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236B1 -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236B1
KR101018236B1 KR1020080041956A KR20080041956A KR101018236B1 KR 101018236 B1 KR101018236 B1 KR 101018236B1 KR 1020080041956 A KR1020080041956 A KR 1020080041956A KR 20080041956 A KR20080041956 A KR 20080041956A KR 101018236 B1 KR101018236 B1 KR 10101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attachment
cylinder
rotational power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180A (ko
Inventor
정경효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2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6Reciprocating cam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23Q11/1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using a jet of gas or cutt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앵글헤드의 인덱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간이 탈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축과, 상기한 기어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과, 상기한 주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주축바디와, 상기한 주축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한 주축바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되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와,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전방에 설치되어 후단이 상기한 주축바디와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주축바디와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되는 로타리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 기어축, 주축, 실린더, 어태치먼트, 로타리 바디, 커플링

Description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Attachment device having automatic indexing function for a machine tool}
이 발명은 공작기계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앵글헤드의 인덱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간이 탈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중에서 보오링 머신은 주로 구조물 가공용으로만 사용되어서 고속으로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나, 최근에는 대형의 금형 및 몰드 베이스를 가공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보링 머신은 기계 구조상, 스핀들 베어링의 직경이 180mm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고속으로 장시간 운전시 베어링 부분에서 열발생이 많고, 또한 스핀들의 길이가 2,000mm가 넘기 때문에 발생된 열에 의한 스핀들의 길이방향 위치변화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스핀들의 열변형이 공작물에 전달되는 차단하면서 공구의 클램프 및 언클램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기술이 대 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63077(공개일자 2005년 06월 28일)의 "공작기계의 스핀들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작기계의 스핀들 어태치먼트 장치"를 포함한 종래의 어태치먼트 장치는 앵글헤드를 수동으로 회전하여 정도 조정함으로써 인덱스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공작기계의 스핀들 어태치먼트 장치"를 포함한 종래의 어태치먼트 장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 원가가 비싸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글헤드의 인덱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간이 탈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축과, 상기한 기어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과, 상기한 주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주축바디와, 상기한 주축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한 주축바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되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와,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전방에 설치되어 후단이 상기한 주축바디와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주축바디와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되는 로타리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주축의 전단에는 콜렛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콜렛에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공구홀더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주축바디에는 커플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로타리 바디에는 상기한 커플링부에 대응하는 커플링부가 형성되어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인덱싱(각도 분할)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로타리 바디가 주축의 회전동력에 의하여 자동 인덱싱이 이루어질 때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와 로타리 바디로 이루어진 앵글헤드는 간이 탈착형으로서 주축바디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외주면 상부에는 가공시 쿨런트가 공급되기 위한 호스부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로타리 바디의 끝단에는 공구홀더와 내부 기어열을 통해 연결되는 공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앵글헤드의 인덱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간이 탈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인덱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인덱싱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인덱싱 장치의 클램프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인덱싱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 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와, 상기한 모터(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축(2)과, 상기한 기어축(2)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주축(3)과, 상기한 주축(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주축바디(7)와, 상기한 주축바디(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4)와, 상기한 주축바디(7)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실린더(4)에 의해 전후진되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5)와,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5)의 전방에 설치되어 후단이 상기한 주축바디(7)와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실린더(4)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주축바디(7)와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되는 로타리 바디(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주축(3)의 전단에는 콜렛(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콜렛(31)에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5)의 공구홀더(51)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주축바디(7)에는 커플링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로타리 바디(6)에는 상기한 커플링부(71)에 대응하는 커플링부(61)가 형성되어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로타리 바디(6)가 주축(3)의 회전동력에 의하여 자동 인덱싱이 이루어질 때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5)와 로타리 바디(6)와 공구(62)와 내부 기어열 등으로 이루어진 앵글헤드는 간이 탈착형으로서, 주축바디(7)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5)의 외주면 상부에는 가공시 쿨런트가 공급되기 위한 호스부(52)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로타리 바디(6)는 인덱싱(각도 분할)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로타리 바디(6)의 끝단에는 내부 기어열을 통해 공구홀더(51)와 연결되는 공구(6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모터(1)에 의해서 회전동력이 발생되면, 상기한 회전동력은 기어축(2)을 통해 주축(3)으로 전달됨으로써 주축(3)이 회전하게 된다(화살표 참조).
주축(3)이 회전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클램프되어 있는 주축(3)의 콜렛(31)과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5)의 공구홀더(51)를 통해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앵글헤드의 내부 기어열을 통해 공구(62)로 전달됨으로써 공구(62)가 회전된다. 이때, 공구(62)와 함께 앵글헤드를 구성하고 있는 로타리 바디(6)는 회전되지 않고, 내부 기어열을 통해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서 공구(62)는 회전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로타리 바디(6)의 공구(62)의 각도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린더(4)를 동작시키면(화살표 참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4)가 전진하게 되면서 어태치먼트 고정바디(5)와 로타리 바디(6)의 커플링부(61)가 전진하게 되어, 주축바디(7)의 커플링부(71)와 로타리 바디(6)의 커플링부(61)가 떨어져서 언클램프됨으로써 커플링이 이탈된다. 이와 같이 커플링이 이탈되면 클러치(8)가 동작하게 되어, 주축(3)의 회전동력이 앵글헤드의 내부기어열을 통해 공구(62)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그 대신에 로타리 바디(6)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언클램프된 상태에서 주축(3)의 회전동력은 클러치(8)를 통해 로타리 바디(6)로 전달되어 로타리 바디(6)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주축(3) 및 로타리 바디(6)의 회전기능을 이용하여 로타리 바디(6)를 포함한 앵글헤드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되는데, 도 5a 내지 도 5c는 이와 같은 앵글헤드의 인덱싱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각각 90도, 180도, 270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준다.
사용자가 실린더(4)를 반대로 동작시키면 실린더(4)가 후진하게 되면서 어태치먼트 고정바디(5)와 로타리 바디(6)의 커플링부(61)가 후진하게 되어, 주축(3)의 주축바디(7)의 커플링부(71)와 로타리 바디(6)의 커플링부(61)가 클램프됨으로써 인덱싱 작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주축(3)의 회전동력이 콜렛(31)과 공구홀더(51)를 거쳐서 앵글헤드의 내부기어열을 통해 공구(62)로 전달됨으로써 공구(62)가 다시 회전된다. 도 6은 앵글헤드가 180도 인덱싱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구(62)가 동작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앵글헤드가 장착되기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앵글헤드가 장착되기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클램프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앵글헤드의 인덱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가 180도 인덱싱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구가 동작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6)

  1. 삭제
  2.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축과,
    상기한 기어축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주축과,
    상기한 주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주축바디와,
    상기한 주축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한 주축바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되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와,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전방에 설치되어 후단이 상기한 주축바디와 커플링 연결됨으로써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주축바디와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되는 로타리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주축의 전단에는 콜렛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콜렛에는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공구홀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어태치먼트 고정 바디의 외주면 상부에는 가공시 쿨런트가 공급되기 위한 호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타리 바디의 끝단에는 공구홀더와 내부 기어열을 통해 연결되는 공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KR1020080041956A 2008-05-06 2008-05-06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KR10101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56A KR101018236B1 (ko) 2008-05-06 2008-05-06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56A KR101018236B1 (ko) 2008-05-06 2008-05-06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80A KR20090116180A (ko) 2009-11-11
KR101018236B1 true KR101018236B1 (ko) 2011-03-03

Family

ID=4160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956A KR101018236B1 (ko) 2008-05-06 2008-05-06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7464A (zh) * 2018-07-25 2018-11-23 深圳市科益展自动化有限公司 一种加工表壳的四轴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215A (en) 1978-12-22 1980-07-08 Kotobuki Kogyo Kk Automatic attach-detaching and indexing device of attachment for machine tool
JPS5894946A (ja) * 1981-12-02 1983-06-06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におけるアタツチメントの割出締付装置
JPS6215006A (ja) * 1985-07-12 1987-01-23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におけるアタツチメントヘツドの割出装置
JP2006129611A (ja) 2004-10-28 2006-05-18 Okuma Corp 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215A (en) 1978-12-22 1980-07-08 Kotobuki Kogyo Kk Automatic attach-detaching and indexing device of attachment for machine tool
JPS5894946A (ja) * 1981-12-02 1983-06-06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におけるアタツチメントの割出締付装置
JPS6215006A (ja) * 1985-07-12 1987-01-23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におけるアタツチメントヘツドの割出装置
JP2006129611A (ja) 2004-10-28 2006-05-18 Okuma Corp 工作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80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4771B2 (ja) 工作機械および工具ホルダ
US10213887B2 (en) Turret tool post and machine tool equipped with turret tool post
JP4542626B1 (ja) 5面加工用アングルツールホルダ
JP2003071615A (ja) タレット刃物台
JP5414221B2 (ja) タレット刃物台
JP4609337B2 (ja) タレット旋盤
KR101018236B1 (ko) 자동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어태치먼트 장치
TWI715983B (zh) 五軸車銑磨複合機
KR101993481B1 (ko) 구조가 개선된 어태치먼트
JP6208247B2 (ja) 機械加工ヘッド
KR101152784B1 (ko) 스핀들이 4개인 멀티 스핀들 가공기
KR101152779B1 (ko) 스핀들이 2개인 멀티 스핀들 가공기
KR101152785B1 (ko) 스핀들이 6개인 멀티 스핀들 가공기
KR101432299B1 (ko) Cnc 선반용 제어 공구대
JP2003326405A (ja) 回転工具の径方向切込み駆動装置
JPS6242726B2 (ko)
JP2003275933A (ja) 工具ホルダ
KR20090000641U (ko) 선반용 나사 절삭 지그
JP2003311501A (ja) 2主軸対向旋盤の対向ワークの同時加工方法
KR102265266B1 (ko)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JP4092084B2 (ja) 複合加工装置
KR101237219B1 (ko) 선반용 심압대 자동구동장치
JP3798085B2 (ja) 複合加工機
JPH0531606A (ja) 斜め穴加工装置
JP6622077B2 (ja) 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