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279B1 -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279B1
KR101018279B1 KR1020080088315A KR20080088315A KR101018279B1 KR 101018279 B1 KR101018279 B1 KR 101018279B1 KR 1020080088315 A KR1020080088315 A KR 1020080088315A KR 20080088315 A KR20080088315 A KR 20080088315A KR 101018279 B1 KR101018279 B1 KR 10101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injection
injection molding
plating
masking
mask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502A (ko
Inventor
맹순필
양재복
Original Assignee
(주) 딜라이트오브서피스앤컬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딜라이트오브서피스앤컬러 filed Critical (주) 딜라이트오브서피스앤컬러
Priority to KR102008008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2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solid compounds or suspens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 C23C20/06Coating with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mask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도금되는 부분을 마스킹(masking)하고,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코팅 처리한 뒤 도금함으로써 일부분만을 부분 도금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은 마스킹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되는 부분을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부분 도금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금형을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단일사출, 도금, 마스킹, 코팅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Partial Gilting Method For Plastic Inection moleded Product}
본 발명은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분 도금되는 부분을 마스킹(masking)하고,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코팅 처리한 뒤 도금함으로써 일부분만을 부분 도금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해 제조된 물품이 더 아름다운 외관을 갖도록 하는 것은 물품의 구매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상기 물품이 아름다운 외관을 갖도록 하는 방법의 하나로 물품의 표면에 도금을 하여 금속효과를 주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물품의 전체 표면 모두에 도금되도록 하기도 하지만, 현대 산업 분야에서 디자인의 필요성에 의해 물품의 표면 전체가 아닌 부분에만 도금이 되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경우,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은 휴대폰의 외관을 이루게 될 외관부와 다른 플라스틱 사출물과의 결합에 의해 가려져서 휴대폰의 외관을 이루지 않고 안으로 숨겨지는 비외관부로 이루어진다.
휴대폰의 외관에 금속 효과를 주기 위해서 도금을 하게 되는 경우에 휴대폰의 외관을 이루지 않는 비외관부는 굳이 도금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 중에서 상기 외관부만이 부분 도금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하나의 플라스틱 사출물을 부분 도금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종래에는 상이한 성질의 2개의 재료가 사출되어 하나의 사출물로 사출 성형되는 이중 사출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즉, 도금이 필요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성질이 상이한 2개의 재료를 두번의 성형 과정을 통해 하나의 플라스틱 사출물이 되도록 성형하고, 2개의 재료 중 하나의 재료에만 도금되는 도금 재료 또는 조건를 이용하여 도금함으로써 일부에만 부분 도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사출 방법에 의한 부분 도금 방법을 사출 생산 시간이 증가되고, 금형이 고가여서 사출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재료는 성질이 상이하므로, 이중 사출되는 과정에서 사출물의 불량률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사출물을 부분 도금하기 위해서, 동일한 재료의 사출물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 사출한 뒤 도금이 필요한 부분만을 도금하고, 상기 2개 이상이 부분을 결합하여 부분 도금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만드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 역시 2개 이상의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고, 별도의 조립 공정을 통해 하나의 사출물을 생산하여야 하므로 물품의 디자인 구현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두 방법은 부분 도금을 위해 하나의 플라스틱 사출물을 하나의 금형으로 생산하지 못하고, 두 개 이상의 공정을 거쳐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정의 특성상 미세한 부분의 부분 도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서, 미적인 효과를 위한 디자인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금형에 의해 사출되어 단일 사출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사출물을 마스킹(masking) 하여, 마스킹되었던 부분만이 부분 도금되도록 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은 마스킹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되는 부분을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킹 부재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에 탈부착 가능한 마스킹 지그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지그는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마스킹 지그는 상호 체결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코팅하는 단계는 UV 코팅에 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하는 단계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액에 디핑 처리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을 부분 도금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금형을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플라스틱 사출물이 단일한 사출물을 이루므로,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조립함에 따른 불량률 증가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미세한 부분까지도 효과적으로 부분 도금이 가능하여 부분 도금을 이용해 물품의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단일 사출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사출물(10)의 사시도이다.
플라스틱 사출물(10)은 크게 물품의 외관을 이루게 될 외관부(1)와 다른 플라스틱 사출물(미도시)에 의해 가려져서 물품의 외관을 이루지 않고 안으로 숨겨지는 비외관부(2)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외관부(1)가 비외관부(2)와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음영처리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10)에는 외관부(1)와 같이 물품의 전면에 보이지는 않지만 각각의 플라스틱 사출물이 결합되는 경우, 그 이음새를 이루는 이음새부(3a, 3b, 3c)가 있다. 이음새부(3a, 3b, 3c)은 별도로 음영에 의해 구분되어 있지는 않다.
플라스틱 사출물(10)의 표면에 도금 처리를 하는 경우에, 외관부(1)은 물품의 전면에 드러나는 부분으로서 도금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음새부(3a, 3b, 3c)는 모든 부분이 밖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 일부가 물품의 외관을 이루게 되는 부분으로서, 디자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도금이 필요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비외관부(2)는 다른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으로서 굳이 도금 처리가 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외관부(1)와 이음새부(3a, 3b, 3c)만이 도금되도록 하기 위해서, 외관부(1)와 이음새부(3a, 3b, 3c)를 가리는 마스킹(masking) 처리를 한다. 마스킹 처리는 후술하는 코팅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부분 도금될 부분이 코팅되지 않도록 그 부분을 가리는 처리를 말한다. 따라서, 부분 도금을 원하는 부분이 가려지도록 하는 어떠한 마스킹 부재라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시예에서는 상기 마스킹 처리를 위해 외관부(1)와 이음새부(3a, 3b, 3c)만을 가릴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된 마스킹 지그(20, 30, 40)(도 2 참조)를 이용한다.
도 2는 플라스틱 사출물(10)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마스킹 지그(20, 30, 40)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스킹 지그(20, 30, 4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의 부재로 이룬다.
제 1 마스킹 지그(20)는 플라스틱 사출물(10)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 2 마스킹 지그(30)는 플라스틱 사출물(10)의 배면으로부터 통공(12)에 결합된다. 제 3 마 스킹 지그(40)는 플라스틱 사출물(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제 2 마스킹 지그(30)의 연결부(31)가 플라스틱 사출물(1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1)을 관통하여 제 1 마스킹 지그(20)에 형성된 연결부(21)와 연결되어 제 2 마스킹 지그(30)와 1 마스킹 지그(20)가 상호 체결된다. 또한, 제 3 마스킹 지그(40)의 연결부(42)가 제 1 마스킹 지그(20)에 형성된 연결부(22)와 연결되어 제 3 마스킹 지그(40)와 제 1 마스킹 지그(20)가 상호 체결된다.
이렇게 각각의 마스킹 지그(20, 30, 4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마스킹 지그(20, 30, 40)가 플라스틱 사출물(10)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며,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플라스틱 사출물(10)에 마스킹 지그(20, 30, 40)가 부착된 조립체(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제 1 마스킹 지그(20)는 외관부(1)(도 2)를 덮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서 마스킹하며, 제 2 마스킹 지그(30)는 연결부(31)와 몸체부(32)가 각각 이음새부(3a, 3b)를 가려서 마스킹하게 된다. 제 3 마스킹 지그(40)는 이음새부(3c)를 가려서 마스킹한다.
이러한 마스킹 지그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개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부분 도금이 필요한 부분의 형상 및 개수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마스킹 지그는 마스킹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부분 도금이 가능하게 해준다. 즉, 이음새부와 같이 작은 부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어 부분 도금에 대한 효율성을 높여준다. 또한, 일단 하나의 마스킹 지그가 제작되면 얼마든지 반복 이용이 가능하므로 대량 생산 체계에서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다.
마스킹이 완료된 후에 마스킹된 조립체(100)의 표면이 코팅된다. 코팅을 하는 목적은 코팅된 부분이 도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금에 사용되는 도금 재료나 방법에 의해 코팅된 부분이 도금 처리되지 않도록 하는 어떠한 코팅 재료나 방법이라도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팅 방법으로서 UV 코팅을 사용한다. UV 코팅은 다른 코팅 방법에 비해 공정이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므로 플라스틱 사출물(10)을 부분 도금하는 공정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코팅을 완료한 후에는 조립체(100)에서 다시 마스킹 지그(20, 30, 40)가 분리되고, 마스킹 지그(20, 30, 40)가 분리된 플라스틱 사출물(10)에 도금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금 처리는 플라스틱 사출물(10)을 도금액에 디핑 처리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부분 도금이 완료된 플라스틱 사출물(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마스킹 지그(20, 30, 40)가 분리된 플라스틱 사출물(10)은 외관부(1)와 이음새부(3a, 3b, 3c)에는 코팅 처리가 되어 있지 않으며, 비외관부(2)에만 코팅처리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부분은 코팅 과정에서 도금에 사용되는 도금 재료나 방법에 의해 코팅된 부분이 도금 처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사출물(10) 전체를 도금액에 디핑 처리하더라고 비외관부(2)에는 도금이 되지 않고 외관부(1)와 이음새부(3a, 3b, 3c)에만 부분 도금이 이루어진다. 외관부(1)와 이음새부(3a, 3b, 3c)과 같이 부분 도금할 부분만을 골라 정밀하게 도금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플라스틸 사출물(10) 전체에 대해서 도금 처리를 하여 간편하게 부분 도금이 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고도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에 직접 부분 도금이 가능하며, 미세한 이음새 부분까지도 간편하게 부분 도금할 수 있어서 물품의 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밀한 공정을 요하지 않고 신속하게 도금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단일 사출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사출물(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라스틱 사출물(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작된 마스킹 지그(20, 30, 40)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라스틱 사출물(10)에 마스킹 지그(20, 30, 40)가 부착된 조립체(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부분 도금이 완료된 플라스틱 사출물(10)의 배면 사시도이다.

Claims (5)

  1. 단일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으로서,
    마스킹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할 부분을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 부재를 탈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부재는 마스킹 지그(masking zig)이고,
    상기 마스킹 지그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이 형성하는 물품의 전면에 드러나는 부분인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외관부를 마스킹하는 제1 마스킹 지그; 및
    상기 물품의 전면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일부가 상기 물품의 외관을 이루게 되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의 이음새 부를 마스킹하는 제2 마스킹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지그 및 상기 제2 마스킹 지그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과 분해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지그 및 상기 제2 마스킹 지그는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는 UV 코팅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하는 단계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을 도금액에 디핑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KR1020080088315A 2008-09-08 2008-09-08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KR10101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15A KR101018279B1 (ko) 2008-09-08 2008-09-08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15A KR101018279B1 (ko) 2008-09-08 2008-09-08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502A KR20100029502A (ko) 2010-03-17
KR101018279B1 true KR101018279B1 (ko) 2011-03-04

Family

ID=4217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315A KR101018279B1 (ko) 2008-09-08 2008-09-08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449A (ko) 2016-10-31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수지 부품의 부분 도금 방법 및 이를 통해 도금된 자동차용 수지 부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730A (ja) * 1981-10-15 1983-04-19 Mazda Motor Corp プラスチツク部品の部分めつき方法
KR20020042121A (ko) * 2000-11-30 2002-06-05 이경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상에의 도금방법
JP2003103215A (ja) 2001-09-28 2003-04-08 Mannen:Kk 携帯電子機器の外装体の多色塗装方法
KR100671739B1 (ko) * 2003-10-31 2007-01-22 장상호 증착지그를 이용한 휴대폰 외장케이스의 이엠아이층진공증착방법 및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730A (ja) * 1981-10-15 1983-04-19 Mazda Motor Corp プラスチツク部品の部分めつき方法
KR20020042121A (ko) * 2000-11-30 2002-06-05 이경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상에의 도금방법
JP2003103215A (ja) 2001-09-28 2003-04-08 Mannen:Kk 携帯電子機器の外装体の多色塗装方法
KR100671739B1 (ko) * 2003-10-31 2007-01-22 장상호 증착지그를 이용한 휴대폰 외장케이스의 이엠아이층진공증착방법 및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449A (ko) 2016-10-31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수지 부품의 부분 도금 방법 및 이를 통해 도금된 자동차용 수지 부품
US10501859B2 (en) 2016-10-31 2019-12-10 Hyundai Motor Company Partial plating method of automobile resin part and automobile resin part plated by using the same
DE102017207280B4 (de) 2016-10-31 2023-09-21 Hyundai Motor Company Partielles Plattierungsverfahren eines Automobil-Kunststoffteils und Automobil-Kunststoffteil, welches durch das Gebrauchen desselben plattiert 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502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872B1 (ko) 세라믹 휴대폰 백커버 및 그 성형공정
US20170368727A1 (en) Maskless method of producing a component having a two-dimensional appearance
US20070252305A1 (en) Double-injection molding method
CN109605786A (zh) 一种ins覆膜装饰多嵌膜生产工艺
KR101018279B1 (ko) 플라스틱 사출물의 부분 도금 방법
CN101266890A (zh) 一种透光产品及其制程工艺
KR101561301B1 (ko) 사출물 제작 방법
CN109562548A (zh) 具有深网格电镀特征结构的车辆部件及其生产方法
KR101062274B1 (ko) 로고 및 무늬를 형성한 메탈안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0609B1 (ko) 비금속 인공소재 안경부속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안경부속품
KR101090724B1 (ko) 메탈리제이션을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구현하는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CN109398259A (zh) 一种汽车后牌照饰条凹字改进结构
KR100353970B1 (ko) 단추 성형용 코아 및 그 제조방법
KR101139856B1 (ko) 평판형 프린터를 이용한 피복용 부속물의 제작방법
CN210820630U (zh) 双料成型件及其成型模具
US20230195035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ial
KR101075393B1 (ko)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150095433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5523B1 (ko) 실리콘 재질의 도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7639A (ko) 엠블럼 제조방법 및 엠블럼
KR101409438B1 (ko) 사출 패턴 형성 방법
KR200273941Y1 (ko) 안경다리용 외피
JP3160757U (ja) 電鋳殻表装プラスチック成型品
CN111774271A (zh) 一种多色电镀及喷涂工艺
CN116834226A (zh) 一种多重塑料成型的模具及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