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514B1 - 전류 조절기 및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류 조절기 및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514B1
KR101017514B1 KR1020090008088A KR20090008088A KR101017514B1 KR 101017514 B1 KR101017514 B1 KR 101017514B1 KR 1020090008088 A KR1020090008088 A KR 1020090008088A KR 20090008088 A KR20090008088 A KR 20090008088A KR 101017514 B1 KR101017514 B1 KR 101017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output
brightness
prod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030A (ko
Inventor
슈이-무 린
충-웨이 후앙
지엔-쉥 첸
관-젠 추
Original Assignee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일종의 전류 조절기 및 그 조절 방법으로서, 전류를 발생시켜 백광 LED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며, 그 전류와 디밍 단계 사이의 관계 곡선은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과 같거나 비슷하기 때문에, 디밍 단계가 변경되면, 인간은 백광 LED의 밝기가 선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조절기 및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CURRENT REG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종의 백광 LED를 구동시키는 전류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종의 백광 LED의 밝기 변화를 인간 눈속에서 선형 변화로 나타내게 할 수 있는 전류 조절기 및 그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는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며, 부피가 작고, 낮은 원가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백광 LED(20)를 구동시키는 전류 조절기(10)로서, 거기에 포함되는 전류원(12)은 전류 IREF를 제공하며, 트랜지스터(16)의 드레인은 전류 IREF 및 연산 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에 연결된다. 그 소스는 접지 단자 GND에 연결되며, 그 게이트는 연산 증폭기(14)의 출력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18)의 드레인은 LED(20) 및 연산 증폭기(14)의 반전 입력에 연결된다. 그 소스는 접지 단자 GND에 연결되고, 그 게이트는 연산 증폭기(14)의 출력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18)는 트랜지스터(16)를 통과하는 전류 IREF를 미러링해서 직류 전류 ILED를 발생키겨 백광 LED(20)에게 준다.
도 2는 전류 IREF와 디밍 단계(dimming step) 사이의 관계 곡선으로, 디밍 단계가 전류 IREF와 선형 관계이기 때문에, 전류를 얻을수 있다.
IREF=K1×STEP [공식 1]
여기서, K1은 상수이며, STEP은 디밍 단계의 계수이다.
도 3은 직류 구동 전류 ILED와 디밍 단계 사이의 관계 곡선을 나타내며, 직류 구동 전류 ILED가 전류 IREF를 미러링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디밍 단계와 직류 전류 ILED 사이에도 선형 관계를 갖는다.
ILED=K1×K2×STEP [공식 2]
여기서, K2는 트랜지스터 16 및 18의 사이즈 비율이다.
도 4는 백광 LED(20)의 광도(luminous intensity)와 직류 구동 전류 ILED 사이의 관계 곡선을 나타내며, 직류 구동 전류 ILED가 증가되면, LED(20)의 광도도 따라서 증가된다. 즉 다시 말하면, LED(20)의 밝기와 디밍 단계 사이에는 선형 관계가 있다.
비록 백광 LED(20)의 밝기는 디밍 단계에 정비례하지만, 인간의 눈에 있어서 백광 LED(20)가 만드는 밝기는 비선형이다.
도 5는 백광 LED(20)의 밝기(luminance) 및 명암도(lightness) 사이의 관계 곡선 30과 인간 눈속의 밝기 및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32를 나타내며, 그 중 수직축의 밝기는 실제의 밝기를 의미하고, 수평축의 명암도는 인간의 눈이 느끼는 밝기를 의미한다. 곡선 30에 있어서, 수평축의 명암도는 디밍 단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습관상, 명암도가 0이면 완전히 어두운 것이고, 명암도가 100이면 완전히 하얀 것을 의미한다. 백광 LED(20)의 밝기가 △Y로 바뀌면, 곡선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간의 눈이 응당히 느끼게 되는 명암도 변화는 △L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간 눈의 구조는 복잡하여, 밝기가 비교적 높으면, 비교적 큰 밝기 변화가 있어야만이 인간의 눈이 명암도 변화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밝기가 비교적 낮으면, 곡선 32에서 보듯이, 약간의 밝기 변화일지라도 인간의 눈은 명암도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1개의 디밍 단계를 변화시켜서 LED(20)의 밝기를 △Y로 변화시키면, 인간의 눈이 느끼는 명암도 변화는 고정치가 아니다. 즉 다시 말하면, 전류 조절기(10)의 디밍 단계는 인간이 느끼는 명암도와는 선형 관계가 아니다.
도 6은 도 5의 곡선 30 및 32 사이의 밝기 오차치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상동한 명암도이면, 특히 명암도 50 부근일 때면, LED(20)이 내는 밝기는 인간의 눈이 필요로 하는 밝기와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전류 조절기(10)에서, 만약 인간이 느끼도록 명암도를 선형 변화로 나타내려면, 디밍 단계에서의 적당한 선택이 필요하다. 저전류 구역에서 LED(20)의 밝기가 미세하게 변화한다면, 인간이 느끼는 명암도에는 변화가 생기므로, 저전류 구역에서 선택할 수 있는 디밍 단계는 비교적 적다. 반대로, 고전류 구역에서는 LED(20)의 밝기가 비교적 크게 변화해야만, 인간이 명암도의 변화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선택 가능한 디밍 단계가 비교적 많게 된다. 그러나 저전류 구역이든 고전류 구역이든 상관없이 일부의 디밍 단계는 반드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낭비가 생기게 된다. 게다가, 적당한 디밍 단계의 선택도 복잡한 계산을 거쳐야 하므로, 이 역시 설 계상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종의 특별하게 디밍 단계를 선택하지 않고 LED의 밝기 변화를 인간의 눈속에서 선형 변화로 나타내게 할 수 있는 전류 조절기는 모두가 원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일종의 백광 LED의 밝기 변화를 인간의 눈속에서 선형 변화로 나타내게 할 수 있는 전류 조절기 및 그 조절 방법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일종의 백광 LED의 밝기 변화를 인간의 눈속에서 거의 선형 변화가 되게 하는 전류 조절기 및 그 조절 방법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에 근거하면, 일종의 전류 조절기가 포함하는 전류원은 ((L+16)/116)3과 비례 관계를 갖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며, 명암도 조절기는 L의 수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저전압강하 전류원은 그 구동 전류를 미러링해서 출력 전류를 만들어 그 발광 다이오드에게 주며, 그 중 L은 명암도이다.
본 발명에 근거하면, 일종의 전류 조절기가 포함하는 전류원은 디밍 단계에 따라 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며, 그 구동 전류와 그 디밍 단계 사이의 관계 곡선은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과 비슷하고, 저전압강하 전류원은 그 구동 전류를 미러링해서 출력 전류를 만들어 발광 다이오드에게 준다.
기존의 문헌중에서 밝기 Y와 명암도 L 사이의 변환식
L=116f(Y/Yn)-16 [공식 1]
그 중 Yn은 전부 하얀색일 때의 밝기이다. (Y/Yn)>0.008856일 때, f(Y/Yn)=(Y/Yn)1/3이고, 그렇지 않으면 f(Y/Yn)=7.787(Y/Yn)+16/116이다. 공식 1에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f(Y/Yn)=((L+16)/116) [공식 2]
(Y/Yn)<0.008856의 범위가 작으므로 계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나아가 다음을 얻을 수 있다.
(Y/Yn)=((L+16)/116)3 [공식 3]
그러므로,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는 밝기가 공식 3에만 부합된다면, 인간이 느끼는 명암도의 변화에 부합될 수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Lab_color_space.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전류 조절기(40)에서, 전류원(42)은 구동 전류 IREF=K1 × (L+16)/116)3를 제공하며, 그 중 K1은 상수이고, 명암도 조절기(44)는 명암도 L의 수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명암도 L은 디밍 단계이고, 저전압강하(LOW DROPOUT) 전류원(46)은 전류 IREF에 따라 출력 전류 ILED를 발생시켜 LED(48)에게 준다. 저전압강하 전류원은 연산 증폭기(4602) 및 트랜지스터(4604, 4606)을 포함하며, 그 중 트랜지스터(4604)는 전류 ILED 및 접지 단자 GND 사이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4606)는 LED(48) 및 접지 단자 GND 사이에 연결되며, 연산 증폭기(4602)의 비반전 입력 및 반전 입력은 각각 트랜지스터(4604, 4606)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4602)의 출력은 트랜지스터(4604, 4606)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도 8은 전류원(42)중의 전류와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도이다. 전류원(42)에서 가변 전기 저항(4204, 4210, 4216)은 상동한 저항치 (L + 16)/116) × R를 가지며, 전류원(4202)은 전류 I1을 가변 전기 저항(4204)에 제공하여 전압 V1=((L+16)/116)×R×11을 만든다. 전압 전류 변환기(4206)은 전압 V1을 전류 I2=((L+16)/116)×11로 변환시키고, 전류 미러(4208)는 전류 I2를 미러링해서 전류 I3=((L+16)/116)×I1×n1을 만들어 전기 저항(4210)에 주어 전압 V2=((L+16)/116)2×R×I1×n1을 만들게 하며, 전류 I3의 곡선은 도 8의 곡선 50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전압 전류 변환기(4212)는 전압 V2를 전류 I4=((L+16)/116)2×I1×n1로 변환시키고, 전류 미러(4214)는 전류 I4를 미러링해서 전류 I5=((L+16)/116)2×I1×n1×n2를 전기 저항(4216)에게 만들어 주어 전압 V3=((L+16)/116)3×R×I1×n1×n2를 발생시킨다. 전류 15의 곡선은 도 8의 곡선 5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전압 전류 변환기(4218)는 전압 V3을 전류 I6=((L+16)/116)3×I1×n1×n2로 변환시키고, 전류 미러(4220)는 전류 I6을 미러링해서 전류 IREF=K1×(L+l6)/116)3를 만들며, 도 8의 곡 선 5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K1= I1×n1×n2×n3이다.
도 9는 전류 ILED와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을 나타낸다. 저전압강하 전류원(46)에서 연산 증폭기(4602)가 트랜지스터(4604) 게이트 드레인 사이의 전압을 트랜지스터(4606) 게이트 드레인 사이의 전압과 같게 만드므로, 트랜지스터(4606)이 트랜지스터(4604)를 통과하는 전류 IREF를 미러링한다. 만약 트랜지스터(4604, 4606) 사이의 사이즈 비율이 1:K2라고 가정한다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류 ILED= K1×K2×((L+16)/116)3 가 된다. 도 10은 도 7중 LED(48)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및 인간 눈속의 밝기 및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을 나타내며, 그 중 두 곡선이 중복되기 때문에, 1개의 디밍 단계 L이 변화되더라도 인간이 느끼는 명암도의 변화는 고정 값이 된다. 그러므로 전류 조절기(40)의 디밍 단계는 인간이 느끼는 명암도와 선형 관계를 가지게 되며, 그러므로, 복잡한 계산을 통해 적당한 디밍 단계를 선택할 필요없이 인간이 느끼는 LED의 밝기 변화를 선형이 되게 할 수 있고, 또한 디밍 단계를 방치해서 발생되는 낭비도 없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전류 조절기(60)은 전류원(62), 명암도 조절기(64) 및 저전압강하 전류원(46)을 포함한다. 전류원(62)은 도 8의 곡선 54에서 보듯이, 전류 IREF= K1×((L+16)/116)3를 제공하고, 명암도 조절기(64)는 명암도 L의 수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명암도 L은 디밍 단계이며, 저전압강하 전류원(46)은 도 9에서 보듯이, 전류 IREF에 근거해 전류 ILED를 발생시킨다. 전류원(62)중에서, 전압 전류 변환기(6202)는 전압 VREF를 전류 I1으로 변환시키고, PWM 신호 발생 기(6204)는 명암도 조절기(64)의 출력 L에 근거해 제어 신호 PWM을 만들어 전압 전류 변환기(6202) 및 접지 단자 GND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S1을 변환시키고, 이로써, 전류 I1의 통전 시간을 조절하며, 전류 미러(6206)은 전류 I1을 미러링해서 전류 IREF를 만든다.
도 12는 제어 신호 PWM의 실시예로서, 그 포함하는 주요 주기 T1은 작업 주기 비율 ((L+16)/116)를 가지며, 주요 주기 T1의 작업 시간이 포함하는 제1 자 주기 T2는 작업 주기 비율 ((L+16)/116)을 갖고, 제1 자 주기 T2의 작업 시간이 또 포함하는 제2 자 주기는 ((L+16)/116)를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전류 IREF의 평균 전류는 K1×((L+16)/116)3, 여기에서 K1=I1이다. 전류 IREF가 ((L+16)/116)3에 정비례하기 때문에 전류 ILED도 ((L+16)/116)3에 정비례한다. 즉 다시 말하면, 도 11중의 LED(48)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및 인간 눈속의 밝기 및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복되므로, 전류 조절기(60)의 디밍 단계는 인간이 느끼는 명암도와 선형 관계를 갖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전류 조절기(66)은 전류원(68), 명암도 조절기(69) 및 저전압강하 전류원(46)을 포함한다. 전류원(68)은 도 8의 곡선 54에서 보듯이, 전류 IREF= K1×((L+16)/116)3을 제공하고, 명암도 조절기(69)는 명암도 L의 수치를 결정하며, 여기에서 명암도 L은 디밍 단계이고, 저전압강하 전류원(46)은 전류 IREF에 따라 전류 ILED를 만든다. 전류원(68)중에서, 가변 전기 저항(6804, 6810)은 상동한 저항치 ((L+16)/116)×R을 가지며, 전류원(6802)는 전류 I1을 가변 전기 저항(6804)에게 제공해 전압 V1=((L+16)/116)×R×I1을 만든다. 전압 전류 변환기(6806)는 전압 V1을 전류 I2=((L+16)/116)×11로 변환시키고, 전류 미러(6808)은 전류 I2를 미러링해서 전류 I3=((L+16)/116)×I1×n1을 만들어 전기 저항(6810)에게 전압 V2=((L+16)/116)2×R×I1×n1을 만들도록 준다. 전압 전류 변환기(6812)는 전압 V2를 전류 I4=((L+16)/116)2×I1×n1으로 변환시키고, 스위치 S1은 전압 전류 변환기(6812) 및 접지 단자 GND 사이에 연결되며, PWM 신호 발생기(6816)는 명암도 조절기(69)의 출력 L에 근거해 제어 신호 PWM을 만들어 스위치 S1을 변환시킨다.
도 14는 도 13중 제어 신호 PWM의 실시예로서, 그 포함한 주기 T1은 작업 주기 비율 ((L+16)/116)을 가지며, 전류 미러(6814)는 그 참고 분점상의 전류를 미러링해서 전류 IREF를 만든다. 제어 신호 PWM의 작업 주기 비율이 ((L+16)/116)이기 때문에, 전류 IREF의 평균 전류는 I4×n2×((L+16)/116)와 같으며, 또 전류 14가 ((L+16)/116)2×I1×n1와 같기 때문에, 전류 IREF의 평균 전류는 K1×((L+16)/116)3와 같게 되는 것이고, 여기에서 K1=I1×n1×n2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전류 조절기(70)가 포함하는 전류원(72)은 전류 IREF를 제공하고, 저전압강하 전류원(46)은 전류 IREF에 근거해 전류 ILED를 LED(48)에게 만들어 준다. 이 실시예는 조각 선형 근사 (piecewise linear approach)방식을 이용해 얻은 근사 공식 3의 곡선이다. 전류원(72)중에서, 전압 전류 변환기(7201)는 가변 전압 V1=(N/40)×VREF을 전류 I1으로 변환시키고, 전류 미러(7206)는 전류 I1을 미러링해서 전류 IREF를 만든다. 전압 전류 변환기(7201)중에서, 연산 증폭기(7202)가 가지는 비반전 입력 및 반전 입력은 각각 가변 전압 V1 및 절점 A에 연결되어 전압 V1을 절점 A로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그 중 N은 디밍 단계이며, 이 실시예중에서 N은 21-40과 같으며, 복수의 상동한 저항치를 가진 전기 저항 R은 절점 A 및 접지 단자 GND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등가의 전기 저항(7204)를 형성한다. 복수의 스위치(S1-S16)은 각자 전기 저항과 직렬 연결되며, 이로써 변환 스위치(S1-S16)가 등가 전기 저항 7204의 저항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등가 전기 저항(7204)는 전압 V1에 맞추어 전류 I1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6은 인간의 눈에서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곡선 74 및 전류 조절기(70) 중 LED(48)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76을 나타낸다. 참고도 15 및 16은 이 실시예중에서 곡선 76은 5단계로 나뉘어지며, 디밍 단계 N의 계수가 모두 20계이기 때문에, 매 단계는 4개의 디밍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단계중에서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모두 도 16에서 보듯이, 전류 ILED의 경사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다. 제1 단계중에서 스위치 S1이 켜지면(turn on) 그 나머지는 꺼지며(turn off),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R이 되고, 제2 단계에서, 스위치 S1 및 S2가 켜지면 그 나머지는 꺼지고,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R/2로 변하게 된다. 제3단계중에서, 스위치 S1-S4가 켜지면 그 나머지는 꺼지기 때문에,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R/4가 된다. 제 4 단계중에서 스위치 S1-S8이 켜지면 그 나머지는 꺼지고,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R/8이 된다. 제 5 단계중에서 스위치 S1-S16이 전부 켜지고,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R/16이 되므로, 등가 전기 저항(7204)의 저항치는 2의 거듭제곱임이 확실하다. 기타 실시예중에서 참고 전압 VREF를 적당히 선택하기만 하면, 디밍 단계의 계수 및 전기 저항 R, 전류 ILED 곡선 76의 단수는 변화될 수 있으며, 단수의 증가에 따라 전류 ILED의 곡선 76은 곡선 74에 갈수록 접근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중의 두 곡선 74 및 76 사이의 오차치가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며, 확실히 두 곡선 74 및 76은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디밍 단계 N이 변화되면 LED(48)의 밝기 변화는 인간의 눈에서 거의 선형에 가깝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전류 조절기(80)이 포함하는 전류원(82)는 전류 IREF를 제공하고 저전압강하 전류원(46)은 전류 IREF에 근거해 전류 ILED를 LED(48)에게 만들어 준다. 이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조각 선형 근사 방식을 이용해 근사 공식 3의 곡선을 얻는다. 전류원(82)중에서 전압 전류 변환기(8202)는 가변 전압 V1=(N/40)×VREF을 전류 I1으로 변환시키고, 스위치 S1은 전압 전류 변환기(8202) 및 접지 단자 GND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 PWM의 제어를 받아, 전류 I1의 통전 시간을 조절하고, 전류 미러(8204)는 전류 I1을 미러링해서 전류 IREF를 만든다.
도 19는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84 및 전류 조절기(80)중 LED(48)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86을 나타낸다. 참고도 18 및 19는 이 실시예중에서 전류 ILED의 곡선 86도 마찬가지로 5 단계로 나뉘어지며, 디밍 단계 N의 계수가 모두 20계이기 때문에, 각 단계는 4개의 디밍 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중에서 제어 신호 PMW는 각각의 다른 작업 시간을 갖는다. 도 19에서 각 단계의 제어 신호 PWM의 작업 주기 비율은 각각 1/16, 2/16, 4/16, 8/6 및 16/16으로 나뉘어져서, 제어 신호 PWM의 작업 시간은 2의 거듭제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제어 신호 PWM의 작업 시간이 증가되면, 곡선 86의 경사도도 따라서 증가된다. 기타 실시예중에서 참고 전압 VREF를 적당하게 선택하기만 하면, 디밍 단계의 계수 및 전기 저항 R, 전류 ILED의 곡선 86의 단수도 변화될 수 있으며, 단수의 증가에 따라 전류 ILED의 곡선 86도 곡선 84에 갈수록 접근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중의 곡선 84 및 86 사이의 오차치가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어, 확실하게 두 곡선 84 및 86이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디밍 단계 N이 변화되면 LED 48의 밝기 변화는 인간의 눈에서 거의 선형에 가깝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백광 LED를 구동시키는 전류 조절기.
도 2는 도 1중 전류 IREF와 디밍 단계 사이의 관계 곡선.
도 3은 도 1중 직류 구동 전류 ILED와 디밍 단계 사이의 관계 곡선.
도 4는 백광 LED의 광도와 직류 구동 전류 ILED 사이의 관계 곡선.
도 5는 백광 LED의 밝기 및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및 인간 눈속의 밝기 및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도 6은 도 5중 두 곡선 사이의 밝기와 오차치.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8은 도 7중 전류원의 전류와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
도 9는 전류 ILED와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
도 10은 도 7중 LED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및 인간 눈속의 밝기 및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도 12는 제어 신호 PWM의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도 14는 도 13중 제어 신호 PWM의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도 16은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및 전류 조절기중 LED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도 17은 도 16중 두 곡선 사이의 오차치.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도 19는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및 전류 조절기중 LED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도 20은 도 19중 두 곡선 사이의 오차치.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전류 조절기 12 전류원
14 연산 증폭기 16 트랜지스터
18 트랜지스터 20 LED
30 LED(20)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32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40 전류 조절기 42 전류원
4202 전류원 4204 가변 전기 저항
4206 전압 전류 변환기 4208 전류 미러
4210 가변 전기 전항 4212 전압 전류 변환기
4214 전류 미러 4216 가변 전기 저항
4218 전압 전류 변환기
4220 전류 미러 44 명암도 조절기
46 저전압강하 전류원 4602 연산 증폭기
4604 트랜지스터 4606 트랜지스터
48 LED
50 전류 I3과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
52 전류 I5와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
54 전류 IREF와 디밍 단계의 관계 곡선
60 전류 조절기 62 전류원
6202 전압 전류 변환기 6204 PWM 신호 발생기
6206 전류 미러 64 명암도 조절기
66 전류 조절기 68 전류원
6802 전류원 6804 가변 전기 저항
6806 전압 전류 변환기 6808 전류 미러
6810 가변 전기 저항 6812 전압 전류 변환기
6814 전류 미러 6816 PWM 신호 발생기
69 명암도 조절기 70 전류 조절기
72 전류원 7201 전압 전류 변환기
7202 연산 증폭기 7204 등가 전기 저항
7206 전류 미러
74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76 LED 48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80 전류 조절기 82 전류원
8202 전압 전류 변환기 8204 전류 미러
84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86 LED 48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

Claims (29)

  1.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전류 조절기로서,
    ((L+a)/b)n 에 정비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전류원(여기서, L은 명암도, a, b 및 n은 상수); 및
    L의 수치를 결정하는 명암도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a는 16, b는 116, n은 3인, 전류 조절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입력 신호에 따라서 (L+a)/b에 정비례하는 전류를 만드는 제1 함수 회로; 및
    상기 제1 함수 회로의 출력에 따라서 ((L+a)/b)2에 정비례하는 전류를 만드는 제2 함수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상기 제2 함수 회로의 출력에 따라서 ((L+a)/b)3 에 정비례하는 전류를 만드는 제3 함수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저항치가 (L+16)/116와 비례 관계를 갖는 제1 전기 저항;
    저항치가 (L+16)/116와 비례 관계를 갖는 제2 전기 저항;
    저항치가 (L+16)/116와 비례 관계를 갖는 제3 전기 저항;
    제1 전류를 상기 제1 전기 저항으로 공급하여 제1 전압을 만드는 제2 전류원;
    상기 제1 전압을 제2 전류로 변환시키는 제1 전압 전류 변환기;
    상기 제2 전류를 미러링해서 제3 전류를 만들고, 상기 제3 전류를 상기 제2 전기 저항으로 보내어 제2 전압을 만드는 제1 전류 미러;
    상기 제2 전압을 제 4 전류로 변환시키는 제2 전압 전류 변환기;
    상기 제4 전류를 미러링해서 제5 전류를 만들고, 상기 제5 전류를 상기 제3 전기 저항으로 보내어 제3 전압을 만드는 제2 전류 미러;
    상기 제3 전압을 제6 전류로 변환시키는 제3 전압 전류 변환기; 및
    상기 제6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제3 전류 미러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저항, 상기 제2 전기 저항 및 상기 제3 전기 저항은 서로 동일한 저항치를 갖는, 전류 조절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참고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전류 미러;
    참고 전압을 상기 참고 전류로 변환시키는 전압 전류 변환기;및
    제어 신호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참고 전류의 통전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하는 주요 주기의 작업 주기 비율은 (L+16)/116이며, 상기 주요 주기의 작업 시간중에 포함되는 제1 자 주기의 작업 주기 비율은 (L+16)/116이고, 상기 제1 자 주기의 작업 시간중에 포함되는 제2 자 주기의 작업 주기는 (L+16)/116인, 전류 조절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저항치가 (L+16)/116와 비례 관계를 갖는 제1 전기 저항;
    저항치가 (L+16)/116와 비례 관계를 갖는 제2 전기 저항;
    제1 전류를 상기 제1 전기 저항으로 공급하여 제1 전압을 만드는 제2 전류원;
    상기 제1 전압을 제2 전류로 변환시키는 제1 전압 전류 변환기;
    상기 제2 전류를 미러링해서 제3 전류를 만들고, 상기 제3 전류를 상기 제2 전기 저항으로 보내어 제2 전압을 만드는 제1 전류 미러;
    상기 제2 전압을 제 4 전류로 변환시키는 제2 전압 전류 변환기;
    상기 제4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제2 전류 미러; 및
    제어 신호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제 4 전류의 통전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가지는 작업 주기 비율은 (L+16)/116인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저항 및 상기 제2 전기 저항은 서로 동일한 저항치를 갖는, 전류 조절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류에 따라서 출력 전류를 만들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게 주는 저전압강하 전류원을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강하 전류원은,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연산 증폭기;
    드레인이 상기 구동 전류 및 상기 제1 입력에 연결되고, 소스는 참고 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상기 출력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및
    드레인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입력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참고 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상기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상기 구동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출력 전류를 만드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류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은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관계 곡선과 유사한, 전류 조절기.
  13.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전류 조절기로서,
    디밍 단계에 따라 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구동 전류와 상기 디밍 단계 사이의 제1 관계 곡선은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제2 관계 곡선과, 그 오차값이 10%보다 낮을 정도로 비슷한 전류원; 및
    상기 구동 전류에 따라 출력 전류를 만들어 그 발광 다이오드에게 주는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구동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출력 전류를 만드는 제2 전류원을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참고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전류 미러;
    상기 디밍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저항치를 갖는 가변 전기 저항;
    상기 가변 전기 저항 및 상기 전류 미러 사이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및
    각각 상기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가변 전압 및 상기 가변 전기 저항에 연결되는 2개의 입력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출력을 갖고, 상기 가변 전압을 상기 가변 전기 저항에 제공하여 상기 참고 전류를 만드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기 저항의 저항치는 2의 거듭제곱인, 전류 조절기.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참고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전류 미러;
    참고 전압을 상기 참고 전류로 변환시키는 전압 전류 변환기;및
    제어 신호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참고 전류의 통전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작업 시간 및 상기 참고 전압은 모두 상기 디밍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 조절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시간은 2의 거듭제곱인, 전류 조절기.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원은,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연산 증폭기;
    드레인이 상기 구동 전류 및 상기 제1 입력에 연결되고, 소스는 참고 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상기 출력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및
    드레인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입력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참고 전압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상기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상기 구동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출력 전류를 만드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
  20. 삭제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관계 곡선은 Y/Yn=((L+16)/116)3이고, 여기서 Y는 밝기이고, Yn은 전부 하얀색일 때의 밝기이며, L은 명암도인, 전류 조절기.
  22.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동 전류와 상기 디밍 단계 사이의 제1 관계 곡선은 인간 눈속의 밝기와 명암도 사이의 제2 관계 곡선과, 그 오차값이 10%보다 낮을 정도로 비슷한 구동 전류 제공 단계; 및
    상기 구동 전류에 따라서 출력 전류를 만들어 발광 다이오드에게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출력 전류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가변 전압을 상기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가변 전기 저항에게 제공해 참고 전류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참고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기 저항의 저항치는 2의 거듭제곱인,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디밍 단계에 따라서 변하는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는,
    참고 전압을 참고 전류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참고 전류를 미러링해서 상기 구동 전류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참고 전류의 통전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 전류의 통전 시간 및 상기 참고 전압은 모두 상기 디밍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참고 전류의 통전 시간은 2의 거듭제곱인,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28. 삭제
  29.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관계 곡선은 Y/Yn=((L+16)/116)3이며, 여기서 Y는 밝기이고, Yn은 전부 하얀색일 때의 밝기이며, L은 명암도인,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08088A 2008-02-05 2009-02-02 전류 조절기 및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KR101017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04484A TWI455646B (zh) 2008-02-05 2008-02-05 Current regulator and its control method
TW097104484 200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30A KR20090086030A (ko) 2009-08-10
KR101017514B1 true KR101017514B1 (ko) 2011-02-25

Family

ID=4093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088A KR101017514B1 (ko) 2008-02-05 2009-02-02 전류 조절기 및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98830B2 (ko)
KR (1) KR101017514B1 (ko)
TW (1) TWI455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4659B2 (en) * 2009-12-10 2012-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driver dimming control using ramped pulsed modulation for large area solid-state OLEDs
US8334660B2 (en) * 2010-05-19 2012-12-18 Sct Technology, Ltd.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with low operating output voltage
US8525437B2 (en) * 2010-09-16 2013-09-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current of LED
US8816600B2 (en) 2011-05-13 2014-08-26 Nxp B.V. Method of power and temperature control for high 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US20120306404A1 (en) * 2011-06-02 2012-12-06 Immense Advance Technology Corp. Led driver circuit
TWI445293B (zh) * 2011-08-26 2014-07-11 Richtek Technology Corp Pfm電源供應器的頻率抖動控制電路及方法
US9301372B2 (en) 2011-11-11 2016-03-29 Osram Sylvania Inc. Light control method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US9055647B2 (en) 2011-12-16 2015-06-09 Marvell World Trade Ltd. Current balancing circuits for light-emitting-diode-based illumination systems
CN104303595B (zh) * 2011-12-16 2017-06-0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基于发光二极管的照明系统的电流平衡电路
DE102012223816B3 (de) * 2012-12-19 2014-06-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in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Feldeffekttransistors
US9661706B2 (en) * 2012-12-27 2017-05-23 Cree, Inc. Low intensity dimming circuit for an LED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LED
KR102213794B1 (ko) * 2013-06-28 2021-02-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KR102217632B1 (ko) * 2013-06-28 2021-02-1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CN104470060B (zh) * 2014-10-20 2017-09-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模拟调光转换电路及显示装置
US20170311403A1 (en) * 2014-10-31 2017-10-26 Sagem Avionics Llc System for adaptive non-linear light dimming of electro-optical devices
CN112690041B (zh) 2018-09-05 2023-07-28 吉列有限责任公司 控制电气设备的用户界面发光元件的照度水平的方法和系统
CN115119365A (zh) * 2021-02-08 2022-09-27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调光方法、调光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TWI792863B (zh) * 2022-01-14 2023-02-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低壓降穩壓系統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9458A (ja) 2005-06-02 2006-12-14 Sony Corp 電流駆動回路、発光素子駆動装置、および携帯装置
KR20070007447A (ko) * 2005-07-11 2007-01-16 하나 마이크론(주) Oled 디스플레이패널 구동장치의 d/a 컨버터
JP2007310008A (ja) 2006-05-16 2007-11-29 Sharp Corp Led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7323072A (ja) 2006-06-01 2007-12-13 Thomson Licensing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55548A (zh) * 2001-09-20 2004-12-15 先锋株式会社 发光元件驱动电路
JP4177022B2 (ja) * 2002-05-07 2008-11-05 ローム株式会社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発光素子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825145B1 (ko) * 2003-08-05 2008-04-25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El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060055465A1 (en) * 2004-09-15 2006-03-16 Shui-Mu Lin Low voltage output current mirror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7714515B2 (en) * 2005-06-10 2010-05-11 Integrated Memory Logic, Inc. LED driver system and method
TWI294256B (en) * 2005-12-14 2008-03-01 Aimtron Technology Corp Charge pump drive circuit for a light emitting diode
US7733034B2 (en) * 2006-09-01 2010-06-08 Broadcom Corporation Single inductor serial-parallel LED driver
US7675245B2 (en) * 2007-01-04 2010-03-09 Allegro Microsystems, Inc. Electronic circuit for driving a diode load
JP5168910B2 (ja) * 2007-01-18 2013-03-27 株式会社リコー 定電流回路及び定電流回路を使用した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JP5252822B2 (ja) * 2007-03-30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素子駆動回路
TWI406596B (zh) * 2008-06-30 2013-08-21 Green Solution Tech Co Ltd 發光二極體驅動電路、發光二極體驅動控制單元及其電晶體開關模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9458A (ja) 2005-06-02 2006-12-14 Sony Corp 電流駆動回路、発光素子駆動装置、および携帯装置
KR20070007447A (ko) * 2005-07-11 2007-01-16 하나 마이크론(주) Oled 디스플레이패널 구동장치의 d/a 컨버터
JP2007310008A (ja) 2006-05-16 2007-11-29 Sharp Corp Led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7323072A (ja) 2006-06-01 2007-12-13 Thomson Licensing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5646B (zh) 2014-10-01
TW200935971A (en) 2009-08-16
US8198830B2 (en) 2012-06-12
KR20090086030A (ko) 2009-08-10
US20090195191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514B1 (ko) 전류 조절기 및 전류 조절기의 제어 방법
JP6114546B2 (ja) Led駆動装置及び照明器具
CN101521968B (zh) 电流调节器及其控制方法
KR101287673B1 (ko) Led전류 제어장치 및 led전류 제어방법.
JP2011171006A (ja) 照明装置
US20110156604A1 (en) Driving circuit of light emitting diode
JP2011166724A (ja) 電流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9010099A (ja) 照明装置
CN109392217B (zh) 发光元件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
KR10141387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구동장치
JP2016219147A (ja) 光源制御回路及び照明装置
US20180177013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s
KR101521608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 구동회로
JP6049357B2 (ja) Led駆動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7236095A (ja) Led用電源装置及び光照射装置
US20170041992A1 (en) Light source driving device and dimming/toning control method
JP2015074309A (ja) Led前照灯調光回路
JP2021086763A (ja) 点灯装置
KR100898819B1 (ko) Led 구동회로
US10470261B2 (en) Method of generating stable direct current signal, silicon controlled switch dimming method and device
JP5716563B2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用電源装置
JP6063853B2 (ja) Led駆動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3073827A (ja) 照明機器の制御装置
KR101328340B1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12146812A (ja) Led駆動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