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687B1 - 비행기의 좌석 구조 - Google Patents

비행기의 좌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687B1
KR101016687B1 KR1020100120043A KR20100120043A KR101016687B1 KR 101016687 B1 KR101016687 B1 KR 101016687B1 KR 1020100120043 A KR1020100120043 A KR 1020100120043A KR 20100120043 A KR20100120043 A KR 20100120043A KR 101016687 B1 KR101016687 B1 KR 10101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onnecting plate
body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민
Original Assignee
조항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민 filed Critical 조항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687B1/ko
Priority to CN201180048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153787A/zh
Priority to US13/823,947 priority patent/US9056683B2/en
Priority to PCT/KR2011/008812 priority patent/WO201206745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39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with features for adjustment or converting of seats
    • B64D11/0641Seat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07Doors; surroun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3Stowage devices for passengers' personal 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24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using electric or hydraul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기의 이코노미석과 같이 비좁은 좌석 또는 별도 마련될 수 있는 캐빈형 가족석을 침대처럼 일자로 누울 수 있게 변형하여 장시간 비행에도 다리 저림 등의 불편 없이 편안하게 누워 여행을 즐길 수 있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횡 방향을 따라 2명 이상의 좌석을 제공하는 좌판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 또는 좌판의 전단에 절곡되게 연결되고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연결판; 상기 좌판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 위로 형성된 제 1 취침공간; 및 상기 좌판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 아래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의 좌판 아래로 형성된 제 2 취침공간을 포함하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는 앉은 좌석을 누울 수 있게 변형하여 장시간의 비행을 누워서 편하게 즐길 수 있어 장거리 비행을 앉은 자세로만 불편하게 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다리 저림 등의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행기의 좌석 구조{SEAT STRUCTURE FOR PLANE}
본 발명은 비행기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행기의 이코노미석과 같이 비좁은 좌석 또는 별도 마련될 수 있는 캐빈형 가족석을 침대처럼 일자로 누울 수 있게 변형하여 장시간 비행에도 다리 저림 등의 불편 없이 편안하게 누워 여행을 즐길 수 있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飛行機)란 고정익(固定翼)의 양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공중을 날 수 있는 물체를 말한다.
이러한 비행기는 용도, 추진방식, 날개의 형태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비행기는 용도에 따라 구분된 여객기(旅客機)를 말한다.
이러한 여객기는 사람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고 적게는 20개에서 많게는 800여개까지 좌석을 보유한다. 참고로, 좌석수가 20 이하의 비행기는 커뮤터기 혹은 에어택시로 불린다.
이와 같은 여객기의 좌석은 일반적으로 퍼스트석, 비지니스석, 이코노미석으로 나뉜다.
이는 좌석의 공간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등급에 따라 나눈 것이다.
즉, 퍼스트석은 슬리퍼시트라고도 하는데 좌석이 180도로 펼쳐져 누운 자세를 취할 수 있고, 비지니스석은 퍼스트석처럼 눕지는 못하지만 앞 좌석과의 간격이 넓어 다리를 펴고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코노미석은 앞좌석과의 여유공간이 많지 않아 다리를 펴지 못하고 비행내내 불편하게 앉은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퍼스트석과 비지니스석은 비용면에서 이코노미석과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승객들은 이코노미석을 이용한다.
이러한 이코노미석에 앉은 승객들은 장시간 비좁은 공간에서 갖는 불편한 자세 때문에 다리 저림 등의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이란 다리를 펴지 못하는 좁은 좌석에 장시간 앉은 경우 다리 정맥에 혈전·혈괴가 생겨 폐색전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따라서,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과 같은 질환의 발생을 방지하고 특히, 가족단위의 캐빈형 좌석을 이용하여 장시간 편한 자세로 가족끼리 안락하게 비행할 수 있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행기의 좌석을 침대처럼 일자로 누울 수 있게 변형할 수 있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캐빈형 가족석을 별도 마련하고 캐빈형 가족석의 좌석 구조를 침대처럼 변형시켜 가족간의 독립된 취침공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좌석수와 동일한 인원이 모두 누울 수 있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뒤 좌석 간의 간격이 좁은 공간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횡 방향을 따라 2명 이상의 좌석을 제공하는 좌판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 또는 좌판의 전단에 절곡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까지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연결판; 상기 좌판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 위로 형성된 제 1 취침공간; 및 상기 좌판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 아래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의 좌판 아래로 형성된 제 2 취침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좌판이 제공하는 좌석수와 상기 제 1 취침공간 및 상기 제 2 취침공간에 누울 수 있는 인원수가 대응하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좌판의 후단에서 상하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등받이를 포함하는 직벽과 상기 좌판의 양단에서 상기 직벽과 이웃하게 상하 수직으로 세워진 가림벽을 포함하는 캐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좌판별로 구분된 상기 좌판의 전단마다 각각 절곡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좌판별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과 절곡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의 횡방향 양측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등받이에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전방으로 수평 연장되거나 상기 등받이와 절첩되는 팔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을 수평으로 펼치거나 하방으로 절곡되게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또는 절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말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판이 수평으로 펼쳐질 때 상기 연결판의 말단과 상기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위급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연결판의 펼침 작동을 멈추거나 상기 연결판을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연결판 제동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에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의 말단을 고정하는 연결판 안전장치 및 상기 연결판 안전장치를 작동하는 안전장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또한, 상기 연결판이 수평으로 펼쳐져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말단의 정위치를 감지하는 정위치센서; 및 상기 정위치의 이탈 감지 시 상기 이탈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취침공간 내부에 외부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비상호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에 말단이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에 절첩되거나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수직 또는 이와 유사하게 펼쳐지는 발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벽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본체프레임의 상단을 잇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림벽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본체프레임 사이를 막는 천 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벽의 상단 후방으로 여행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벽의 후면 중 상기 좌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직벽의 후면에 절첩되게 연결된 접이식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는 앉은 좌석을 누울 수 있게 변형하여 장시간의 비행을 누워서 편하게 즐길 수 있다.
그 결과, 장거리 비행을 앉은 자세로만 불편하게 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다리 저림 등의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고 누울 수 있는 비율을 조절하여 배정된 자석수의 인원 모두가 앉거나 눕고 또는 일부는 앉고 나머지는 눕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마련될 수 있는 캐빈형 가족석을 침대처럼 변형시켜 가족단위의 독립된 취침공간을 확보하고 가족끼리 누워 안락하고 편안하게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이 연결판 안전장치를 통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정위치센서가 연결판이 임의로 쳐지는 등의 정위치 이탈을 감지하여 이에 즉각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펼쳐진 연결판 위에서 안심하고 취침할 수 있다.
또한, 취침 시 가림벽으로 둘러지고 천이나 슬라이딩 도어로 구분된 공간을 제공받아 안락하게 잠을 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판 아래의 취침공간에서는 비상호출기를 통해 위급상황을 외부로 쉽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높게 설치된 좌판 아래의 취침공간은 천장이 높게 형성되어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하고 바닥에 닿지 않는 발을 발받침대에 편하게 얹어 놓을 수 있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을 이용해 앉은 자세에서 편하게 식사 내지 독서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캐빈형 좌석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자석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캐빈형 좌석 구조의 취침공간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캐빈형 좌석 구조의 또 다른 형태의 취침공간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의 연결판에 관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가 비행기 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양태(樣態)를 상세히 살펴본다.
이때, 본 발명은 비행기의 이코노미석 또는 비즈니스석과 같은 일반적인 의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족 단위의 묶음좌석을 제공하여 가족끼리 보다 안락하고 독립된 공간을 가질 수 있는 캐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기 캐빈 형태인 가족석의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코노미석 또는 비지니스석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의자 형태에 대한 본 발명의 응용은 캐빈형 가족석의 설명으로 당업자의 이해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의 좌석 구조는 비행기의 좌석 중 퍼스트석을 제외한 나머지와 같이 일자로 누울 수 없는 좌석공간, 특히 일반적인 비행기의 좌석 배치와는 별도로 마련된 가족단위의 캐빈형 좌석을 침대처럼 일자로 누울 수 있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뒤 좌석 간의 간격이 좁은 공간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횡 방향을 따라 2명 이상의 좌석을 제공하는 좌판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프레임(110), 본체프레임(1110) 또는 좌판(111)의 전단에 절곡되게 연결되고 본체프레임(110)에 대해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110')까지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연결판(200), 좌판(111)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200) 위로 형성된 제 1 취침공간(300), 좌판(111)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200) 아래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200)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110')의 좌판(111') 아래로 형성된 제 2 취침공간(400)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체프레임(110)이 캐빈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좌판(111)의 후단에서 상하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등받이를 포함하는 직벽(801)과 좌판(111)의 양단에서 직벽(801)과 이웃하게 상하 수직으로 세워진 가림벽(803)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프레임(110)은 직벽(801)과 가림벽(803)이 캐빈 형태의 외부 틀을 이루고, 직벽(801)에서 내부로 수평연장된 좌판(111)과 좌판(111)의 상방으로 직벽(801)의 내면에 마련된 등받이(113)를 포함하여 가족 단위의 캐빈형 가족석(100)을 이룬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캐빈형 가족석(100)은 평상 시 연결판(200)이 하방으로 절곡된 의자 형상을 취하다가 취침공간 필요 시 연결판(200)을 수평으로 펼쳐 제 1 취침공간 및 제 2 취침공간을 제공하고 연속된 좌판(111)의 횡 방향을 따라 일자로 누울 수 있는 2층 침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좌판(111)이 제공하는 좌석수와 제 1 취침공간(300) 및 제 2 취침공간(400)이 제공하는 누울 수 있는 인원수는 대응된다.
즉, 상기 종 방향을 따라 놓인 복수 개의 본체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에 4명이 앉을 수 있는 4개의 좌판(111)이 마련된다면 상기 4개의 좌판(111) 위에 1명, 좌판(111) 아래의 바닥에 1명, 상기 수평하게 펼쳐진 연결판(200) 위에 1명, 연결판(200) 아래의 바닥에 1명, 이렇게 4명 모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자리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제 2 취침공간(400)은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변형 예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취침공간(400)은 도 2와 같이 동일 본체프레임(110)으로 좌석이 배치된 승객(10)의 일부가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100')의 좌판(111') 하부로 위치하게 마련되거나, 도 3과 같이 동일 본체프레임(110)으로 좌석이 배치된 승객(10) 모두가 동일한 본체프레임(110)이 차지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가족의 일부가 다른 본체프레임(100')의 공간으로 이탈하는바, 도 3과 같이 가족 모두가 동일한 본체프레임(110)의 공간에 위치하게 제 2 취침공간(400)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은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좌판(111)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후방에 직벽(801)이, 측방에 가림벽(803)이 세워져 가족단위로 독립된 실내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직벽(801)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좌판(111)과 대응하여 좌판(111) 후단 상부에 위치한 등받이(113)를 포함할 수 있고, 등받이(113)는 수직으로 세워진 직벽(801)과는 상대적으로 경사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 2 취침공간의 바닥에는 매트(2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에 좌석이 배정된 승객(10) 중 일부는 좌판(111)과 연결판(200) 위에, 나머지는 매트(201) 위에 누울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과 앞으로 이웃하는 캐빈 형상의 다른 본체프레임(110') 사이의 상단을 잇는 가이드프레임(800)과 가이드프레임(800)을 따라 이동하며 가림벽(803)과 앞으로 이웃하는 캐빈 형상의 다른 본체프레임(110') 사이를 막는 천(820) 또는 슬라이딩 도어(8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천(820) 보다는 고정적인 슬라이딩 도어(830) 즉, 일종의 미닫이 문을 마련하여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 내부가 가족 단위로 안락한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취침공간(300) 또는/및 제 2 취침공간(400)은 직벽(801)과 가림벽(803)과 슬라이딩 도어(830)로 둘러져 외부와 차단된 공간을 제공받고 이에 누운 가족 단위의 승객(10)들은 안락하게 잠을 잘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취침공간(400) 내부에 외부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비상호출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천(820) 또는 슬라이딩 도어(830)를 치거나 닫게 되면 제 1 취침공간(3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승무원 등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으나 제 2 취침공간(400)은 공간이 폐쇄되어 외부에서 내부 상황을 관찰하거나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비상호출기(미도시)를 통해 제 2 취침공간(400)에 위치한 승객은 내부의 위급상황이나 요청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좌판(111)의 횡방향 양측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등받이(113) 또는 직벽(801)의 내면에 절곡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수평 연장되거나 등받이(113) 또는 직벽(801)으로 절첩되는 팔받침대(7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팔받침대(700)는 절첩 시 등받이(113) 또는 직벽(801)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객이 좌판(111)에 앉아 있을 때에는 팔받침대(700)를 수평 연장시켜 팔을 얹고, 좌판(111) 위에 누울 때에는 팔받침대(700)를 등받이(113) 또는 직벽(801)의 내부로 접어 올려 거치적거리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연결판(200)은 어느 하나의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에서 펼쳐져 말단이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 도 2 참조)과 연결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 전단 또는 좌판(111)의 전단에 절곡 가능하게 힌지(230)로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판(200)은 평상 시 좌판(111)의 하방으로 절곡 되었다가 누울 자리가 필요할 때 힌지(2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으로 펼쳐 침대용도로 사용한다.
또한, 연결판(200)은 바람직하게는 좌석별로 구분된 좌판(111)의 전단 또는 본체프레임(110)의 전단마다 각각 절곡되게 구분된다.
따라서, 필요한 좌석만 연결판(200)을 펼쳐 누울 자리를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인 가족이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 내부에 앉는 경우, 부모 2명의 좌석은 연결판(200)을 절곡된 상태로 두고 자녀 2명의 좌석은 연결판(200)을 수평으로 펼친다. 즉, 부모는 앉고 자녀 둘은 누운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판(200)은 좌석별로 구분된 자판(111)의 구분과는 관계없이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의 전단과 절곡되게 연결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연결판(200)은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과 앞으로 이웃하는 캐빈 형상의 다른 본체프레임(110') 사이를 잇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은 상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연결판(200)이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에서 본체프레임(110)의 하방에 충분히 수용될 수 있게 자판(111)을 높게 배치한다.
그 결과, 좌판(111)에 앉은 승객이 다리가 짧을 경우 발이 바닥에 닿지 않아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연결판(200)에 말단이 절곡되게 연결되어 연결판(200)에 절첩되거나 연결판(200)으로부터 수직 또는 이와 유사하게 펼쳐지는 발받침대(900)를 더 포함한다.
즉, 발이 바닥까지 닿지 않는 승객의 경우 발받침대(900)를 펼쳐 이에 발을 올려 놓는 것으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판(200)을 수평으로 펼치거나 하방으로 절곡되게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220) 또는 절곡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이때의 유압실린더(220)나 절곡장치(미도시)는 사용 상 찰과상 등을 입지않게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판(200)은 유압실린더(220) 또는 절곡장치(미도시)에 대한 스위치 작동으로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하방으로 절곡되고,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220)를 이용하여 연결판(200)이 수평으로 펼쳐진 경우에도 단단히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연결판(200)의 말단에 장착되고 연결판(200)이 수평으로 펼쳐질 때 연결판(200)의 말단과 상기 이웃하는 캐빈 형상의 다른 본체프레임(110')의 직벽(801')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위급상황을 감지하고 연결판(200)의 펼침 작동을 멈추거나 연결판(200)을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연결판 제동센서(61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판(200)이 유압실린더(220)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다가 연결판 제동센서(610)가 연결판(200)의 말단과 이웃하는 캐빈 형상의 다른 본체프레임(110') 사이에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위치한 것을 감지하면 유압실린더(220)의 작동을 멈추거나 유압실린더(220)를 역으로 작동시켜 손가락 등이 낀 상태로 연결판(200)이 이웃하는 캐빈 형상의 다른 본체프레임(110')과 수평으로 결합되는 것을 막아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의 직벽(801) 후면에 수평으로 펼쳐져 연결된 연결판(200)의 말단을 고정하는 연결판 안전장치(500) 및 이를 작동하는 안전장치 스위치(51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판 안전장치(500)는 연결판(200)의 수평 연결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 스위치(510)의 작동으로 직벽(801)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입출되는 걸림대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판 안전장치(500)가 직벽(80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으로 연결된 연결판(200)의 말단을 고정하여 연결판(200) 위로 누운 승객은 안심하고 취침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앉아 있는 때와 같이 연결판(200)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는 연결판 안전장치(500)가 직벽(801)의 내부로 인입되어 연결판 안전장치(500)에 옷이 걸리거나 실체 일부가 긁히는 등의 피해를 방지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펼쳐져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과 연결된 연결판(200) 말단의 정위치를 감지하는 정위치센서(600)와 상기 정위치 이탈 감지 시 상기 이탈을 알리는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정위치센서(600)는 연결판(200)의 말단이 처져 수평이 허물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연결판(200) 위에 누운 승객(10)은 알림부(미도시)의 알림을 통해 연결판(200)의 수평이 허물어지는 것을 안내받게 된다.
그 결과, 예기치 못한 연결판(200)의 절곡으로 승객이 낙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직벽(801)의 상단 후방으로 여행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84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 내부에는 전방 상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짐을 올리고 보다 넓은 좌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직벽(801)의 후면 중 좌판(111)의 상측에 배치되고 직벽(801)의 후면에 절첩되게 연결된 접이식테이블(115)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승객이 좌판(111)에 앉아 가는 경우 접이식테이블(115)을 펼쳐 식사 또는 독서 등을 편하게 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캐빈형 가족석은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기(1)의 퍼스트석(3), 이코노미석(4)과는 구분되는 공간에 별도로 마련되고 차별화된 요금으로 가족단위의 묶음석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가족이 캐빈 형상의 본체프레임(110) 하나로 구획된 가족석을 배정받아 가족끼리 누워갈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는 조종석, 도면부호 5는 출입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 비행기 2: 조종석
3: 퍼스트석 4: 이코노미석
5: 출입문 10: 승객
100: 캐빈형 가족석 110: 본체프레임
111: 좌판 113: 등받이
115: 접이식테이블 200: 연결판
210: 매트 220: 유압실린더
230: 힌지 300: 제 1 취침공간
400: 제 2 취침공간 500: 연결판 안전장치
510: 안전장치 스위치 600: 정위치센서
610: 연결판 제동센서 700: 팔받침대
801: 직벽 803: 가림벽
810:가이드프레임 820: 천
830: 슬라이딩 도어 840: 수납장
900: 발받침대

Claims (14)

  1. 앞뒤 좌석 간의 간격이 좁은 공간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횡 방향을 따라 2명 이상의 좌석을 제공하는 좌판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 또는 좌판의 전단에 절곡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까지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연결판;
    상기 좌판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 위로 형성된 제 1 취침공간; 및
    상기 좌판과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 아래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의 좌판 아래로 형성된 제 2 취침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좌판이 제공하는 좌석수와 상기 제 1 취침공간 및 상기 제 2 취침공간에 누울 수 있는 인원수가 대응하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좌판의 후단에서 상하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등받이를 포함하는 직벽과 상기 좌판의 양단에서 상기 직벽과 이웃하게 상하 수직으로 세워진 가림벽을 포함하는 캐빈 형태인 비행기의 좌석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좌판별로 구분된 상기 좌판의 전단마다 각각 절곡되게 연결된 비행기의 좌석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좌판별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과 절곡되게 연결된 비행기의 좌석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횡방향 양측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등받이에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전방으로 수평 연장되거나 상기 등받이와 절첩되는 팔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을 수평으로 펼치거나 하방으로 절곡되게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또는 절곡장치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말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판이 수평으로 펼쳐질 때 상기 연결판의 말단과 상기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위급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연결판의 펼침 작동을 멈추거나 상기 연결판을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연결판 제동센서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의 좌석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에 상기 수평으로 펼쳐진 연결판의 말단을 고정하는 연결판 안전장치 및 상기 연결판 안전장치를 작동하는 안전장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이 수평으로 펼쳐져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다른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말단의 정위치를 감지하는 정위치센서; 및
    상기 정위치의 이탈 감지 시 상기 이탈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취침공간 내부에 외부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비상호출기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말단이 절곡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에 절첩되거나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수직 또는 이와 유사하게 펼쳐지는 발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림벽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본체프레임의 상단을 잇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림벽과 상기 앞으로 이웃하는 본체프레임 사이를 막는 천 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벽의 상단 후방으로 여행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을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벽의 후면 중 상기 좌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직벽의 후면에 절첩되게 연결된 접이식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비행기 좌석 구조.
KR1020100120043A 2010-11-18 2010-11-29 비행기의 좌석 구조 KR10101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485401A CN103153787A (zh) 2010-11-18 2011-11-17 飞机座椅结构
US13/823,947 US9056683B2 (en) 2010-11-18 2011-11-17 Seat structure of airplane
PCT/KR2011/008812 WO2012067452A2 (ko) 2010-11-18 2011-11-17 비행기의 좌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30 2010-11-18
KR20100114730 2010-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687B1 true KR101016687B1 (ko) 2011-02-25

Family

ID=4377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043A KR101016687B1 (ko) 2010-11-18 2010-11-29 비행기의 좌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6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0659A (en) * 1996-12-23 1999-12-14 The Boeing Company Fully reclinable, pivotable airplane passenger sleeper seat assemblies
KR20000075486A (ko) * 1997-02-20 2000-12-15 사무엘 매튜 비행기 좌석
JP2001087074A (ja) * 1999-08-04 2001-04-03 Britax Rumbold Ltd 乗客輸送乗物用のシート装置
JP2002282069A (ja) * 2001-03-26 2002-10-02 Kokuyo Co Ltd 家 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0659A (en) * 1996-12-23 1999-12-14 The Boeing Company Fully reclinable, pivotable airplane passenger sleeper seat assemblies
KR20000075486A (ko) * 1997-02-20 2000-12-15 사무엘 매튜 비행기 좌석
JP2001087074A (ja) * 1999-08-04 2001-04-03 Britax Rumbold Ltd 乗客輸送乗物用のシート装置
JP2002282069A (ja) * 2001-03-26 2002-10-02 Kokuyo Co Ltd 家 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6683B2 (en) Seat structure of airplane
US11312497B2 (en) Seat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an airplane
JP4548421B2 (ja) 睡眠姿勢を提供する乗物シート
JP4900832B2 (ja) 航空機シート
JP4313441B2 (ja) シートユニット
CA2630000C (en) Aircraft seating and seating arrangements
CN1329246C (zh) 可转换为卧铺座床的座椅
JP2016521157A (ja) ドロップダウン式アームレストアセンブリを備えた乗客座席
US7975962B2 (en) Transportation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assembly
US5954401A (en) Reclining seat and ottoman system for aircraft including amenity cabinet
US4799632A (en) Seat for a vehicle, especially an aircraft seat
JP4719688B2 (ja) 乗物乗客シート用フレーム構造
US20050194827A1 (en) Vehicle seating with privacy divider
US7004542B2 (en) Aircraft seat
CN103261024A (zh) 用于飞行器的空间优化的舱室乘务员站立式座椅
US20140246886A1 (en) Aircraft divan convertible to a bunk bed
GB2510765A (en) Aircraft passenger seating arrangement
WO2006094091A2 (en) Comfortable seating arrangements with easy access
JP2007517547A (ja) 調節可能な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乗物シート
JP2006516512A (ja) 輸送手段、とりわけ航空機の乗客キャビンに配置されるモジュール
JP7026224B2 (ja) 航空機用のシートユニット
KR101016687B1 (ko) 비행기의 좌석 구조
KR20120060328A (ko) 캐빈형 좌석 구조
CN107616641A (zh) 婴儿座椅
KR20120102900A (ko) 캐빈형 좌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