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202B1 - 일회용 손가락 집게 - Google Patents

일회용 손가락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202B1
KR101020202B1 KR1020090133157A KR20090133157A KR101020202B1 KR 101020202 B1 KR101020202 B1 KR 101020202B1 KR 1020090133157 A KR1020090133157 A KR 1020090133157A KR 20090133157 A KR20090133157 A KR 20090133157A KR 101020202 B1 KR101020202 B1 KR 10102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inger
fitting portion
hing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198A (ko
Inventor
조만수
Original Assignee
김용규
조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조만수 filed Critical 김용규
Publication of KR2010010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집을 때 제일 많이 사용하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 또는 제 4 끼움부와 제 5 끼움부 및 제 6 끼움부에 각각 끼워져 착용됨에 따라,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탄성 작용에 의해서 다음 음식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일회용 손가락 집게가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물에 첨가된 기름을 흡수하여, 섭취되는 기름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고열에도 녹지 않음으로써,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지 않으며, 단열성을 가지고 있어 손가락 화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1 힌지부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일회용, 손가락 집게, 엠보, 힌지, 집게, 종이

Description

일회용 손가락 집게{A Disposable Paper Clamp}
본 발명은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집을 때 제일 많이 사용하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 또는 제 4 끼움부와 제 5 끼움부 및 제 6 끼움부에 각각 끼워져 착용됨에 따라,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탄성 작용에 의해서 다음 음식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일회용 손가락 집게가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물에 첨가된 기름을 흡수하여, 섭취되는 기름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고열에도 녹지 않음으로써,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지 않으며, 단열성을 가지고 있어 손가락 화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킨이나 피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를 주문하여 매장에서 먹거나 배달을 통해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스트 푸드의 기름이나 양념 등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티슈, 물티슈, 또는 냅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와 일회용 티슈, 물티슈, 및 냅킨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음식물 을 쥐고 먹을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손바닥등에 기름이나 양념 등이 묻게 되어 음식물을 섭취하고 난 이후에는 손을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에 충분히 손을 씻지 않을 경우에는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어 위생적이지 못하여, 건강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 20-0404781호에는 일회용 종이집게가 출원 및 등록되어 있는바, 그 내용을 살펴보면, 피자와 치킨처럼 손을 사용하여 먹는 음식을 위해 검지와 나머지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음식을 쉽게 집고 먹을 수 있는 일회용 종이집게이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단된 종이판이 손에 밀착되어 음식을 직접 잡을 수 있는 종이집게 몸통부분과; 종이집게를 자유롭게 폈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손가락을 삽입하여 끼울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손가락 삽입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일회용 종이 집게는 단순히 종이를 재단하여 집게를 제작하기 때문에 복원능력이 떨어져서 강제로 손가락으로 벌려서 음식물을 집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한겹의 종이를 이용하여 집게를 제작하기 때문에 자체 탄성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서 음식물을 파지시에 일일이 펼친후 다시 집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것이다.
아울러, 집게의 끝부분으로 음식물이 면접촉에 의해서 집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뜨거운 음식물을 집을 경우 곧바로 열이 인체에 전달되므로 음식물을 집은 상태에서 섭취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즉, 종이면과 음식물이 면접촉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부분과 손가락 몸체 전체를 통해 음식물의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매우 뜨거운 열이 손가락 전체를 통해 전달되므로 종래의 종이집게를 이용하여서 피자나 치킨과 같은 고열의 제품을 집어서 취식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한편, 종이집게의 탄성 복원력을 갖기 위해 공개특허 제 10-2007-0034914호에는 탄성기능을 갖는 일회용 종이집게가 출원되었다.
상기 특허 내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와 나머지 네 손가락 사이에 끼워져 종이집게의 몸통을 이루는 종이집게 몸통부분과; 종이집게 양측면을 이어주면서 종이집게의 상하 운동을 돕는 복원력 제공부분과; 재단된 종이판에 주어진 졉혀지는 선을 따라서 안쪽 또는 바깥쪽이 접혀 종이집게 몸통부분과 결합하여 열전도를 차단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전도 방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 내용을 살펴보면, 열전도 방지를 하기 위해서는 접허진 종이의 맨 바깥쪽 부분을 파지해야 하므로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열전도 방지 기능을 확보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종이의 중간부분을 다수겹 접어서 복원력이 발생토록 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단순히 다수겹의 접이만으로 한겹의 종이가 탄성력을 갖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특허기술로는 손가락을 삽이홈에 파지한 상태에서 열전도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구성을 갖기가 곤란하고, 또한, 다수겹의 접이를 하더라도 압착에 의해 눌러지면 다시 복원력을 확보하기도 곤란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실제로 더블유(W)자 형태로 접이 부분을 만들게 되면 음식물을 집는 부분이 내측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종이를 단순히 접는 방법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기는 어려운 구조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손가락 집게는, 음식물을 집을 때 제일 많이 사용하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에 각각 끼워져 착용됨에 따라,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의 하부에 엠보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뜨거운 음식물을 집었을 경우, 음식물의 고열이 손가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제 1 힌지부로 연결하고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제 2 힌지부로 연결하여 음식물을 놓으면 자동으로 원상복귀되는 탄발기능을 갖도록 하여 다음 음식물을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및 제 3 끼움부의 하부 끝단에 음식물 이탈 방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을 집었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및 제 3 연결부의 하부에 보강재를 각각 부착함으로써,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및 제 3 연결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는, 하부에 꺾임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에 각각 끼워진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가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른손 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과 왼손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의 구분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수 개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시에 적층가능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110);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111);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112);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120);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121);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122);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1 힌지부 (130)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2 힌지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꺾임부(170)가 각각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110);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111);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112);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120);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121);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122);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1 힌지부 (130)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2 힌지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110);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111);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112);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120);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121);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122);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부(130);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엠보부(14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 끝단에 음식물 이탈 방지부(15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및, 제 3 연결부(122)는, 하부에 보강재(160)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꺾임부(17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끼움부(110) 및 제 2 끼움부(111)는, 좌우 대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된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 손가락 집게는, 음식물을 집을 때 제일 많이 사용하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에 각각 끼워져 착용됨에 따라,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의 하부에 엠보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뜨거운 음식물을 집었을 경우, 음식물의 고열이 손가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에 제 1 힌지부와 제 2 힌지부를 형성하여 탄성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서 다음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및 제 3 끼움부의 하부 끝단에 음식물 이탈 방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을 집었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및 제 3 연결부의 하부에 보강재를 각각 부착함으로써,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및 제 3 연결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는, 하부에 꺾임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에 각각 끼워진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가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과 왼손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의 구분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끼움부, 제 2 끼움부 및 제 3 끼움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수 개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시에 적층가능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일회용 손가락 집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평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는, 제 1 끼움부(110),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제 2 힌지부(131), 엠보부(140), 음식물 이탈 방지부(150), 보강재(160), 꺾임부(170)를 포함한다.
제 1 끼움부(110)는, 일측에 형성되고, 엄지 손가락 끝에만 끼울 수 있는 것 이다.
제 2 끼움부(111)는, 타측에 형성되고,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 끝에만 끼울 수 있는 것이다.
제 3 끼움부(112)는, 타측에 형성되고,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 끝에만 끼울 수 있는 것이다.
즉,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는, 음식물을 집을 때 제일 많이 사용하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이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에 각각 끼워져 착용됨에 따라,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끼움부(110) 및 제 2 끼움부(120)는,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의 제 1 끼움부(110) 및 제 2 끼움부(120)가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과 왼손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의 구분 없이 착용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20)는, 제 1 끼움부(110)의 하단에 장착된다.
제 2 연결부(121)는, 제 2 끼움부(111)의 하단에 장착된다.
제 3 연결부(122)는, 제 3 끼움부(112)의 하단에 장착된다.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1)는 제 1 힌지부(130)로 연결된다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1)는 제 2 힌지부(132)로 연결된다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 부(121) 및 제 3 연결부(122)를 연결하는 역할도 하지만,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으로 음식물을 집을 때,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하고, 또한, 제 1 , 2 힌지부를 반원통형으로 제작하여 탄성 복원기능을 갖도록하여 음식물을 놓으면 원래 벌어진 상태로 복귀하므로 다음 음식물을 집을때 곧바로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부를 설치하지 않으면 접었을때 다시 펼쳐지는 기능을 갖기가 어려워 다음 음식물을 집을때 다시 손가락을 펼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발명은 힌지부가 반원통형으로 제작되므로 음식물을 놓으면 다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음 음식물을 잡기가 수월하다.
이러한,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며, 또한, 음식물에 첨가된 기름을 흡수하여, 섭취되는 기름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물의 고열에도 녹지 않음으로써,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지 않으며, 단열성을 가지고 있어 손가락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의 하부에는 엠보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엠보부(140)는, 일측면에 강한 압력을 주어 도드라진 무늬가 형성된 것이다.
엠보부(140)는, 사용자가 뜨거운 음식물을 집었을 경우, 음식물의 고열이 손가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를 사용하면, 뜨거운 음식물도 손쉽게 집어서 먹을 수 있게 됨으로써, 뜨거운 음식물의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의 하부 끝단에 음식물 이탈 방지부(150)가 각각 형성된다.
음식물 이탈 방지부(150)는, 음식물을 집었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1) 및 제 3 연결부(122)는, 하부에 보강재(160)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 보강재(160)는, 통상적으로 리브(Rib)를 많이 사용한다.
리브는 구조 전체의 응력이나 변형을 작게 하기 위한 큰 벽판상(壁板狀)인 부재, 국부적인 응력집중이나 국부변형을 완화시키기 위한 작은 부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리브의 적절한 배치 구성은 구조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으므로, 그 기계의 성능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이익이 크다.
특정부재에 특정한 힘을 부담시키는 리브구조와 외곽구조요소 등에 힘을 분산시키는 셸구조가 있다. 우산의 살, 사람의 갈빗대 등은 리브구조의 좋은 예이다.
즉,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1) 및 제 3 연결부(122)는, 음식물을 집을 때,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의 반복적인 움직임 동작으로 마찰이 생겨 닳아서 손상되게 쉽다.
이에 따라,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1) 및 제 3 연결부(122)는, 하부에 보강재(160)를 부착함으로써,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1) 및 제 3 연결부(12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손가락 집게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꺾임부(170)가 각각 형성된다.
꺾임부(170)는, 손가락 형상에 따라 적용한 것으로,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에 각각 끼워진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가 다수 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가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수 개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100)가 적층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측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4 끼움부(210); 2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끼워질 수 있는 제 5 끼움부(220) 및 제 6 끼움부(230); 제 4 끼움부(210)의 하단에 장착된 제 4 연결부(240); 제 5 끼움부(220) 및 제 6 끼움부(230)를 동시에 연결하는 제 5 연결부(250); 제 4 연결부(240)와 제 5 연결부(250)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3 힌지부(260); 제 4 연결부(240)와 제 5 연결부(250)의 하부에 형성하는 보강재(2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끼움부(210), 제 5 끼움부(220), 제 6 끼움부(230), 제 4 연결부(240), 제 5 연결부(250), 제 3 힌지부(260) 및, 보강재(270)는, 천연펄프 재질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힌지부(260)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3 힌지부(260)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재의 탄성 보강부재(280)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실시예는 2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끼울수 있는 구조로서, 예컨데 제 4 끼움홈(210)에는 엄지 손가락을 삽입하고, 제 5 끼움부(220)에는 집게손가락을 삽입하며, 제 6 끼움부(230)에는 중지 손가락을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 5 끼움부(220)와 제 6 끼움부(230)를 인접하여 설치하게 되면 어린아이들이 손가락을 보다 쉽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성인은 끼움홈에 각각의 손가락을 삽입하기가 용이하나, 어린아이와 같은 경우에는 끼움홈에 각각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5 끼움부(220)와 제 6 끼움부(230)를 인접하여 나란하게 구성함으로서 쉽 게 끼움홈에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탄성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탄성 보강부재(280)를 제 3 힌지부(260)와 직교하여 형성토록하며, 상기와 같이 탄성보강부재(280)를 더 형성토록함으로서 탄성작용을 보다더 강화할 수 있다.
즉, 제 3 힌지부(260)의 작용만으로도 탄성 복원능력이 있어서 음식을 놓게 되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음 음식물을 잡을때 곧바로 제 4 끼움부(210)와 제 5 끼움부(220) 및 제 6 끼움부(230)를 접으면 되나, 탄성 보강부재(280)를 더 설치함으로서 탄성 복원능력이 강화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탄성 복원능력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유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회용 종이집게 제 1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일회용 종이집게 제 2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일회용 종이집게 제 3 구성도.
도 4는 종래기술의 일회용 종이집게 제 4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평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측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회용 손가락 집게가 다수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손가락 집게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손가락 집게
110: 제 1 끼움부
111: 제 2 끼움부
112: 제 3 끼움부
120: 제 1 연결부
121: 제 2 연결부
122: 제 3 연결부
130: 제 1 힌지부
131: 제 2 힌지부
140: 엠보부
150: 음식물 이탈 방지부
160: 보강재
170: 꺾임부
210: 제 4 끼움부
220: 제 5 끼움부
230: 제 6 끼움부
240: 제 4 연결부
250: 제 5 연결부
260: 제 3 힌지부
270: 보강재
280: 탄성 보강부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110);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111);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112);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120);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121);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122);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1 힌지부 (130)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2 힌지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꺾임부(17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
  7. 삭제
  8.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110);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111);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112);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120);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121);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122);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1 힌지부 (130)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며 탄성 복원기능을 갖는 제 2 힌지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
  9.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끼움부(110);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끼움부(111);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제 3 끼움부(112);
    제 1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연결부(120);
    제 2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2 연결부(121);
    제 3 끼움부의 하단에 장착된 제 3 연결부(122);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부(130); 및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제 3 끼움부(112),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제 3 연결부(122),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는, 천연펄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엠보부(14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 끝단에 음식물 이탈 방지부(15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연결부(120), 제 2 연결부(121) 및, 제 3 연결부(122)는, 하부에 보강재(160)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하부에 꺾임부(17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끼움부(110) 및 제 2 끼움부(111)는, 좌우 대칭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끼움부(110), 제 2 끼움부(111) 및, 제 3 끼움부(112)는, 제 1 힌지부(130) 및 제 2 힌지부(131)를 중심으로 '∧' 형태로 하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손가락 집게.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33157A 2009-03-23 2009-12-29 일회용 손가락 집게 KR101020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56 2009-03-23
KR20090024556 2009-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98A KR20100106198A (ko) 2010-10-01
KR101020202B1 true KR101020202B1 (ko) 2011-03-08

Family

ID=4312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57A KR101020202B1 (ko) 2009-03-23 2009-12-29 일회용 손가락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9550B2 (ja) * 2015-11-17 2019-08-14 下村工業株式会社 手動調理器用食品保持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A (ja) * 1993-05-31 1995-01-06 Sagamihara Shorui Kanri Syst:Kk 食物等を掴むナプキン
KR200275293Y1 (ko) * 2002-02-07 2002-05-11 안희석 종이핀셋
KR200301793Y1 (ko) * 1998-02-03 2003-04-18 희 철 남 일회용손가락커버
KR200343580Y1 (ko) * 2003-11-21 2004-03-02 킹스톤기전 주식회사 치킨용 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A (ja) * 1993-05-31 1995-01-06 Sagamihara Shorui Kanri Syst:Kk 食物等を掴むナプキン
KR200301793Y1 (ko) * 1998-02-03 2003-04-18 희 철 남 일회용손가락커버
KR200275293Y1 (ko) * 2002-02-07 2002-05-11 안희석 종이핀셋
KR200343580Y1 (ko) * 2003-11-21 2004-03-02 킹스톤기전 주식회사 치킨용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98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2250B2 (ja) 衛生フィンガーキャップ
KR200482486Y1 (ko) 일회용 음식물 집게
EP1741369A1 (en) A combined spoon and chopsticks
KR101020202B1 (ko) 일회용 손가락 집게
KR200450886Y1 (ko) 음식물 파지용 간이 집게
KR200447983Y1 (ko) 일회용 집게
KR100704707B1 (ko) 1회용 넵킨
KR101051334B1 (ko) 일회용 냅킨
JP3168725U (ja) 挟持具
JP2007321306A (ja) 手掴み飲食用指カバー
KR200386784Y1 (ko) 음식물 파지용 위생골무
KR100981065B1 (ko) 일회용 집게가 형성된 포장 용기
KR200314644Y1 (ko) 일회용 접착식 장갑
KR200366197Y1 (ko) 위생손집게
JP5856040B2 (ja) 串物食品の指当て
KR200417158Y1 (ko) 삼중구조의 위생장갑
JP3145214U (ja) 着脱が容易で手指を汚さない食品用手袋
JP2002291646A (ja) 片手で広げられる折り畳んである敷き又は拭きペーパー
JP2013040431A (ja) 使い捨て指サック
KR200452544Y1 (ko) 일회용 집게를 갖는 포장 상자
KR200436147Y1 (ko) 손가락용 장갑
JPH09122037A (ja) ペーパーナプキン
JP2010116166A (ja) 食品用袋
KR200404781Y1 (ko) 일회용 종이 집게
KR200421469Y1 (ko) 1회용 넵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