자가 상기 분석된 판매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 순위를 선정한다. 이때, 상기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 순위는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을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중재자는 상기 복수 판매자들의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 판매 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자들에게 상기 차등적으로 부여되는 혜택은 마일리지 및 적립금 적립, 할인 적용, 쿠폰 제공, 게임 머니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재자는 상품 판매 순위에 대응되게 상기 복수 판매자들에게 소정의 승리 보너스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리 보너스는 판매 수수료 인하 및 광고 우선권 등의 혜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된 순위에 따라, 상위 순위에 해당하는 판매자에게 상품 판매 수수료 인하 및 광고 우선권 등의 혜택을 지급할 수 있다. 반면, 하위 순위에 해당하는 판매자에게는 일정기간 동안의 판매 금지,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율 등의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자간 판매 대결은 유/무선 인터넷 쇼핑, IPTV 쇼핑 및 TV 홈쇼핑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쇼핑의 경우,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홈쇼핑에서의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은 TV 홈쇼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TV 홈쇼핑을 통한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은 생방송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진행에 관련된 사항들은 TV 홈쇼핑 업체와의 제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선,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위한 신청이 접수됨에 따라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구도가 성립되면,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구도를 성립한 복수 판매자들이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를 진행한다.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은 복수의 상품 판매자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신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판매자가 6명인 경우, 제 1 판매자가 상품 판매 신청시,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항목에 5명의 상품 판매자 혹은 5개의 상품 브랜드를 기재하여 홈쇼핑 운영자에게 신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홈쇼핑 운영자가 나머지 5명의 상품 판매자에게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신청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5명의 판매자들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이 수락되면,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 신청은 홈쇼핑 운영자 혹은 구매자(시청자 포함)의 추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쇼핑 운영자 혹은 구매자가 여러 개의 브랜드 혹은 상품에 대하여 상품 판매 대결을 추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홈쇼핑 운영자가 상기 추천된 브랜드 혹은 상품의 판매자들에게 각각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제안하고, 상기 대결을 제안받은 판매자들로부터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다자간 상품 판매가 진행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홈쇼핑 운영자는 상기 복수 판매자 각각의 판매 실적을 고려하여 판매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판매 결과는 상기 TV 홈쇼핑을 통해 다자간 상품 판매 대결을 진행하는 별도의 쇼호스트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쇼핑 운영자가 상기 분석된 판매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 순위는 총 주문액 또는 총 판매액을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복수 판매자들의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 판매 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이 차등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자들에게 상기 차등적으로 부여되는 혜택은 마일리지 및 적립금 적립, 할인 적용, 쿠폰 제공, 게임 머니 제공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품 판매 결과, 상기 상품 판매 순위에 대응되게 상기 복수 판매자들에게 소정의 승리 보너스가 지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리 보너스에는 판매 수수료 인하 및 광고 우선권 등의 혜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정된 순위가 낮은 판매자의 경우, 일정 기간 동 하위 순위에 해당하는 판매자에게는 일정기간 동안의 판매 금지,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율 등의 패널티(Penalty)가 부과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상품 대결 시스템의 제어부(1720)는 도 2에 도시된 쇼핑몰 제공 서버의 제어부(220)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제어부(172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쇼핑몰 제공 서버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품 대결 시스템은 포털 사이트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제공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시스템은 동일 상품을 각각 상이한 판매조건으로 판매하는 판매처 간에 이루어지는 상품 대결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1710) 및 제어부(17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20)는 상품판매처 추출부(1721), 대결공간 제공부(1722), 대결순위 결정부(1723) 및 혜택 제공부(17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710)는 특정 상품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710)는 특정 키워드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키워드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가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품의 판매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 정보 및 상품 판매처 정보 등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1721)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처(예를 들어, 쇼핑몰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상품판매처는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상품판매처는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쇼핑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는 동일한 상품을 각각 다른 판매조건으로 판매하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쇼핑몰, 제 2 쇼핑몰 및 제 3 쇼핑몰이 각각 A라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쇼핑몰은 무이자 3개월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는 조건으로 상기 A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쇼핑몰은 무료배송에 무이자 3개월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는 판매조건으로 상기 A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쇼핑몰은 무료배송과 할인쿠폰 제공 등을 판매조건으로 하여 상기 A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 상품을 구매하고자하는 구매자는 동일한 A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제 1 쇼핑몰, 상기 제 2 쇼핑몰 및 상기 제 3 쇼핑몰의 판매조건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3)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에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3)는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 간에 이루어지는 대결을 위한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결의 주체는 상기 상품판매처 자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3)에 의해 제공되는 대결공간은 1:1 혹은 다자간 상품판매처 대결을 진행하기 위한 대결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판매처 각각은 동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조건을 서로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4)는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상기 판매처 간의 상품 판매 대결구도가 형성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상품의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4)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처 각각의 판매 실적을 근거로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4)는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3)에서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적어도 두 상품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상품에 대한 매출액 등의 판매 실적을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4)는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3)를 통해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 중 어느 한 판매처로 링크되는 클릭수를 더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결공간은 상기 상품판매처 간의 대결을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고, 광고공간은 상기 상품판매처가 판매하고자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가 게재된 특정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공간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순방향 링크라 하고, 상기 광고공간에서 상기 대결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역방향 링크라 하여, 상기 순방향 링크 클릭 또는 역방향 링크 클릭에 따라 주어지는 가중치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혜택 제공부(1725)는 상기 결정된 판매처의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혜택 제공부(1725)는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상기 복수 판매처에게 수수료 인하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혜택 제공부(1725)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해당 판매처에서 상기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에게 마일리지 및 포인트 적립, 할인 쿠폰 제공, 게임 머니 지급, 사은품 제공, 경품 추첨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혜택 제공부(1725)는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4)에서 결정된 상기 대결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혜택 제공부(1725)는 상기 클릭을 수행하는 클릭 수행 주체에게 상기 특정 상품의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혜택 제공부(1725)는 상기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클릭을 수행한 주체(예를 들어, 구매자, 네티즌 및 홈쇼핑 시청자 등)에게 그에 상응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시스템은 포털 사이트 내에서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포털 사이트에서 상품 대결 시스템을 통해 대결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특정 상품이 선택되어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처 사이트로 이동될 경우, 상기 판매처 사이트가 상기 포털 사이트에 소정 금액의 수수료를 납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시스템은 특정 상품을 각각 상이한 조건으로 판매하는 판매처 간 대결을 진행함으로써, 구매자가 대결 진행 결과를 참조하여 쉽게 구매결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상품을 광고하는 포털 사이트(광고공간)에 상품 대결 시스템(대결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처 사이트(예를 들어, 쇼핑몰 등)로의 이동 없이 간편하게 상품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처 간 대결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판매처 간 대결 방법은, 각각 상이한 판매조건으로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처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시스템은 포털 사이트 내에서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포털 사이트에서 상품 대결 시스템을 통해 대결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특정 상품이 선택되어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처 사이트로 이동될 경우, 상기 판매처 사이트가 상기 포털 사이트에 소정 금액의 수수료를 납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우선, 특정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 판매처가 추출되어 상기 추출된 판매처 간 대결을 위한 대결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S1810, S1820, S1830]. 즉, 특정 사이트(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 등)의 키워드 입력창을 통해 특정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가 입력되거나, 특정 광고공간을 통해 광고되고 있는 특정 상품이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1721)는 상기 선택 혹은 입력된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 판매처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된 복수 판매처는 동일한 특정 상품을 각각 상이한 판매조건을 제시하여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판매처 각각은 배송료 발생 여부, 무이자 할부 개월 수, 할인쿠폰 적용 등의 판매조건을 더 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2)가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1721)로부터 추출된 복수 판매처 간에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2)는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1721)를 통해 추출된 상품판매처 간에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결의 주체는 상품판매처 자체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2)에 의해 제공되는 대결공간은 1:1 대결 또는 다자간 대결을 진행하기 위한 대결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 상기 판매처 간의 대결구도가 형성되어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S1840, S1850].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대결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S1860, S1870]. 이때,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3)는 상기 상품판매처 각각의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 실적을 근거로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3)는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2)에서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적어도 두 상품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상품판매처에 대한 매출액 등의 판매 실적을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3)는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1722)를 통해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적어도 두 상품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상품 중 어느 한 상품을 광고하는 광고공간에서 상기 해당 상품판매처로 링크되는 클릭수 또는 상기 해당 상품판매처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클릭 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판매처는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일 수 있고, 상기 광고공간은 상기 상품판매처를 통해 판매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가 게재된 특정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판매처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순방향 링크라 하고, 상기 광고공간에서 상기 상품판매처로 링크되는 것을 역방향 링크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순방향 링크 클릭 또는 역방향 링크 클릭에 따라 주어지는 가중치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혜택 제공부(1724)가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S1880]. 상기 혜택 제공부(1724)는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상기 상품판매처 또는 상기 상품판매처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에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혜택 제공부(1724)는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1724)에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 차등적으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혜택 제공부(1724)는 상기 인기 투표에서 특정 상품을 선택한 투표 참여자가 상기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 상기 투표 참여자에게도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혜택 제공부(1724)는 상기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클릭을 수행한 주체(예를 들어, 구매자, 네티즌 및 홈쇼핑 시청자 등)에게 그에 상응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혜택 제공부(1724)에서 제공되는 혜택은 적립금 및 마일리지 적립, 할인 쿠폰, 사은품 제공, 게임 머니 지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방법은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처 간의 대결을 통해 구매자가 각각 판매처의 판매조건을 참조하여 보다 유리한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상품을 광고하는 포털 사이트(광고공간)에 상품 대결 시스템(대결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처 사이트(예를 들어, 쇼핑몰 등)로의 이동 없이 간편하게 상품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벌 상품 간의 1:1 상품 대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벌 상품 간의 1:1 상품 대결은 찬/반 투표 형식으로 상품 대결을 진행하여 상기 상품 대결에서 승리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혹은 상기 승리한 상품을 판매한 판매자에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1 상품 대결은 정해진 시간 내에 대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라이벌 상품 간에 1:1 대결구도가 형성될 경우, 상기 라이벌 상품 간의 대결을 일정 시간 동안 진행하여 최고의 인기 상품(Best Of Best)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대결은 KO승 또는 판정승의 형태로 대결 결과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KO승은 상기 대결중인 상품이 완판되거나 80% 이상의 판매 점유율을 선점한 경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정승은 대결 결과를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대결중인 상품들은 KO승 혹은 판정승 등의 대결결과에 따라 혜택이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기 검색 순위에 따른 다자간 상품 대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기 검색 순위에 따라 소정 개수의 인기 상품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품들 간에 다자간 상품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 등의 특정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키워드 입력창에 '핸드폰'이라는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핸드폰'이라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A 핸드폰, B 핸드폰, C 핸드폰 및 D 핸드폰 등의 복수 상품이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 B, C 및 D 핸드폰은 전체 핸드폰(예를 들어, 50개 핸드폰) 중에서 인기순위 4위에 선정된 핸드폰일 수 있다. 즉, 키워드 입력창을 통해 '핸드폰'이라는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핸드폰'이라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핸드폰 50개가 검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50개의 핸드폰 중에서 인기순위 1, 2, 3, 4위에 해당하는 A, B, C 및 D 핸드폰이 추출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추출된 A, B, C 및 D 핸드폰 간에 다자간 대결구도가 형성되어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대결구도는 일정 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으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대결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상품 대결의 대결순위는 판정승 형태로 결정되어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상응하도록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자간 상품 대결에서의 대결순위는 1순위 상품에게는 50%, 2순위 상품에게는 30%, 3순위 상품에게는 15%, 4순위 상품에게는 5%의 비중으로 혜택이 차등 제공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의 상품 대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쇼핑몰은 동일한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각각 다른 판매조건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즉,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쇼핑몰인 A 쇼핑몰, B 쇼핑몰 및 C 쇼핑몰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쇼핑몰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해 19,000원의 가격과 무이자 3개월의 판매조건을 제시할 수 있고, 상기 B 쇼핑몰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해 18,000원의 가격과 무료배송의 판매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C 쇼핑몰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해 18,000원의 가격과 무료배송 및 무이자 3개월의 판매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시된 판매조건에 따라 각각의 쇼핑몰들이 동일 상품에 대한 상품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대결은 선호도 및 인기도 조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상품 대결 진행 결과, 각각 쇼핑몰들의 대결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도록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혜택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및 상기 상품을 구매하고자하는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혜택은 수수료 인하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혜택은 포인트 및 마일리지 적립, 쿠폰 제공, 경품 추첨, 게임머니 지급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 상품 대결 방법은 구매자가 동일 상품에 대해 쇼핑몰마다 상이하게 제공되는 상품 판매조건을 고려하여 보다 쉽고 편리하게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표 결과를 이용한 구매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표 결과를 이용한 구매 결정 방법은 사전에 복수 상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구매자가 상기 진행된 투표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표 결과는 해당 사이트에서 직접 실시된 투표의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표 결과는 외부(예를 들어, 특정 웹사이트, 특정 리서치 업체 등)로부터 제공된 투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매자는 상기 투표 결과를 참조하여 인기도 혹은 선호도 등이 높은 제품을 쉽게 인지하고 구매로 전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휴사이트와의 상호 간 링크를 통해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결순위는 특정 사이트와 제휴 사이트 상호 간 링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상품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상품 중 어느 한 상품을 광고하는 광고공간에서 상기 대결공간으로 링크되는 클릭수 또는 상기 대결공간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클릭 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결공간은 상기 상품 대결을 진행하는 특정 서버일 수 있고, 상기 광고공간은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가 게재된 특정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공간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순방향 링크라 하고, 상기 광고공간에서 상기 대결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역방향 링크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순방향 링크 클릭 또는 역방향 링크 클릭에 따라 주어지는 가중치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결순위 결정방법은 광고공간에서 대결공간으로의 링크 여부 혹은 대결공간에서 대결공간으로의 링크 여부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각각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대결순위를 좀 더 선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구도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구도 형상 방법은 특정 고객에 의해 임의로 선정된 상품에 대해 자동으로 대결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특정 고객이 임의로 특정 상품 대결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특정 고객이 저장한 상품 대결에 대한 대결구도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고객 외에도, 제 2 고객 및 제 3 고객 등 별도의 고객들이 상기 형성된 대결구도로 인해 진행되는 상품 대결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구도는 특정 고객이 미리 선정한 상품들에 대한 대결구도가 형성되어 대결이 진행될 경우, 상기 특정 고객 외에도 제 2 고객 및 제 3 고객 등의 별도의 고객을 더 참여시켜 더욱 활발하게 대결을 진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기 검색 상품의 대결 구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기 검색 상품의 대결 구도는 복수 개의 상품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기 검색 상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정 개수의 인기 검색 상품을 이용해 상품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행되는 상품 대결에는 별도의 고객이 더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이 키워드 입력창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상품이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상품은 인기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소정 개수가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소정 개수의 상품은 자동으로 상품 대결 구도를 형성하여 상품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상품 대결은 다자간 대결 형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진행된 상품 대결 결과에 따라 대결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혹은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에게 혜택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방법은 특정 키워드에 대한 인기 검색 상품을 소정 개수 추출하여 자동으로 상품 대결을 진행하고, 상기 상품 대결 결과 판정되는 대결순위에 상응하도록 차등적으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유형별 특징을 비교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대결 유형은 일일 인기 검색 상품 중 최고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 특정 카테고리별로 인기 검색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 및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쇼핑몰 간의 상품 대결 등을 위한 대결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일일 인기 검색 상품 중 최고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의 경우, 하루 동안의 인기 검색 상품 중 최고 인기 상품(Best of Best)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고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의 경우, 1:1 대결구도를 형성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고 인기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대결은 1일 단위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1일 인기 키워드를 이용해 자동으로 대결구도를 형성하여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상품 대결 결과, 대결순위는 상품 구매액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대결 결과, 승리자에게는 포인트 또는 사은품 형태의 승리 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은 1:1 대결구도로 진행되므로, 하나의 상품이 매진 또는 완판되거나, 80% 이상 점유될 경우, 상기 상품 대결이 종료되고 해당 상품이 KO로 승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일 인기 검색 상품 중 최고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은 적어도 두 개의 상품 간에 이루어지는 상품 대결을 통해 해당 상품들을 동시에 광고하여 광고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카테고리별로 인기 검색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의 경우, 지식검색상품 중 카테고리별 최고 인기 상품을 5개 선정하여 다자간 대결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선정된 5개의 인기 상품들 간에 다자간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은 다자간 대결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결은 1일, 1주일 또는 1개월 등의 일정 시간 단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대결이 종료되면, 상기 상품의 매출액을 근거로 상기 상품들 간의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특정 투표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투표는 상기 상품들의 인기도 혹은 선호도에 관한 투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자간 대결을 진행할 경우에는, 상기 상품들 간 판정(KO승 불가)을 통해 대결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카테고리별로 인기 검색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상품 대결의 경우, 상기 상품 대결로 인한 호기심 및 재미로 인해 고객 참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 상품 대결의 경우, 키워드를 입력하여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워드는 지식검색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여 상품을 검색할 경우, 판매조건을 다르게 설정하여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쇼핑몰이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된 복수의 쇼핑몰들의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가격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쇼핑몰 중, 제 1 쇼핑몰은 무료배송을 판매조건으로 더 제공할 수 있고, 제 2 쇼핑몰은 무료배송과 동시에 5% 할인 쿠폰을 판매조건으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3 쇼핑몰은 5% 할인 쿠폰과 3개월 무이자의 판매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기 복수의 쇼핑몰 중 제 1 쇼핑몰, 제 2 쇼핑몰 및 제 3 쇼핑몰의 판매조건을 참조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판매조건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대결 시간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구매액 또는 링크수 등을 기준으로 상품의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따라, 포인트 혹은 경품 추첨 등의 승리 보너스를 차등적으로 지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대결에서 승리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대결순위에 상응하는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율 및 재구매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 대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간에 이루어지는 대결은 대결 결과 판정되는 대결순위에 따라 승리 보너스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우선, 키워드 입력창을 통해 특정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품이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된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쇼핑몰이 함께 검색될 수 있는데, 상기 복수의 쇼핑몰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조건을 각각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우선, 키워드 입력창에 '시계'라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상품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A 시계를 판매하는 복수의 쇼핑몰(A, B, C, D 및 E 쇼핑몰)이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쇼핑몰 각각은 서로 상이한 판매조건을 전제로 상기 A 시계를 판매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색된 복수의 쇼핑몰들은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쇼핑몰들은 동일 상품에 대한 무이자 할부 개월 수, 배송비 발생 여부 등을 각각 달리한 판매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쇼핑몰의 경우, A 시계의 판매 조건으로 2개월 무이자 및 배송비 무료 쿠폰 등을 제공할 수 있고, B 쇼핑몰은 A 시계의 판매조건으로 가격만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C 쇼핑몰은 3개월 무이자와 동시에 배송료 무료 쿠폰 등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D 쇼핑몰은 무료 배송 쿠폰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각각의 쇼핑몰별 판매조건을 참조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상기 A 시계에 대한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쇼핑몰 각각이 서로 상이한 판매조건을 적용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대결구도를 형성하므로, 상기 구매자는 상기 형성된 대결구도를 참조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판매조건을 적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성된 대결구도에 따라 대결이 진행될 경우, 상기 진행된 대결 결과에 상응하도록 보너스 지급 등의 혜택을 차등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사이트(광고공간)에서 특정 상품 선택 시, 링크된 대결공간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사이트에서 광고되고 있는 특정 상품을 선택할 경우, 해당 광고공간에 링크되어 있는 상품 대결공간으로 이동하여 상품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공간에서 상기 대결공간으로 링크되는 클릭수 또는 상기 대결공간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클릭 수를 고려하여 상기 상품들 간의 대결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결공간은 상기 상품 대결을 진행하는 특정 서버일 수 있고, 상기 광고공간은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가 게재된 특정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결공간에서 상기 광고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순방향 링크라 하고, 상기 광고공간에서 상기 대결공간으로 링크되는 것을 역방향 링크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순방향 링크 클릭 또는 역방향 링크 클릭에 따라 주어지는 가중치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결순위 결정방법은 광고공간에서 대결공간으로의 링크 여부 혹은 대결공간에서 대결공간으로의 링크 여부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각각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대결순위를 좀 더 선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Claims (8)

  1. 입력부, 상품판매처 추출부, 대결공간 제공부, 대결순위 결정부, 디스플레이부 및 혜택 제공부를 구비하는 상품 대결 시스템의 상품 대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특정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판매처 추출부가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가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상기 대결순위 결정부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처 각각의 매출액 및 상품 링크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대결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의 대결 상황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혜택 제공부가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결공간 제공부가 상기 특정 상품을 각각 상이한 판매조건으로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혜택 제공부가 판매자 및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체에게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품에는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처 사이트가 링크된 것으로,
    상기 특정 상품이 선택되어 상기 판매처 사이트로 링크될 경우, 상기 상품 대결 시스템이 상기 판매처 사이트로부터 소정 금액의 수수료를 징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정 금액의 수수료를 징수하는 단계는 상기 대결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방법.
  5. 특정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두 판매처를 추출하는 상품판매처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판매처 간에 대결이 이루어지도록 대결공간을 제공하는 대결공간 제공부;
    상기 제공된 대결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 간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판매처 각각의 매출액 및 상품 링크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결순위를 결정하는 대결순위 결정부;
    대결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판매처의 대결 상황 정보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결정된 대결순위에 대응되게 혜택을 부여하는 혜택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품 대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처 각각은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조건이 다른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판매자 및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체에게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품에는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처 사이트가 링크된 것으로,
    상기 특정 상품이 선택되어 상기 판매처 사이트로 링크될 경우, 상기 상품 대결 시스템은 상기 판매처 사이트로부터 소정 금액의 수수료를 징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대결 시스템.
KR1020100032098A 2009-07-07 2010-04-0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02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03696A JP2013527953A (ja) 2010-04-08 2011-04-07 商品対決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PCT/KR2011/002452 WO2011126323A1 (ko) 2010-04-08 2011-04-07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44 2009-07-07
KR20090061844 2009-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62A KR20110004262A (ko) 2011-01-13
KR101021143B1 true KR101021143B1 (ko) 2011-03-14

Family

ID=4342822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102A KR101021142B1 (ko) 2009-07-07 2010-01-2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KR1020100008092A KR101099309B1 (ko) 2009-07-07 2010-01-2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KR1020100032099A KR101099211B1 (ko) 2009-07-07 2010-04-0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시스템
KR1020100032097A KR101099169B1 (ko) 2009-07-07 2010-04-0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0100032098A KR101021143B1 (ko) 2009-07-07 2010-04-0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102A KR101021142B1 (ko) 2009-07-07 2010-01-2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KR1020100008092A KR101099309B1 (ko) 2009-07-07 2010-01-2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KR1020100032099A KR101099211B1 (ko) 2009-07-07 2010-04-0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시스템
KR1020100032097A KR101099169B1 (ko) 2009-07-07 2010-04-08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10273A1 (ko)
KR (5) KR101021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04B1 (ko) * 2010-05-13 2012-02-09 이정갑 자동 판매기
US11323505B2 (en) 2011-06-20 2022-05-03 Ibotta, Inc. Computer networks for selective node delivery
US20120323656A1 (en) * 2011-06-20 2012-12-20 Ibotta, Inc. Personalized purchase offers based on item-level transaction data from multiple sources
KR101481067B1 (ko) * 2012-10-11 2015-01-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토너먼트/리그 방식으로 상품을 선택하는 전자 상거래 운용방법 및 서버
US9928515B2 (en) * 2012-11-15 2018-03-27 Home Depot Product Author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petitive product assortment
KR101575640B1 (ko) * 2014-03-04 2015-12-09 김영미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분석 시스템 및 온라인매출분석서버
US11507688B1 (en) 2016-05-10 2022-11-22 Ibott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nd regulating the availability of syndicated data items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including online and offline channels
KR102046929B1 (ko) * 2018-02-01 2019-11-20 (주)파밍봇 서비스 서버, 이를 포함하는 sns 방식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158B1 (ko) * 2018-05-18 2021-03-08 남기원 유저 반응형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213798A1 (ko) * 2019-04-18 2020-10-22 주식회사 유후 링크노출을 이용한 확장형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42206B1 (ko) * 2019-05-10 2021-04-20 김류문 경연 플랫폼 운영 방법 및 경연 참여 방법
KR102322578B1 (ko) * 2020-06-08 2021-11-04 윤성민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87A (ko) * 2000-12-21 2001-04-06 이홍기 인터넷을 이용한 순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1489A (ko) * 2004-12-02 2006-06-08 메이크스타일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5553A (ko) * 2003-09-30 2006-08-31 야후! 인크. 검색을 점수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8221A1 (en) * 2000-08-31 2002-03-28 Tiwary Vivek John Competitive reward commerce model
US20040158537A1 (en) * 2001-04-20 2004-08-12 Webber Aaron John Network marketing compensation system
KR20030064244A (ko) * 2002-01-24 2003-07-31 고성민 입찰 순위를 실시간 표시하는 실시간 경매방법
KR20050038368A (ko) * 2003-10-22 2005-04-27 이성수 커뮤니티형 게임을 통한 다자간 대결에 의한 상품구매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90379A1 (en) * 2005-02-23 2006-08-24 Eric Maas Price grabber
US20070022007A1 (en) * 2005-06-14 2007-01-25 Mystorecredit.Com System and method for a customer loyalty reward system utilizing a shopping search portal, a payment transfer agent and email marketing
US20080140540A1 (en) * 2006-12-12 2008-06-12 Hugues Courchesne Price submiss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87A (ko) * 2000-12-21 2001-04-06 이홍기 인터넷을 이용한 순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5553A (ko) * 2003-09-30 2006-08-31 야후! 인크. 검색을 점수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61489A (ko) * 2004-12-02 2006-06-08 메이크스타일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이뉴스 24, "롯데아이몰닷컴 최고 상품 맞짱 대결 펼친다", 2008.09.04, 출처: http://itnews.inews24.com/php/view_print.php?g_serial=355335&g_menu=020300&pay_news=0&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10273A1 (en) 2011-01-13
KR20110004253A (ko) 2011-01-13
KR20110004262A (ko) 2011-01-13
KR101099309B1 (ko) 2011-12-26
KR101099169B1 (ko) 2011-12-27
KR20110004252A (ko) 2011-01-13
KR101099211B1 (ko) 2011-12-27
KR20110004263A (ko) 2011-01-13
KR101021142B1 (ko) 2011-03-14
KR20110004261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143B1 (ko) 상품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JP5046166B2 (ja) ショッピングモールの提供方法
JP6098899B2 (ja) Qrコードに基づく抽選式の現金補償型商品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利用した商品販売サービス方法
US20130231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marketing
KR101882699B1 (ko) 온라인 판매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18141A1 (en) Method for expanding sales through computer game
KR20150042888A (ko) 누적포인트의 순위 경쟁을 통한 게임 마케팅 플랫폼
JP2013527953A (ja) 商品対決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KR20170099501A (ko) 게임 찬스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0092A (ko) 경품 자유 선택식 행운 구매 방법 및 시스템
WO2019221579A1 (ko) 유저 반응형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9466A (ko) 그룹 게임을 이용한 프로모션 시스템
KR101099294B1 (ko) 광고 관리 방법 및 광고 관리 서버
KR20110092769A (ko) 매체 연동 광고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44646A (zh) 基于互联网的商户推广方法
KR20130065834A (ko) 상품 판매 대결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KR20060094763A (ko) 경품추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판매기의 물품 구입에따른 경품지급 방법
KR20100104491A (ko) 게임 및 경기방식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024673B1 (ko) 광고 관리 방법 및 광고 관리 서버
CN113379473A (zh) 基于互联网的商业平台运行方法
CN113379472A (zh) 基于互联网的用户推广方法
KR101024672B1 (ko) 광고 관리 방법 및 광고 관리 서버
KR101099185B1 (ko) 광고 관리 방법 및 광고 관리 서버
US20120166301A1 (en) Online transaction method and online transaction system
KR20190085290A (ko) 경품 이벤트 기반의 매장 상품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